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46B1 -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46B1
KR102023946B1 KR1020120158083A KR20120158083A KR102023946B1 KR 102023946 B1 KR102023946 B1 KR 102023946B1 KR 1020120158083 A KR1020120158083 A KR 1020120158083A KR 20120158083 A KR20120158083 A KR 20120158083A KR 102023946 B1 KR102023946 B1 KR 10202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auxiliary wires
disposed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592A (ko
Inventor
권오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응답 속도 및 그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은, 제1 기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1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측면에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동일 패턴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각각 마주보는 다수의 제2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투명 전극과; 제1 및 제2 기판을 합착시키는 실런트와;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 사이에 배치된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제1 및 제2 보조 배선의 일부와 중첩하게 배치된 스페이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및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은 제1 및 제2 투명 전극 보다 저항이 작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TRANSPARENT DISPLAY AND VARIABLE LIGHT SHIELDING PANEL FOR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답 속도 및 그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투명 전극으로 형성하고, 각 화소가 OLED, OLED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 및 투명부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양측으로 발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OLED 디스플레이는 항상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외부광을 투과시키므로 투과광을 차단해야 하는 블랙을 구현하기 어렵고,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한 ACR(Ambient Contrast Ratio)이 떨어져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변색 필터로 알려진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 이하 ECD)를 투명 OLED 디스플레이의 일측면에 부착하여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가변 차광 패널로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ECD 차광 패널은 EC 물질을 구동하기 위한 상판 및 하판의 전극으로 투명 전극을 사용하고 있는데, 투명 전극의 저항이 높아 ECD 차광 패널의 응답 속도 및 그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응답 속도 및 그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은 제1 기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1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측면에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동일 패턴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각각 마주보는 다수의 제2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투명 전극과; 제1 및 제2 기판을 합착시키는 실런트와;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 사이에 배치된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제1 및 제2 보조 배선의 일부와 중첩하게 배치된 스페이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및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은 제1 및 제2 투명 전극 보다 저항이 작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 보조 배선들 사이마다 제1 투명 전극의 제1 광투과 영역이 마련되고, 다수의 제2 보조 배선들 사이마다 제1 광투과 영역과 마주보는 제2 투명 전극의 제2 광투과 영역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은 제1 기판과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사이에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동일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 무반사 또는 저반사(이하 무반사/저반사) 패턴과; 제2 기판과 다수의 제2 보조 배선 사이에 다수의 제2 보조 배선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수의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은 다수의 제1 및 제2 보조 배선보다 반사율이 낮다.
다수의 제1 보조 배선들 사이의 피치와, 다수의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의 피치 각각은 가시광 파장 보다 넓다.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중 넓은 폭을 갖는 최외곽의 제1 보조 배선은 폐루프 구조로 배치되어 나머지 제1 보조 배선들과 공통 접속되고; 다수의 제2 보조 배선 중 넓은 폭을 갖는 최외곽의 제2 보조 배선은 폐루프 구조로 배치되어 나머지 제2 보조 배선들과 공통 접속되며; 최외곽의 제1 보조 배선과 최외곽의 제2 보조 배선은 실런트와 중첩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광 패널은 제1 투명 전극과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제2 투명 전극과 접속되는 제2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제1 및 제2 패드는 제1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어 구동 회로와 접속된다. 제1 및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 제1 및 제2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는, 다른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 제1 및 제2 투명 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도전 도트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과;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을 포함하고; 가변 차광 패널은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은 가변 차광 패널의 상하판에 가시광 파장보다 넓은 피치를 갖는 저저항 보조 배선을 포함함으로써 가변 차광 패널의 응답 속도 및 차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과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보조 배선의 인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은 가변 차광 패널의 상하부 기판과 저저항 보조 배선 사이에 보조 배선과 동일한 형태로 무반사막 또는 저반사막을 더 포함함으로써 금속 전극의 반사로 인한 모아레 무라(Moire Mura), 반사율 증가, 투과율 저하 등과 같은 가변 차광 패널의 투과 특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반사율 저하에 의해 ACR(Ambient Contrast Ratio) 및 BCR(Bright 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광 패널이 적용된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광 패널인 ECD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ECD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D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ECD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나타낸 ECD의 제조 방법을 예를 들어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투명 전극을 이용한 종래의 ECD와 보조 배선을 추가한 본 발명의 ECD에 대한 응답 속도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OLED 패널(50)과, 투명 OLED 패널(5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60)에 의해 부착되어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와 차광 모드를 가변하는 가변 차광 패널인 ECD(70)를 구비한다.
투명 OLED 패널(50)은 화소 어레이(P)가 형성된 소자 기판(52; 제1 기판)과, 실런트(56)에 의해 소자 기판(52)과 합착되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54; 제2 기판)을 구비한다. 소자 기판(52) 및 봉지 기판(54)은 투명 기판이며, 봉지 기판(54)에는 화소 어레이(P)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유리 기판이 주로 이용된다. 각 화소는 발광부인 OLED 소자와, OLED 소자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PC) 및 투명부(TP)로 구성된다. 편의상 도 1에서는 1개 화소만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OLED 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발광층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순차 적층된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을 구비한다. 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포지티브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공급되고, 애노드로부터의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층에서 공급된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으로 발생된 에너지가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발광시킴으로써 전류 밀도에 비례하는 휘도를 발생한다. 애노드 및 캐소드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어 OLED 소자는 투명 OLED 패널(50)의 양면(전면 및 배면)으로 발광함과 아울러 각 화소(P)의 투명부(TP)를 통해 외부광이 투과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현된다.
화소 회로(PC)는 적어도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구동 트랜지스터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OLED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OLED 소자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OLED의 발광량은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비례한다.
가변 차광 패널인 ECD(70)는 투명 OLED 패널(50)의 적어도 어느 한 면, 즉 도 1a와 같이 OLED 패널(50)의 봉지 기판(54)의 배면에 접착제(90)를 통해 부착되거나, 도 1b와 같이 OLED 패널(50)의 소자 기판(52)의 전면에 접착제(90)를 통해 부착되거나, 도 1c와 같이 OLED 패널(50)의 소자 기판(52)의 전면 및 봉지 기판(54)의 배면에 접착제(90)를 통해 각각 부착된다.
ECD(70)는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와 차광 모드로 가변한다. 예를 들면, ECD(70)는 내부의 EC층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투명 모드가 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전해질에 의해 이온 상태가 되고 전기적인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EC 물질의 컬러가 변화됨으로써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차광 모드로 가변된다. 따라서, ECD(70)는 투명 OLED 패널(50)의 배면 및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 투명 모드와 차광 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도 1a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투명 OLED 패널(50)이 전면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배면에 위치하는 ECD(70)를 차광 모드로 구동하여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함으로써 전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투명 OLED 패널(50)이 배면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ECD(70)를 차광 모드로 구동하여 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함으로써 배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c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OLED 패널(50)이 전면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가변 차광 패널(60)은 투명 모드로 구동되고, 배면에 위치하는 가변 차광 패널(60)이 차광 모드로 구동되어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전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투명 OLED 패널(50)이 배면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배면에 위치하는 가변 차광 패널(60)은 투명 모드로 구동되고, 전면에 위치하는 가변 차광 패널(60)이 차광 모드로 구동되어 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배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변 차광 패널,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CD(7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ECD(7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ECD(70)는 제1 기판(72)에 적층된 제1 보조 배선(74) 및 제1 투명 전극(76)과, 제1 기판(72)과 EC층(9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2 기판(82)에 적층된 제2 보조 배선(84) 및 제2 투명 전극(86)과, 제1 기판(72) 및 제2 기판(82)을 합착하는 외곽부의 실런트(92)를 구비한다. 또한, ECD(70)는 제1 및 제2 기판(72, 82)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9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투과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94)는 보조 배선(74, 84)과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투명 전극(76, 86)으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um Zinc Oxide), ZnO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이용된다.
투명 전극(76, 86)의 높은 저항을 보상하기 위한 저저항 배선인 제1 및 제2 보조 배선(74, 84)은 Cu, Cu-alloy, Ag, Ag-alloy, Al, Al-alloy, Mo, Mo-alloy 등과 같은 저저항 금속 물질이 이용된다.
제1 및 제2 보조 배선(74, 84) 각각은 도 3과 같이 체크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다이아몬드 패턴, 삼각형 패턴, 수평 방향의 스트라이프(stripe) 패턴, 수직 방향의 스트라이프 패턴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선(74, 84)로 인한 투과도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조 배선(74, 84)이 수평 방향으로 가시광 파장보다 넓은 피치, 예를 들면 1000㎛ 이상의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 배선(74, 84) 각각에 균등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곽부의 비표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고 폐루프를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보조 배선(74, 84) 각각에서 넓은 선폭의 외곽부는 비표시 영역에서 실런트(92)와 중첩하거나, 실런트(92)와 일부 중첩하면서 실런트(92)의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투명 전극(76, 86) 각각에 전압 인가를 위해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되는 제1 및 제2 패드부(78)가 실런트(9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기판(82)의 제2 투명 전극(86)은 도전 도트나 도전볼 등을 통해 제1 기판(72)의 제2 패드부(88)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패드부(88)는 제2 기판(82)에 형성되어 구동 회로와 접속될 수 있다.
EC층(90)은 유기 EC 물질과 전해질 물질을 포함하는 졸-겔 타입이 주로 형성된다. 유기 EC 물질로는 비올로겐(viologen), 페노티아진(phenothiazine), 폴리아닐린(polyanilin) 등이 이용되며, 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구현한다. 전해질 물질로는 LiOH, LiClO4, KOH 수용액 등의 액체 전해질이 이용된다.
EC층(90)은 제1 및 제2 투명 전극(76, 86)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외부광을 투과시키는 투명 모드가 되고, 제1 및 제2 투명 전극(76, 86)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해질에 의해 이온 상태가 되고 전기적인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EC 물질의 컬러가 변화됨으로써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차광 모드로 가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D(70)는 투명 전극(76, 86)의 아래에 저저항 금속으로 형성된 보조 배선(72, 82)에 의해 투명 전극(76, 86)에 의한 전압 강하를 보상하여 패널 전면에 균일한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ECD(70)가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에서 차광 모드로 가변할 때 또는 차광 모드에서 투명 모드로 가변할 때 EC층(90)의 응답 속도 및 그 응답 속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배선(72, 82)을 가시광 파장보다 넓은 피치로 배치함으로써 보조 배선(72, 82)으로 인한 투과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보조 배선(72, 82)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배선(72, 82)으로 이용되는 저저항 금속의 반사로 인하여 ECD(70)의 투과 특성 저하, 즉 모아레 무라, 반사율 증가 및 투과율 저하 등과 같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72, 82)과 보조 배선(74, 84) 각각의 사이에 무반사 또는 저반사(이하, 무반사/저반사) 패턴(73, 83)을 각각 더 형성하는 방안을 더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D(7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2 실시예에 따른 ECD(7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ECD(70')는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ECD(70)와 대비하여, 기판(72, 82)과 보조 배선(74, 84) 사이에 무반사/저반사 패턴(73, 83) 각각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72)과 제1 보조 배선(74) 사이에 제1 무반사/저반사 패턴(73)이 제1 보조 배선(74)과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제2 기판(82)과 제2 보조 배선(84) 사이에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83)이 제2 보조 배선(84)과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73, 83)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하는 수지를 일컫는 수지 BM(Black matrix) 등과 같은 무반사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73, 83)은 보조 배선(74, 84)으로 이용되는 전술한 저저항 금속 물질보다 반사율이 낮은 CuSix, Ti, MoTi, MoOx, TiOx 등과 같은 저반사 금속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72, 82)과 보조 배선(74, 84) 사이에 보조 배선(74, 84)과 동일 형태로 형성된 무반사/저반사 패턴(73, 83)에 의해 저저항 금속을 이용하는 보조 배선(74, 84)의 반사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보조 배선(74, 84)의 반사로 인한 모아레 무라(Moire Mura), 반사율 증가, 투과율 저하 등과 같은 가변 차광 패널의 특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반사율 저하에 의해 ACR(Ambient Contrast Ratio) 및 BCR(Bright 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나타낸 ECD(70')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기판(72) 상에 동일 형태를 갖는 제1 무반사/저반사 패턴(73)과 저저항 배선(74)이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73)을 무반사 물질인 수지 BM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제1 기판(72) 상에 수지 BM 물질을 증착, 코팅, 또는 인쇄하여 무반사막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제1 저저항 배선(74)을 패터닝한 후, 패터닝된 제1 저저항 배선(74)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부의 무반사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제1 보조 배선(74)과 동일 형태를 갖는 제1 무반사 패턴(7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저저항 배선(74)을 패터닝하는 방법으로는 포토리쏘그래피 방법 또는 프린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프리틴 방법으로는 몰드 프레임을 이용한 임프린팅(imprinting), 롤러를 이용한 그라비어 프린팅(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ink-jet)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무반사/저반사 패턴(73)을 상기 저반사 금속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제1 기판(72) 상에 저반사 금속을 증착하여 저반사막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저저항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저저항막을 형성한 후, 저저항막과 저반사막을 동시 습식 또는 건식 식각하거나 순차적으로 습식 또는 건식 식각함으로써 제1 보조 배선(74)과 동일 형태를 갖는 제1 저반사 패턴(7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저저항 배선(74)이 형성된 제1 기판(72) 상에 투명 전극 물질을 전면 증착하여 제1 투명 전극(76)을 형성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투명 전극(76)이 형성된 제1 기판(72) 상에 졸-겔 타입의 EC층(90)을 코팅하거나 잉크젯 방법으로 형성하고, 외곽부에 실런트(92)를 프린팅 방법 등으로 형성한다. EC층(90)과 실런트(92)의 형성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한편, 상기 EC층(90)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투명 전극(76, 86) 중 어느 한 전극 상에 스페이서(94: 도 2)를 선택적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실런트(92) 및 EC층(90)이 형성된 제1 기판(72) 상에,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83) 및 제2 보조 배선(84)과 제2 투명 전극(86)이 적층된 제2 기판(82)의 제2 투명 전극(86)이 제1 기판(72)의 제1 투명 전극(72)과 마주하도록 제2 기판(82)을 위치시켜서 제1 및 제2 기판(72, 82)을 실런트(92)를 통해 합착시킴으로써 ECD(70)를 형성한다. 제2 기판(82) 상의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83) 및 제2 보조 배선(84)과 제2 투명 전극(86)은 도 6a 및 도 6b에서 전술한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EC층(90)은 전술한 코팅 방법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기판(72, 82)을 실런트(92)를 통해 합착한 후, 주입구를 통해 진공 주입 방법으로 EC 물질을 제1 및 제2 기판(72, 82) 사이에 주입시킨 다음, 상기 주입구를 봉지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ECD(70)은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투명 OLED 패널(5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어 차광이 필요할 때마다 전압을 인가하여 차광 모드로 구동하여 외부광을 차광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투명 OLED 패널(50)의 어느 한 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D(70)는 저저항 보조 배선(72, 82)에 의해 전면에 균일한 구동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와 차광 모드를 스위칭할 때 EC층(90)의 응답 속도 및 그 응답 속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무반사/저반사 패턴(73, 74)을 더 추가하여 저저항 보조 배선(72, 82)의 반사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투과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ITO 전극을 이용한 종래의 ECD와 저저항 보조 배선+ITO 전극을 이용한 본 발명의 ECD에 대한 응답 속도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ITO 전극으로 이용한 종래의 ECD에서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에서 차광 모드로, 차광 모드에서 투명 모드로 가변하는 응답 속도보다, 저저항 보조 배선+ITO 전극을 이용한 본 발명의 ECD에서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 모드에서 차광 모드로, 차광 모드에서 투명 모드로 가변하는 응답 속도가 훨씬 빠름을 알 수 있고, 저저항 보조 배선에 의해 투과율 저하는 미미하지만 차광율은 증가하였고, 색좌표도 거의 유사하여 투과 및 차광 특성이 저하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50: 투명 OLED 패널 52: 소자 기판
54: 봉지 기판 56, 92: 실런트
60: 접착제 70: 가변 차광 패널(ECD)
72: 제1 기판 73: 제1 무반사/저반사 패턴
74: 제1 보조 배선 76: 제1 투명 전극
78: 제1 패드부 82: 제2 기판
83: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 84: 제2 보조 배선
86: 제2 투명 전극 88: 제2 패드부
90: EC층 94: 스페이서
TP: 투과부 PC: 화소 회로
P: 화소 어레이

Claims (13)

  1. 제1 기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1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동일 패턴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각각 마주보는 다수의 제2 보조 배선과, 그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투명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합착시키는 실런트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 사이에 배치된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보조 배선의 일부와 중첩하게 배치된 스페이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은 상기 제1 및 제2 투명 전극 보다 저항이 작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들 사이마다 상기 제1 투명 전극의 제1 광투과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들 사이마다 상기 제1 광투과 영역과 마주보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의 제2 광투과 영역이 마련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사이에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과 동일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 무반사 또는 저반사(이하 무반사/저반사) 패턴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 사이에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과 동일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보조 배선보다 반사율이 낮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보조 배선은 Cu, Cu-alloy, Ag, Ag-alloy, Al, Al-alloy, Mo, Mo-alloy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무반사/저반사 패턴은 CuSix, Ti, MoTi, MoOx, TiO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카본 블랙의 블랙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패턴 및 다수의 제2 보조 배선은 체크 패턴, 다이아몬드 패턴, 삼각형 패턴,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들 사이의 피치와,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의 피치 각각은 가시광 파장 보다 큰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보조 배선 중 넓은 폭을 갖는 최외곽의 제1 보조 배선은 폐루프 구조로 배치되어 나머지 제1 보조 배선들과 공통 접속되고;
    상기 다수의 제2 보조 배선 중 넓은 폭을 갖는 최외곽의 제2 보조 배선은 폐루프 구조로 배치되어 나머지 제2 보조 배선들과 공통 접속되며;
    상기 최외곽의 제1 보조 배선과 상기 최외곽의 제2 보조 배선은 상기 실런트와 중첩하게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상기 제2 투명 전극과 접속되는 제2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어 구동 회로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는, 다른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투명 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도전 도트를 통해 접속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9.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과;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상기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투명 모드 및 차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158083A 2012-12-31 2012-12-31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KR10202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83A KR102023946B1 (ko) 2012-12-31 2012-12-31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83A KR102023946B1 (ko) 2012-12-31 2012-12-31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92A KR20140087592A (ko) 2014-07-09
KR102023946B1 true KR102023946B1 (ko) 2019-09-23

Family

ID=5173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083A KR102023946B1 (ko) 2012-12-31 2012-12-31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94A1 (ko) * 2014-09-05 2016-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 장치, 광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1692B1 (ko) * 2015-08-31 2022-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3276B1 (ko) * 2015-08-31 2022-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과도 가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표시장치
KR102414917B1 (ko) * 2015-09-30 2022-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45532B1 (ko) * 2015-12-31 202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US10672841B2 (en) 2016-11-18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transmission and emission are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185396A (ja) 2017-04-25 2018-11-22 株式会社K工房 Ledディスプレイ
KR20240014858A (ko) 2022-07-26 2024-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34944A1 (ko) * 2022-08-08 2024-02-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521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전기 변색소자
CN1802879A (zh) * 2003-07-07 2006-07-12 先锋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板及其制造方法
KR101765915B1 (ko) * 2010-12-23 2017-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92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94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의 가변 차광 패널
US109104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482022B2 (en) Light-emitting device
JP395332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4874B1 (ko) 양면 표시 표시장치
KR1026598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630727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6633353B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liquid crystal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023942B1 (ko) 가변 차광 패널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EP437657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5377154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707522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11293161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968139B (zh) 显示基板、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20220271105A1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forming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WO2019041990A1 (zh)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4005861A (zh)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KR20220110409A (ko) 표시 장치
CN109887981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3851507A (zh) 透明显示装置
CN116736595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15205A (ko) 투명 표시 장치
CN213936194U (zh) 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200136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CN112764260B (zh)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