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77B1 -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77B1
KR102022877B1 KR1020170091561A KR20170091561A KR102022877B1 KR 102022877 B1 KR102022877 B1 KR 102022877B1 KR 1020170091561 A KR1020170091561 A KR 1020170091561A KR 20170091561 A KR20170091561 A KR 20170091561A KR 102022877 B1 KR102022877 B1 KR 10202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ld
condensation
intersection
condens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586A (ko
Inventor
이건주
Original Assignee
이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주 filed Critical 이건주
Priority to KR102017009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1Steering means; Means for avoiding obstacles; Detail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driver is accommod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6Propulsion of the whol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는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의 온도를 원격으로 측정하는 원격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교차점들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저온 교차점을 선별하는 습기 영역 선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는 실내 공간의 결로와 곰팡이를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APPARATUS OF DETECTING AND REMOVING CONDENSATION AND MOLD}
본 발명은 결로 및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의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결로와 곰팡이가 발생한 경우 제거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결로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는 지능형 로봇의 한 형태로, 청소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이다. 로봇 청소기는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이동경로 탐색과 동작제어 등이 가능하여 공간인식을 통해 실내 공간의 청소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초음파, 적외선, 범퍼 등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고 있으며, 장착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거리를 판별하여 충돌을 피해 청소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115(2003.04.21)호는 유리창에 발생하는 결로(結露)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적외선방출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영역과 고온영역의 온도차로 고온영역 측 유리창표면의 온도 하락으로 발생하는 결로(結露)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에서 90%가 흡수되는 파장 5,000~10,000nm의 원적외선방출기구를 장착하여 고온영역 측 유리창표면의 온도를 노점(露店)온도보다 높임으로서, 유리창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설비교체가 용이하면서도 고온영역의 온도를 낮추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0894(2006.09.26)호는 거주환경 내에서 로봇의 진행과 방향을 전환하는 바퀴구동부; 거주환경의 태양광선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 상기 조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태양광선의 조도에 따라 자외선/적외선을 조사시키는 자외선/적외선조사부; 상기 조도측정부와 자외선/적외선조사부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로봇팔구동부; 및 상기 바퀴구동부, 조도측정부, 자외선/적외선조사부 및 로봇팔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과 습기제거가 가능한 이동로봇이 제공된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115(2003.04.21)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0894(2006.09.2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내 공간의 결로와 곰팡이를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내 공간의 영역을 가상으로 구분하여 특정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을 선별하여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는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의 온도를 원격으로 측정하는 원격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교차점들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저온 교차점을 선별하는 습기 영역 선별부를 포함한다.
습기 영역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에 대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온도 측정부는 상기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특정 교차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적외선 온도계의 기계적 제어를 통해 상기 산출된 특정 교차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원격 온도 측정부는 벽면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교차점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적외선 온도계에 결합된 베이스의 팬틸트를 제어하여 상기 기계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습기 영역 선별부는 전체 교차점들의 평균온도 대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교차점을 상기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습기 영역 선별부는 현재 공간에서의 습도를 기초로 상기 습도 기준 온도를 가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저온 교차점에 대한 온도 편차에 따라 적외선 조사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벽면 이미지를 분석하여 곰팡이를 식별하는 곰팡이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곰팡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곰팡이가 있는 곰팡이 영역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는 실내 공간의 결로와 곰팡이를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는 실내 공간의 영역을 가상으로 구분하여 특정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을 선별하여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탐지 및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인식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도 측정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탐지 및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100)(이하,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라 한다.)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 습기 영역 선별부(120), 적외선 조사부(130), 카메라(140), 곰팡이 식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에 결로 현상을 예방하고 결로를 제거하고, 곰팡이를 제거하는 기능을 추가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종래의 로봇 청소기에서 수행하는 자율주행 기능이나 공간 인지 기능 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 기능에 의해 정해진 영역에서 결로를 탐지하거나 결로를 제거하고,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책상 또는 서랍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와 연동될 수 있고,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수행하는 표면온도 측정 작업 및 결로 또는 곰팡이를 제거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의 작업 수행 여부와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고, 원격으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 습기 영역 선별부(120), 적외선 조사부(130), 카메라(140), 곰팡이 식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를 통해 정해진 실내 공간 내에 메쉬형 측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쉬형 측정 영역은 정해진 실내 공간에 있는 벽면, 천장 또는 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을 격자 모양으로 세분화하여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인식되는 공간에 따라 메쉬형 측정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을 자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베이스(114)에 결합될 수 있고, 적외선 온도계(1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적외선 온도계(112)를 통해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의 온도를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특정 교차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를 (x,y) 좌표로 인식할 수 있고, 벽면과의 거리를 기초로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교차점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현재 위치가 측정 영역에 해당하는 벽면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교차점 간격을 크게 결정할 수 있고, 반대로, 현재 위치가 벽면과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교차점 간격을 작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차점 간격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있는 공간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적외선 온도계(112)의 기계적 제어를 통해 산출된 특정 교차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적외선 온도계(112)에 결합된 베이스(114)의 팬틸트(pan/tilt)를 제어하여 기계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베이스(114)에 결합되어 베이스(114)의 팬(pan)제어를 통해 적외선 온도계(112)의 좌우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틸트(tilt)제어를 통해 적외선 온도계(112)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온도 측정부(110)는 적외선 온도계(112)의 기계적 제어를 통해 메쉬형 측정 영역의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에 해당하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복수의 교차점들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저온 교차점을 선별할 수 있다.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측정 영역에 있는 전체 교차점들의 평균온도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특정 교차점을 결정할 수 있고, 특정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해당 교차점을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체 교차점들의 평균온도를 산출할 수 있고,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평균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결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체 교차점들의 평균온도 및 현재 공간에서의 습도를 기초로 습도 기준 온도를 산출할 수 있고, 여기에서 습도 기준 온도는 절대습도를 기반으로 현재 공간에 있는 수증기량에 따른 노점온도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가변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측정 영역의 평균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특정 교차점을 선별할 수 있고, 해당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 교차점을 결로가 생길 수 있는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해당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에 근접한 교차점을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측정 영역에 있는 전체 교차점의 평균온도를 기준으로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결정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측정 영역을 세분화하여 부분영역별 평균온도를 산출하여 특정 교차점을 결정할 수 있다.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특정 공간에서 자주 결로가 발생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 메쉬형 측정 영역을 보다 세분화하여 교차점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교차점의 평균온도를 산출할 때, 전체 영역이 아닌 2분할 또는 4분할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분할된 영역에서의 평균온도를 각각 산출하고,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분할된 영역별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과정을 통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보다 세분화된 영역에서의 습기 영역을 선별할 수 있으며, 자주 결로가 발생하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현재 있는 공간에 배치된 습도계 등을 통해 각 공간마다 습도를 수신할 수 있고, 습기 영역 선별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습도 기준 온도를 가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의 현재 공간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현재 있는 공간의 습도가 평균적으로 50%일 경우, 해당하는 공간의 습도 기준 온도를 30℃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내부에 습도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 설치된 습도계를 통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이동하는 모든 공간의 평균적인 습도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계절과 날씨 또는 사람이 주로 머무는 공간인지에 따라 습도 기준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습기 영역 선별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외선 조사부(130)는 저온 교차점으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에 대해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적외선을 이용해서 결로를 제거하고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적외선은 벽지 등에 깊이 침투할 수 있고, 열에 약한 곰팡이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적외선 조사부(130)는 반드시 적외선 만을 조사하지 않을 수 있고,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해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외선 조사부(130)는 저온 교차점에 대한 온도 편차에 따라 적외선 조사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조사부(130)는 적외선 조사 시간 및 적외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외선 조사량은 적외선을 조사하는 시간과 적외선의 빛 총량(또는 빛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적외선 조사부(130)는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조사되는 적외선의 빛 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조사부(130)는 습기 영역 선별부(120)를 통해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보다 10℃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을 10초로 결정할 수 있고, 온도 편차가 5℃이하인 경우에는 적외선 조사 시간을 5초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외선 조사부(130)는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볼록 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130)는 교차점에 조사하는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록 렌즈를 통해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와 초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조사부(130)는 볼록 렌즈를 통해 적외선이 조사되는 위치가 벽면인지 천장인지에 따라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카메라(140)와 곰팡이 식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카메라(140)를 통해 벽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곰팡이 식별부(150)에 전송하여 곰팡이 식별부(150)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고, 곰팡이를 식별할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130)는 곰팡이 식별부(150)를 통해 곰팡이가 식별되면 식별된 곰팡이가 있는 곰팡이 영역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통해 저온 교차점으로 여러 번 결정되는 영역을 곰팡이 발생 후보 영역으로 선별할 수 있고, 카메라(140)를 통해 해당 영역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곰팡이 발생 후보 영역의 이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곰팡이 식별부(150)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곰팡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곰팡이 발생 후보 영역으로 선별된 영역에 관한 위치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다른 측정 영역보다 자주 표면온도를 측정하거나 주기적으로 해당 영역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원격 온도 측정부(110), 습기 영역 선별부(120), 적외선 조사부(130), 카메라(140) 및 곰팡이 식별부(1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인식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서 수집되는 공간 데이터, 메쉬형 측정 영역의 교차점들에 관한 위치 데이터 및 각 공간별 온도 데이터 등을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이동하는 중에 특정 공간에 위치하여 공간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공간을 탐색할 수 있고, 해당 공간에 관한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31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현재 위치한 공간에 따라 해당 공간에 관한 정보를 구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안방, 거실 또는 침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처음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공간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공간을 파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에서 수행되는 2차원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벽면과 천장을 포함하는 3차원 공간 또한 인식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파악된 공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영역에서 제외될 영역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파악된 공간 정보를 공간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140)를 통해 공간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 공간에서 표면온도 측정 작업 또는 결로 제거 작업 등을 수행하지 않을 제외 영역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공간에서 제외될 영역을 선택한 결과를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공간 데이터 또는 공간 이미지에서 가전제품, 가구 또는 문과 같은 영역을 제외 영역으로 선택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창문을 포함하는 벽면, 외부와 연결되는 벽면 또는 태양광이 자주 비춰지지 않는 벽면 등을 집중 관리 영역으로 추가로 선택하여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해당 공간에서 제외되지 않은 영역을 관리 공간 정보로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다(단계 S34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관리 공간 정보를 기초로 표면온도 측정 작업 또는 결로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관리 공간에 관한 정보를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공간 인식 과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공간으로 이사를 가거나, 같은 공간이더라도 가전제품의 위치 또는 가구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위의 과정을 수행하여 관리 공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에서 수행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도 측정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현재 위치한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기설정된 관리 공간에 관한 정보를 통해 측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종래의 로봇 청소기에서 수행되는 자율 주행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메쉬형 측정 영역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S420). 일 실시예에서, 도 5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인식된 공간에 대해 표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메쉬형 측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관리 공간에 따라 교차점 간격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벽면과의 거리를 기초로 교차점 간격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결정된 집중 관리 영역일 경우 교차점 간격을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를 통해 교차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각 영역별 측정된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관리 공간별 측정된 온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계절과 날씨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표면온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관리 공간별 습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관리 공간마다 평균 수증기량을 산출할 수 있고, 각 공간에 따른 습도 기준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저온 교차점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습기 영역 선별부(120)를 통해 복수의 교차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선별할 수 있고, 특정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해당 교차점을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에서 저온 교차점을 결정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같은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안팎의 기온 차이가 큰 겨울 또는 여름인 경우와 습도 기준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창문을 포함하는 벽면 또는 외부와 연결되는 벽면에 해당하는 측정 영역의 경우에는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 측정 영역의 교차점 간격을 작게 설정하여 보다 세밀하게 표면온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4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된 교차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해당 교차점에서 결로 또는 곰팡이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된 중복 발생 횟수를 체크할 수 있다. 이 과정은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 내부에 포함되는 S/W를 통해 관리되거나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곰팡이 식별부(150)를 통해 곰팡이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S45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곰팡이 식별부(150)를 통해 해당 영역에 곰팡이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횟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5회 또는 10회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일정 횟수 이상 결정되는 저온 교차점을 집중 관리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에 관한 표면온도 측정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결정된 저온 교차점이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6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측정된 저온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또는 습도 기준 온도보다 1~2℃ 높은 온도로 도달하도록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해당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목표 온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곰팡이의 발생 유무에 따라 목표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저온 교차점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적외선 조사부(130)를 통해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인 경우라도 해당 교차점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단계 S47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저온 교차점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중복 발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이더라도 주기적으로 해당 영역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정된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에 따라 해당 영역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된 횟수가 0회인 교차점을 포함하는 영역은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주기를 평균 주기보다 적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균 주기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가 해당 영역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주기의 평균값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주일에 한번 또는 한달에 3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주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해당 교차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목표 온도에 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80).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적외선을 조사한 교차점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다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 적외선 온도계(112), 습기 영역 선별부(12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결로를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원격 온도 측정부(110), 습기 영역 선별부(120), 적외선 조사부(130), 카메라(140), 곰팡이 식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벽면 또는 천장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벽면 또는 천장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결로 또는 곰팡이를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결로 또는 곰팡이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위치 또는 공간에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고, 예를 들어, 책상 또는 서랍장에 놓여질 수 있으며, 유선으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현될 수 있다. 결로탐지 및 제거장치(100)는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구현되더라도, 설치된 공간을 인식하고, 천장, 벽면 또는 바닥의 온도를 측정하여 결로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110: 원격 온도 측정부 112: 적외선 온도계
114: 베이스 120: 습기 영역 선별부
130: 적외선 조사부 140: 카메라
150: 곰팡이 식별부 16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Claims (9)

  1.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복수의 교차점들의 위치를 산출하여 적외선 온도계에 결합된 베이스의 팬틸트를 제어하는 기계적 제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교차점들 각각의 온도를 원격으로 측정하는 원격 온도 측정부;
    상기 복수의 교차점들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저온 교차점을 선별하는 습기 영역 선별부;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를 기초로 선별된 곰팡이 발생 후보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벽면 이미지를 분석하여 곰팡이를 식별하는 곰팡이 식별부; 및
    상기 습기 영역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저온 교차점 및 상기 곰팡이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곰팡이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곰팡이 영역 각각에 대해 해당 저온 교차점의 중복 발생 횟수와 곰팡이 발생 유무를 기초로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온도 측정부는
    벽면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메쉬형 측정 영역에 있는 교차점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영역 선별부는
    전체 교차점들의 평균온도 대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특정 교차점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교차점의 온도가 습도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교차점을 상기 저온 교차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영역 선별부는
    현재 공간에서의 습도를 기초로 상기 습도 기준 온도를 가변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저온 교차점에 대한 온도 편차에 따라 적외선 조사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9. 삭제
KR1020170091561A 2017-07-19 2017-07-19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KR10202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1A KR102022877B1 (ko) 2017-07-19 2017-07-19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1A KR102022877B1 (ko) 2017-07-19 2017-07-19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86A KR20190009586A (ko) 2019-01-29
KR102022877B1 true KR102022877B1 (ko) 2019-09-19

Family

ID=6532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61A KR102022877B1 (ko) 2017-07-19 2017-07-19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3460A (zh) * 2020-05-11 2020-08-21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清洁设备的清洁路径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836595A (zh) * 2021-01-15 2021-05-25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和处理霉斑的系统及方法
CN112818763A (zh) * 2021-01-15 2021-05-18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机器人检测和处理霉斑的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059B1 (ko) * 2015-12-17 2017-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결로 발생 및 곰팡이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 및 열화상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15Y1 (ko) 2003-01-16 2003-05-09 준 최 결로(結露) 방지를 위한 원적외선방출장치
KR100630894B1 (ko) 2005-03-15 2006-10-04 주식회사 코맥스 살균과 습기제거가 가능한 이동로봇
KR20160113353A (ko) * 2015-03-18 2016-09-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간 살균장치 및 공간 살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059B1 (ko) * 2015-12-17 2017-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결로 발생 및 곰팡이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 및 열화상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86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2107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2739244B (zh) 移动机器人清洁系统
US10423163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22877B1 (ko) 결로와 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장치
JP2020124508A (ja) 清掃ロボットを動作させるコンピュータ実施される方法
KR102662949B1 (ko)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10921806B2 (en) Moving robot
CN108829115B (zh) 一种机器人的运动控制方法及其计算设备
US11700989B2 (en)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411491A (zh) 一种基于环境监测的家庭智能清洁系统及方法
CN105744219A (zh) 用于操作安全系统的方法和设备
EP3656269B1 (en)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62593B1 (ko)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및 장치, 그 기록 매체
KR20190098101A (ko) 에어컨
JP6368552B2 (ja) 空気調和機
WO2023098455A1 (zh) 清洁设备的运行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217540B1 (ko) 이동 로봇 및 복수의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CN114504273A (zh) 机器人控制方法及装置
WO20181779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unting and localizing occupants using thermal images
KR100781577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WO2019166354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le modalities for occupancy sensing
KR102390040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295141B1 (en) Security camera drone station detection
Vasileiadis et al. A living lab infrastructure for investigating activity monitoring needs in service robot applications
CN114494278A (zh) 地图分区与构建、物体识别与清扫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