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901B1 -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901B1
KR102022901B1 KR1020190011683A KR20190011683A KR102022901B1 KR 102022901 B1 KR102022901 B1 KR 102022901B1 KR 1020190011683 A KR1020190011683 A KR 1020190011683A KR 20190011683 A KR20190011683 A KR 20190011683A KR 102022901 B1 KR102022901 B1 KR 10202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erminal
network
unit
control
net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9001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G07C9/00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 종의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예비적인 통신 구조를 통해서 통제 단말과 관제 단말의 기본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의 TCP/IP 네트워크에 대규모 네트워크 보수 시공 없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자의 인증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 단말과 통제 단말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제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부;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축되는 TCP/IP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부; 및 제1 네트워크부에 의한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 시 단말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실행되는 직렬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되, 관제 단말은, 통제 단말과의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 여부를 체크하고,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통제 단말과의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OF MULTI-TYPE NETWORK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출입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물 또는 특정 장소에 대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함에 있어서, 제어용 네트워크를 다종으로 구성하되, 특정 네트워크 전체의 데이터 송수신 불가능 시에도 효율적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을 작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 또는 특정 상황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및 화재 발생 장치 및 카드리더기와 연동하여 출입문 통제를 통한 보안성 증가 및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안이 필요한 특정 공간 또는 일반적인 잠금이 필요한 출입문을 통하여 출입을 해야 하는 영역에는 인증수단에 의하거나 외부의 제어에 의하여 인증된 출입자 또는 제어 상 허락된 시간 등에 대해서만 내장 또는 외장된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문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출입을 제어하고 있다.
출입 제어는 출입자 인증을 위해 마그네틱 카드(Magnet Card)나 소위 알에프아이디(RFID)로 알려진 비접촉 무선인증카드뿐만 아니라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지문, 홍채, 얼굴인식 등의 생체 인식센서 등의 인증 수단을 통해서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출입 제어를 수행하는 통제 단말과 통제 단말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인증 요청, 인증 수락 및 도어 개폐 등의 제어가 수행된다.
관제 단말에는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출입자 및 인증 수단 등의 데이터가 DB에 저장되어 있고, 통제 단말로부터 인식된 출입자의 인증 정보 또는 제어 요청 정보에 따라서 관제 단말은 통제 단말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할지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 1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 단말과 관제 단말에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문(10, 11)은 각각 통제 단말(20, 21)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며, 통제 단말(20, 21)은 네트워크(40)를 통해서 관제 단말(30)과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개폐 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네트워크(40)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상태에 있어서 네트워크(4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통제 단말(20, 21)과 관제 단말(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불가 또는 오류에 의하여, 출입문(10, 11)에 대한 개폐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화재 발생 등의 사고 발생 시 출입문(10, 11)의 폐쇄 등에 따른 인명 사고 발생 위험이 있고, 정상적인 기능 수행의 오류 발생을 통해 출입자들에게 큰 불편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10-1550340호를 포함한 기존의 기술에서는, 도 2과 같은 이중화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출입문(10, 11)을 제어하는 통제 단말(20, 21)과 관제 단말(30) 사이의 예를 들어 TCP/IP 네트워크 구조를 이중 네트워크(41, 42)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네트워크(41)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네트워크(42)를 통해 정상적으로 우회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 2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같은 TCP/IP 네트워크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데 불과하여, 예를 들어 관제 단말(30) 또는 통제 단말(20, 21)의 TCP/IP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 오류 또는 TCP/IP 네트워크 전체의 셧다운(Shut-Down)이 발생하는 경우,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화재 등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이 손상되는 경우, 결국 TCP/IP 네트워크 자체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해져, 인명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 및 2와 같은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 일 종의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예비적인 통신 구조를 통해서 통제 단말과 관제 단말의 기본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특히 해당 공간에 대한 재난 발생에 의하여 TCP/IP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 불가능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통제 단말에 대한 관제 단말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출입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출입문에 대한 통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실내의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출입문에 통제 단말과 연동되어, 출입자별 통제를 위하여 출입자의 카드 정보를 독출하여 출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 리더기와 새로운 구조로 연동됨으로써, 출입문 통제 시의 보안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출입자의 인증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 단말과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제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부; 상기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축되는 TCP/IP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부에 의한 상기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 시 단말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실행되는 직렬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부는, R23 및 R485 통신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한 직렬 통신을 위한 케이블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상기 통제 단말에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상기 통제 단말에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횟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통제 단말에 통신체크용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단말은,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통제 단말에 대한 쿼리 송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주기를 초기화하여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통제 단말에 대한 쿼리 송신이 감지된 후 상기 기설정된 주기가 경과 시 상기 통제 단말에 통신 체크용 쿼리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제 단말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주기는 상기 통제 단말마다 주기의 시점 및 주기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네트워크부는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신호만을 상기 관제 단말에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미감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네트워크 전환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은, 일 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어느 한 화재 감지 센서부와 연결된 통제 단말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 센서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통제 단말을 모두 해제하여 모든 출입 통제가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제 단말들에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부는, 상기 통제 단말에 연동되어 출입문의 입구에 설치된 제1 리더 및 출구에 설치된 제2 리더를 포함하고, 출입자의 식별 정보 및 출입 권한을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출입자의 카드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관제 단말에 전송하는 카드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카드리더부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동된 통제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카드리더부가 설치된 출입문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을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하고, 상기 카드리더부는, 상기 통제 단말과 상기 관제 단말 사이의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한 통신에 따라서 상기 관제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리더부는,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제 단말의 메모리에 기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1 네트워크부 및 제2 네트워크부의 통신 단절시 상기 카드리더부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동된 통제 단말이 수신하고, 카드리더부가 설치된 출입문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통제 단말의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 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이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단말은,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1 리더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2 리더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된 경우에만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하고,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2 리더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1 리더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된 경우에만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리더부와 상기 관제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부에 의한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리더부로터 상기 관제 단말에 관제 단말의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제 단말은,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카드리더부로부터 관제 단말에 송신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통제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CP/IP 네트워크 구조의 출입 통제 네트워크에 직렬 통신 방식의 이종의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이종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 특히 보조 연결 네트워크를 직렬 통신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사고 발생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의 손상 등에 의하여 TCP/IP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더라도, 관제 단말과 통제 단말의 직접 연결을 통해서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져, 통제 단말에 대한 관제 단말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출입문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CP/IP 네트워크 방식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에 직렬 통신 방식을 간단한 시공으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서,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교체 등의 시공 없이 상술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 에러 발생 대비를 위한 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출입 통제 시스템의 기능 수행력 향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 등과 연결되어 실내의 일 영역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전체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통제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사람들도 출입문 전체 개방을 통해서 화재 발생을 즉시 인지할 수 있고, 무조건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실내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문의 양방향에 설치된 제1 리더 및 제2 리더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의 카드리더부와 연동하여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보유하더라도 각 리더에 대한 센싱 및 출입 승인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출입 승인 결과가 되도록 하고, 카드리더기와 관제 단말의 제2 네트워크부에 의한 직렬 통신 방식에 의하여 카드리더부에서 관제 단말에 대한 제어 명령의 송신 및 송신 결과를 통제 단말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문 통제 시스템의 보안성 향상 및 다양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전환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체크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전환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화재 감지 센서부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카드리더부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리더부와의 연동을 통한 관제 단말의 출입 통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카드리더부에 의한 관제 단말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된다. 도 11은 상술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장치 및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된 시스템은, 통제 단말(20)과 관제 단말(30)을 포함하는 단말부와, 제1 네트워크부(50), 제2 네트워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통제 단말(20)은 상술한 출입문(10, 11)을 제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한 출입자의 인증과 함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에 의하여 출입문(10, 11)의 개폐에 대한 다양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출입문(10, 1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컴퓨팅 장치)을 의미한다.
통제 단말(20)은 이를 위해 출입문(10, 11)과 예를 들어 직렬 통신 방식(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직렬 통신은 시리얼 통신(Serial Commucation)으로도 지칭되며, 컴퓨터와 컴퓨터 간 또는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나의 전선을 통해 한 비트(bit)씩 순차적으로 보내는 통신 방식이다. 예를 들면, 8 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보내는데 8개의 통로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통로에 1 비트씩 차례대로 보낸다. 대표적인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RS-232C가 있으며 컴퓨터와 모뎀 간의 전송 등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직렬 통신 방식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식과 달리, 각 장치 사이를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서 직접 연결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네트워크부(60)가 직렬 통신 방식으로 구현되며, 통제 단말(20)과 관제 단말(30)이 이러한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네트워크부(60)의 직렬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R23 및 R485 통신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한 직렬 통신을 위한 케이블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R23은 상술한 R232C 방식 등을 대표하는 규격으로서, 컴퓨터의 표준 장비이기도 하며, 모델 및 마우스 연결 등에 사용되고 있고, 장치를 직렬 통신을 통해 대부분 제어할 수 있는 표준이다. R485 통신은 EIA-485로도 지칭되고, RS-485는 다른 표준인 RS-422A와 호환 가능한 표으로서, 신호선의 목적과 타이밍이 정의되지만 커넥터 대부분의 호환 제품은 주로 D-sub 25 핀 및 D-sub 9 핀 커넥터를 채택하게 된다. 직렬 통신은 장치 간 직렬 버스(Bus)를 통해 연결되어, 직선 케이블 또는 크로스 오버 케이블을 통해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네트워크부(50)는 기존의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제 단말(20)은 출입문(10, 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하며, 이때 통제 단말(20)은 정해진 규칙으로서, 시간 또는 특정 상황 등의 조건 하에서 출입문(10, 11)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출입문(10, 11)의 개폐는 도어 락의 잠금 및 해체 또는 출입문(10, 11)의 개폐 자체를 출입문(10, 11)에 장착된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제어하는 모든 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통제 단말(20)은 컴퓨팅 장치로서, 상술한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서 관제 단말(30)로부터 생성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출입문(10, 11)의 개폐를 제어한다.
관제 단말(30)에서 생성되는 제어 명령은, 상술한 조건 정보 및 통제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출입자의 인증 정보를 통한 인증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출입문(10, 11)의 구동에 대한 직접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통제 단말(20)에는 출입자의 인증을 통한 출입문(10, 11) 개폐 제어 시, 출입자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여 관제 단말(30)에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할 쿼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인증 정보는 관제 단말(30)에 전송될 것이며, 관제 단말(30)로부터 인증 처리에 따른 통제 단말(20)에 대한 출입문 제어(10, 11)에 대한 쿼리 정보가 출입문(10, 11)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서 생성되어 통제 단말(20)에 전송된다. 이에 대응되어, 통제 단말(20)로부터 출입문(10, 11)의 제어 결과에 대한 응답 정보가 관제 단말(30)에 전송되어 출입문(10, 11)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제어되고 있는지 여부를 관제 단말(30)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쿼리 및 응답 신호는 상술한 데이터 이외에 단순히 제1 네트워크부(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관제 단말(30)과 통제 단말(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관제 단말(30)은 통제 단말(20)과의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정상 통신 여부를 체크하고,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통제 단말(20)과의 네트워크를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전환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CP/IP 네트워크 구조의 출입 통제 네트워크에 직렬 통신 방식의 이종의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이종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 특히 보조 연결 네트워크를 직렬 통신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사고 발생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의 손상 등에 의하여 TCP/IP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더라도, 관제 단말(30)과 통제 단말(20)의 제2 네트워크부(60)의 직렬 연결 방식을 통한 네트워크 직접 연결을 통해서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져, 통제 단말(20)에 대한 관제 단말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출입문(10, 11)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CP/IP 네트워크 방식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에 직렬 통신 방식을 간단한 시공으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서,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교체 등의 시공 없이 상술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 에러 발생 대비를 위한 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출입 통제 시스템의 기능 수행력 향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 네트워크부(50)는 기존의 출입 제어가 필요한 건물 등에 시공된 상태가 일반적인데, 대규모 네트워크 시공 없이, 간단하게 직렬 연결 네트워크인 제2 네트워크부(60)를 보조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통해서 상술한 기능 수행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전환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30)은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하여 통제 단말(20)에 제1 네트워크부(50)의 정상 동작 여부 또는 출입문(10, 11) 개폐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쿼리를 송신하고, 통제 단말(20)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예를 들어 5s)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통제 단말(20)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통제 단말(20)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직렬 통신은 TCP/IP 통신에 비하여 그 특성 상 단순한 제어 명령을 신속하게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화재 발생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동작하도록, 최소한의 제어 명령을 통제 단말(20)에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부(60)로 네트워크가 전환되는 경우, 일괄적으로 관제 단말(30)로부터 통제 단말(20)에 출입문(10, 11)을 개방하도록 하여 출입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 단말(20)은 출입문(10, 11)이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 역시 다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관제 단말(30)은 통제 단말(2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 및 시리얼 정보 등)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전환이 필요한 통제 단말(20)을 식별하여 해당 통제 단말(20)과의 네트워크만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의 초과 여부에 의한 제어는, 단기 통신 오류 발생 시의 네트워크 전환에 따른 기능 수행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30)은,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하여 통제 단말(20)에 쿼리를 송신하고, 통제 단말(20)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예를 들어 5s)에 도달하지 않는 횟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 횟수(예를 들어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통제 단말(20)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통제 단말(20)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단순 일시 오류에 의하여 제1 네트워크부(50)의 동작이 중단되고 이후 정상적인 통신이 구현되는 경우에도, 제2 네트워크부(60)로의 네트워크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네트워크 전환에 따른 제어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오류 발생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1 네트워크부(50)의 기능 오류가 일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네트워크를 제2 네트워크부(60)로 전환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 있거나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부(60)에 의한 통신으로 네트워크가 전환된 후, 지속적으로 제1 네트워크부(50)에 대한 상술한 쿼리 및 응답 신호의 체크가 관제 단말(3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1 네트워크부(50)에 대한 상술한 쿼리 및 응답 신호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제 단말(30)은 다시 제1 네트워크부(50)로 네트워크 재전환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상술한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모니터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때 관제 단말(30)에는 네트워크의 전환에 대한 이력 정보 등을 히스토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쿼리 및 응답 신호는, 네트워크, 즉 통신 체크용 쿼리 및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제 단말(30)은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하여 통제 단말(20)에 제1 네트워크부(50)의 정상 동작 여부 또는 출입문(10, 11) 개폐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쿼리를 송신하고, 통제 단말(20)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예를 들어 5s)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통제 단말(20)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통제 단말(20)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해당 쿼리 및 응답 신호는 통신 체크용 쿼리 및 응답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관제 단말(30)은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분)마다 상술한 통신체크용 쿼리를 통제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쿼리 및 응답 신호는 통제 단말(20)에 의한 출입 통제에 관련된 인증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예, 즉 기설정된 주기마다 통신체크용 쿼리를 통제 단말(20)에 송신하는 데 있어서, 해당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신호가 송수신되는 경우 굳이 트래픽 증가 가능성이 있는 통신 체크용 쿼리를 지나치게 송신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서, 관제 단말(30)은, 도 5에 도시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주기(P1)가 경과되지 않은 시점(P2)에 있어서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관제 단말(30)로부터 통제 단말(20)에 대한 쿼리(QU) 송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술한 기설정된 주기(P1)를 초기화하여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관제 단말(30)로부터 통제 단말(20)에 대한 쿼리 송신이 감지된 후(T1) 상술한 기설정된 주기(P1)가 경과 시 통제 단말(20)에 통신 체크용 쿼리(Q1, Q2, Q3, Q4)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기설정된 주기가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부(50)의 기능 수행에 대한 체크가 해당 주기 내에는 이루어지지 않아서 잠재적인 통신 체크의 오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서, 통제 단말(20)이 다수개인 경우, 기설정된 주기는 통제 단말(20)마다 주기의 시점 및 주기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통제 단말(20)에 대한 주기가 길게 설정되더라도, 시점 및 주기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부(50) 전체에 있어서의 주기는 매우 짧게 유지될 수 있어, 잠재적인 통신 체크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 통신 체크용 쿼리를 통제 단말(20)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의 미수신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 및 판단하거나, 통신 체크용 쿼리가 없이 제1 네트워크부(50)의 정상 동작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도 6과 같은 다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전환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실시예를 포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제2 네트워크부(60)는 정상 모드에서 통제 단말(20)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신호만을 관제 단말(30)에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관제 단말(30)은, 통제 단말(20)로부터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미감지되는 상태로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네트워크 전환 신호를 수신 시,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통제 단말(20)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통제 단말(20)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대표적인 예로서, 쿼리 신호 관제 단말(30)로부터 통제 단말(20)로 송신될 필요가 없이, 반대 방향, 즉 통제 단말(20)로부터 제1 네트워크부(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가 관제 단말(30)에 전송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 지속적, 즉 상기 언급한 기설정된 주기 또는 해당 주기와 다르게 설정된 주기로 통제 단말(20)로부터 관제 단말(30)에 상술한 네트워크 전환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네트워크부(50)가 정상 동작하는 것은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로부터 동시에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제1 네트워크부(50)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는, 통제 단말(20)로부터 관제 단말(30)로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한 데이터 송신만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에서는 상술한 도 6과 같은 기능 수행을 통해서, 관제 단말(30)이 통제 단말(20)과의 정상적인 통신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와의 통신이 모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상술한 예를 기준으로 한 기능 수행을 통해, 동일한 직렬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내 모든 통제 단말(20, 21)끼리 자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화재 감지 센서부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제 단말(20, 21)은 관제 단말(30)과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시스템은 화재 감지 센서부(70)를 더 포함한다.
화재 감지 센서부(70)는 통제 단말(20)과 연동되며, 실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일 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센싱하는 기능 및 화재 발생 시 이에 대한 알림 신호를 통제 단말(20)을 통해 관제 단말(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관제 단말(30)은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 어느 한 화재 감지 센서부(70)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된 신호를 수신 시, 통제 단말(20, 21)과의 제1 네트워크부 및 제2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 선택적으로)를 통해 통제 단말(20, 21)의 출입문 통제를 모두 해제하여 모든 출입 통제가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통제 단말(20, 2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실내에 화재가 발생 시, 건물의 구조 및 규모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사람들도 출입문 전체 개방을 통해서 화재 발생을 즉시 인지할 수 있고, 무조건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실내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화재 발생에 의하여 어느 한 네트워크부가 손상되더라도, 안정적어도 제어 명령이 전달되어 화재 발생 시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각 통제 단말(20, 21) 사이에도 직렬 통신이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관제 단말(30)과 통제 단말(20, 21)의 제1 및 제2 네트워크부(50, 60) 모두가 손상되더라도 각 통제 단말(20, 21) 사이의 직렬 통신에 의하여 모든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카드리더부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스템, 구체적으로 단말부는, 통제 단말(20)에 연동되어 출입문(10)의 입구에 설치된 제1 리더(81) 및 출구에 설치된 제2 리더(82)를 포함하고, 출입자의 식별 정보 및 출입 권한을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출입자의 카드로부터 독출하여 관제 단말(30)에 전송하는 카드리더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드리더부(80)는 기본적으로 통제 단말(20)에 연결되어 있어, 관제 단말(30)은 카드리더부(80)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해당 카드리더부(80)와 연동된 통제 단말(20)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카드리더부(80)가 설치된 출입문(10)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통제 단말(20)의 동작을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리더부(80)는 통제 단말(20)과 관제 단말(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부(50) 또는 제2 네트워크부(60)를 통한 통신에 따라서 관제 단말(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제어된다.
한편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의 통신이 모두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위해서, 카드리더부(80)는, 관제 단말(30)로부터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통제 단말(2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됨으로써, 제1 네트워크부(50) 및 제2 네트워크부(60)의 통신 단절시 카드리더부(80)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카드리더부(80)와 연동된 통제 단말(20)이 수신하고, 카드리더부(80)가 설치된 출입문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통제 단말(20)의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 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제 단말(20)의 동작이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카드리더부(80)는 양방향 통행규칙(안티패스백, Anti-pass back)을 사용 시 통제 단말(20) 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하며,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단말(30)과의 실시간 통신 연결이 필요하며, 이 경우 상술한 예와 같이,카드리더부(80)와의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정상 통신 여부를 체크하고, 제1 네트워크부(50)를 통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카드리더부(80)와의 제2 네트워크부(61, 62)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2 네트워크부(61, 6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카드리더부(80) 역시 제1 네트워크부(50) 또는 제2 네트워크부(61, 62)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고, 통제 단말(20)과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식과 동일하게 연결을 제어하도록 하여, 제1 네트워크부(50)에 의한 통신 불가능 시에도, 제1 리더(81) 및 제2 리더(82)가 관제 단말(30)과 제2 네트워크부(61, 62)에 의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출입 통제 카드를 통한 출입 통제의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카드리더부(80)는 각 출입문(10)마다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제 단말(30)에서는 모든 출입문(10)에 대한 카드리더부(80)를 통해 독출된 인증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출입문(10)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어느 한 출입문(10)을 통해 실내에 입실한 사용자만이 정상적으로 같거나 다른 출입문을 통해 실외로 나가도록 제어하거나, 어느 한 출입문(10)을 통해 실외로 나간 사용자만을 정상적으로 같거나 다른 출입문을 통해 실내로 입실하도록 하는 제어 방식을 통해서, 출입문(10)을 통한 건물 실내 출입의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관제단말(30)은, 어느 한 출입문(10)에 대한 제1 리더(81)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2 리더(82)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판단 결과 출입이 승인된 적이 있는 경우에만 출입문(10)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어느 한 출입문(10)에 대한 제2 리더(82)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10)에 대한 제1 리더(81)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된 적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출입문(10)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리더부와의 연동을 통한 관제 단말의 출입 통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데이터 테이블(100)은 인증 데이터에 따른 출입 승인 여부가 판단된 누적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9의 데이터 테이블(100)을 참조하면, 인증 데이터 분석 결과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경우, 출입 내역에 관계 없이 승인이 불허될 것이다.
그러나 두 번째 및 세 번째 데이터를 살펴보면, 인증 데이터 상에서 출입 권한이 있고, 예를 들어 제2 리더에 인증 데이터가 독출된 경우,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1 리더를 통한 승인 내역이 있는 두 번째 데이터에는 승인되는 결과가 도출되는 반면, 제2 리더에만 승인 내역이 있는 세 번째 데이터에는 그 전에 제1 리더를 통한 승인 내역이 없기 때문에 승인이 불허되는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실내외를 출입하는 출입자들의 출입 내역까지 분석하여 출입을 승인하기 때문에 카드 위조 등을 통한 무단 칩입을 매우 높은 확률로 방지할 수 있어, 실내 보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카드리더부에 의한 관제 단말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카드리더부에 대한 어느 한 리더(81)와 관제 단말(30)은 서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부(TCP/IP) 및 제2 네트워크부(직렬 통신)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직렬 통신 방식의 특징을 이용하여, 카드리더부로터 관제 단말(80)에 관제 단말의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통제 단말은, 카드리더부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카드리더부로부터 관제 단말(30)에 송신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 데이터를 관제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통제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특정 카드를 카드리더부에 인식시킴으로써, 인증 절차를 통해서 관제 단말(30)에 원격 명령의 송신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수행 결과의 확인이 가능해져, 관제 단말(30)의 이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직렬 연결 방식은, CPU가 탑재되지 않은 더미(Dummy) 단말기를 통해 확장 연결하여 시스템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는 추가적으로 다수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가 필요한 경우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출입자의 인증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 단말과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제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부;
    상기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축되는 TCP/IP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부에 의한 상기 단말부에 포함된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 시 단말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실행되는 직렬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상기 통제 단말에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상기 통제 단말에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횟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하여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통제 단말에 통신 체크용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송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에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 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후 상기 제1 네트워크부에 대한 쿼리 및 응답 신호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제 단말은 다시 상기 제1 네트워크부로 네트워크 재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관제 단말에는 네트워크의 전환에 대한 이력 정보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저장하고,
    기설정된 주기마다 통신 체크용 쿼리를 상기 통제 단말에 송신함에 있어,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신호가 송수신되는 경우 통신 체크용 쿼리를 송신하지 않고,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통제 단말에 대한 쿼리 송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주기를 초기화하여 출입 통제에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통제 단말에 대한 쿼리 송신이 감지된 후 상기 기설정된 주기가 경과 시 상기 통제 단말에 통신 체크용 쿼리를 송신하고,
    상기 통제 단말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주기는 상기 통제 단말마다 주기의 시점 및 주기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부는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신호만을 상기 관제 단말에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통제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미감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네트워크 전환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한 상기 통제 단말과의 정상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통제 단말과의 통신을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부 및 제2 네트워크부와의 통신이 모두 문제 발생 시, 동일한 직렬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내 상기 통제 단말 간에 자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부는,
    상기 통제 단말에 연동되어 출입문의 입구에 설치된 제1 리더 및 출구에 설치된 제2 리더를 포함하고, 출입자의 식별 정보 및 출입 권한을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출입자의 카드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관제 단말에 전송하는 카드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카드리더부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동된 통제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카드리더부가 설치된 출입문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을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하고,
    상기 카드리더부는,
    상기 통제 단말과 상기 관제 단말 사이의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한 통신에 따라서 상기 관제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제어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1 리더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2 리더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된 경우에만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하고,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2 리더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 시, 같거나 다른 어느 한 출입문에 대한 제1 리더로부터 동일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된 경우에만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부는,
    R23 및 R485 통신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한 직렬 통신을 위한 케이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일 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어느 한 화재 감지 센서부와 연결된 통제 단말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 센서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통제 단말을 모두 해제하여 모든 출입 통제가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제 단말들에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부는,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제 단말의 메모리에 기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1 네트워크부 및 제2 네트워크부의 통신 단절시 상기 카드리더부에 의하여 독출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동된 통제 단말이 수신하고, 카드리더부가 설치된 출입문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및 기저장된 인증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통제 단말의 사전에 프로그램된 출입 제어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 단말의 동작이 통제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부와 상기 관제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부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부에 의한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리더부로부터 상기 관제 단말에 관제 단말의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제 단말은,
    상기 카드리더부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카드리더부로부터 관제 단말에 송신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통제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0190011683A 2019-01-30 2019-01-30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02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83A KR102022901B1 (ko) 2019-01-30 2019-01-30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83A KR102022901B1 (ko) 2019-01-30 2019-01-30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01B1 true KR102022901B1 (ko) 2019-09-19

Family

ID=6806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83A KR102022901B1 (ko) 2019-01-30 2019-01-30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7804A (ja) * 2007-05-31 2008-12-11 Denso Wave Inc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094258B1 (ko) * 2004-12-30 2011-12-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동작 상태 진단방법
KR101153945B1 (ko) * 2009-10-30 2012-06-08 (주)달구지 출입문 도어락 개폐 시스템
KR20130017663A (ko) * 2011-08-11 2013-0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63098B1 (ko) * 2012-04-17 2014-02-13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44905B1 (ko) * 2015-04-08 2016-08-04 디에스에스 주식회사 출입통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58B1 (ko) * 2004-12-30 2011-12-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동작 상태 진단방법
JP2008297804A (ja) * 2007-05-31 2008-12-11 Denso Wave Inc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153945B1 (ko) * 2009-10-30 2012-06-08 (주)달구지 출입문 도어락 개폐 시스템
KR20130017663A (ko) * 2011-08-11 2013-0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63098B1 (ko) * 2012-04-17 2014-02-13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44905B1 (ko) * 2015-04-08 2016-08-04 디에스에스 주식회사 출입통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664B2 (en) Multifunctional access control device
US20180322720A1 (en) Bi-directional access control system
US9947158B2 (en) Access control device commissioning
EP2877983B1 (en) Access control of an in-room safe
US20120096908A1 (en) Lock system
US20210390810A1 (en) Biometric enabled access control
US20240273958A1 (en) Ultra-wideband accessory devices for radio frequency intent detection in access control systems
KR101908988B1 (ko)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2901B1 (ko) 이종 네트워크 연결 구조의 출입 통제 시스템
CN113034752A (zh) 一种智能锁故障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50834A (zh) 一种基于多模式的电动门控制方法和安全门禁系统
KR102289969B1 (ko)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206649589U (zh) 一种指纹通关系统
EP3322131A1 (en) Central switch device
TWI591246B (zh) Access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and its unlocking method
EP3017433B1 (en) Secure mode for electronic access control readers
KR20120045914A (ko) 하나 이상의 전자식 터치센서를 이용한 무선 도어 잠금장치
KR102616509B1 (ko)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도어락 통신제어 방법
TWI715391B (zh) 保全系統
KR102289425B1 (ko)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646965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컴퓨터와 이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시스템
TWI735121B (zh) 保全系統
KR102234746B1 (ko)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1970706B1 (ko)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20059B1 (ko) 출입과 방범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