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555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555A
KR20130107555A KR1020120029438A KR20120029438A KR20130107555A KR 20130107555 A KR20130107555 A KR 20130107555A KR 1020120029438 A KR1020120029438 A KR 1020120029438A KR 20120029438 A KR20120029438 A KR 20120029438A KR 20130107555 A KR20130107555 A KR 20130107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providing
network system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인
이상윤
이한규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555A/ko
Publication of KR2013010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 및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TRACING USER UNDER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활성화할 사용자 인식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한 사용자 인식 센서로 사용자를 인식하면,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적용하여 집안의 개인용 컴퓨터(PC), 가전 기기, 제어 기기를 포함한 시설과 휴대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을 통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이때,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다가 부엌에 볼일이 있어서 부엌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부엌에 있는 디바이스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TV에서 보던 프로그램을 찾고 표시하도록 수동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사용자가 시청하던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인식 센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었다.
그러나, 복수의 사용자 인식 센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인식 센서들이 계속 사용자를 추적해야 하므로 전력이 많이 소모되고, 별도의 센서 네트워크 설치가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항상 단말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위치 인식 장치나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사용자 동선 추적 장치가 없이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사용자 위치 인식 장치나 사용자 동선 추적 장치가 없어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식 센서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가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 및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센서 활성화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인식 센서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디바이스 중에서 사용자를 인식한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제3 디바이스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를 마지막으로 인식한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2 디바이스는 컨텐츠 제공 장치가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위치 인식 장치나 사용자 동선 추적 장치가 없어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활성화할 사용자 인식 센서를 선택함으로써, 최소한의 사용자 인식 센서만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센서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는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컨텐츠 표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복수의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12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디바이스 중에서 사용자를 인식한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1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어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디바이스에서 일정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 센서와,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활성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사용자 인식 센서를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TV, 사용자 단말기, 주방의 가전기기, 욕실의 유리스크린, 현관 도어 스크린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디바이스(110) 중 하나는 사용자(12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를 시청하던 사용자(120)가 이동하면, 컨텐츠를 표시하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디바이스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상황 정보는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110)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111),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112)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12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의 오른 쪽에 위치한 디바이스들을 제2 디바이스(112)로 분류하고, 제1 디바이스(111)의 왼 쪽에 위치한 디바이스들을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2 디바이스(112)로 분류한 디바이스들에게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112)들은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과 다른 방향에 위치한 제3 디바이스(113)가 사용자를 인식할 가능성은 없으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한 디바이스들에게는 활성화를 요청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할 가능성이 없는 디바이스가 불필요하게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디바이스(112) 중 하나가 이동한 사용자(121)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를 인식한 제2 디바이스(112)에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시청한 시점부터의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11), 제2 디바이스(112) 및 제3 디바이스(113)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분류하는 것이므로, 제1 디바이스(111)로 인식된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는 제2 디바이스(112)로 인식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111), 제2 디바이스(112) 및 제3 디바이스(113)의 분류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를 마지막으로 인식한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11)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11)는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의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인식하지 못한 사용자 각각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11)는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의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며, 인식 가능한 사용자의 숫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로부터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11)가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제1 디바이스(111)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함으로써, 컨텐츠를 시청할 사용자가 없는 제1 디바이스(111)가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로부터 인식 가능한 사용자의 숫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디바이스(111)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며, 제2 디바이스(112)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112)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부(210),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220), 및 센서 활성화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210)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디바이스(111)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210)는 제1 디바이스(111)가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11)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제1 디바이스(111)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못하는 상태의 제1 디바이스(111)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부(210)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112)에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11)에서 시청하던 컨텐츠를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11) 앞에서 이동하던 순간에 재생되던 부분부터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부(210)는 제2 디바이스(112)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2 디바이스(112)에게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210)는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220)가 이동 방향 정보와 같이 인식 가능한 사용자의 숫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숫자에 따라 복수의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숫자가 3명이라는 정보와 1명의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텐츠 제공부(210)는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를 제1 사용자로 정의하고,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제1 디바이스(111)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제1 상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210)는 나머지 2명이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나머지 2명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2 상황 정보로 저장하고, 2명이 각각 다른 시간에 이동하는 경우, 이동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2 상황 정보와 제3 상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210)가 상황 정보를 분류하는 기준은 시간이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동일한 시간에 이동하였으면 하나의 상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220)는 제1 디바이스(111)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활성화부(230)는 제2 디바이스(112)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센서 활성화부(23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센서 활성화부(230)는 복수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112)를 통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에 제1 디바이스(111)에서 이동한 경우는 상황 정보가 동일하므로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2명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시간에 제1 디바이스(111)에서 이동한 경우, 제1 상황 정보와 제2 상황 정보가 저장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 장면을 다르게 해야 한다. 따라서, 센서 활성화부(230)는 먼저 이동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112)를 제1 상황 정보와 매칭하고, 나중에 이동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112)를 제2 상황 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112) 중 하나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 제공부(210)가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11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300)가 거실에서 TV(310)를 켜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TV(310)를 제1 디바이스(111)로 분류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TV(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TV(310)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TV(310)가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공간은 도 3에서 TV(310)를 기준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00)가 부엌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300)는 TV(310)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감지 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TV(31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나 사용자(300)가 마지막으로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3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식별하고, 사용자(3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는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내장형 냉장고(320), 싱크대 상부에 결합되는 미니 디스플레이(330), PC(340), 및 침실 TV(350)의 위치가 TV(310)에서 어느 방향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까지 TV(310)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TV(310)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TV(310)에서 오른쪽 방향에 위치한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 및 PC(340)를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되어 사용자(300)를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하고,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 및 PC(340)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침실 TV(350)는 사용자(300)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인 왼쪽 방향에 위치하므로, 사용자(300)가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 즉, 침실 TV(350)의 사용자 인식 센서는 활성화 시켜도 의미가 없으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침실 TV(350)를 제3 디바이스로 분류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 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300)가 싱크대 앞(301)에 정지하는 경우, 미니 디스플레이(330)의 사용자 인식 센서는 사용자(300)를 인식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300)를 인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라 TV(310)에게 제공하던 컨텐츠를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미니 디스플레이(330)에 전송하고, 미니 디스플레이(330)는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300)는 자신이 TV(310)에서 마지막에 보았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300)가 이동하는 과정(302)에서 냉장고(320)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 인식 센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 신호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쳐 지나간 디바이스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320)는 사용자가 냉장고(320)의 사용자 인식 센서의 감지 영역을 통과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고, 식별한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냉장고(320)의 왼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는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냉장고(320)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미니 디스플레이(330)를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하여 사용자 인식 센서를 계속 활성화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통과한 냉장고(320)과 냉장고의 왼쪽에 있지 않은 PC(340)는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하여 사용자 인식 센서를 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를 감지할 가능성이 있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만을 활성화하고, 각각의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감지할 가능성이 없어지면, 사용자 인식 센서를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 인식 센서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300)가 복수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위치(303)에 정지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를 감지한 냉장고(320)과 미니 디스플레이(330) 중 하나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고, 냉장고(320)과 미니 디스플레이(33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냉장고(320)과 미니 디스플레이(330), 모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냉장고(320)에 제공하는 컨텐츠와 미니 디스플레이(330)에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동기화함으로써, 소리가 울리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냉장고(320)과 미니 디스플레이(330) 중 원하는 쪽을 보거나 양쪽을 번갈아 봐도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41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1 디바이스(111)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15)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41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415)에서 활성화한 사용자 인식 센서에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425)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420)에서 생성한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10)에서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상황 정보는 단계(S425)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1 디바이스(111)에 전송한 컨텐츠의 분량이나, 재생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3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25)에서 수신한 이동 방향 정보를 전송한 제1 디바이스(111)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함으로써, 컨텐츠를 시청할 사용자가 없는 제1 디바이스(111)가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44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25)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디바이스들을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S45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40)에서 선택한 제2 디바이스(112)들에게 센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과 다른 방향에 위치한 제3 디바이스(113)가 사용자를 인식할 가능성은 없으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한 디바이스들에게는 활성화를 요청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할 가능성이 없는 디바이스가 불필요하게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455)에서 제2 디바이스(112)들은 단계(S450)에서 수신한 센서 활성화 신호에 따라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112)에서 일정 영역 안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460)에서 제2 디바이스(112)들은 단계(S455)에서 활성화한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를 인식하였다는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7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30)에서 저장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라 단계(S460)에서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112)에 전송할 컨텐츠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25)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에 제1 디바이스(111)에 전송한 컨텐츠의 표시 시점을 제2 디바이스(112)에 전송할 컨텐츠의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S48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470)에서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한 컨텐츠를 단계(S460)에서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11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90)에서 제2 디바이스(112)는 단계(S48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제1 디바이스(111)에서 마지막에 보았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51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1 디바이스(11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10)에서 컨텐츠를 제공한 제1 디바이스(111)가 이동 방향 정보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가 이동 방향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단계(S510)에서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1 디바이스(11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30)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단계(S410)에서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상황 정보는 단계(S520)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1 디바이스(111)에 전송한 컨텐츠의 분량이나, 재생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111)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함으로써, 컨텐츠를 시청할 사용자가 없는 제1 디바이스(111)가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20)에서 수신한 이동 방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디바이스들을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S56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50)에서 선택한 제2 디바이스(112)들에게 센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여 제2 디바이스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S57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60)에서 활성화한 제2 디바이스(112)가 사용자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계(S570)을 반복할 수 잇다.
단계(S58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530)에서 저장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단계(S570)에서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11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는 단계(S520)에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에 제1 디바이스(111)에 전송한 컨텐츠의 다음 장면부터 컨텐츠의 마지막까지의 장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61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61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610)에서 수신한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단계(S620)에서 전송한 컨텐츠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63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65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640)에서 활성화한 사용자 인식 센서에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1)는 사용자 인식 센서에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단계(S640)를 수행하여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S660)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단계(S650)에서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11)는 생성한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67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S670)에서 전송한 이동 방향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컨텐츠의 제공이 중단되면, 컨텐츠의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컨텐츠를 시청할 사용자가 없는 제1 디바이스(111)가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710)에서 제2 디바이스(112)와 제3 디바이스(113)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센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센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제3 디바이스(113)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될 때까지 단계(S710)를 반복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 제2 디바이스(112)는 단계(S720)에서 수신한 센서 활성화 신호에 따라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112)에서 일정 영역 안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730)에서 제2 디바이스(112)들은 단계(S720)에서 활성화한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112)들은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할 때까지 단계(S730)을 반복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 사용자를 인식한 제2 디바이스(112)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를 인식하였다는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750)에서 제2 디바이스(112)는 단계(S740)에서 사용자 인식 신호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760)에서 제2 디바이스(112)는 단계(S75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제1 디바이스(111)에서 마지막에 보았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8은 도 3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810)과 제2 사용자(820)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사용자(810)과 제2 사용자(820)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제1 사용자(810)과 제2 사용자(820)가 거실에서 TV(310)를 시청하던 중 제1 사용자(810)가 부엌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300)는 TV(310)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감지 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TV(310)는 제1 사용자(810)과 제2 사용자(820)를 각각 인식함으로써, 인식 가능한 사용자의 수가 감소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TV(31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나 제1 사용자(810)가 마지막으로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제1 사용자(8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식별하고, 제1 사용자(8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는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내장형 냉장고(320), 싱크대 상부에 결합되는 미니 디스플레이(330), PC(340), 및 침실 TV(350)의 위치가 TV(310)에서 어느 방향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까지 TV(310)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제1 상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TV(310)에서 오른쪽 방향에 위치한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 및 PC(340)를 제1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되어 제1 사용자(810)를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하고,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 및 PC(340)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침실 TV(350)는 사용자(300)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인 왼쪽 방향에 위치하므로, 제1 사용자(810)가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 즉, 침실 TV(350)의 사용자 인식 센서는 활성화 시켜도 의미가 없으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침실 TV(350)를 제3 디바이스로 분류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 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사용자(810)가 싱크대로 이동하는 과정(811)에서 냉장고(320)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냉장고(320)는 제1 사용자(810)가 냉장고(320)의 사용자 인식 센서의 감지 영역을 통과한 경우, 제1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고, 식별한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사용자(810)가 냉장고(320)의 왼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는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냉장고(320)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미니 디스플레이(330)를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하여 사용자 인식 센서를 계속 활성화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통과한 냉장고(320)과 냉장고의 왼쪽에 있지 않은 PC(340)는 제3 디바이스(113)로 분류하여 사용자 인식 센서를 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남아서 TV(310)을 시청하던 제2 사용자(820)가 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TV(31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나 제2 사용자(820)가 마지막으로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제2 사용자(820)가 왼쪽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식별하고, 제2 사용자(820)가 왼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는 이동 방향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내장형 냉장고(320), 싱크대 상부에 결합되는 미니 디스플레이(330), PC(340), 및 침실 TV(350)의 위치가 TV(310)에서 어느 방향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까지 TV(310)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제2 상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TV(310)에서 왼쪽 방향에 위치한 침실 TV(350)를 제2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되어 제2 사용자(820)를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 제2 디바이스(112)로 선택하고, 침실 TV(350)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제2 디바이스로 선택되어 사용자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와 제2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침실 TV(350)이다. 즉,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를 시청하던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 사용자들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함으로써, 각 사용자들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81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냉장고(320), 미니 디스플레이(330)를 제1 사용자(810)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인 제1 상황 정보와 매칭하고, 제2 사용자(82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침실 TV(350)를 제2 사용자(820)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인 제2 상황 정보와 매칭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사용자(810)가 싱크대 앞(812)에 정지하는 경우, 미니 디스플레이(330)의 사용자 인식 센서는 제1 사용자(810)를 인식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제1 사용자(810)를 인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미니 디스플레이(330)와 매칭된 컨텐츠의 제1 상황 정보에 따라 TV(310)에게 제공하던 컨텐츠를 제1 사용자(810)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미니 디스플레이(330)에 전송하고, 미니 디스플레이(330)는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810)에게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810)는 자신이 TV(310)에서 마지막에 보았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가 침실 TV(350)의 앞(821)에서 정지하는 경우, 침실 TV(350)의 사용자 인식 센서는 제2 사용자(820)를 인식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제2 사용자(820)를 인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침실 TV(350)와 매칭된 컨텐츠의 제2 상황 정보에 따라 TV(310)에게 제공하던 컨텐츠를 제2 사용자(820)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침실 TV(350)에 전송하고, 침실 TV(350)는 수신한 컨텐츠를 제2 사용자(820)에게 제공함으로써, 제2 사용자(820)는 자신이 TV(310)에서 마지막에 보았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한 시점에 따라 각기 다른 상황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시간에 이동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했던 장면부터 이어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위치 인식 장치나 사용자 동선 추적 장치가 없어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활성화할 사용자 인식 센서를 선택함으로써, 최소한의 사용자 인식 센서만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센서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는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컨텐츠 표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컨텐츠 제공 장치
1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
111: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던 제1 디바이스
112: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
113: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되지 않은 제3 디바이스
120: 사용자

Claims (18)

  1.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방향 정보 수신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 및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카메라나 사용자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를 마지막으로 인식한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2 디바이스에게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장치.
  6. 사용자 인식 센서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디바이스 중에서 사용자를 인식한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제3 디바이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를 마지막으로 인식한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인식한 사용자의 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의 수와 관련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수와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컨텐츠 제공 장치가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2 디바이스 중 하나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사용자를 인식한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4.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카메라나 사용자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를 마지막으로 인식한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식별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한 컨텐츠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컨텐츠의 상황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2 디바이스에게 컨텐츠의 상황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029438A 2012-03-22 2012-03-2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07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38A KR20130107555A (ko) 2012-03-22 2012-03-2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38A KR20130107555A (ko) 2012-03-22 2012-03-2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55A true KR20130107555A (ko) 2013-10-02

Family

ID=496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38A KR20130107555A (ko) 2012-03-22 2012-03-2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55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58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37634A1 (en) * 2015-02-23 2016-09-01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US9766849B2 (en) 2014-11-03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80132276A (ko) * 2017-06-02 2018-12-12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4628A (ko) * 2017-06-09 2018-12-19 네이버 주식회사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4785A (ko) * 2018-10-01 2018-12-19 네이버 주식회사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47677A (ko) * 2017-06-02 2019-05-08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63334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3210B2 (en) 2014-01-02 2018-01-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80854A (ko) * 2014-01-02 2015-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102158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353656B2 (en) 2014-11-03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9766849B2 (en) 2014-11-03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WO2016137634A1 (en) * 2015-02-23 2016-09-01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US10382375B2 (en) 2015-02-23 2019-08-13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US11146518B2 (en) 2015-02-23 2021-10-12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KR20180132276A (ko) * 2017-06-02 2018-12-12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47677A (ko) * 2017-06-02 2019-05-08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4628A (ko) * 2017-06-09 2018-12-19 네이버 주식회사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4785A (ko) * 2018-10-01 2018-12-19 네이버 주식회사 무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63334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755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3565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US954463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017545B2 (ja) 視線によるデバイスの挙動の変更
US8666523B2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US20110109436A1 (en) Accelerometer-based ce device wireless access point mapping
US10338776B2 (en) Optical head mounted display, television portal modul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47385A (ko)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U2014230175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2862362B1 (en) Stream-based media management
EP341902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7582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80369B2 (ja) 機器識別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US201502568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911355A (zh) 显示装置
CN103218037A (zh) 信息终端、消费电子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程序
KR20060084165A (ko)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자기기의 동작 환경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33682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30321256A1 (en)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CN116113852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824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495617A (zh) 设备控制的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US9774814B1 (en)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CN115079822B (zh) 隔空手势交互方法、装置、电子芯片及电子设备
EP3930336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 connection with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