KR102024276B1 -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276B1
KR102024276B1 KR1020170160864A KR20170160864A KR102024276B1 KR 102024276 B1 KR102024276 B1 KR 102024276B1 KR 1020170160864 A KR1020170160864 A KR 1020170160864A KR 20170160864 A KR20170160864 A KR 20170160864A KR 102024276 B1 KR102024276 B1 KR 10202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applicant
entrepreneurship
founding
prop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952A (ko
Inventor
전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to KR102017016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276B1/ko
Priority to PCT/KR2018/013593 priority patent/WO2019107789A1/ko
Publication of KR2019006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 정보를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창업 성향별 추천종목에 매칭하여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에 적합한 창업종목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 창업종목들을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창업신청자가 창업신청자 단말기를 통하여 추천 창업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창업종목을 선택하면, 선택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열람 및 학습할 수 있도록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신청자가 이수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산출된 학습성취도를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별 학습성취도와 비교하여,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분석하여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창업신청자의 적성 및 창업성향을 고려하여 창업신청자에게 창업종목을 추천하기 때문에 창업신청자로 하여금 보다 신뢰성 있는 창업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된 창업종목에 대한 최적의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Customized entrepreneurship learning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맞춤형 창업 학습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에 따라 창업종목을 추천하고, 이에 따른 창업교육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창업학습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중 체험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식기반 창업학습 및 운영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산출된 결과물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컴퓨터 및 생산기기들의 혁명을 통하여 현대사회는 점점 소규모 창업이 증가하는 추세를 띠고 있다. 이러한 소규모 창업은 자본 및 생산기기의 간소화로 인하여 1인 기업과 같이 소수의 인원도 창업이 가능하며, 따라서 젊은 층에서 창업 붐이라고 회자될 정도로 많은 창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창업 붐에 발맞추어 다양한 창업교육방법이 시도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창업교육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4336호에는, 창업준비자가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망을 통한 온라인으로 회원 가입하고 운영서버로부터의 창업과 관련된 정보 및 교육을 습득하는 창업준비단계와, 인터넷망을 통해 창업할 업종과 사업 타당성 및 상권을 분석한 후 현장을 답사하여 운영할 점포를 계약하고, 인테리어 및 상품, 직원 선발 등의 점포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 함께 투자되는 자금 및 세무관리를 체험하는 창업교육단계와, 웹사이트상에 운영되는 가상 점포에 대해 운영서버가 도매상 또는 고객 역할을 하고, 창업준비자는 오프라인상 점포의 점주와 같이 고객 응대행위를 통해 영업활동을 실습하면서 실제 창업 후의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는 점포운영단계를 포함하여, 창업준비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습득하고 온라인상에 가상 점포를 개설하여 일정기간 시뮬레이션을 통한 점포운영을 경험하게 함으로서 실제 창업 시에 앞서 단기간의 실습과 체험으로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창업교육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창업교육은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창업교육 과정에서 창업신청자의 학습유지가 힘들고 성향 및 적성에 맞지 않은 창업종목을 선택함에 따른 창업성공률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4336호
본 발명은,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을 고려하여 창업신청자에게 최적의 창업종목을 추천하고 추천된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업성향별로 창업종목을 추천하고, 창업종목별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저장하고 있는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창업신청자에게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창업신청자에게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 정보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창업 성향별 추천종목에 매칭하여 상기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에 적합한 창업종목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 창업종목들을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창업신청자가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를 통하여 추천 창업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창업종목을 선택하면, 선택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열람 및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창업신청자가 이수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산출된 상기 학습성취도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별 학습성취도와 비교하여, 상기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분석하여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자의 창업 성공 및 실패 사례의 군집화를 통해 유망 창업업종을 예측하며, 유망 창업업종 중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과 프로파일에 기반 하여 유사 창업성향을 갖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들을 선별 분석하고, 상기 창업업종들 각각에 가산치를 부여하여 추천 창업업종들로 선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성향분석메뉴를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창업신청자가 상기 성향분석메뉴의 각 항목을 선택하여 생성된 상기 창업 성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향분석메뉴는, 창업신청자의 고유정보와 경력과 실적을 포함하는 객관적 메뉴와, 관심분야와 평판을 포함하는 주관적 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제공 서버는, 상기 성향분석메뉴에서 상기 객관적 메뉴와 상기 주관적 메뉴 각각의 항목별 점수를 누적하여 성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성향지수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창업성향별 창업종목에 매칭하여 상기 성향지수에 대응하는 창업종목을 선정하여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단계는, 상기 학습 제공 서버가 해당하는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학습진도별로 구성된 창업학습 정보를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설정된 학습기간 내에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학습 제공 서버가 각 학습진도별 학습결과들을 수신하여 학습진도별 학습성취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학습진도별 상기 학습성취도의 변화와 각 학습성취도의 누적값을 산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산출된 상기 학습성취도를 포함하는 산출데이터와,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산출데이터가 상기 설정데이터의 설정 오차범위 내 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하여 상기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산출데이터가 설정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성향분석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데이터는, 상기 성향분석메뉴를 구성하는 각 메뉴에 설정된 반영지수가 낮은 항목을 순차적으로 삭제하고, 나머지 항목들을 전체비율로 환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창업성공률을 산출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창업성공률에 따라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하고, 수정된 수정데이터는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에 업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수집된 산출데이터들을 창업성공률에 따라 재배열한 뒤 설정된 창업성공률 이상에 해당하는 모집단의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가 공통적으로 낮은 과목에 대하여, 해당 창업종목에 대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으로부터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창업신청자의 적성 및 창업성향을 고려하여 창업신청자에게 창업종목을 추천하기 때문에 창업신청자로 하여금 보다 신뢰성 있는 창업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을 고려하여 창업종목을 추천하고 이렇게 추천된 창업종목에 대한 최적의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함으로써 창업신청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창업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창업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창업신청자 성취도의 허용범위를 판단하여 창업성향판단요소를 수정하여 창업 학습 제공 서버가 구축하고 있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비즈니스 아키텍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통합 아키텍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설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창업신청자(예비창업자)의 창업업종 추천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창업의사결정 지식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을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은 맞춤형 창업학습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창업지원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창업지원 시스템은 멘토링기반 사업계획 시스템, 실무기반 사업지원시스템, 지식경영 노하우지원 시스템 등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지식관리시스템(KMS)을 기반으로 하여 창업준비를 위한 학습지원시스템과 창업실행 및 창업성장에 따른 운영지원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러한 통합 아키텍처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은 SAAS형태 클라우드 시스템상에 창업 학습지원 시스템, 창업 운영지원 시스템, 창업 KMS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업학습 및 운영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은,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와, 창업신청자 단말기(20)와,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30)를 포함한다.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는, 창업신청자 단말기(20)로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하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30)와 연결되어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정보들을 라이브러리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는, 창업신청자에게 창업성향별로 창업종목을 추천하여 창업신청자에게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도 5참조). 여기서, 창업종목 추천은 창업자들의 창업 성공 및 실패 사례의 군집화를 통해 유망 창업업종을 예측하고, 이렇게 예측된 유망 창업업종 중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과 프로파일에 기반 하여 유사 창업성향을 갖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들을 선별 분석하고, 창업업종들 각각에 가산치를 부여하여 추천 창업업종들을 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와 접속되어 창업신청자로 하여금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20)는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로부터 추천된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열람 및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창업 학습 제공 서버(10)로 제공 및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20)는 무선 개인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개인단말기 등 다양한 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창업종목별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비롯하여, 창업성향별 학습성취도와 창업성공률에 대한 데이터 등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전반적인 데이터 및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은 사업아이템 검색, 지식 재산권 확보, 사업타당성분석 등을 포함하는 지식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IR동영상 학습 플랫폼, 학습진도관리, 학습 수료증 등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 정보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창업 성향 정보를 토대로 추천 창업종목을 선정하여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한다(S20).
한편,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성향분석메뉴를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이에 창업신청자가 성향분석메뉴의 각 항목을 선택하여 생성된 창업 성향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성향분석메뉴는, 객관적 메뉴와 주관적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객관적 메뉴는 창업신청자의 객관적 자료 및 창업과 관련된 교육수료 등 창업신청자의 고유정보와 경력과 실적을 포함하고, 주관적 메뉴는, 창업신청자의 관심분야와 주위로부터의 평판과 적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다양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성향분석메뉴의 각 항목에 대하여 창업신청자가 선택하면 이를 통하여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성향별 창업종목을 추천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의 추천 창업종목 선정은,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 정보를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창업 성향별 추천종목에 매칭하여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에 적합한 창업종목들을 선정하여 실시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학습 제공 서버는, 성향분석메뉴에서 객관적 메뉴와 주관적 메뉴 각각의 항목별 점수를 누적하여 성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성향지수를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창업성향별 창업종목에 매칭하여 성향지수에 대응하는 창업종목을 선정하여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가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추천 창업종목들을 선정하여 제공하면, 창업신청자는 창업신청자 단말기를 통하여 추천 창업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창업종목을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창업종목에 대한 정보가 창업 학습 제공 서버로 전송된다.
이에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신청자에 의하여 선택된 선택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창업신청자가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열람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S30).
이때, 상기 학습 제공 서버는 해당하는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설정된 학습기간 내 시계열에 따라 학습진도별로 구성된 창업학습 정보를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설정된 학습기간 내에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신청자가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이수하면,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신청자가 이수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학습성취도 및 창업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각 학습진도별 학습결과들을 수신하여 학습진도별 학습성취도를 각각 산출하고, 학습진도별 학습성취도의 변화와 각 학습성취도의 누적값을 산출하여 해당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와 창업결과를 산출한다(S40).
그런 다음,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산출된 각 진도별 학습성취도와 창업결과(성공률)에 대한 데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산출데이터를 분석하고(S50), 산출데이터의 학습성취도 및 창업결과가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별 학습성취도와 비교하여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산출된 학습성취도를 포함하는 산출데이터와,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산출데이터가 설정데이터의 설정 오차범위인지를 판단하여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오차범위는 성향별 학습성취도의 설정된 제한범위 내 설정데이터에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을 기준으로 설정오차값 내의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한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분석하여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정데이터의 오류 및 수정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설정데이터를 수정 또는 편집하여 업로딩한다(S60).
이러한 설정데이터의 판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산출데이터가 설정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설정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수정데이터를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딩한다.
가령, 상기 산출데이터가 설정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추천 창업종목에 대한 오류를 점검하고, 이에 수정데이터는 창업 학습 제공 서버에 저장된 창업성향별 창업업종들 각각에 대한 가산치를 변경하여 설정하여 수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업로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창업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창업신청자가 창업 교육 커리큘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학습성취도를 설정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 분석오류 또는 창업성향별 추천종목 오류를 판단하고, 오류 판단 시 설정데이터를 피드백하여 업로딩함으로써 설정된 설정데이터의 신뢰성 및 오류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창업업종 추천 성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이수하고, 사업진행 후 창업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창업성향에 대한 창업성공률을 수집할 수 있다(S70).
이렇게 수집된 창업성공률은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할 수 있는 분석자료로 이용되어 분석결과에 따라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수정데이터는 창업 학습 제공 서버에 업로딩한다(S80).
여기서,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집된 산출데이터들을 창업성공률에 따라 재배열하여, 설정된 창업성공률 이상에 해당하는 모집단의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가 공통적으로 낮은 과목에 대하여, 해당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으로부터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창업 학습 제공 서버 20 : 창업신청자 단말기
30 :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창업성향별로 창업종목을 추천하고, 창업종목별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저장하고 있는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창업신청자에게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창업 학습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창업신청자에게 맞춤형 창업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 정보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창업 성향별 추천종목에 매칭하여 상기 창업신청자의 창업 성향에 적합한 창업종목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 창업종목들을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창업신청자가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를 통하여 추천 창업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창업종목을 선택하면, 선택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열람 및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창업신청자가 이수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산출된 상기 학습성취도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별 학습성취도와 비교하여, 상기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분석하여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창업자의 창업 성공 및 실패 사례의 군집화를 통해 유망 창업업종을 예측하며, 유망 창업업종 중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과 프로파일에 기반 하여 유사 창업성향을 갖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업종들을 선별 분석하고, 상기 창업업종들 각각에 가산치를 부여하여 추천 창업업종들로 선정하며:
    상기 (a)단계는,
    창업신청자의 창업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성향분석메뉴를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창업신청자가 상기 성향분석메뉴의 각 항목을 선택하여 생성된 상기 창업 성향 정보를 수신함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성향분석메뉴는,
    창업신청자의 고유정보와 경력과 실적을 포함하는 객관적 메뉴와, 관심분야와 평판을 포함하는 주관적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제공 서버는,
    상기 성향분석메뉴에서 상기 객관적 메뉴와 상기 주관적 메뉴 각각의 항목별 점수를 누적하여 성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성향지수를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창업성향별 창업종목에 매칭하여 상기 성향지수에 대응하는 창업종목을 선정하여 추천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산출된 상기 학습성취도를 포함하는 산출데이터와, 상기 창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동일한 창업성향에 대한 학습성취도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산출데이터가 상기 설정데이터의 설정 오차범위 내 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창업업종 추천 성과를 판단하며;
    상기 산출데이터가 설정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성향분석메뉴를 수정하고:
    성향분석메뉴의 수정은,
    상기 성향분석메뉴를 구성하는 각 메뉴에 설정된 반영지수가 낮은 항목을 순차적으로 삭제하고, 나머지 항목들을 전체비율로 환산하는 것이며: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는,
    상기 창업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창업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창업성공률을 산출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창업성공률에 따라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하고, 수정된 수정데이터는 상기 창업 학습 제공 서버에 업로딩하되,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수정은,
    수집된 산출데이터들을 창업성공률에 따라 재배열한 뒤 설정된 창업성공률 이상에 해당하는 모집단의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성공사업자의 학습성취도가 공통적으로 기준치 이하로 낮은 과목에 대하여, 해당 창업종목에 대한 상기 창업교육 커리큘럼으로부터 제외시킴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학습 제공 서버가 해당하는 창업종목에 대한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학습진도별로 구성된 창업학습 정보를 창업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설정된 학습기간 내에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학습 제공 서버가 각 학습진도별 학습결과들을 수신하여 학습진도별 학습성취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학습진도별 상기 학습성취도의 변화와 각 학습성취도의 누적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60864A 2017-11-28 2017-11-28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KR10202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64A KR102024276B1 (ko) 2017-11-28 2017-11-28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PCT/KR2018/013593 WO2019107789A1 (ko) 2017-11-28 2018-11-09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64A KR102024276B1 (ko) 2017-11-28 2017-11-28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52A KR20190061952A (ko) 2019-06-05
KR102024276B1 true KR102024276B1 (ko) 2019-09-23

Family

ID=6666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864A KR102024276B1 (ko) 2017-11-28 2017-11-28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4276B1 (ko)
WO (1) WO2019107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732B1 (ko) * 2022-10-17 2023-01-27 (주)올워크 인공 지능 기반 맞춤형 창업 자료 작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9191B2 (ja) 2019-10-02 2023-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電池
CN111460291A (zh) * 2020-03-30 2020-07-28 申浚利 一种为创业者提供服务的应用系统及方法
KR102348565B1 (ko) 2021-06-17 2022-01-07 이도열 노코드 기반 창업 정보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창업 정보 제공시스템
KR102596554B1 (ko) * 2022-11-11 2023-10-31 주식회사 매일벤처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창업 가이드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04B1 (ko) * 2001-07-18 2003-01-06 윤수영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업 관리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101248283B1 (ko) * 2011-02-24 2013-03-27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36A (ko) 2003-12-22 2004-01-13 최봉학 온라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창업교육방법
KR100994457B1 (ko) * 2008-03-18 2010-11-16 김용재 사용자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70693B1 (ko) * 2011-03-03 2013-06-03 (주)오픈메이트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0952A (ko) * 2015-06-25 2017-01-04 김용찬 BM Canvas를 활용한 설문으로 창업 성공가능 여부를 가려주는 시뮬레이션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04B1 (ko) * 2001-07-18 2003-01-06 윤수영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업 관리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101248283B1 (ko) * 2011-02-24 2013-03-27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732B1 (ko) * 2022-10-17 2023-01-27 (주)올워크 인공 지능 기반 맞춤형 창업 자료 작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789A1 (ko) 2019-06-06
KR20190061952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76B1 (ko) 맞춤형 창업 학습 제공 방법
CN109791642B (zh) 工作流的自动生成
US106140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etection of incorrect data
US10242345B2 (en) Automatic interview question recommendation and analysis
US2023032569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personality information
Sebastian et al. Tool for benchmarking BIM performance of desig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rms in the Netherlands
US20190392397A1 (en) Model-assisted evaluation and intelligent interview feedback
Gosling et al. A supply chain flexibility framework for engineer-to-order systems
US10839314B2 (en) Automated system for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heterogeneous predictive models
Dabbagh et al. An approach for integrating the prioritization of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US20110282712A1 (en) Survey reporting
US20220222627A1 (en) System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Hiring and Recruitment
US11157983B2 (en) Generating a framework for prioritizing machine learning model offerings via a platform
US20190385469A1 (en) Matching a job profile to a candidate
US20170048340A1 (en) College readiness predictor and selection service using profile manager and translation validation
EP39650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riving rating for properties
US11551187B2 (en) Machine-learning creation of job posting content
Keathley-Herring An approach to qua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mplementation
US20160300288A1 (en) Recommendation system
KR102436551B1 (ko) 성격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716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similar funds
US20150100360A1 (en)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managing it consultants for it projects
KR102207494B1 (ko) 인공 지능망을 이용한 재물보험 가입 심사 시스템
US20110225103A1 (en) Efficiency of computer modeling and analysis of complex processes
US20200342302A1 (en) Cognitive fore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