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161B1 -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161B1
KR102023161B1 KR1020180117208A KR20180117208A KR102023161B1 KR 102023161 B1 KR102023161 B1 KR 102023161B1 KR 1020180117208 A KR1020180117208 A KR 1020180117208A KR 20180117208 A KR20180117208 A KR 20180117208A KR 102023161 B1 KR102023161 B1 KR 10202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785A (ko
Inventor
차세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1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06K9/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상기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FOR LOCATION AND SPACE OF USER USING MOVING DEVICE}
아래의 설명은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는 마이크(microphone)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수신하고,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답변음성을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거나 또는 응답정보가 포함하는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9797호는 홈 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방법에 관한 기술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이동통신망 외에 와이파이와 같은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홈내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도 음성 명령을 통해 다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응답하여 보다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내의 구조와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은 기기가 위치한 공간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단일 디바이스를 통해서는 실내의 전체 구조와 실내의 구획된 모든 공간들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또한 단일 디바이스가 설치된 공간과 그 주변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커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동하면서 실내의 내부 환경을 수집함으로써,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와 구분하여 인식된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먼저 예측된 위치로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미래 시점에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관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와 전자 기기간 거리 및/또는 사용자의 명령의 적용 가능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상기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함으로써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와 결합하여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동하면서 실내의 내부 환경을 수집함으로써,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와 구분하여 인식된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먼저 예측된 위치로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미래 시점에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관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와 전자 기기간 거리 및/또는 사용자의 명령의 적용 가능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과 위치에 대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예상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를 찾아가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미디어들에 대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먼저 이동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기기를 특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음성요청을 직접 처리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커넥트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플랫폼을 통해 인식 및 분석하여 음성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플랫폼은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요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알맞은 질의 또는 해당 질의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는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는 직접 이동하면서 주변 정보를 센싱하여 실내의 내부 환경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실내에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센싱된 주변 정보 및/또는 인식된 음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홈(smart home)이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댁내의 기기들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에서,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일례로,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00)가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110)의 발화 "이거 꺼줘"(121)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요청을 인식 및 분석하여, "거실 불을 끌까요"(122)와 같은 응답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응답정보에 대응한 사용자(110)의 발화 "어"(123)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요청을 인식 및 분석하여, 전자 기기(100)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댁내 조명기기(130)의 라이트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댁내의 기기들은 상술한 댁내 조명기기(130) 외에도 IPTV, PC(Personal Computer), 주변기기, 에어컨, 냉장고,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냉난방 기기 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장치, 도어록,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기기 등 온라인 상에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HomePNA, IEEE 1394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Wireless 1394, Home RF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응답정보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메인 미디어(일례로 전자 기기(100)가 포함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들에서 응답정보는 보다 다양한 미디어들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00)는 음성요청 및/또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응답정보가 출력될 미디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IPTV(140)와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150)를 더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응답정보는 IPTV(140)나 모바일 기기(15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사용자(110)에게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단순히 응답정보의 출력을 위한 미디어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출력과 시각적 출력의 효율성에 기반하여 응답정보의 출력을 위한 미디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실내의 공간들을 이동하기 위해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퀴(160)와 같이 전자 기기(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퀴(160) 이외에도, 궤도, 로봇 다리, 드론의 프로펠러 등과 같이 전자 기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실내의 내부 환경의 수집을 위해 전자 기기(100)의 주변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실내를 이동하면서 주변 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이러한 주변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1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결정된 사용자(1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 "오늘 날씨"(210)를 인식 및 분석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2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230)와 같이 음성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20)와 통신하여 외부 서버(22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퀴(160)와 같이 전자 기기(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00)는 직접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인식 및 분석하여 음성요청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전자 기기(100)와 연계된 외부의 플랫폼(일례로, 상술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음성요청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미디어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100)가 응답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230)과 같이 청각적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IPTV(14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도 함께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100)는 응답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미디어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음성요청 및/또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미디어들 중 응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응답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 미디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위치와 출력 미디어가 포함된 전자 기기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기기들(310)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 및 컨텐츠·서비스(330)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들(310)은 댁내에 구비되는 기기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하, 앱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과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의 개발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들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개발자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기기나 앱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음성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출력될 음성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처리모듈(321), 수신된 영상이나 동영상을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한 비전처리모듈(322), 수신된 음성에 따라 알맞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적절한 대화를 결정하기 위한 대화처리모듈(323), 수신된 음성에 알맞은 기능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모듈(324), 인공지능이 데이터 학습을 통해 문장 단위로 언어를 번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325) 등과 같이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요청을 인터페이스 커넥트(340)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요청을 상술한 모듈들(321 내지 325)을 활용하여 인식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요청에 따라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적절한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키트(350)는 제3자 콘텐츠 개발자 또는 회사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에 기반하여 새로운 음성기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발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0)는 수신된 사용자(110)의 음성요청을 외부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서버(220)는 확장 키트(350)를 통해 제공되는 API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음성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되는 음성요청을 인식, 분석하여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음성요청을 통해 처리되어야 할 기능에 대한 추천정보를 외부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외부 서버(220)는 음성요청 "오늘 날씨"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부터 음성요청 "오늘 날씨"의 인식을 통해 추출되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220)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통해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생성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는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외부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220)는 합성된 음성을 전자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는 합성된 음성 "오늘의 날씨는 …"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요청 "오늘 날씨"가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서버(420)는 앞서 설명한 외부 서버(220)나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을 구현하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는 메모리(411, 421), 프로세서(412, 422), 통신 인터페이스(413, 4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14, 4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1, 4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411, 4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410)나 서버(4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11, 4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410)에 설치되어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41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1, 4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413, 423)을 통해 메모리(411, 4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410)의 메모리(4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2, 4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1, 42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413, 423)에 의해 프로세서(412, 4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422)는 메모리(411, 4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13, 423)은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 및/또는 서버(420)가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가 메모리(4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인터페이스(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30)를 통해 서버(4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420)의 프로세서(4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423)과 네트워크(430)를 거쳐 전자 기기(410)의 통신 인터페이스(413)을 통해 전자 기기(4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413)을 통해 수신된 서버(42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412)나 메모리(4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4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입출력 장치(4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415)는 전자 기기(4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4)는 서버(420)와 연결되거나 서버(42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 및 서버(420)는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4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4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일례로, 도 4의 다채널 마이크(417)), 응답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일례로, 도 4의 스피커(416)) 및 전자 기기(410)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일례로, 도 4의 센서(418))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415)는 적어도 일부분이 전자 기기(41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과 위치에 대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평면도(5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의 종류(거실, 주방, 현관, 화장실, 침실 등), 전자 기기(410),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들(510, 520, 53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제1 위치(510)에 따른 공간은 '거실'이며, 제2 위치(520)에 따른 공간은 '주방', 제3 위치(530)에 따른 공간은 '현관'일 수 있다.
전자 기기(41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실내의 내부 환경의 수집을 위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는 전자 기기(410)가 '거실'에서 '주방'을 향해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거실'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기기는 실내의 모든 공간을 커버하기 어려운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410)는 자율 주행을 통해 실내의 모든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제3 위치(530)인 '현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공간이 '현관'임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또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 전자 기기(410)의 센서부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 내 존재하는 사물의 종류를 인지하여 공간의 특성과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침대가 인식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침실로, 싱크대나 냉장고 등이 인식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부엌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현재 전자 기기(410)의 위치와 사용자간의 거리, 전자 기기(410)와 사용자사이에 위치한 사물 등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전자 기기(410)의 센서부는 동작 센서나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 센서나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세 번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하는 다채널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발화에 따른 음성신호는 전자 기기(410)의 다채널 마이크를 통해 채널별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는 다채널 마이크에 채널별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위상변이(phase shif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발화 위치(일례로, 전자 기기(410)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방향)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동일한 소리신호의 위상 변위를 이용하여 소리신호의 발생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은 빔 포밍(beam forming) 기술과 같이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을 통해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상술한 세 가지 방법들 중 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10)가 위치한 공간의 종류나 전자 기기(410)가 위치한 공간의 주변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자 기기(410)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종류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가 현재 전자 기기(410)가 위치하는 공간을 "거실"로 결정하였고,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가 전자 기기(410)의 주변과 같이 동일한 공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종류를 '거실'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실내를 자율 주행 하면서 실내의 구조와 구획된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공간들 각각의 경계에 대한 정보나 공간들 각각의 종류(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현관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전자 기기(410)의 위치와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전자 기기(410) 및/또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전자 기기(410)가 위치한 공간과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공간과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를 통해 전자 기기(410)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장애물 회피나 실내에서의 현재 전자 기기(410)의 위치 등을 결정하여 보다 정확한 자율 주행을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공간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결합되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발화 '양파'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거실'에 위치한 경우에는 가수 '양파'의 노래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방'에 위치한 경우에는 식재료 '양파'와 관련된 레시피나 식재료 '양파'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정보를 더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정보에 기반하여 밖에 비가 오고 있음을 파악한 경우, 전자 기기(410)는 '현관'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우산'을 가져갈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410)는 이동하면서 실내의 내부 환경을 수집함으로써,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와 구분하여 인식된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는 전자 기기(410)가 실내를 자율 주행하면서 사용자의 위치와 공간에 따라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평면도(5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과 공간들의 종류(거실, 주방, 현관, 화장실, 침실 등)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전자 기기(410)가 '거실'에 위치한 사용자(610)의 주변으로 이동한 후, 사용자(610)가 '거실'에서 '현관'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기기(410)도 사용자(610)를 따라 '거실'에서 '현관'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거나,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를 따라다니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주변에서 바로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고정되어 있는 기기는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410)는 항상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내의 모든 공간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자율 주행 모드,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주행 모드, 한 곳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정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들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전자 기기(410)에서의 상황에 따른 능동적인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모드의 전자 기기(410)가 사용자의 발화 "따라와"(620)를 입력 받아 분석함으로써, 정지 모드를 주행 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를 따라다니기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행 모드의 전자 기기(410)가 사용자의 발화 "기다려"(630)를 입력 받아 분석함으로써, 주행 모드를 정지 모드로 변경하고, 현재 위치에서 대기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기기(410)는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상하고 예상된 위치로 먼저 이동하여 대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예상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평면도(7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과 공간들의 종류(거실, 주방, 현관, 화장실, 침실 등)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7에서는 '거실'에 위치한 전자 기기(410)가 미래 시점의 사용자(710)의 예상되는 위치로서 결정되는 공간인 '현관'으로 미리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외부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710)와 관련된 외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일례로 도 4를 통해 설명한 통신 인터페이스(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외부 정보와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래 시점의 사용자(71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별 사용자의 발화의 내용 및 사용자의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시간대별로 패턴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오후 5시에서 오후 5시 반' 사이에 '주방'에서 '레시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횟수가 많다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오후 5시에서 오후 5시 반' 사이에 사용자(710)가 '주방'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오후 4시'의 약속과 집으로부터 '15분' 거리의 약속장소, 저녁에 비가 올 것이라는 날씨 정보를 외부 정보로서 외부 기기나 서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에는 사용자(710)가 외부로 나가기 위해 공간 '현관'을 통한다라는 사용자(710)의 행위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기기(410)는 이러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710)가 '오후 4시'에서 최소 '15 분' 이전에 '현관'에 위치할 것이라는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미래 시점의 사용자(71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410)는 예측되는 사용자(710)의 위치로 먼저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710)가 '현관'으로 이동하는 경우(전자 기기(410)에서 사용자가 '현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날씨정보에 기초하여 '오늘 저녁에 비가 온대요. 우산을 챙겨가세요'와 같이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예측된 위치에 사용자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 및/또는 행위를 잊어버렸을 가능성이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집으로부터 '15분' 거리의 약속장소에서 '오후 4시'의 약속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후 4시 15분전'까지 사용자가 현관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사용자를 찾아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오후 4시'에 약속이 있음을 알리거나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실내의 전자 기기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를 찾아가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평면도(8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과 공간들의 종류(거실, 주방, 현관, 화장실, 침실 등)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시간 알람이나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정보 알림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기기(410)가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 주변으로 이동하여 알람이나 정보 등을 알리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전자 기기(410)는 '오후 2시'에 시간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일례로, 오후 1시 55분)부터 사용자(810)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자 기기(410)가 바로 사용자(810)가 현재 위치하는 '침실 1'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사용자(810)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전자 기기(410)는 보다 복잡한 경로를 이동하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위치할 확률이 높은 장소부터 사용자를 찾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간대에 사용자가 가장 많이 위치했던 공간부터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810)의 위치 주변으로 이동한 후 대기하다가 '오후 2시'에 시간 알람을 울릴 수 있다.
다른 예로, '거실'의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810)의 스케줄과 같은 외부 정보에 따른 알림이나, '거실'에 위치하는 사용자(810)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 메시지가 존재함을 사용자(810)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등을 사용자(810)에게 제공하기 위해, 우선 사용자(810)의 주변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특정 리마인더를 설정한 경우, 전자 기기(410)는 리마인더의 내용에 따라서 해당 리마인더를 발화할 가장 적합한 공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스타 꺼내라고 알려줘" 라고 할 경우 요리와 관련된 리마인더 명령이므로 '부엌'에 적합한 리마인더로 판단하고 리마인더 시점에 해당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나타나지 않으면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리마인더를 발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미디어들에 대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표(900)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되어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들의 식별을 위한 기기 항목(910), 다른 전자 기기의 댁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 항목(920), 다른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출력 미디어들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미디어 항목(930), 출력 미디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항목(940) 및 출력 미디어들이 어떠한 정보 유형과 연관될 수 있는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유형 항목(95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 기기(410)는 표(900)와 같이 댁내에서 연동된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다른 전자 기기들의 출력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음성요청 및/또는 음성요청에 대한 응답정보의 정보 유형과 미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요청이나 대응하는 응답정보가 "외부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유형으로 분석되는 경우, 전자 기기(410)는 표(900)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 A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응답정보의 출력 미디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정보는 전자 기기 A로 전달될 수 있고, 전자 기기 A 는 전자 기기 A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응답정보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전자 기기 A에 설치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410)는 서비스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 및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전자 기기 A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계정 등과 같은 정보를 더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표(900)가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연관하여 더 저장하는 URL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계정과 함께 응답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전자 기기 A에 설치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응답정보와 연계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표(900)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주방'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기기 D의 디스플레이 4를 통해 정보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해당 정보를 전자 기기 D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하나의 공간에 복수의 출력 미디어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의 유형에 알맞은 기기나 사용자와 보다 가까운 기기의 출력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공간에서 사용자와 보다 가까운 기기의 출력 미디어를 선택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기기의 위치가 표(9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일례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와 기기간의 거리를 직접 계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1010)는 사용자 명령 '이거 켜줘'(1020)와 같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특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101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기기를 특정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을 처리하거나 또는 사용자(101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기기를 특정하여 사용자 명령이 특정하는 기기가 전자 기기(410)에 의해 특정된 기기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410)가 카메라와 같은 센서부를 이용하여 공간의 주변 정보를 분석하여 공간 내의 기기들로서 댁내 조명기기(1030), 사용자(1010)의 모바일 기기(1040) 및 ITPV(1050)를 인지하고, 인지된 기기들과 사용자(1010)의 위치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1010)와 가장 가까운 댁내 조명기기(1030)를 특정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특정된 댁내 조명기기(1030)의 라이트 전원을 바로 켤 수도 있으나, 도 10의 실시예에 도시된 "거실 전등을 켤까요?"(1030)와 같이 전자 기기(410)가 특정한 기기가 적절한지 여부를 사용자(1010)에게 문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1010)의 발화 "어"(1060)에 따라 특정된 댁내 조명기기(1030)의 라이트 전원을 켤 수 있다. 사용자(1010)의 위치와 기기간의 거리는 전자 기기(410)가 센서부에 의해 센싱되는 주변 정보(일례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를 분석하여 계측할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거리를 얻기 위해, 전자 기기(410)가 사용자(1010)의 위치에서 기기까지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면서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예를 들면, 바퀴가 굴러가는 횟수를 이용하여 계산), 이러한 이동 거리에 더 기반하여 사용자(1010)의 위치와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410)가 측정하는 이동 거리는 사용자(1010)의 위치와 기기간의 거리와 차이가 있으나, 전자 기기(410)가 측정하는 발화 지점의 방향을 통해 얻어지는 각도, 전자 기기(410)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분석되는 특정 기기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 그리고 측정된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1010)의 위치와 기기간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음을 상술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 기기(410)는 공간 내의 모든 기기를 대상으로 할 필요 없이 사용자 명령을 적용 가능한 기기로 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 "이거 볼륨 높여줘"에 대해, 볼륨을 조절할 수 없는 기기들은 특정을 위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10)의 명령이 "켜줘" 일 경우, 사용자 주변에서 현재 꺼져있는 상태의 기기들을 특정을 위한 대상으로, 사용자 명령이 "보여줘"인 경우, 사용자 주변의 기기들 중 출력미디어의 형태가 디스플레이인 것 들을 특정을 위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앞서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10)는 연동된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도 9의 표(900)와 같이 전자 기기(410)에서 관리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기기의 특정을 위한 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사용자 명령 "이거 볼륨 높여줘"에 대한 대상에서 댁내 조명기기(1030)는 제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특정된 기기를 사용자(1010)에게 확인받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1010)와 가까운 다른 기기를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확인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명령을 적용 가능한 기기 A와 기기 B 중 기기 A를 특정하여 사용자(1010)에 확인받고, 사용자(1010)로부터 부정적인 답변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바로 기기 B를 특정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특정 가능한 기기가 하나인 경우, 전자 기기(410)는 별다른 확인 없이 바로 해당 기기에 대해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410)와 같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는 메모리(4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12)는 전자 기기(41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410)가 도 11의 정보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1110 내지 113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11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이동하면서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전자 기기(410)의 주변 정보를 센싱함으로써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는 카메라, 라이더(lidar), IMU,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이 주변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예들만을 설명하였으나, 주변 정보를 획득하여 공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410)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고, 현재 전자 기기(410)가 위치한 공간과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인식된 공간과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를 통해 전자 기기(410)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11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한 바 있다시피, 전자 기기(410)는 다양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130)에서 전자 기기(410)는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과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이 어느 공간인가를 파악하고, 파악된 공간과 관련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공간에 보다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랑' 과 '계량'과 같이 유사한 발음의 발화에 대하여, '주방'에서는 '개랑' 이라는 단어보다 '계량' 이라는 단어를 발화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개랑'과 유사한 발음의 발화가 청취된 경우, '주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계량'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반면, '거실'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개랑'으로 인식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오후 5시경에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주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요청과 무관하게 저녁 식사 준비를 위한 레시피의 종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현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자동차 열쇠나 우산 등을 챙길 것을 권유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종류는 전자 기기(410)가 이동하면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의 분석 및/또는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영상을 분석하여 인식되는 사물(일례로, 냉장고, TV, 침대 등)에 기반하여 해당 사물이 존재하는 공간을 추론하여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별 사용자의 발화의 내용 및 사용자의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시간대별로 패턴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화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관련된 공간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41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210)에서 전자 기기(410)는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의 주변으로 정보 제공 장치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는 도 11의 단계(112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1210)는 도 11의 단계(11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전자 기기(410)는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의 주변에서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 및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의 단계(1110)는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인 반면, 도 12의 단계(122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단계(1230)에서 전자 기기(410)는 결정된 공간 및 공간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1230)는 도 11의 단계(1130)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또는 사용자를 따라다니면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정된 단일 기기가 실내의 모든 공간을 커버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공간에 보다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별 및/또는 시간대별로 패턴화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공간에 보다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더 활용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먼저 이동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3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하여 통신 가능한 모든 다른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내에 위치하는 다른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외부 서버(22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가 관리하는 식자재의 수량이나 외부 서버(220)가 제공하는 날씨 정보 등이 외부 정보로서 전자 기기(410)에 수신될 수 있다.
단계(13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외부 정보와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
단계(1330)에서 전자 기기(410)는 예측된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도 11의 단계(1110)에서 인식한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된 사용자의 위치가 포함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의 과정에서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얻어지는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되는 공간 및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단계(1340)에서 전자 기기(410)는 미래 시점에 예측된 사용자의 위치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측된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시점에 예측된 위치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를 잊어버렸을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 기기(410)는 위치의 예측에 활용되었던 정보들을 통해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에서 수행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행위나 또는 예측된 위치에서 발생되었을 것으로 예상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기기(410)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관련 정보를 SMS 메시지나 메신저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410)는 단순히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고 먼저 예측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 맥락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된 단일 기기가 실내의 모든 공간을 다 커버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예측된 위치에 사용자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예측된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를 잊어버리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기기를 특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4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실내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도 9를 통해 전자 기기(410)가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일례를 설명한 바 있다. 도 9에서는 출력 미디어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출력 미디어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전자 기기들도 유사한 관점으로 관리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14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기반하여 실내의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기반하여 댁내 조명기기(1030)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단계(143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요청에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의 특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을 통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결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예를 설명한 바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음성요청이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여 실내의 전자 기기들 중 사용자의 명령이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를 한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한정된 전자 기기들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그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이동 거리에 더 기반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간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4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410)가 사용자의 발화에 따라 사용자의 주변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주변 기기들을 인식하여 인식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사용자의 발화에 알맞은 대상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을 제시함에 있어서 특정 기기를 전자 기기(410)에게 명확히 인식시키지 않고도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하면서 실내의 내부 환경을 수집함으로써, 실내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와 구분하여 인식된 구획된 복수의 공간들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먼저 예측된 위치로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미래 시점에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예측된 위치와 관련된 상황이나 행위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관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요청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와 전자 기기간 거리 및/또는 사용자의 명령의 적용 가능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공간들 각각의 사용 용도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상기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 각각의 사용 용도에 따른 종류와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의 주변으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공간별 사용자의 발화의 내용 및 공간별 사용자의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시간대별로 패턴화하고,
    상기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된 사용자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들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실내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실내의 전자 기기들을 제어하며,
    상기 음성요청에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의 특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요청이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여 상기 실내의 전자 기기들 중 사용자의 명령이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를 한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한정된 전자 기기들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위치로 이동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이동 거리에 더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8. 정보 제공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주변 정보를 센싱함으로써 복수의 공간들 각각의 사용 용도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포함하는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하여 인식된 복수의 공간들 각각의 사용 용도에 따른 종류와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의 주변으로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공간별 사용자의 발화의 내용 및 사용자의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시간대별로 패턴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된 사용자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들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 정보 및 공간별 및 시간대별로 패턴화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래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실내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음성 기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실내의 전자 기기들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요청에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의 특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주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117208A 2018-10-01 2018-10-01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08A KR102023161B1 (ko) 2018-10-01 2018-10-01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08A KR102023161B1 (ko) 2018-10-01 2018-10-01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619A Division KR101966253B1 (ko) 2017-06-09 2017-06-09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85A KR20180134785A (ko) 2018-12-19
KR102023161B1 true KR102023161B1 (ko) 2019-09-19

Family

ID=6500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208A KR102023161B1 (ko) 2018-10-01 2018-10-01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705A (ko) * 2022-11-02 202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743A (ja) * 2005-09-28 2007-04-12 Zmp:Kk 自律移動型ロボットとそ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59B1 (ko) * 2006-07-14 2008-03-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948B1 (ko) * 2008-12-10 2011-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1131499B1 (ko) * 2010-02-26 2012-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최적의 사운드 제공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30107555A (ko) * 2012-03-22 2013-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1511B1 (ko) * 2013-04-26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743A (ja) * 2005-09-28 2007-04-12 Zmp:Kk 自律移動型ロボットと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85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6630B2 (ja) 情報を提供する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395229B2 (ja) 状況認識のためのモバイル清掃ロボット人工知能
KR102025391B1 (ko) 사용자의 발화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KR102469753B1 (ko) 음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음성 인식 디바이스
AU201728501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n autonomous mobile robot
KR101949497B1 (ko) 사용자 발화의 표현법을 파악하여 기기의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 범위를 조정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EP3546869A1 (en) Refrigerator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JP6681940B2 (ja) ユーザの位置及び空間に適した情報を能動的に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9109510A (ja) 複数のウェイクワードを利用して人工知能機器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68725B1 (ko)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을 위한 미디어 선택
KR20200085143A (ko) 외부 장치를 등록하는 대화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161B1 (ko)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2822B1 (ko) 인공지능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CN110602197A (zh) 物联网控制装置和方法、电子设备
US1186779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 of u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255844B1 (ko)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168547A1 (en) Sound source localization for robot
US20220122604A1 (en) Information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20210405148A1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path of u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40049072A (ko)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공간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