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124B1 -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124B1
KR102024124B1 KR1020190078529A KR20190078529A KR102024124B1 KR 102024124 B1 KR102024124 B1 KR 102024124B1 KR 1020190078529 A KR1020190078529 A KR 1020190078529A KR 20190078529 A KR20190078529 A KR 20190078529A KR 102024124 B1 KR102024124 B1 KR 10202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ee
composition
control
m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환이
현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주식회사 코리아비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주식회사 코리아비앤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Priority to KR102019007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써 지속적인 꿀벌응애의 방제효과를 볼 수 있으며 천연물질만을 사용함에 따라 벌들에 대해 거부감을 줄이고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pest control composition for honeybee mite}
본 발명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써 지속적인 꿀벌응애의 방제효과를 볼 수 있으며 천연물질만을 사용함에 따라 벌들에 대해 거부감을 줄이고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벌꿀과 밀랍(bee wax)을 생산하기 위해서 꿀벌을 사양하는 일을 말하며, 양봉을 위해서는 천연목재나 합성목재를 이용해 만든 벌통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봉은 벌통 내부에 서식하는 해충들로 인해 꿀의 생산량이 저하되게 되는데, 대표적인 꿀벌 해충으로는 꿀벌응애류(바로아디스트럭트, 트로필라스 크라레)가 있으며, 꿀벌 질병은 노제마병, 부저병, 백묵병, 바이러스성 질병이 있다.
이러한 질병 중에서도 꿀벌응애는 세계적으로 분포가 확대되었으며 양봉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 해충으로 꿀벌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 기생하면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이로 인하여 꿀벌은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며 정상 활동을 할 수 없고, 발생이 심하면 봉군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폐군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꿀벌응애의 방제를 위하여 세계적으로 유기합성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개체가 출현하고 있어 방제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생산 양봉에서 꿀벌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꿀벌응애류(바로아디스트럭트, 트로필라스 크라레)의 방제를 위한 기존 사용 방법으로는 현재 플루바리네이트, 플루메트린, 아미트라즈, 브롬프로피레이트 등 약제방제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처리방법으로는 훈연, 분무, 급이 등의 방법으로 처리해서 잔류농약성분이 검출되기도 하여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는 실정이다.
즉, 일부 약제 사용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 등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기도 하고, 벌의 산란율의 저하와 유봉과 숫벌이 죽게 되어 일벌수량의 감소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277754호에 제안되어 있는 꿀벌응애류 방제용 훈증제 조성물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미네랄 오일, 리모넨, 티몰, 벌꿀 및 밀납을 포함하는 꿀벌응애류 방제용 훈증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조성물은 면실끈에 의해 훈연 방식에 의해 방제를 수행하게 되는데, 훈연 처리시에는 약제의 독성으로 인한 중독의 위험이 있어서 훈연연기를 맡지 않게 조심하여야 하며 분무처리시에도 약제를 흡입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급이 시에는 약제가 벌꿀에 잔류될 가능성이 더욱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8335호에 제안되어 있는 꿀벌 진드기 구제 연막용액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5-메틸-2-(메틸에틸)페놀[5-methyl-2-(methylethyl)phenol] 또는 이의 동물의약품으로 허용되는 염인 유효성분; 및 연막용 오일을 포함하는, 꿀벌 진드기 구제 연막용액이 제안되어 있는데, 화학약품에 의한 훈연방식이므로 이 역시 훈연 처리시 약제의 독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급이 시에는 약제가 벌꿀에 잔류될 가능성 때문에 양봉에 대한 보다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훈연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796776호에 제안되어 있는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유동 파라핀과 유화제를 1:0.01~0.05 부피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동 파라핀-유화제 혼합액을 만드는 과정; 95%의 주정과 85%의 개미산을 2~3:1 부피비로 혼합하여 개미산-주정 용액을 만드는 과정; 및 상기 개미산-주정 용액과 유동 파라핀-유화제 혼합액을 1:8~10 부피비로 혼합하고, 교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미산-주정 용액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주정 100cc당 옥살산 15~50g이 포함되거나 은행잎추출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개미산에 대해 1:0.05~0.1 부피비로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파라핀-유화제 역시 찬환경적인 물질이 아니고, 특히 개미산, 옥살산을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꿀벌의 성장에 문제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7754호(2013. 6. 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8335호(2017. 7. 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776호(2017. 11. 1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되,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 꿀벌응애에 대한 지속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발향기간을 늘리고, 봉독을 더 섞음으로써 꿀벌들에게 보다 친숙하지만 꿀벌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를 높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제용 조성물을 친환경 생약제재로 만들어 벌에게는 피해가 없으며 산란율의 증가로 양봉 농가의 이득을 증대시키고,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아 사람에게도 안전한 친환경적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섞어서 항균작용과 살균효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되,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 꿀벌응애에 대한 지속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발향기간을 늘리고, 봉독을 더 섞음으로써 꿀벌들에게 보다 친숙하지만 꿀벌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를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의 함류량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의 사용 후 사진
본 발명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써 지속적인 꿀벌응애의 방제효과를 볼 수 있으며 천연물질만을 사용함에 따라 벌들에 대해 거부감을 줄이고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의 함류량표로써,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섞어서 항균작용과 살균효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향수베이스는 통상적인 향수의 제조에 사용되는 베이스로써, 에탄올, 정제수 및 향보습제로 제조된 향수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향수베이스의 성분별 함유량은 에탄올 60~75 중량%, 정제수 20~35 중량%, 향보습제 1~5 중량%로 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보습제는 폴리올로써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한 역할로 사용되는데, 에탄올의 입자가 작음으로써 향보습제로써 입자의 크기를 키워 꿀벌이나 애벌레의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줄임과 동시에 향이 잘 썩이도록 하여 향이 잘 날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방제효과가 유지되는 기간을 늘려준다.
상기 에센셜오일은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섞어서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센셜오일의 기본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미르오일(Myrrh Oil)은 일명 몰약이라고도 하며, 그을린 향으로 고무향같은 엷은 사과향이 나며, 항염, 항진균, 살균, 방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력한 피부 보호특성이 있어서 괴저등상에 유효하고 조직의 퇴화를 막아주며, 특히 습진이나 무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제라늄오일(Geranium Oil)은 제라늄의 꽃과 잎, 줄기에서 추출한 에센셜올이로써 가라앉은 기분을 고양시켜주고 인체의 순환을 자극하여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제라늄의 독특한 향기는 개미나 벌레들이 싫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여름철 벌레퇴치용 스프레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 오레가노오일(Oregano Oil)은 박하같은 향기가 나는 오일로써, 장에 유익한 오일이고 장내 유해균을 죽이며 진통작용, 항류머티즘작용, 항경련작용, 해독작용, 항바이러스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생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네롤리오일(Neroli Oil)은 진정과 항 우울작용에 가장 효과적인 오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세포를 성장촉진 시키는 특성이 있고, 항우울, 방부, 진경, 항박테리아, 구풍, 반흔형성, 강심, 탈취, 소화자극, 신경강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티트리오일(Tee tree Oil)은 백혈구의 생산을 촉진하여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발한작용으로 인한 독소배출과 면역계를 촉진시켜 전염성 질병을 퇴치하고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체내에 침입한 유기체에 대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병에 걸려있는 기간을 단축시키고, 강력한 살균소독력이 있어서 몸의 독소를 땀으로 배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바이러스 특성과 살균특성으로 감염증, 바이러스 염증에도 유효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타임오일(Thyme Oil)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타임에서 추출한 오일로써, 강한 향기가 특징이며, 방부작용, 항균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고대부터 시체를 보관하거나 항생제로 사용하였다.
라벤더오일(Lavender Oil)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 불면증, 분노를 이완시키고 두통, 편두통, 긴장쇼크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피부에 생긴 상처를 치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피아민트오일(Mints Oil)은 민트에서 추출한 오일로써, 주성분이 멘톨은 항균작용과 구충작용이 있으며, 알코올에 녹이면 백선균에 대해서 유효성이 있으며, 스트레스의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향수베이스에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섞어서 만든 조성물을 꿀벌응애 구제를 위한 조성물로 만들고, 이러한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함으로써 구제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히 에센셜오일의 유익한 성분이 여왕벌과 꿀벌 및 애벌레 등에게 유익한 효과를 줌으로써 벌들을 더욱 건강하게 유지시켜, 벌 세력을 더욱 왕성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섞으며, 봉독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즉,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과 함께 봉독을 더 함유시켜 꿀벌응애 방제에 대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봉독(Bee Venom)은 꿀벌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으로써, 신경통, 류머티즘, 요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봉독을 에센셜오일과 함께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봉독은 조성물의 전체중량과 대비하여 0.1~0.5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1중량% 미만으로 봉독이 함유될 경우 봉독으로 인한 방부효과가 떨어지고, 반대로 0.1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꿀벌의 애벌레에게 해로울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배합비율이 유지되어야 된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쑥추출물과 강황을 더 함유시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쑥은 성인병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장과 간장, 신장의 기능을 강화에 복통 치료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살균, 진통, 소염 등의 작용은 과학적으로도 입증되어 있는 쑥의 효능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쑥에서 추출한 쑥추출물을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 강황은 높이가 1m 정도로 자라는 다년초이고, 근경으 생강모양으로 황색이다. 이러한 강황은 한방에서 어깨통층, 생리통, 산통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방충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강황에서 추출한 강황추출물을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을 일정량 섞어서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1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6 96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0.5



4
제라늄오일 0.5
오레가노오일 0.5
네롤리오일 0.5
티트리오일 0.5
타임오일 0.5
라벤더오일 0.5
스피아민트오일 0.5
봉독
0 0
쑥추출물
0 0
강황추출물
0 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6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0.5중량%씩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46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52마리로써, 조성물의 방제효과는 입증되었으나 분사량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을 일정량 섞어서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2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2 92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1.0



8
제라늄오일 1.0
오레가노오일 1.0
네롤리오일 1.0
티트리오일 1.0
타임오일 1.0
라벤더오일 1.0
스피아민트오일 1.0
봉독
0 0
쑥추출물
0 0
강황추출물
0 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2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1.0중량%씩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54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49마리로써, 조성물의 방제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에션셜오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것과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더욱 높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과 봉독을 일정량 섞어서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3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6 95.9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0.5



4
제라늄오일 0.5
오레가노오일 0.5
네롤리오일 0.5
티트리오일 0.5
타임오일 0.5
라벤더오일 0.5
스피아민트오일 0.5
봉독
0.1 0.1
쑥추출물
0 0
강황추출물
0 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5.9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0.5중량%씩 함유시키고, 봉독 0.1중량%를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66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89마리로써, 실시예 1 및 2와 대비하여 봉독을 추가한 조성물의 방제효과는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과 실시예 3보다 다량의 봉독을 섞어서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4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5.5 95.5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0.5



4
제라늄오일 0.5
오레가노오일 0.5
네롤리오일 0.5
티트리오일 0.5
타임오일 0.5
라벤더오일 0.5
스피아민트오일 0.5
봉독
0.5 0.5
쑥추출물
0 0
강황추출물
0 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5.5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0.5중량%씩 함유시키고, 봉독 0.5중량%를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92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122마리로써, 실시예 3과 대비하여 봉독의 함유량을 높임으로써 조성물의 방제효과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과 실시예 4보다 다량의 봉독을 섞어서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5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5 95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0.5



4
제라늄오일 0.5
오레가노오일 0.5
네롤리오일 0.5
티트리오일 0.5
타임오일 0.5
라벤더오일 0.5
스피아민트오일 0.5
봉독
1.0 1.0
쑥추출물
0 0
강황추출물
0 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5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0.5중량%씩 함유시키고, 봉독 1.0중량%를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98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105마리로써, 실시예 4와 대비하여 봉독의 함유량을 높인 것에 비해 조성물의 방제효과가 그리 높아지지 않으며, 봉독의 함유량을 2배로 높여도 방제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션오일과 봉독을 섞은 다음 쑥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을 섞어 조성물을 만들고 만든 조성물을 벌통 내부에 분사한 다음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실시예 6에 따른 함유량표
성분
함유량
(중량%)
총 함유량
(중량%)
향수베이스
93.5 93.5


에센셜
오일
미르오일 0.5



4
제라늄오일 0.5
오레가노오일 0.5
네롤리오일 0.5
티트리오일 0.5
타임오일 0.5
라벤더오일 0.5
스피아민트오일 0.5
봉독
0.5 0.5
쑥추출물
1.0 1.0
강황추출물
1.0 1.0
합계
100 100
향수베이스 93.5중량%에 성분별 에센셜오일들 즉,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각 0.5중량%씩 함유시키고, 봉독 0.5중량%, 쑥추출물 1.0중량% 및 강황추출물 1.0중량%를 함유시켜 조성물을 만든 다음 2개의 벌통 내부에 천을 깔고 하나는 큰 방울로 2방울(4ml), 다른 하나는 큰 방울로 5방울(10ml)를 분사하고 2일이 경과한 다음 벌통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4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106마리이고, 10ml를 분사한 벌통에 떨어져 있는 꿀벌응애의 수는 142마리로써, 실시예 5와 대비하여 쑥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조성물의 방제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의 가장 바람직한 성분별 함유량은 향수베이스 93.5중량%, 에센셜오일 4중량%, 봉독 0.5중량%, 쑥추출물 1.0중량%, 강황추출물 1.0중량%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센셜오일은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각 0.5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한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되, 보다 상세하게는 꿀벌응애가 있는 벌통 내부에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 및 봉독을 배합한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은은한 향이 오랜 기간 발산됨으로써 한 번의 방제로 꿀벌응애에 대한 지속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어서 양봉에 의해 생산된 벌꿀, 로얄젤리(royal jelly) 및 화분의 안전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발향기간을 늘리고, 봉독을 더 섞음으로써 꿀벌들에게 보다 친숙하지만 꿀벌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를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벌통 2. 꿀벌응애

Claims (4)

  1. 꿀벌응애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섞되, 상기 에센셜오일은 미르오일, 제라늄오일, 오레가노오일, 네롤리오일, 티트리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및 스피아민트오일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향수베이스에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섞으며, 봉독을 더 첨가한 것이 특징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은 쑥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이 더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KR1020190078529A 2019-07-01 2019-07-01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KR10202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29A KR102024124B1 (ko) 2019-07-01 2019-07-01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29A KR102024124B1 (ko) 2019-07-01 2019-07-01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124B1 true KR102024124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29A KR102024124B1 (ko) 2019-07-01 2019-07-01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1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45B1 (ko) * 2019-09-11 2020-04-23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봉독을 이용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KR102251942B1 (ko) * 2021-02-25 2021-05-17 하성섭 양봉용 면역증강제 조성물
KR20220046787A (ko) * 2020-10-08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꿀벌진드기/응애 억제제 제조방법
KR2022011761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꿀벌응애 유인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54B1 (ko) 2010-10-27 2013-06-25 대한민국 꿀벌응애류 방제용 훈증제 조성물 및 그 훈증제 조성물을 이용한 훈증제 제조방법
KR20170078335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꿀벌 진드기 구제 연막용액 및 이를 이용한 구제방법
KR101796776B1 (ko) 2016-12-09 2017-11-10 양찬승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54B1 (ko) 2010-10-27 2013-06-25 대한민국 꿀벌응애류 방제용 훈증제 조성물 및 그 훈증제 조성물을 이용한 훈증제 제조방법
KR20170078335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꿀벌 진드기 구제 연막용액 및 이를 이용한 구제방법
KR101796776B1 (ko) 2016-12-09 2017-11-10 양찬승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iculture, 2004, Vol. 19(1), pp. 57-6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45B1 (ko) * 2019-09-11 2020-04-23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봉독을 이용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KR20220046787A (ko) * 2020-10-08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꿀벌진드기/응애 억제제 제조방법
KR102475884B1 (ko) 2020-10-08 2022-12-08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꿀벌진드기/응애 억제제 제조방법
KR2022011761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꿀벌응애 유인용 조성물
KR102251942B1 (ko) * 2021-02-25 2021-05-17 하성섭 양봉용 면역증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124B1 (ko)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KR100755027B1 (ko) 꿀벌응애 구제용 사료의 제조방법
CH688787A5 (de) Etherische Oel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TW200830991A (en) TTO-based disinfectants &amp; anesthetics for use in aquaculture
KR20180069278A (ko)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3069B1 (ko) 가축의 면역력 증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7023028A2 (de) Stoffgemisch zur behandlung von wirbellosen und wirbeltieren bei tierischem schädlingsbefall
KR101796776B1 (ko)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꿀벌 방제조성물
KR20130071028A (ko) 꿀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
US20080199451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Attacks by Biological Agents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JP4780899B2 (ja) アレルギー症状に対して効果を有する調合剤の製造方法
KR20120122072A (ko) 꿀벌응애 방제용 겔 조성물
EP0734727A2 (de) Verwendung von Teebaumöl zur Herstellung von Arznei- bzw. Pflegemitteln, sowie Arznei- bzw. Pflegemittel mit Teebaumöl
KR102104045B1 (ko) 봉독을 이용한 꿀벌응애 방제용 조성물
DE60124776T2 (de) Antimikrobielle zusammensetzung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N104825945A (zh) 一种蚕用消毒剂
Drury Tea Tree Oil: A medicine kit in a bottle
WO1993024002A1 (de) 1-[n-(halo-3-pyridylmethyl)]-n-methylamino-1-alkylamino-2-nitroethylen-derivate zur bekämpfung von flöhen bei haustieren
KR20160085557A (ko) 친환경 파라핀을 이용한 꿀벌의 해충 방제용 연막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2835A (ko) 쿼세틴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제제
KR102206192B1 (ko)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
CN107467083A (zh) 一种八桂生物除虫剂
CN109392964B (zh) 一种烟草甲的驱避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