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253B1 -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 Google Patents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253B1
KR102022253B1 KR1020180086988A KR20180086988A KR102022253B1 KR 102022253 B1 KR102022253 B1 KR 102022253B1 KR 1020180086988 A KR1020180086988 A KR 1020180086988A KR 20180086988 A KR20180086988 A KR 20180086988A KR 102022253 B1 KR102022253 B1 KR 10202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recovery
water
tank
adjust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중
Original Assignee
김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2018008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05B12/22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movable relative to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Y02A40/23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하우스 내부의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쿨러; 상기 스프링쿨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이랑의 폭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쿨러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쿨러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SPRINKLER DEVICE HAVING INJECTION ANGLE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등과 같이 논 또는 밭의 이랑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하우스 내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폭 방향으로 과도하게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 농작물의 생상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데, 재배 면적이 증가할수록 농작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많은 시간 및 인력을 필요로 한다.
그에 반해, 최근 농촌 인구가 감소하면서 인당 재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호스나 파이프의 급수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스프링쿨러를 농작물이 심어진 이랑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하여 일시에 전 재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쿨러는 설치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동일한 살수반경을 형성한다.
그러나 인삼과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하우스 내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경우, 살수반경이 작은 경우 스프링쿨러의 설치수량을 증가시켜 초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살수반경이 큰 경우 하우스의 폭 방향으로 분사된 물이 하우스 내벽을 타고 떨어지는 낙수에 의해 땅이 패여 밭 고르기 등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하우스의 폭 방향으로 양 측에 배치된 농작물에 수분을 과도하게 공급함에 따라 농작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KR 10-1613309 B1 (2016.04.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살수반경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하우스 내벽을 타고 떨어지는 낙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하우스 내부의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쿨러; 상기 스프링쿨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이랑의 폭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쿨러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쿨러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평면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탱크는, 상기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회수공간이 형성되고 그 평면이 개방된 회수바디; 및 평면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둘레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회수홀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수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커버는, 그 평면이 가장자리에서 그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탱크는,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회수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커버는 그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수바디의 저면에는 상기 공급라인이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 쿨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스프링쿨러에 물을 공급하는 메인탱크; 및 일단이 상기 회수탱크에 형성된 제3 관통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메인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탱크로 유입된 물을 상기 메인탱크로 재순환시키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각 조절부는,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원호(圓弧)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사각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회수탱크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메인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의 양 측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각 조절부를 펴고 접음으로써 물이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하우스의 길이 방향에 비해 짧은 폭 방향으로 양 단에 수분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농업용수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농작물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스의 폭 방향으로 내벽에 물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스 내벽을 타고 떨어지는 낙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농작물 재배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와 분사각 조절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분사각 조절부의 전개 정도에 따른 물의 분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에서 분사되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스의 내벽을 타고 떨어지는 낙수의 발생을 방지하고 농작물이 심어진 이랑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물이 분사되는 스프링쿨러(100)와 스프링쿨러(10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200)과 스프링쿨러(100)를 중심으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쿨러(1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300)을 포함한다.
스프링쿨러(100)는 회전되면서 이랑(10)에 심어진 농작물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 스프링쿨러(100)가 사용될 수 있으나, 물 및 약품 등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과 같이 농업용 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스프링쿨러(100)는 물 또는 농약 등 약품을 농작물에 직접 분사할 뿐만 아니라 수분 및 약품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 농작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쿨러(100)는 이랑(10)을 따라 지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농작물 상부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스의 천정에 위치하도록 하우스의 프레임 등에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분사각 조절부(300)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탱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와 분사각 조절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스프링쿨러(100)의 하방에 회수탱크(400)가 결합되고 회수탱크(400)의 평면 가장자리에 스프링쿨러(100)를 중심으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400)는 내부에 회수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회수공간(411)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분사각 조절부(300)는 일측이 상기 회수탱크(400)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스프링쿨러(10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스프링쿨러(1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300) 방향으로 분사된 물은 분사각 조절부(300)의 내벽을 따라 하방에 위치하는 회수탱크(400) 방향으로 안내되고, 분사각 조절부(300)가 설치되지 않은 전, 후방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쿨러(100)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분사각 조절부의 전개 정도에 따른 물의 분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부(3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일측이 회수탱크(400)의 평면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메인패널(310)과 메인패널(310)의 양 측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쿨러(1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한 쌍의 전개패널(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패널(310)은 상기 스프링쿨러(10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에 한 쌍의 전개패널(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은 한 쌍의 전개패널(320)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개패널(320)은 메인패널(310)에 대응된 원호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메인패널(310)의 양 측면을 통해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전개패널(320)을 메인패널(310)의 양 측에서 인출하여 전개시키는 경우 전개 분사각(θ2)은 전개패널(320)이 메인패널에 삽입된 초기 분사각(θ1)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수 있어, 스프링쿨러(100)와 하우스 내벽과의 거리 또는 이랑의 폭 등 다양한 설치 조건에 따라 전개패널(320)의 인출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400)는 평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회수공간(411)이 형성된 회수바디(410)와 개방된 회수바디(410)의 평면을 개폐하는 회수커버(420)를 포함한다.
이때, 회수커버(420)는 그 중심에 스프링쿨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관통홀(422)이 형성되며 제1 관통홀(422)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회수홀(4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스프링쿨러(100)에서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300) 방향으로 분사된 물은 경사진 분사각 조절부(300)의 내벽을 타고 회수홀(421)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수탱크(400)의 회수공간(411)에 저장됨으로써, 낙수로 인하여 땅이 패이거나 일부 농작물에 수분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농작물을 괴사시키는 등 농작물 생장에 악영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커버(420)는 그 평면이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300)의 가장자리에서 스프링쿨러(100)가 설치되는 제1 관통홀(422)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분사각 조절부(300)의 내벽을 따라 회수커버(420)의 평면으로 이동된 물은 경사진 회수커버(420)의 평면을 따라 회수홀(421)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낙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회수바디(410)는 제1 관통홀(422)에 설치된 스프링쿨러(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공급라인(200)이 관통되는 제2 관통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공급라인(200)이 제2 관통홀(412)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422)에 설치된 스프링쿨러(100)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프링쿨러(1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관통홀(412)은 회수바디(410)의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회수바디(410)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스프링쿨러(100)에 연결된 공급라인(200)의 타단이 연결되어 스프링쿨러(100)에 물을 공급하는 메인탱크(500)와 양단이 각각 메인탱크(500)와 회수바디(410)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회수라인(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수바디(410)에는 회수라인(600)이 연결되는 제3 관통홀(4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3 관통홀(413)은 회수바디(410)의 측면 하부 또는 그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회수탱크(400)로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회수라인(600)을 따라 메인탱크(500)로 재순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탱크(400)는 각각의 회수홀(4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수필터(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회수홀(421)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수라인(600)이 막혀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 및 보수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수라인(600) 및 공급라인(200)은 내부에 유동되는 물에 압력을 제공하는 회수펌프(610) 및 공급펌프(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는 공급라인(200)을 통해 메인탱크(500)로부터 공급받는 물은 스프링쿨러(100)를 통해 이랑(10)에 분사되어, 이랑(10)에 심어진 농작물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쿨러(100)는 이랑(10)의 폭 또는 하우스의 폭 등 설치환경에 따라 분사각 조절부(300)의 전개패널(320)의 인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그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쿨러(100)에서 분사각 조절부(300) 방향으로 분사된 물은 분사각 조절부(300)의 내벽을 따라 회수탱크(400)의 평면으로 이동되고 회수탱크(400)의 평면으로 이동된 물은 회수커버(420)의 경사진 평면을 따라 제1 관통홀(4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회수홀(421)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회수홀(421) 방향으로 이동된 물은 회수홀(421)을 통해 회수공간(411)에 저장되며, 회수공간(411)에 저장된 물은 다시 회수라인(600)을 따라 메인탱크(500)로 재순환됨으로써, 하우스 내벽에 분사되어 발생되는 낙수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랑 100: 스프링쿨러
200: 공급라인 300: 분사각 조절부
310: 메인패널 320: 전개패널
400: 회수탱크 410: 회수바디
411: 회수공간 412: 제2 관통홀
413: 제3 관통홀 420: 회수커버
421: 회수홀 422: 제1 관통홀
430: 회수필터 500: 메인탱크
600: 회수라인

Claims (9)

  1. 하우스 내부의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쿨러;
    상기 스프링쿨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이랑의 폭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쿨러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쿨러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 및
    평면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탱크는, 상기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회수공간이 형성되고 그 평면이 개방된 회수바디; 및 평면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둘레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분사각 조절부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회수홀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수커버;를 포함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커버는,
    그 평면이 가장자리에서 그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는,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회수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커버는 그 중심에 상기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수바디의 저면에는 상기 공급라인이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 쿨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스프링쿨러에 물을 공급하는 메인탱크; 및
    일단이 상기 회수탱크에 형성된 제3 관통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메인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탱크로 유입된 물을 상기 메인탱크로 재순환시키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각 조절부는,
    상기 스프링쿨러를 중심으로 원호(圓弧)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사각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회수탱크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메인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의 양 측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개패널;을 포함하는,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KR1020180086988A 2018-07-26 2018-07-26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KR10202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88A KR102022253B1 (ko) 2018-07-26 2018-07-26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88A KR102022253B1 (ko) 2018-07-26 2018-07-26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253B1 true KR102022253B1 (ko) 2019-09-18

Family

ID=6807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88A KR102022253B1 (ko) 2018-07-26 2018-07-26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0324A (zh) * 2020-01-20 2020-06-09 深圳瑞欧光技术有限公司 环保led灯具扩散片喷涂装置
CN116135006A (zh) * 2023-03-30 2023-05-19 广东宝地南华产城发展有限公司 一种厂区绿地喷淋的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680A1 (en) * 1990-12-05 1992-06-10 Lego M. Lemelshtrich Ltd. Static sector-type water sprinkler
KR200263591Y1 (ko) * 2001-11-21 2002-02-06 윤명길 스프링 쿨러
US20090188991A1 (en) * 2007-12-07 2009-07-30 Bowles Fluidics Corporation (A Md Corporation) Irrigation nozzle assembly and method
JP2012200203A (ja) * 2011-03-25 2012-10-22 Mai Shoda 薬液噴霧器
KR20130023537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KR101613309B1 (ko) 2013-12-05 2016-04-25 주식회사 제이엘콥홀딩스 농업용 회전식 스프링쿨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680A1 (en) * 1990-12-05 1992-06-10 Lego M. Lemelshtrich Ltd. Static sector-type water sprinkler
KR200263591Y1 (ko) * 2001-11-21 2002-02-06 윤명길 스프링 쿨러
US20090188991A1 (en) * 2007-12-07 2009-07-30 Bowles Fluidics Corporation (A Md Corporation) Irrigation nozzle assembly and method
JP2012200203A (ja) * 2011-03-25 2012-10-22 Mai Shoda 薬液噴霧器
KR20130023537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KR101613309B1 (ko) 2013-12-05 2016-04-25 주식회사 제이엘콥홀딩스 농업용 회전식 스프링쿨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0324A (zh) * 2020-01-20 2020-06-09 深圳瑞欧光技术有限公司 环保led灯具扩散片喷涂装置
CN116135006A (zh) * 2023-03-30 2023-05-19 广东宝地南华产城发展有限公司 一种厂区绿地喷淋的装置及使用方法
CN116135006B (zh) * 2023-03-30 2023-10-20 广东宝地南华产城发展有限公司 一种厂区绿地喷淋的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53B1 (ko) 분사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 장치
US20120126036A1 (en) Non pressure compensated drip irrigation emitter with multiflow facility
US7942606B2 (en) Groundwater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water flow regulator
KR101500428B1 (ko) 분리조립이 가능한 식생포트와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용 식생장치 및 벽면녹화 시스템
CN211657241U (zh) 一种园林种植用打药装置
US20230086006A1 (en) Sub-surface soil irrigation
US8317114B1 (en) Dual span center pivot irrigation system
KR101902280B1 (ko)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분사장치
US20080219769A1 (en) Root-irrigation pipe and root-irrigation system
CA2863935A1 (en) Garden plot watering enclosure
US20210037730A1 (en) Hydroponic System Module
KR101595508B1 (ko)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US11375678B2 (en) In-ground water distribution assembly
CN211297857U (zh) 一种温室大棚内自动给水系统
KR20220124887A (ko) 지중점적관수장치
CN210054039U (zh) 一种苗木种植试验种植箱
KR101458711B1 (ko) 토양환경 개선형 에어하우스
CN208242503U (zh) 一种新型树木滴灌装置
DE202020104856U1 (de) Vorrichtung zum Verlegen eines Schlauchs
CN207054059U (zh) 设置水滴管道布管装置的播种设备
KR200469311Y1 (ko) 이동식 수경 재배 장치
KR200486330Y1 (ko)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CN213095342U (zh) 设置在园林内的蓄水灌溉装置
KR19990073530A (ko) 안개식 방제장치의 배관방법
CN211671625U (zh) 一种便于灌溉的大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