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25B1 -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 Google Patents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825B1
KR102023825B1 KR1020177023017A KR20177023017A KR102023825B1 KR 102023825 B1 KR102023825 B1 KR 102023825B1 KR 1020177023017 A KR1020177023017 A KR 1020177023017A KR 20177023017 A KR20177023017 A KR 20177023017A KR 102023825 B1 KR102023825 B1 KR 10202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device
message
registered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423A (ko
Inventor
피에르 제이. 드 필리피스
니콜라스 제이. 서코스타
다니엘 비. 폴락
고빈드 조하르
저스틴 우드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0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3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using or handling presenc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04L67/2814
    • H04L67/28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프록시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개개의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적절히 등록되지 않았을 때에도, 액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메시지들을 위해 프록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한 프록시로서 컴패니언(companion) 무선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은 음성 전용 통신(voice-only communications)으로부터,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의 송신을 또한 포함하도록 발달하여 왔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휴대하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액세서리 디바이스로도 지칭됨)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보다 새로운 형태이며, 하나의 예는 스마트 워치이다.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제한된 무선 통신 능력을 가지고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단거리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기술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스마트 폰 및 태블릿과 같은 더 큰 휴대용 디바이스들보다 더 작은 배터리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는, 그 중에서도,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프록시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관된 방법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개개의 서비스를 위해 적절히 등록되지 않았을 때에도,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해, 메시지들을 위한 것을 포함한 프록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 중 일부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위에 기술된 특징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의 범주 또는 사상을 어떤 방식으로든 축소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의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본 내용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미등록 디바이스를 위한 메시지 프록시로서 작동하는 UE와 같은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대표적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친 메시지 서비스의 상태의 동기화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프록시를 통한 서비스 등록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발신(outgoing) 메시지를 프록싱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로의 착신(incoming) 메시지를 프록싱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허용되지만,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그러나, 도면들 및 도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요지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들, 등가들 및 대안들을 포괄하려는 의도로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본 명세서에서 유닛들/회로들/컴포넌트들이 동작 중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구조물(예를 들어, 회로부)을 포함한다는 것을 시사함으로써 구조물을 내포하는 데 사용된다. 그와 같이, 유닛/회로/컴포넌트는 특정 유닛/회로/컴포넌트가 현재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예컨대, 온(on) 상태가 아닐 때)에도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칭해질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이라는 문구와 함께 사용되는 유닛들/회로들/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 - 예를 들어, 회로들, 동작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 - 를 포함한다. 유닛/회로/컴포넌트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언급하는 것은 그 유닛/회로/컴포넌트에 대해 미국 특허법 35 U.S.C. § 112(f) 규정 하의 해석이 적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의도의 명시이다.
참조에 의한 통합
2014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프록싱된 푸시(Proxied Push)"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475,060호(대니엘 비. 폴락(Daniel B. Pollack) 및 시루말라이 고쿠르(Thirumalai Gockul))는 이로써 그 전체가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충분하고 완전하게 설명된 것처럼 포함된다.
용어
다음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의 해설이다:
메모리 매체 ― 다양한 유형의 비일시적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용어 "메모리 매체"는 설치 매체, 예컨대 CD-ROM, 플로피 디스크들,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DRAM, DDR RAM, SRAM, EDO RAM, 램버스(Rambus) RAM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자기 매체들, 예컨대 하드드라이브, 또는 광 저장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메모리 요소들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매체는 또한 다른 유형의 비일시적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는 상이한 제2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제1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매체"는 상이한 위치들,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들에 존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메모리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반송 매체 ― 전술된 메모리 매체뿐만 아니라, 버스, 네트워크와 같은 물리적 송신 매체, 및/또는 전기, 전자기, 또는 디지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른 물리적 송신 매체.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 - 프로그램가능 상호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프로그램가능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예들은 FPGA(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OA(필드 프로그램가능 객체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Object Array)들, 및 CPLD(복합 PLD, Complex PLD)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가능 기능 블록들은 그 범위가 파인 그레인형(fine grained)(조합 로직 또는 룩업 테이블들)으로부터 코어스 그레인형(coarse grained)(산술 로직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 코어들)에까지 이를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는 또한 "재구성가능 로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PC),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mainframe computer system),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network appliance),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텔레비전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일반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또는 "UE 디바이스") ― 모바일 또는 휴대용이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예컨대, 아이폰(iPhone)™,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컨대, 닌텐도(Nintendo) DS™,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layStation Portable)™, 겜보이 어드밴스(Gameboy Advance)™, 아이폰™),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도록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 - 용어 "기지국"("eNB"로도 지칭됨)은 자신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포함하며,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무선 전화 시스템 또는 무선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국을 적어도 포함한다.
프로세싱 요소 - 사용자 장비, 액세서리 디바이스,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지칭한다. 프로세싱 요소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및 연관된 메모리, 개별 프로세서 코어들의 부분들 또는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들, 프로세서 어레이들, ASIC(주문형 집적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회로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들뿐 아니라 상기의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으로 ― 액션 또는 동작을 직접적으로 특정하거나 수행시키는 사용자 입력 없이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예컨대, 회로,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ASIC들 등)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 또는 동작을 지칭함. 따라서, 용어 "자동으로"는 사용자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시키는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되는 동작과 대비된다. 자동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수행되는 후속 액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수행할 각각의 액션을 특정하는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필드를 선택하고 (예컨대, 정보를 타이핑하는 것, 체크 박스들을 선택하는 것, 무선 선택 등에 의해) 정보를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양식을 기입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액션들에 응답하여 그 양식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라 해도, 그 양식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것이다. 양식은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 양식의 필드들을 분석하고 필드들에 대한 응답을 특정하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그 양식에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식의 자동 기입을 호출할 수 있지만, 양식의 실제 기입에 참여되지 않는다(예컨대, 사용자가 필드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동으로 특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들이 자동으로 완료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취한 동작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도 1 -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수의 가능성 중 하나의 가능성을 표현한 것이고, 본 발명의 특징들은 원하는 대로 다양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시스템 내에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6A, 106B) 등과 통신하는 기지국(102A)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UE) 또는 UE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셀 사이트(cell site)일 수 있으며, UE 디바이스들(106A, 106B)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또한 네트워크(100)(예컨대,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도,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전기 통신망(telecommunication network), 및/또는 인터넷)와 통신하도록 설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은 UE 디바이스들(106) 사이 및/또는 UE 디바이스들(106)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기지국(102)은 802.11 a, b, g, n, ac, ad, 및/또는 ax와 같은 하나 이상의 WLAN 프로토콜 또는 비허가 대역(LAA)의 LTE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기술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통신 영역(또는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2)과 UE들(106)은 GSM, UMTS(WCDMA, TDS-CDMA), LTE, LTE-A(LTE-Advanced), HSPA, 3GPP2 CDMA2000(예컨대, 1xRTT, 1xEV-DO, HRPD, eHRPD), Wi-Fi, WiMAX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 송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 및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도시되지 않음)이 셀들의 네트워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기술을 통해 광범위한 지리학적 영역에 걸쳐 UE 디바이스들(106A-N)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이거나 거의 계속적인 오버래핑(overlapp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경우에, UE 디바이스(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GSM, UMTS, CDMA2000, WiMAX, LTE, LTE-A, WLAN, 블루투스 중 하나 이상, 하나 이상의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예컨대, GPS 또는 GLONASS), 하나 및/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표준들(예컨대, ATSC-M/H) 등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무선 통신 기술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유사하게, 일부 경우에, UE 디바이스(106)는 단일의 무선 통신 기술만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06)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로 지칭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제한된 통신 능력을 가진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기지국(102A)과의 통신 및 이에 따른 네트워크(100)와의 통신을 목적으로 UE(106B)를 프록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의 통신 능력에 대한 제한은, 예컨대, 지원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 상의 제한으로 인해 영구적이거나, 또는 예컨대, 전력 제한, 네트워크 액세스 불능, 또는 수신 불량과 같은 상태들로 인해 일시적일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UE 디바이스(106)(예컨대,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중 하나)를 도시한다. UE 디바이스(106)는 셀룰러 및/또는 WLAN 통신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 핸드헬드 디바이스, 미디어 재생기, 컴퓨터, 랩톱 또는 태블릿, 또는 가상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또한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와 통신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그러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E 디바이스(106) 내의 프로세싱 요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의 임의의 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FPGA, 또는 ASIC과 같은 다른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디바이스(106)는 단일의 공유 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유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의 안테나에 연결되거나, 또는 (예컨대, MIMO를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 디바이스(106)는 2개 이상의 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 또는 1xRTT(또는 LTE 또는 GSM) 중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공유 무선 통신장치, 및 Wi-Fi 및 블루투스 각각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별개의 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제한된 통신 능력을 가진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블루투스 및/또는 NFC와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 능력, 및/또는 Wi-Fi와 같은 중거리 무선 통신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킹과 같이, UE(106)가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에 매우 근접해 있을 때, UE(106)와 Wi-Fi를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제한되는 Wi-Fi 통신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스마트 워치 또는 다른 유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다른 예로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현재 Wi-Fi 핫스팟 근처에 있지 않고 따라서 현재 Wi-Fi를 통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없는, Wi-Fi 능력을 갖춘 (그리고 가능하게는 셀룰러 통신 능력을 갖추지 않은)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일부 경우에 제한되거나 축소된 통신 능력을 가지며 따라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RAT를 위해 통신 목적으로 UE(106)를 기회적으로 프록시로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이후 UE(106)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에 의해 프록시로서 이용되며, UE(106)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에 대한 컴패니언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3 ― UE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3는 UE(106)의 하나의 가능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를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302)과 같은 프로세싱 요소,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340)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프로세서(들)(302)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그들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컨대, 메모리(306), 판독 전용 메모리(ROM)(350), NAND 플래시 메모리(31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MU)(340)에 연결될 수 있다. MMU(340)는 메모리 보호 및 페이지 테이블 변환 또는 셋업(set up)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MU(340)는 프로세서(들)(302)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UE(106)는 또한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스플레이 회로(304), 무선 통신장치(330), 커넥터 I/F(320), 및/또는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ROM(350)은 부트로더(bootload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부팅 또는 초기화 동안 프로세서(들)(3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예컨대, 플래시(310)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320), 디스플레이(340), 및 (예컨대, LTE, CDMA2000, 블루투스, Wi-Fi, NFC, GPS 등을 이용한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335)를 이용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UE(106)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해 통신 프록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의 프로세싱 요소는, 예컨대,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302)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요소는 FPGA 또는 ASIC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 -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친 메시지 서비스의 상태 동기화
도 4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친(예컨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액세서리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 서비스의 상태의 동기화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같은 UE(106)이고,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402)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관한 하나 이상의 설정의 변화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위해 UE(106) 상의 설정을 변경한다.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사용자는 아이메시지(iMessage)와 같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그들의 스마트 폰(예컨대, 아이폰) 상의 설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특정한 예에서, 사용자는 그들의 폰 넘버를 입력하고 그들의 애플 ID로 사인-인(sign in)하고, 이어서 아이메시지를 위해 등록하거나 다르게는 아이메시지를 위해 하나 이상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설정의 변화(새로운 설정)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통신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컴패니언 디바이스(UE(106))에 사인-인 또는 사인-아웃할 때,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동기화되도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동기화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계(402)에서 사용자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입력했던 설정이 단계(404)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로 전파된다.
단계(406)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새로운 또는 변경된 설정(들)을 수신 및 구현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 상의 설정이 액세서리 디바이스 상의 설정을 정의하여, 두 디바이스들 사이에 충돌이 없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의 폰 넘버 또는 (애플 ID와 같은) 다른 ID와 같은 식별자가 액세서리 디바이스 상의 유사한(또는 동일한) 식별자와 연관되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UE(106)와 연관된 계정에서 이용가능한 다른 엔드포인트일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에일리어스(alias)를 유지하며, 에일리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Wi-Fi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컴패니언 디바이스 상에서 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 상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에일리어스가 변하면(또는 다른 설정이 변하면), 컴패니언 디바이스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이 변화들을 서로 통신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어서(또는 갖지 않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설정을 입력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설정을 입력/수정하기 위해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 - 프록시를 통한 서비스 등록
도 5는 프록시를 통한 서비스 등록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서비스는, 디바이스가 메시지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전에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요구하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서비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아이메시지, 또는 애플사의 "디지털 터치"와 같은 터치-기반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텍스트 메시징 및/또는 IMS 메시징)에 등록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502)에서,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등록을 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예컨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등록하여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스스로 인터넷과 통신할 수 없어서, 이를 위해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등록 정보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며, 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이제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한다(따라서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정보는 블루투스, NFC, 또는 피어-투-피어 Wi-Fi 연결과 같은 무선 연결을 통해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506)에서, 프록시 디바이스(프록시로서 작동하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예컨대, UE(106)))는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등록 서버에 포워딩한다. 처음에, 이 정보는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등록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등록 서버가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등록하도록 동작할 수 있어서, 이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등록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하고 있을 수 있고, 서버는 아이메시지 등록 서버와 같은 메시지 서버일 수 있다.
단계(508)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등록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단계(510)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서버 응답을, 이제 등록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단계(512)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등록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한다.
따라서, 서비스를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등록할 때, 그 디바이스가 등록 서버에 요청을 할 수 있다. 서버는 응답으로 크리덴셜을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다시 제공하여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현재 인터넷을 통해 스스로 통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들과 같은) 등록 정보는 UE(106)와 같은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통해 라우팅된다. 따라서, 여기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서비스 등록을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한다.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등록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이들 응답을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여기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크리덴셜이 아닌,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인터넷 연결이 레버리지(leverage)됨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등록됨에 따라,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프록시로 이용하지 않고, 스스로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와 통신할 수 있다. 등록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일시적 통신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등록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통신을 위한 프록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6 -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프록싱
도 6은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프록싱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기술된 방법은 상기의 도 5에 기술된 것과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징 서버에 등록되지 않았음을 가정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징 서버에 등록되지 않았으므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스스로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발신 통신을 송신하기 위한 프록시로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6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준비한다. 이 메시지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될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를(예컨대,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터치-기반 메시지를, 예컨대, 애플 디지털 터치를 사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격 디바이스에 송신하기를 원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IMS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응용들과 관련된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또는 다른 그러한 데이터와 같은 다른 통신들이 준비될 수 있다.
단계(644)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것이 전에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하였는지 결정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전에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하였다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인터넷(또는 다른 이용가능한 통신 경로)을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직접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656) 또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프록시로서 사용하는 것(658)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단계(654)에서 직접 통신 방법이 선택되면, 단계(656)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직접 메시지를 송신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등록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프록시로서 사용하기로 선택한다면, 단계(658)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푸시-프록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 "푸시-프록시" 방법은 2014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프록시된 푸시(Proxied Push)"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475,060호에 기술되며, 이는 위에 참조로서 통합되었다.
단계(644)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미등록되어 있으면, 단계(645)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기 위해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검색하기를 원할 수 있다. 요구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프록시 ID 쿼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645)는 하기의 도 7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단계(646)에서, 단계(64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그리고 도 7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등록 정보를 획득한 후,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지, 즉, 원격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위해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이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648)에서, 단계(64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하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등록되어있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메시지를 직접 통신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단계(648)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프록시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원격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록시 디바이스는 메시징 서버에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고, 이 메시징 서버가 이어서 메시지를 원격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64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단계(6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송신하려 시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 - 프록시 ID 쿼리
도 7은 예컨대, 원격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위해 등록되어 있고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기 위해, ID 쿼리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서비스를 위해 등록되어 있지 않은(그리고 따라서 미등록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는)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할 수 있고,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ID 쿼리를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원격 디바이스를 위한 등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프록시로서 기능한다(따라서,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계(702)에서,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상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수신자 디바이스의 사전 등록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메시지를 통신하려 시도할 수 있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먼저 원격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따라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그것이 이미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내부 캐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정보가 전에 앞선 쿼리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되었고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내부 캐시 내에 저장된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 프록시 ID 쿼리를 수행하는 것보다 통상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이는 동일한 원격 디바이스에 대한 후속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단계(706)에서, 단계(704)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상태에 관한 요구된 정보를 이미 포함하고 있으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그것의 로컬 저장소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의 상태 또는 도달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그것의 내부 캐시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프록시 ID 쿼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계(708)에서, 단계(704)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그것은 ID 쿼리 요청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그것의 내부 캐시 내에서 원하는 정보의 위치를 찾지 못할 수 있다(예컨대, 캐시 미스(cache miss)를 경험할 수 있음). 정보는 시간 기간 - 이 시간 기간 후에 정보는 폐기된(obsolete) 것으로 고려되었을 수 있음 - 후에 만료되었을 수 있거나, 다르게는 캐시에 없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직접적인 ID 쿼리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데, 즉, 원격 디바이스의 상태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와 통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이후 준비된 ID 쿼리 요청을 프록시 디바이스에 포워딩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단계(706)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ID 쿼리를 수신한 후에,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것이 로컬로 요구된 정보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내부 캐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것이 최근에 통신했던 원격 디바이스들과의 후속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의 ID 쿼리들의 결과들을 캐시했을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캐시 내에서 원격 디바이스의 요구되는 등록 정보의 위치를 찾는다면, 그것은 ID 쿼리 요청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단계(71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로컬 저장소 내의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의 위치를 찾지 못하면(예컨대, 캐시 미스를 경험하면), 동작은 단계(712)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 단계(712)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요구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에 ID 쿼리를 포워딩할 수 있다. 서버는 이어서 원격 디바이스와 연관된 등록 정보를 검색하고 이 정보를 프록시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단계(714)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단계(712)에서 송신된 ID 쿼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716)에서, 이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그것의 내부 캐시 내에 저장하고 정보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포워딩할 수 있다. 동작은 이후 단계(720)로 진행한다.
단계(71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프록시 디바이스가 이미 그것의 내부 캐시 내에 등록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단계(718)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것의 캐시에 직접 액세스함으로써 정보를 검색하고 정보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포워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정보는, 원격 디바이스에 대한 후속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앞선 쿼리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프록시 디바이스의 내부 캐시 내에 저장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록시 디바이스가 요구되는 정보를 로컬로 액세스하고 그것을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단계(712) 내지 단계(716)에 기술된 바와 같이 ID 쿼리 요청을 서버에 포워딩할 필요가 없다. 동작은 이후 단계(720)로 진행한다.
단계(720)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단계(716) 또는 단계(718)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된 바와 같이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와의 후속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보를 캐시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상태 또는 도달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도 8 - 액세서리 디바이스로의 착신 메시지를 프록싱
도 8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착신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반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단계(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와 연관된 계정을 타겟으로 하는(그 계정에 어드레싱된) 텍스트 메시지, 디지털 터치 메시지, 또는 IMS 메시지를 발생시켜 송신했을 수 있다.
단계(802)에서와 같이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계(804)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그것이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연관되는지(또는 페어링(pairing)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었다면, 그것은 이 관계를 나타내는 저장된 내부 정보를 가졌을 수 있다. 여기서, 용어 "페어링된"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프록시로서 기능하고/하거나 설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액세서리 디바이스 사이의 저장된 연관(association)을 지칭한다.
단계(804)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연관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없음을 결정하면, 즉, 연관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표시를 찾지 못하면, 프로세스는 단계(808)에서 종료될 수 있다.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단계(804)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연관된다면(또는 페어링된다면), 동작은 단계(806)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연관된(또는 페어링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존재를 표시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로컬 저장소에 액세스했을 수 있다.
단계(806)에서, 이후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단계(802)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타겟팅된 어드레스에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앞서 서비스에 등록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이 등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것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했을 수 있다.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연관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 어드레스 또는 어드레스들,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지에 의해 타겟팅된 어드레스에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기 위해, 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단계(80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타겟팅된 어드레스에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서비스로부터 직접 통신(예컨대, 메시지)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중복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동작은 단계(808)에서 종료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단계(80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서비스로부터 직접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그것이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지, 예컨대, 무선 통신을 위해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충분히 근접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관계에 관한 내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의해 도달가능하면, 단계(814)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프록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디바이스들 모두가 상대적으로 짧은 타임프레임 내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다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이후 단계(812)에서 메시지를 큐잉(queuing)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현재 전달하려 시도하지 않지만, 나중의 전달을 위해 그것을 내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나중에, 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들이 충분히 아주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함을 결정하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이때에 큐로부터 액세서리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메시지가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용인되는 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호환가능한 유형인지, 예컨대,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스마트 워치이면, 스마트 워치는 PDF, 지도, 등과 같은 특정한 유형의 문서들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단계(804) 내지 단계(81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호환되지 않는 메시지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프록시 디바이스)는 단계(802)에서 수신될 때, 그것의 디스플레이 상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러나, 디지털 터치 메시지들과 같은 특정 유형의 메시지들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폰)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으나, 액세서리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 워치에 전달 되어 여기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문 설계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매체는 그것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 시스템이 방법,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예컨대, UE(106))는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 및 메모리 매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방법,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이 상당히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일단 상기 개시 내용이 충분히 이해되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ser equipment device, UE)(106)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35);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communicatively coupled)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33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 및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306, 3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요소(30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기지국(102)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메시지 -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를 위해 의도된 것임 - 를 수신하고(802);
    상기 UE가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와 페어링(pairing)되어 있는지 결정하고(804);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다는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 매체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고(806);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고;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음,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함을 상기 UE가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무선 방식으로 제공하고(814);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음,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전달을 위해 상기 메시지를 큐잉(queuing)하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refrain)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타겟팅된 어드레스에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음,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타겟팅된 상기 어드레스에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함을 상기 UE가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와 페어링되어 있는지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UE가 상기 UE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 사이의 저장된 연관(association)을 유지하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메시지 설정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화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설정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화를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스마트 폰이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는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 통신하는 스마트 워치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6. 사용자 장비(UE)(106) 내에 포함되기 위한 장치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연결된 프로세싱 요소(302) -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기지국(102)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메시지를 수신하고(802);
    상기 메모리 매체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UE가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와 페어링되어 있는지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고(804, 806);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한지 결정하고;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음,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함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고(814);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음,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음, 및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전달을 위해 상기 메시지를 큐잉하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302)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가 상기 UE(106)에 의해 도달가능한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UE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가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302)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타겟팅된 어드레스에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106)는,
    메시지 설정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화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설정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화를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마트 폰 내에 포함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 통신하는 스마트 워치인, 장치.
  11.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35);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33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 및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요소(30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메시지 - 상기 메시지는 원격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임 - 를 수신하고(802);
    상기 메모리 매체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결정하고(804, 806);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814);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한지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UE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및 상기 원격 디바이스가 도달가능함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로부터 상기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상태에 대한 식별 쿼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UE가 이미 상기 원격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결정하고;
    상기 UE가 이미 상기 원격 디바이스의 상기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쿼리 요청을 식별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기지국(102)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제2 메시지 -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UE를 위해 의도된 것임 - 를 수신하고;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107)와 페어링되어 있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지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UE가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있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음을 상기 UE가 결정함에 응답하여, 무선 방식으로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상기 제2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스마트 폰이고;
    상기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 통신하는 스마트 워치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106).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23017A 2015-02-06 2015-12-08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KR102023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3175P 2015-02-06 2015-02-06
US62/113,175 2015-02-06
US14/871,647 2015-09-30
US14/871,647 US9712657B2 (en) 2015-02-06 2015-09-30 Proxying for communicating messages with an unregistered accessory device
PCT/US2015/064535 WO2016126324A1 (en) 2015-02-06 2015-12-08 Proxying for communicating messages with an unregistered access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423A KR20170106423A (ko) 2017-09-20
KR102023825B1 true KR102023825B1 (ko) 2019-09-20

Family

ID=5507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017A KR102023825B1 (ko) 2015-02-06 2015-12-08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2657B2 (ko)
EP (1) EP3254525B1 (ko)
JP (1) JP6490822B2 (ko)
KR (1) KR102023825B1 (ko)
CN (1) CN107211042B (ko)
WO (1) WO2016126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2767B2 (en) 2015-05-29 2018-11-06 Nagravision S.A.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secure VOIP multi-party calls
US9900769B2 (en) * 2015-05-29 2018-02-20 Nagravision S.A.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n encrypted-audio session
US9891882B2 (en) 2015-06-01 2018-02-13 Nagravision S.A.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ying encrypted data to a communication device
US10460244B2 (en) * 2015-12-21 2019-10-29 Intel Corporation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wearables
JP2017116596A (ja) * 2015-12-21 2017-06-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5262B2 (ja) * 2016-11-25 2021-08-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情報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EP3439274B1 (en) * 2017-08-04 2021-11-10 Nokia Technologies Oy Event notification
US10863564B2 (en) 2017-09-29 2020-12-08 Apple Inc.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for an accessory device
KR102363367B1 (ko) 2018-01-08 2022-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490429B2 (en) 2018-02-13 2022-11-01 Apple Inc. Companion assistance and efficient link selection for wearable devices
US10687182B1 (en) * 2019-05-31 2020-06-16 Apple Inc. Accessory device texting enhancements
US11886628B2 (en) * 2020-05-07 2024-01-30 Google Llc Notification delivery based on context awareness
CN116762372A (zh) * 2021-01-12 2023-09-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处理消息的电子装置及其运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874A (ja) * 2001-09-12 2003-03-20 Funai Electric Co Ltd 周辺機器をリモコン制御する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電話機並びに周辺機器
JP2014112966A (ja) * 2003-03-27 2014-06-19 Mobilemedia Ideas Llc 携帯端末のアクセサリ用アプリケーションを通信ネットワークから入手する方法およ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509A (en) 1997-11-07 2000-10-03 Nokia Mobile Phone Limited Intelligent service interface and messaging protocol for coupling a mobile station to peripheral devices
US7039033B2 (en) * 2001-05-07 2006-05-02 Ixi Mobile (Israel) Lt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anaged wireless network using short-range radio signals
JP2003158585A (ja) * 2001-11-21 2003-05-30 Sharp Corp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315727B2 (en) 2003-10-14 2008-01-01 At&T Mobility Ii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ng with wireless peripheral devices
JP2008270902A (ja) * 2007-04-16 2008-11-0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8559321B2 (en) * 2007-06-08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IP home agent discovery
US9398136B2 (en) * 2009-04-20 2016-07-19 Apple Inc. Handhel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data tethering services while maintaining suite of handheld service functions
EP2244516B1 (en) * 2009-04-23 2016-05-18 Alcatel Lucent Relay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8675084B2 (en) * 2009-09-04 2014-03-1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amera control
US8438259B2 (en) * 2010-10-30 2013-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b application usage of accessory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in non-networked manner
KR20120104023A (ko) * 2011-03-11 201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장치, 액세서리 장치, 그 인증 방법 및 제어 방법
US8813198B2 (en) * 2011-07-05 2014-08-19 Apple Inc. Configuration of accessorie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US9729687B2 (en) * 2012-08-10 2017-08-08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9549323B2 (en) *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9402167B2 (en) 2013-03-14 2016-07-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Notification handling system and method
TWI497311B (zh) 2013-03-28 2015-08-21 Quanta Comp Inc 跨裝置通訊傳輸系統及其方法
KR102043200B1 (ko) * 2013-05-07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US10891155B2 (en) 2014-01-03 2021-01-12 Mcafee, Llc Wearable device task offloading to conserve processing resources
CN103974218A (zh) * 2014-04-28 2014-08-06 法视网络传媒技术(北京)有限公司 可穿戴设备、移动终端、智能报险系统及智能报险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874A (ja) * 2001-09-12 2003-03-20 Funai Electric Co Ltd 周辺機器をリモコン制御する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電話機並びに周辺機器
JP2014112966A (ja) * 2003-03-27 2014-06-19 Mobilemedia Ideas Llc 携帯端末のアクセサリ用アプリケーションを通信ネットワークから入手する方法および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4366A1 (en) 2016-08-11
US9712657B2 (en) 2017-07-18
JP2018511957A (ja) 2018-04-26
JP6490822B2 (ja) 2019-03-27
CN107211042B (zh) 2020-07-07
CN107211042A (zh) 2017-09-26
EP3254525A1 (en) 2017-12-13
EP3254525B1 (en) 2019-04-03
WO2016126324A1 (en) 2016-08-11
KR20170106423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825B1 (ko) 미등록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메시지들을 통신하기 위한 프록싱
US10470016B2 (en) Methods, procedures and framework to provision an eSIM and make it multi-SIM capable using primary account information
US20140012913A1 (en) Peer-Peer Device Activation and Setup
US9913212B2 (en) Carrier network access for multi-SIM devices
US11770695B2 (en) Mechanism to activate and manage a standalone device for cellular service
KR102015733B1 (ko) 간헐적으로 이용 가능한 암호화 자격 증명들을 이용한 메시지의 통신
US10084904B2 (en) Cloud messaging between an accessory device and a companion device
US10171605B2 (en) Dual channel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