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174B1 -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174B1
KR102023174B1 KR1020187007809A KR20187007809A KR102023174B1 KR 102023174 B1 KR102023174 B1 KR 102023174B1 KR 1020187007809 A KR1020187007809 A KR 1020187007809A KR 20187007809 A KR20187007809 A KR 20187007809A KR 102023174 B1 KR102023174 B1 KR 10202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conductor
monitoring system
safety cab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734A (ko
Inventor
에르빈 쾨펜되르퍼
요하네스 나흐트랩
Original Assignee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4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17Measuring dielectric properties, e.g. constants
    • G01R27/2635Sample holders, electrodes or excitation arrangements, e.g. sensors or measuring cells
    • G01R27/2658Cavities, resonators, free space arrangements, reflexion or interference arrangements
    • G01R27/2664Transmission line, wave guide (closed or open-ended) or strip - or microstrip line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20) - 그 라인(20)을 따라 오작동 센서 디바이스(12)가 연장됨 - 을 갖는 안전 케이블(6)을 포함하고, 2개의 전극들(30)을 갖는 커패시터(28)를 포함하며, 그리고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도록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덕터(42)로 제조된 인덕터(32)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2)에 관한 것이다.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확인함으로써, 안전 케이블(6)의 상태, 특히 안전 케이블의 마모가 결정되고, 가능한 미래의 오작동이 특히 예측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특히 계량기에 의해 이용가능한 사전제작된 재료의 형태의 대응하는 안전 케이블(6), 및 모니터링 시스템(2)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그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들, 특히 데이터 케이블들이 안전-관련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여기서, 케이블 및 그 결과 상기 케이블에 의존하는 시스템의 오작동은, 종종 심각한 속성을 갖는 필연적인 손상들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차량들에 대한 주행 보조 시스템들은 케이블 오작동이 주행 보조 시스템의 대응하는 오작동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지금까지, 이를테면, 오토파일럿들 또는 주차 보조 시스템들에 의한 주행 보조 시스템은 대부분, 차량의 수동 제어와 병행하여 편의 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그 결과로, 주행 보조 시스템의 오작동의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제어를 유지하거나 또는 그 제어를 가정한다. 그러나, 소위 자율 주행의 맥락에서, 최대로 가능한 정도까지 운전자의 참여도를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더 이상 개입할 필요가 없고,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을 위해 사용되고, 고장에 대해 보호되기 위해 단지 편의 기능으로서 사용되지는 않는 주행 보조 시스템에 특히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신뢰가능하고 안전 케이블 또는 대안적으로는 튜브(그의 오작동이 가능한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음)를 케이블로서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임의의 가능한 오작동이 양호한 시간에 결정되거나 또는 예측되어야 한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가 제공되어야 하고,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특성들을 갖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또한, 목적은 청구항 제18항의 특성들을 갖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목적은 청구항 제19항에 따른 튜브에 의해 그리고 또한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특성들을 갖는 안전 케이블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 또한, 목적은 청구항 제22항에 따른 특성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전개들 및 변형들이 종속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이다. 따라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련된 진술들은 또한, 안전 케이블 및 방법에 대해 적용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포함하는 안전 케이블을 포함하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갖고,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특히 단부 면에서 전극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를 갖는다. 커패시터 및 2개의 전극들은, 특히 라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그리고 중단없이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2)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20)을 포함하는 안전 케이블(6)을 포함하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를 갖고, 상기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차폐층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라인(20)을 완전히 둘러싼다.
일 실시예에서, 컨덕터(42)는 상기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 분석 유닛(16)을 갖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거나, 또는 안전 케이블(6)은 플러그-타입 커넥터(18)를 포함하고, 플러그-타입 커넥터(18)에 의해,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상기 분석 유닛(16)에 연결하여 상기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컨덕터(42)는 상기 라인(20) 주위의 다수의 권선들로 권취(wind)되거나 또는 스핀(spin)되는 와이어로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권선들은, 상기 인덕터의 특정 인덕턴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간격(A)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컨덕터(42)는 절연 와이어이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전극들(30)은 동심 방식으로 배열되고, 원통형 커패시터(28)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의 중간층(44)은, 상기 전극들(30)로부터 상기 컨덕터(42)를 갈바니 절연(galvanically isolate)시키기 위해 상기 컨덕터(42)와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 또는 각각의 하나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는 도전성 재료로부터 브레이드(braid)(40)로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는 절연 캐리어 층(38)을 포함하는 다층 포일(36)의 도전성 층(34)이고, 상기 도전성 층(34)은 상기 절연 캐리어 층에 제공(apply)된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층(38)은 상기 컨덕터(42)를 향하고, 상기 컨덕터와 상기 도전성 층(34)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캐리어 층(38)을 갖는 다층 포일(36)의 도전성 층(34)으로서 구성되며, 2개의 캐리어층들(38)은, 상기 컨덕터(42)를 향해 배향되고, 도전성 층들(34)은 상기 컨덕터로부터 멀어지게 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는 상기 2개의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절연 재료는 습기-의존성 또는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습기-의존성 및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 모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흡습성 재료가 상기 2개의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케이블(6)은 데이터 케이블로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4)의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설치되며, 주행 보조 시스템(8)이 상기 안전 케이블(6)에 의해 상기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2)은 튜브를 갖고,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되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12),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를 갖고,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차폐층으로서 구성되고 라인(20)을 완전히 둘러싼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2)에 대한 튜브는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는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2)에 대한 안전 케이블(6)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20)을 가지며,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는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케이블은 선택적으로 하나의 전극(30)은 인덕터(32)에 도전성으로 연결되며, 2극 연결부(14)를 갖는 플러그-타입 커넥터가 배열되고, 분석 유닛(16)이 통합되는 미리-조립된 케이블로서 구성된다. 또한, 통합된 분석 유닛(16)의 경우, 조립된 케이블은, 상기 분석 유닛(16)의 출력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신호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2)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의 공진 주파수가 확인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정상 주파수와 비교되며, 상기 공진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최소값만큼 상기 정상 주파수로부터 벗어나면, 신호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이점은 특히,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특히 안전 케이블에 대한 손상을 검출하는 것이 안전 케이블에 통합된 직렬 공진 회로에 의해 가능하다는 사실에 있다. 결과적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케이블을 포함하며, 전자 오작동 센서 시스템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안전 케이블에서 그리고 또한 그 결과로서 라인에서 변화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직렬 공진 회로에 의해 상당히 형성된다. 이것은, 안전 케이블에 장애가 있거나 또는 안전 케이블이 손상되면 변하는 특정 공진 주파수를 안전 케이블의 직렬 공진 회로가 포함한다는 고려사항에 기반한다. 더 정확하게, 커패시터는 커패시턴스 값을 포함하며, 인덕터는, 공진 주파수를 상당히 결정하고, 특히 오작동 센서 시스템의 안전 케이블의 기하구조 및 또한, 그의 재료 특징에 의존하는 인덕터 값을 포함한다. 특히, 공진 주파수는 커패시턴스 값과 인덕터 값의 곱의 2차 근(quadratic root)에 반비례한다. 예로서, 안전 케이블의 확장의 경우, 전극들의 표면적은 그에 따라 변하지만, 인덕터는 영향을 받지 않고, 그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한다. 전극들 또는 컨덕터에 대한 임의의 손상은 일반적으로, 공진 주파수에 대한 대응하는 영향을 가지며, 그 결과로, 안전 케이블의 임의의 장애를 검출하는 것이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가능하다. 전극들 및/또는 컨덕터는, 안전 케이블이 예로서 일반적인 기계적 로딩을 겪는 경우, 라인이 손상되기 전에 상기 전극들 및/또는 상기 컨덕터가 손상되고, 라인의 오작동 전의 양호한 시간에 경고 신호가 방출되어 또한 적절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합당하게 구성된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주로, 특히 종래의 라인이고,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들 및/또는 코어 쌍들을 포함하는 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이 특히 전체 라인을 따라 연장되므로, 전체 라인이 그에 따라 모니터링되는 것이 또한 보장된다. 다수의 라인들을 갖는 안전 케이블이 기본적으로 또한 인식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안전 케이블의 외피 또는 외측 외피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특히, 안전 케이블의 내부 구조의 일부가 아니며, 즉, 그 시스템은 소위 유용한 구조와 분리된다.
즉,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안전 케이블의 내부 구조에 통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부 구조 외부에 배열된다. 용어 '내부 구조'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라인 및 적절할 경우, 라인들 및/또는 코어들의 전체, 특히 안전 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검출 엘리먼트, 예로서 마모-표시 코어가 내부 구조에 통합되면, 이러한 검출 엘리먼트가 손상될 경우, 내부 구조가 또한 손상되거나 악영향을 받는 위험성이 기본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오동작 센서 시스템이 별개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유리하게 방지될 수 있다.
라인을 갖는 안전 케이블 대신에 튜브를 갖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이 또한 기본적으로 인식가능하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 경우에서, 튜브를 포함하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및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특히 단부 면에서 전극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를 갖는다. 커패시터 및 2개의 전극들은 특히, 튜브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이고 중단없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 옵션은, 오작동 센서 시스템이 튜브 또는 케이블의 내부 구조와 분리된 결과, 즉 일반적으로는 모니터링될 스트랜드(strand) 제품인 결과로서 특히 이용가능하다. 즉, 따라서, 일 변형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하나 또는 다수의 라인들 및/또는 코어들을 갖는 안전 케이블 대신 튜브가 사용된다. 예로서, 그러한 튜브는 매체, 예컨대 가스 또는 액체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다수의 라인들 및/또는 코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매우 일반적으로, 스트랜드 제품은 본 발명의 일 변형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스트랜드 제품을 따라 연장된다. 그 경우, 스트랜드 제품은 예로서 튜브 또는 케이블이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변형들 그리고 또한 그들의 이점들은 스트랜드 제품으로서 안전 케이블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및 변형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컨덕터는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며, 그 결과로서, 컨덕터는 특히, 안전 케이블의 환경 및 또한 라인 둘 모두에 대해 차폐된다. 결과적으로, 공진 주파수가 특히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안전 케이블이 2개의 단부 사이들 사이에서 주어진 길이를 갖는 경우, 전극들 및 컨덕터는 또한, 이들 2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경우 특정 접촉부들의 단부 면에서 형성된다.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안전 케이블을 조립하는 과정 동안, 전극들 중 하나는, 전체 길이에 걸쳐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컨덕터 및 실제로 바람직하게는 단부 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2극 연결부는 다른 단부에서, 즉 특히 컨덕터의 다른 단부에 의해 그리고 다른 전극의 일 단부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직렬 공진 회로, 즉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 2극 연결부를 통해 분석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케이블은 데이터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며, 즉, 라인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로서 다수의 코어 쌍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제어 또는 모니터링 유닛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그에 연결된 시스템, 예로서 주행 보조 시스템 또는 차량 컴포넌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제어 목적들을 위해 사용된다.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전 케이블은, 안전-관련 시스템들, 즉 특히 연결부의 오작동이 수동 개입에 의해 즉시 발견되지 않고 재료 손상 및/또는 개인 상해를 초래할 수 있는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데이터 케이블로서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특히, 차량을 자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의 경우, 예로서 오토파일럿을 위한 카메라의 경우이다. 따라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의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적합하게 설치되며, 여기서, 차량의 주행 보조 시스템은 안전 케이블에 의해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연결된다. 라인은, 차량의 온보드 전기 시스템, 예로서, 차량의 제어 유닛에 주행 보조 시스템을 연결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리하게, 라인의 실제 오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그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미래의 오작동의 예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라인, 특히 전체 안전 케이블의 노화 또는 마모 특징이 중요하다. 이러한 마모 특징은 원칙적으로 라인의 특정 사용 및 로딩에 의존하며, 그 결과, 초기에 단지, 일반적인 경험 값들에 기반한 서비스가능한 수명에 관한 부정확한 예상, 즉 라인의 서비스가능한 수명에 관한 진술들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라인의 마모 프로세스를 종종 모니터링하고 공진 주파수의 확인된 변화에 기반하여 서비스가능한 수명 예상을 조정하는 것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이한 로딩들을 겪거나 상이하게 노화되는 라인들에 대한 합당한 교정 측정들이 초기에 확인되며, 상기 측정들은 각각의 모니터링 절차 동안 확인된 공진 주파수와의 비교를 위한 기반으로서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실제로는 라인의 이용 시간에 주로 기초한 일반적인 고려사항들과는 특히 독립적으로 특정 라인의 마모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한 방식으로 가능하며, 이용 기간 동안의 개별 로딩들은 통상적으로 무시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 분석 유닛을 포함하고, 오동작 센서 시스템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예로서,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직렬 공진 회로의 연결부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합한 접촉 표면들에 납땜된다. 대안적인 유사하게 적합한 실시예에서, 안전 케이블은, 오작동 센서 시스템이 특히 외부 분석 유닛, 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분석 유닛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플러그-타입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 경우, 분석 유닛은 예로서 차량의 제어 유닛의 일부이거나, 특히, 적합한 장소에 모니터링 시스템의 별개의 부분으로서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분석 유닛을 안전 케이블에 통합하는 것이 또한 인식가능하다. 일 변형에서, 분석 유닛은 단지 공진 주파수를 확인하기 위해 안전 케이블에 연결되고 그렇지 않으면 안전 케이블과는 별개인 외부 디바이스이다. 연결부는, 예로서 유지보수 절차 동안 분석 장치에 안전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그 안전 케이블에 대한 서비스 연결부로서 합당하게 설계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시스템이 의도된 사용, 특히 자동차에서의 사용을 위해 원하는 바와 같이, 예로서 수 10cm 내지 수 미터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된 안전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전극은 인덕터에 도전성 방식으로 연결된다.
추가의 조립 단계들에서, 조립된 안전 케이블은 다음을 포함한다:
- 특히 2극 연결부를 갖는 플러그-타입 커넥터
- 예로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통합되는 통합된 분석 유닛, 여기서,
- 통합된 분석 유닛의 경우, 조립된 안전 케이블이 신호 연결부들, 예로서 플러그-타입 연결부들, 출력 신호들을 분석 유닛에 송신하기 위한 플러그-타입 커넥터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플러그-타입 커넥터들을 통해, 특히 자동차의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이러한 타입의 미리-조립된 안전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분석 유닛은 특히,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또한 합당하게는 정상 주파수로부터의 변화 또는 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시스템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 예로서, 브로드밴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 신호가 응답 스펙트럼(여기서, 공진 주파수가 최대 진폭을 갖는 주파수로서 확인됨)을 생성하기 위해 직렬 공진 회로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오동작 센서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가 초기에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여, 확인된 공진 주파수는, 예로서, 이전의 교정 측정에 의해 결정되고 저장 디바이스에 기준으로서 저장될 미리 결정된 정상 주파수와 비교된다. 공진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최소값을 벗어나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신호는, 예로서 경고음이거나 또는 표시 램프가 조명된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의 컨덕터는 바람직하게, 라인 주위의 다수의 권선들로 권취(wind up)되거나 또는 스핀(spin)되는 와이어로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인덕터는 코일로서 특히 간단하고 공간-절약적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컨덕터는 안전 케이블의 소위 D-차폐를 형성한다. 제1의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권선들이 서로 접촉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컨덕터 주위에서 스핀된다. 가능한 전기적 단락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권선들 사이의 접촉 저항은 일반적으로, 권선들을 통해 나선형 방식으로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계속 전도하고 인덕터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유리한 일 변형에서, 권선들은, 인덕터의 특정 인덕턴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인덕턴스 값은 권선들의 간격에 걸쳐, 즉, 특히, 커패시턴스 값과 협력하여, 가능한 한 간단한 방식으로 측정될 공진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수 10킬로헤르츠 내지 몇 메가헤르츠의 범위의 공진 주파수가 실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합당하게 조정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컨덕터는 유리하게는 절연된 와이어, 특히 에나멜 와이어이며, 그 결과로서, 특히 서로 간의 권선들의 단락 회로가 간단한 방식으로 회피된다. 부가적으로, 절연된 와이어는 전극들에 대해 자동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그 결과, 또한 이러한 경우, 단락 회로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방지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전극들은, 각각의 경우 차폐층으로서 구성되고, 라인을 완전히 둘러싼다. 따라서, 전극들은, 한편으로는 그들이 커패시터의 전극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이 또한, 환경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들에 대해 라인을 그리고 그 반대로 또한 차폐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이중 기능을 이행한다. 라인이 이미 차폐된 라인이라면, 그의 종래의 차폐는 합당하게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종래의 차폐는 전극으로서 사용되며, 그 결과, 특히 안전 케이블은 특히 콤팩트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2개의 전극들은 동심 방식으로 배열되며, 내부 및 외부 전극을 갖는 원통형 커패시터를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즉: 2개의 전극들은 동일한 중간점을 갖는 원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라인은 특히 2개의 전극들에 의해 둘러싸이며, 따라서 내부 전극의 내부로 연장된다. 그러한 실시예는 특히, 안전 케이블의 라인이 전극들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특히 공진 주파수가 측정되고 있는 경우 라인의 누화가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라인에 연결된 시스템의 임의의 가능한 장애가 또한 방지된다. 동시에, 반대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은 라인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유리하게 유지된다.
합당한 일 변형에서, 전극들로부터 컨덕터를 갈바니 절연(galvanically isolate)시키기 위해, 절연 재료의 중간층은 컨덕터와 전극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의 하나 사이에 배열되고, 특히 표면-압출된다. 따라서, 전극 및 컨덕터가 안전 케이블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직렬 공진 회로의 구성의 경우에서는 단부 면에만 연결되는 한, 컨덕터는 각각의 전극에 대해 갈바닉 절연된다. 컨덕터는, 특히 중간층에 의해 전극으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중간층에 매립된다.
모든 현재의 합성 재료들, 특히 PU, PVC, PE 또는 유사한 재료들은 절연 재료로 적합하다. 표면-압출된 중간층의 이점은, 특히 상기 중간층이 연속적이고, 따라서 특히 견고하고 매체-밀봉(media-tight)된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밴딩(banding) 또는 권선 어레인지먼트가 전기 절연을 제공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전극들 사이에 배열된 컨덕터의 경우, 상기 컨덕터는 2개의 중간층들에 의해 합당하게 둘러싸이거나 또는 일 변형에서는 공통의 중간층에 매립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전극들 중 하나는 도전성 재료의 브레이드(braid), 즉 특히 소위 C-차폐로서 구성된다. 그러한 브레이드는 특히, 기계적 양상에서 견고하며, 안전 케이블의 유리한 보강을 부가적으로 표현한다. 브레이드는, 예로서 강선 또는 주석-도금 구리 와이어로 생성된다. 특히 적합한 변형에서, 커패시터의 외부 전극은 브레이드로서 구성되어, 그에 따라, 모든 내부에 놓여있는 부분들에 대해, 또한 특히 컨덕터 및 내부 전극에 대해 최적의 보호를 제공한다.
특히 콤팩트한 설계에서, 전극들 중 하나는 절연 캐리어 층을 포함하는 다층 포일의 도전성 층이고, 도전성 층은 상기 캐리어 층에 제공된다. 따라서, 전극은 특히, B-차폐로서 또한 설명되는 포일 차폐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포일은, 특히 얇은 금속-적층 호일이며, 결과적으로 안전 케이블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층 포일을 갖는 실시예의 경우, 얇은 금속층으로서의 도전성 층은 일반적으로 라인보다 부서지기 쉬우며, 그 결과, 많은 기계적 로딩이 초기에, 대응하는 전극에 손상을 야기하고,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킨다는 부가된 이점이 존재한다. 이것으로부터, 라인이 대응적으로 로딩되며, 상기 라인의 나머지 서비스가능한 수명은, 예로서, 경험적인 방식의 라인의 나머지 서비스가능한 수명과 도전성 층의 취성을 경험적인 방식으로 연관시키는 이전의 테스트 시리즈에 기반하여 확인된다고 결론지어진다.
유리하게는, 갈바니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전개에서, 캐리어 층은 컨덕터를 향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컨덕터와 도전성 층 사이에 배열된다.
전체적으로, 전극들 및 컨덕터가 3-부분 동심 어레인지먼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들 및 컨덕터는 오동작 센서 시스템의 엘리먼트들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동시에 특히 차폐층을 각각의 경우에서 또한 형성한다. 이러한 유리한 이중 기능에 의해, 라인은 또한, 외부 영향들에 대해 특히 효율적으로 차폐된다. 전극들은 각각의 경우에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서 B-차폐 또는 C-차폐로서 구성되고, 컨덕터는 D-차폐로서 구성된다.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 B/D/C-차폐 또는 B/D/B-차폐를 생성하는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어레인지먼트들은 특히 생성하기에 간단하다.
일 변형에서, 2개의 전극들은 다층 포일의 도전성 층들로서 구성되며, 원통형 커패시터로서의 실시예에서, 2개의 캐리어 층들은 커패시터의 내부를 향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층을 각각 형성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컨덕터는 2개의 포일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전 케이블은 특히 콤팩트하며, 종래의 라인과 비교하여 단지 근소하게 큰 직경을 포함한다. 용어 '근소하게'는 대략 1 내지 10%의 직경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은 원칙적으로, 전극들 사이에 유전체로서 배열되는 재료에 의해 또한 결정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재료-특정 유전 상수, 즉 상대 유전 상수 εr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전 상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환경 파라미터들, 예로서 온도 또는 습기에 의존하며, 그 결과로서, 이러한 환경 파라미터의 대응하는 변화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참조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파라미터의 결과로서, 안전 케이블 및 라인에 대해 대응하는 로딩 및 가능한 손상을 야기하는 환경에서 안전 케이블이 사용된다면, 이것은 특히 이점을 갖는다.
적합한 변형에서, 절연 재료는 2개의 전극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절연 재료는 습기-의존성 및/또는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를 갖는다. 대응하는 온도 로딩의 경우 및/또는 습한 환경에서, 유전 상수 및 공진 주파수가 그에 따라 변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환경 영향으로부터 초래되는 안전 케이블의 마모를 설정하는 것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예로서, 안전 케이블 근방의 화재는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검출되며, 결과적으로 라인이 손상될 수 있다고 결론지어진다. 일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온도 로딩은, 예로서 시간에 걸쳐 적분되며, 계산 모델은, 라인의 노화 프로세스를 정정하여, 그로부터 라인의 나머지 서비스가능한 수명에 관한 대응적으로 더 정밀한 진술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적합한 재료는 예로서, 온도 및 또한 습기 둘 모두에 의존하는 유전 상수를 갖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요컨대 PVC이다.
적합한 일 변형에서, 흡습성 재료, 특히 초-흡수체는 2개의 전극들 사이에 배열되고, 습한 환경에서, 상기 흡습성 재료는 그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체적의 증가를 경험한다. 결과적으로, 커패시터의 기하구조가 또한 변화하며, 이는 차례로 공진 주파수의 변화로서 나타난다. 이것은 또한, 습기에 특히 영향을 받는 라인 마모에 관한 유리하게 더 정밀한 진술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합한 흡습성 재료는 예로서, 폴리우레탄, 요컨대 PU이다. 대안적으로, 아크릴산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를 화학적 기반으로 하는 초-흡수체가 특히 적합하다. 그러한 초-흡수체는 특히 매우 흡습성이며, 그것이 물을 흡수함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체적이 변한다. 결과적으로, 한편으로는 재료의 유전 상수가 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서로에 대한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변한다. 흡습성 재료의 특징의 변화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효과들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현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절연 또는 흡습성 재료는 특히 공간-절약 실시예에서 호일의 중간층 또는 캐리어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합당한 방식으로 대응한다. 즉: 전극들 사이의 중간 공간에 부가적인 재료를 도입하는 것 대신에, 중간층 및/또는 캐리어 호일의 재료, 즉, 습기-의존성 및/또는 온도-의존성이거나 흡습성 속성을 갖는 유전 상수를 가진 재료가 직접적으로 합당한 방식으로 적합하게 선택된다.
특히 안전 케이블의 경우, 커패시턴스 값이 길이에 비례하여 변하고 인덕턴스 값이 길이에 반비례하여 변하므로, 공진 주파수가 원칙적으로 안전 케이블의 길이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안전 케이블은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갖는 계량기(meter) 제품들 또는 반가공(semi-finished) 제품으로서의 생산에 특히 적합하며, 컨덕터에 의해 형성된 인덕터는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된다. 계량기 제품들의 경우, 컨덕터는 특히 전극들 중 하나에 아직 연결되지 않으며; 이러한 단계는 케이블의 조립 절차 동안, 특히 조각을 특정 길이로 절단한 이후에만 수행된다. 커패시터 및 인덕터가 유리하게는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므로, 임의의 원하는 포지션들에서 안전 케이블의 길이를 절단하고, 후속하여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컨덕터의 일 단부는 전극들 중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고, 예로서 그에 납땜되거나 크림프(crimp)된다.
특히, 모니터링 시스템의 EMC 호환성에 대해, 바람직하게 공진 주파수는 안전 케이블의 일반적인 작동 동안, 즉 예로서, 라인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 동안 결정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이러한 송신이 직렬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테스트 신호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특정 환경들 하에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에, 공진 주파수는,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들로, 예로서 특히 재발생 유지보수 절차의 과정 동안 합당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안전 케이블, 특히 라인은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단지 특정 시간들에 그리고 예로서, 여러 주들, 몇 달 또는 몇 년의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면들은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는 차량이다.
도 2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안전 케이블을 측면도로 예시한다.
도 3은 안전 케이블을 단면도로 예시한다.
도 4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등가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차량(4)에 설치된 모니터링 시스템(2)을 예시한다. 모니터링 시스템(2)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목적을 위해 차량(4)의 제어 유닛(10)에 차량(4)의 주행 보조 시스템(8)을 연결하는 안전 케이블(6)을 포함한다. 주행 보조 시스템(8)은 특히 차량(4)의 자율 주행 모드를 위해 사용되며; 안전 케이블(6)에 의해 생성된 연결부는 결과적으로 안전-관련 연결부이고, 상기 안전-관련 연결부의 가능한 오작동은 결과적인 손상들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예측된다. 안전 케이블(6)의 마모를 결정 또는 확인하고 상기 안전 케이블의 나머지 서비스가능한 수명에 관한 예상을 제공할 수 있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2)은, 안전 케이블(6)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14)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2)의 분석 유닛(16)에 연결되는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포함한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4)에는 플러그-타입 커넥터(18)가 탑재되고, 그에 의해, 오동작 센서 시스템(12)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예시되지 않은 일 대안에서, 분석 유닛(16)이 모니터링 시스템(2)의 일부인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연결부(14)는, 예로서, 이러한 분석 유닛(16)의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된다. 예시되지 않은 추가의 변형에서, 분석 유닛(16)은 차량의 제어 유닛(10)으로 통합된다.
도 2 및 도 3은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계량기 제품들로서 도 1에 도시된 안전 케이블(6)을 예시한다. 안전 케이블(6)은, 다수의 4개의 코어 쌍들(22), 이러한 경우에는 4개의 코어 쌍들(22)을 포함하는 중앙에 배열된 라인(20)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라인(20)은 특히 4-채널 데이터 라인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라인(20)은 특히, 종래에 사용된 데이터 케이블을 표현한다. 라인(20)의 코어 쌍들(22)은 변형 경감 디바이스(24) 주위에 그룹화되고, 공통 라인 외피(26)에 의해 둘러싸인다. 추가의 층들 및/또는 도전성 층들은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형성하기 위해 라인(20) 주변에 배열된다.
안전 케이블(6)의 이러한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의 등가 회로 다이어그램이 도 4에 예시된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전극들(30) 및 인덕터(32)를 갖는 커패시터(28)를 매우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도면에서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인덕터(32)는 커패시터(28) 내에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커패시터를 다른 곳의 대안적인 포지션에 배열하는 것이 또한 인식가능하다.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인덕터(32)는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경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분석 유닛(16)에 연결될 수 있는 2극 연결부(14)를 포함한다.
오동작 센서 시스템 (12)의 개별 엘리먼트들의 정밀한 실시예 및 어레인지먼트는, 도 4에 도시된 등가 회로 다이어그램의 도면들과 결합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커패시터(28)는 서로에 대해 동심 방식으로 배열된 도전성 재료의 2개의 층들을 갖는 원통형 커패시터로서 배열된다. 2개의 전극들(30) 중 하나는, 다층 포일(36)의 도전성 층(34)으로서 구성된 내부 전극(30)이다. 이러한 경우, 이것은 금속-적층 호일로서 구성되며, 절연 재료, 특히 합성 재료로부터 생성된 캐리어 층(38)을 추가의 층으로서 포함하고, 도전성 층(34)은 상기 캐리어 층에 제공(apply)된다. 예시된 실시예의 변형에서, 포일(36)은, 도전성 층(34)이 안쪽으로 향하고 캐리어 층(38)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또한, 도전성 층(34)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 결과로서, 다층 포일(36)은 b-차폐로 또한 지칭되는 포일 차폐를 형성하고, 즉 전극(30)은 라인(20)에 대한 차폐층을 동시에 형성한다.
다른 것, 즉 외부 전극(30)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라인(20) 및 포일(36) 주위에 완전히 배열된 브레이드(40)로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브레이드(40)는, 전극들(30) 중 하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동시에 추가의 차폐, 즉 라인(20)에 대한 소위 C-차폐를 형성한다. 예시되지 않은 일 변형에서, 외부 전극(30)은 또한, 예로서 포일 차폐 어레인지먼트의 일부, 즉 B-차폐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2개의 전극들(30)을 전도성 재료의 연속적인 층들로서 구성하고 라인(20) 주위에 그들의 동심 어레인지먼트를 구성함으로써 유리한 이중 차폐 어레인지먼트가 실현된다.
컨덕터(42)는 2개의 전극들(30) 사이의 라인(20) 주위에 인덕터(32)로서 권취된다. 컨덕터(42)는 와이어로서 구성되고 다수의 권선들의 형태로 권취되며, 그 결과로서 인덕터(32)는 코일로서 구성된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32)는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2개의 전극들(30) 사이의 중간 공간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2개의 전극들 외부에 인덕터(32)를 배열하는 것이 또한 인식가능하다. 권선들은 서로에 대해 특정 간격(A)을 가지면서, 그 결과로서 특히, 인덕터(32)의 특정 인덕턴스 값이 조정된다. 예시되지 않은 일 대안으로, 권선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서로 접촉하며, 즉 권취되어 서로에게 놓여있다.
안전 케이블(6)을 따라 인덕터(32)와 전극들(30) 사이에서 단락을 피하기 위해, 중간층(44)이 브레이드(40)와 와이어(42) 사이에 배열되며, 이러한 예시에서, 상기 중간층은 특히 안전 케이블(6)의 표면-압출된 중간 외피이다. 라인(42)과 도전성 층(34) 사이에 갈바니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다층 포일(36)은, 캐리어 층(38)이 컨덕터(42)를 향해 배향되고 도전성 층(34)이 컨덕터(42)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배향되며, 그 결과, 컨덕터(42)는 그에 따라 캐리어 층(38) 상에 배열되고, 이것은 추가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또한, 안전 케이블(6)은, 특히 환경 영향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라인(20) 및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둘러싸고 에워싸는 외측 외피(46)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목적들을 위해,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확인되며, 상기 공진 주파수는, 커패시터(28)의 커패시턴스 값 및 인덕터(32)의 인덕턴스 값에 의해 본질적으로 발생한다. 안전 케이블의 로딩, 노화 및 마모에 의존하여, 오동작 센서 시스템(12)은 또한 그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인덕턴스 값 및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들로서 나타나는 기하구조 및/또는 재료 특징에서 변화들이 발생하고, 즉, 궁극적으로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야기한다. 커패시터(28)의 커패시턴스 값은 특히, 2개의 전극들(30) 내에 배열되는 재료, 즉 이러한 경우에는 중간층(44) 및 또한 캐리어 층(38)의 재료에 의해 결정된다.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에 의해, 예로서, 높은 온도들 또는 습기의 결과로서 안전 케이블(6)에 대한 로딩을 확인하기 위해, 중간층(44) 또는 캐리어 층(38) 또는 둘 모두는 온도-의존성 및/또는 습기-의존성 유전 상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생성된다. 안전 케이블(6)의 환경에서의 온도의 대응하는 증가 또는 습기의 존재의 경우, 2개의 전극들(30) 사이의 중간 공간 내의 재료 또는 재료들의 유전 상수가 변하며, 그 결과, 커패시터(28)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한다. 결과적으로,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또한 변하며, 그 결과, 안전 케이블(6)의 대응하는 장애가 공진 주파수를 확인함으로써 설정된다.
도 2 및 도 3은, 직렬 공진 회로가 구성되지 않은 계량기 제품들로서 초기의 안전 케이블(6)을 예시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극들(30) 및 컨덕터(42)는 서로 아직 연결되지 않는다. 직렬 공진 회로 및 이에 따라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형성하기 위해, 안전 케이블(6)이 특정 길이로 절단된 이후, 컨덕터(42)는 안전 케이블(6)의 일 단부에서 전극들(30) 중 하나에 연결되고, 예로서, 그에 납땜되거나 고정적으로 크림프된다. 안전 케이블(6)의 다른 단부에서, 연결부(14)는 다른 전극(30) 및 컨덕터(42)의 대응하는 다른 단부에 의해 형성되며, 일 변형에서, 상기 연결부는 플러그-타입 커넥터에 부가적으로 연결된다. 모니터링 시스템(2)은 계량기 제품들로서 안전 케이블(6)로부터 이러한 조립 절차에 의해 형성된다.
참조 번호들의 리스트
2 모니터링 시스템
4 차량
6 안전 케이블
8 주행 보조 시스템
10 제어 유닛
12 전자 오작동 센서 시스템
14 연결부
16 분석 유닛
18 플러그-타입 커넥터
20 라인
22 코어 쌍
24 변형 경감 디바이스
26 라인 외피
28 커패시터
30 전극
32 인덕터
34 도전성 층
36 다층 포일
38 캐리어 층
40 브레이드
42 컨덕터
44 중간층
46 외측 외피
A 간격
L 길이 방향

Claims (22)

  1. 모니터링 시스템(2)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20)을 포함하는 안전 케이블(6)을 포함하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를 갖고,
    상기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차폐층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라인(20)을 완전히 둘러싸는, 모니터링 시스템(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42)는 상기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 분석 유닛(16)을 갖고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안전 케이블(6)은 플러그-타입 커넥터(18)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타입 커넥터(18)에 의해,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을 상기 분석 유닛(16)에 연결하여 상기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42)는, 상기 라인(20) 주위의 다수의 권선들로 권취(wind)되거나 또는 스핀(spin)되는 와이어로서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들은, 상기 인덕터의 특정 인덕턴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간격(A)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42)는 절연 와이어인, 모니터링 시스템(2).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극들(30)은 동심 방식으로 배열되고, 원통형 커패시터(28)를 형성하는, 모니터링 시스템(2).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의 중간층(44)은, 상기 전극들(30)로부터 상기 컨덕터(42)를 갈바니 절연(galvanically isolate)시키기 위해 상기 컨덕터(42)와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 또는 각각의 하나 사이에 배열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는 도전성 재료로부터 브레이드(braid)(40)로서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는 절연 캐리어 층(38)을 포함하는 다층 포일(36)의 도전성 층(34)이고, 상기 도전성 층(34)은 상기 절연 캐리어 층에 제공(apply)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1. 제10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38)은 상기 컨덕터(42)를 향하고, 상기 컨덕터와 상기 도전성 층(34) 사이에 배열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캐리어 층(38)을 갖는 다층 포일(36)의 도전성 층(34)으로서 구성되며,
    2개의 캐리어층들(38)은, 상기 컨덕터(42)를 향해 배향되고, 도전성 층들(34)은 상기 컨덕터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는 상기 2개의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절연 재료는 습기-의존성 또는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습기-의존성 및 온도-의존성 유전 상수 모두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습성 재료가 상기 2개의 전극들(30) 사이에 배열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케이블(6)은 데이터 케이블로서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4)의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설치되며, 주행 보조 시스템(8)이 상기 안전 케이블(6)에 의해 상기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
  17. 모니터링 시스템(2)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튜브를 갖고,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은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오작동 센서 시스템은(12),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극들(3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를 갖고,
    상기 2개의 전극들(30) 각각은, 차폐층으로서 구성되고 라인(20)을 완전히 둘러싸는, 모니터링 시스템(2).
  18. 제17항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에 대한 튜브로서,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는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되는,
    튜브.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에 대한 안전 케이블(6)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라인(20)을 가지며, 2개의 전극들(30)을 포함하는 커패시터(28) 및 컨덕터(42)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32)는 상기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안전 케이블(6).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케이블은, 선택적으로
    - 하나의 전극(30)은 인덕터(32)에 도전성으로 연결되며,
    - 2극 연결부(14)를 갖는 플러그-타입 커넥터가 배열되고,
    - 분석 유닛(16)이 통합되는 미리-조립된 케이블로서 구성되고,
    또한, 통합된 분석 유닛(16)의 경우, 상기 조립된 케이블은, 상기 분석 유닛(16)의 출력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신호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안전 케이블(6).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오작동 센서 시스템(12)의 공진 주파수가 확인되고,
    - 상기 공진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정상 주파수와 비교되며,
    - 상기 공진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최소값만큼 상기 정상 주파수로부터 벗어나면, 신호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2. 삭제
KR1020187007809A 2015-08-28 2016-08-22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23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6474.8 2015-08-28
DE102015216474.8A DE102015216474A1 (de) 2015-08-28 2015-08-28 Überwachungssystem, Sicherheitskabel und Schlauch für ein solche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Überwachungssystems
PCT/EP2016/069839 WO2017036844A1 (de) 2015-08-28 2016-08-22 Überwachungssystem, sicherheitskabel und schlauch für ein solche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überwachungs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734A KR20180041734A (ko) 2018-04-24
KR102023174B1 true KR102023174B1 (ko) 2019-09-19

Family

ID=5693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809A KR102023174B1 (ko) 2015-08-28 2016-08-22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42208B2 (ko)
EP (1) EP3341742B1 (ko)
JP (1) JP6605714B2 (ko)
KR (1) KR102023174B1 (ko)
CN (1) CN108450014B (ko)
DE (1) DE102015216474A1 (ko)
WO (1) WO2017036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2631A1 (de) 2017-02-17 2018-08-23 Leoni Kabel Gmbh Überwachungssystem sowie Kabel
IT201700053259A1 (it) * 2017-05-17 2018-11-17 Tecnikabel S P A Sistema di monitoraggio dello stato di un sistema di cablaggio industriale e relativo sistema di cablaggio industriale
US10746784B2 (en) 2017-11-06 2020-08-1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ystem level health monitoring in test systems
DE102018203809B3 (de) * 2018-03-13 2019-06-19 Leoni Kabel Gmbh Sensorleitung, Mess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leitung
CN110095148B (zh) * 2019-04-04 2021-05-11 浙江技鸣电工器材有限公司 一种电磁线生产用漆包线监测装置及使用方法
CN111127802A (zh) * 2019-12-03 2020-05-08 安徽北斗易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串联谐振机理的配电电气火灾预警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7707A (en) * 1996-09-24 1998-04-01 Whitaker Corp Cable testing arrangement
JP2011145254A (ja) * 2010-01-18 2011-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劣化検知装置及び車載高電圧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978A (ja) * 1975-01-10 1976-07-15 Japan National Railway Keeburunogaishokenchihoshiki
JPS5222998A (en) * 1975-08-15 1977-02-21 Hitachi Ltd Liquid metal leakage detecting device
GB2123567A (en) * 1982-06-29 1984-02-01 Redland Automation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the integrity of a wire
JPH0318725A (ja) * 1989-06-16 1991-01-28 Fuji Electric Co Ltd 電磁開閉器のうなり音判定装置
JPH04320977A (ja) * 1991-03-31 1992-11-11 Fujikura Ltd 部分放電位置標定方法
JP3206990B2 (ja) * 1992-11-13 2001-09-10 株式会社プレテック 半導体装置用処理液の劣化度検出装置
US5463317A (en) * 1994-06-29 1995-10-31 The Boeing Company Shield integrity monitor
DE10203163A1 (de) * 2002-01-28 2003-08-07 Tyco Electronics Amp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s Defektes in einem Leiter
CN2667760Y (zh) * 2003-12-29 2004-12-29 周文钦 可监视短路损伤绝缘导线
EP2120058A2 (en) * 2008-05-14 2009-11-18 Acterna, LLC Locating a low-resistance fault in an electrical cable
JP5723089B2 (ja) * 2009-09-14 2015-05-27 九州電力株式会社 電磁界センサ及び受信器
US8847606B2 (en) * 2011-06-02 2014-09-30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insulation deterioration in live underground power cables
DE102013008968A1 (de) * 2013-05-22 2014-11-27 Hagenuk KMT Kabelmeßtechnik GmbH Messverfahren mit einer Messvorrichtung zur Kabeldiagnose und/oder zur Kabelprüfung
JP6146901B2 (ja) * 2013-07-26 2017-06-14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ケーブル
CN103823092A (zh) * 2014-02-21 2014-05-28 南京冠亚电源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fpga的高压交联电缆测试电源
CN104808121A (zh) * 2015-04-13 2015-07-29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振荡波测试的配电电缆局部放电测试方法
JP7029040B2 (ja) * 2016-04-12 2022-03-03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ルドされたケーブルを介して共振器コンデンサに結合されるセンサインダクタを備えるセンサ共振器を用いる遠隔検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7707A (en) * 1996-09-24 1998-04-01 Whitaker Corp Cable testing arrangement
JP2011145254A (ja) * 2010-01-18 2011-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劣化検知装置及び車載高電圧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50014B (zh) 2020-12-18
US10942208B2 (en) 2021-03-09
EP3341742A1 (de) 2018-07-04
US20180188310A1 (en) 2018-07-05
DE102015216474A1 (de) 2017-03-02
CN108450014A (zh) 2018-08-24
JP6605714B2 (ja) 2019-11-20
WO2017036844A1 (de) 2017-03-09
KR20180041734A (ko) 2018-04-24
JP2018526646A (ja) 2018-09-13
EP3341742B1 (de)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174B1 (ko) 모니터링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안전 케이블 및 튜브,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N111323680B (zh) 用于检测电弧故障的方法和电路
CN105340025B (zh) 导体组件
US9437350B2 (en) Electrical line for a motor vehicle
KR101410737B1 (ko) 전력케이블용 부분방전 검출장치
US8598457B2 (en) Flexible electrical line
US11668751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lternating voltage
US20230420158A1 (en) Cable with abnormality precursor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ic wire abnormality precursor detection device
US11002879B2 (en) Sensor device for the capacitive detection of a user action in a vehicle
US20180238950A1 (en) Monitoring system and cable
EP3644052B1 (en) Electrical device provided with a moisture sensor
JP6560928B2 (ja) 真空バルブの圧力診断装置及び真空バルブ装置
US20230015507A1 (en) Cable with Signal Detection Function
EP3933369B1 (en) Cable
US11391767B2 (en) Measu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able
JP5271553B2 (ja) 浸水検知構造
CN111141961A (zh) 传感器及变压器套管监测系统
WO2021063689A1 (en) Curing investiga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ing of epoxy resin in the production of a high-voltage lead-through device
CN118103926A (zh) 多芯电缆、断线探测装置
WO2015192887A1 (en) Optical submarine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