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887A - 지중점적관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점적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887A
KR20220124887A KR1020210028546A KR20210028546A KR20220124887A KR 20220124887 A KR20220124887 A KR 20220124887A KR 1020210028546 A KR1020210028546 A KR 1020210028546A KR 20210028546 A KR20210028546 A KR 20210028546A KR 20220124887 A KR20220124887 A KR 2022012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gation
water
water supply
water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21002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887A/ko
Publication of KR2022012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서 막히지 않으면서 점적상태로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효과적인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급수량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중점적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수부(1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은 후 관수유입공(15)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 연결부(10); 관수배출구(25)를 통해 물을 점적 형태로 배출하도록 급수관 연결부(1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관수배출부(20);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 사이에 구비되어 관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조절부(30); 및 토양에 삽입 설치되어 관수배출부(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일정 깊이로 공급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배출부(20)에 결합되는 관수유도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점적관수장치{Under Ground Drip-wa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중점적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서 막히지 않으면서 점적상태로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효과적인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급수량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중점적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적관수방법은 지표면에 일정한 호스나 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호스나 배관 내부에 점적 상태로 물이 유출되도록 섬유나 별도의 미세한 굴곡된 통로를 통해 물이 직진으로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방울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 관수 방법을 의미한다.
점적관수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고랑으로 물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약 75% 이상의 물이 절감된다. 다만, 점적관수장치는 배출구가 거의 막혀 있는 미세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므로, 높은 압력을 가해야만 미세한 구멍에서 물방울 형태로 물이 배출된다.
상기한 점적관수방법은 1930년대에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이래,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절수형 관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적관수 방법은 관수 방법이 간단하고 관수 시설비가 저렴하면서 관수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일반 작물에 관수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의 점적관수방법은 개체 수가 많고 식재 거리가 조밀한 작물 재배에는 매우 적합하지만, 과수나무나 가로수 조림과 같은 개체 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식물의 관수에는 물 낭비가 많아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일정 간격으로 일률적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긴 구성체로 만들어져 있다 보니 실제 필요한 곳에 떨어지는 물방울보다 필요치 않은 곳에 떨어지는 물방울로 인해 3배 이상의 물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이 매우 귀한 사막지역에서는 작물재배나 과수 및 나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수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에 따라, 지상이 아닌 지중에서 관수하는 지중 점적관수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점적관수 방법은 강한 수압으로 물을 공급하지만 출구측은 수압이 없는 물방울 형태로 관수하는 방법이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지중에서 관수를 멈추었을 때 토압 등에 의해 토양의 잔류물이 역류하여 미세공을 막게 되고 이로 인해 관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중으로의 직접적인 점적관수는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중으로 관수하는 경우에는 점적관수에 필요한 미세공보다 작은 구멍을 가진 관수기를 땅속으로 박아서 수압을 가함으로써 토압 등에 의해 관수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양의 관수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지중관수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땅을 파서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물의 공급을 위한 급수부에도 연결하기가 어려워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국내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상단에 내부가 중공된 호스연결부와 상기 호스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외향플랜지와 하단에 흙에 꽂을 수 있도록 꽂이창부가 하단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공된 호스연결부와 상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관수가이드홈과; 상기 몸체의 관수가이드홈으로부터 연장되는 관수홈과; 상기 관수가이드홈과 관수홈 사이에 형성되는 물흐름관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물이 스틱 몸체를 타고 흐르는 과정에서 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관수홈을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스틱 몸체를 기울어지게 꽂더라도 물의 흐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찰부를 통해 물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으며, 교차가이드편에 의해 물이 교차가이드편을 따라 몸체의 양측으로 교차하여 흐를 수 있음에 따라 배지가 균일하게 젖어 들어옴으로써 식물의 뿌리에 보다 균일한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발육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관수용 점적스틱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내부관체, 상기 내부관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관체, 상기 내부관체 및 외부관체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유공관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유공관 및 외부관체 사이에 개재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유공관 및 내부관체 내부는 수분을 흡수하는 함수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부관체는 중심축으로부터 외면상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가 일정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부직포 섬유 조직 사이에 활성탄 또는 카본필터를 포함하며, 유공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함수부재를 통하여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됨으로써, 초목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여 고사를 방지하는 한편, 함부수부재 의하여 수분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지중의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토양 과습에 의한 초목의 생육불량 및 뿌리썩음을 방지할 수 있는 관수용 점적관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주입구가 형성된 상단이 지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세로파이프와, 제1 세로파이프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세로파이프와, 제1,제2 세로파이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 및 제1,제2 세로파이프 또는 가로파이프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지속적으로 수목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호스 끝단부를 뿌리부분에 쉽게 박아 넣을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수목뿌리 주변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KR 10-1491348 B1 KR 10-2018-0094744 A KR 10-2019-0082466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서 막히지 않으면서 점적상태로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효과적인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급수량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일반 점적관수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료와 함께 관수하여 관비의 효과를 높이면서도 지표면에서 낭비되는 비료의 양을 줄이고 토양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수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은 후 관수유입공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 연결부; 관수배출구를 통해 물을 점적 형태로 배출하도록 급수관 연결부에 연결되는 관수배출부; 급수관 연결부와 관수배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관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조절부; 및 토양에 삽입 설치되어 관수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일정 깊이로 공급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배출부에 결합되는 관수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 연결부는 중앙에 관수유입공이 형성되고 관수배출부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실형의 몸체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돌출배관과, 몸체와 돌출배관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상기 관수배출부는 급수관 연결부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체결부와, 관수유도관이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체결부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구획하며 중앙에 관수배출구가 구비된 분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상기 관수조절부는 급수관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점적 형태로 관수배출부로 빠져나가도록 급수관 연결부와 관수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점적형성 섬유판과, 급수관 연결부와 관수배출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급수량 조절을 위해 조임량이 변화되는 나사결합부와, 조임 간격의 고정을 위하여 나사결합부에 구비되는 관수조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상기 관수유도관은 토양에 삽입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후단부가 관수배출부에 체결되며 관수배출부에서 떨어진 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측부에 길이 방향의 슬롯홀이 구비된 내부관과, 슬롯홀을 막아 내부관의 안쪽으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외부관을 포함하며, 내부관의 하단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부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내부관이 체결되는 관수배출부의 하단과 외부관의 상단 사이에 일정 정도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내부관이 관수배출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 연결부는 급수배관의 배관소켓에 직접 연결되거나 양단이 각각 급수호스에 연결되는 T자형 접속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는 땅속에서 점적방식으로 물을 공급함에 따라 기존의 지상점적관수 방식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1/3~1/5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이중구조의 관수유도관을 사용함에 따라 지중에서도 점적관수가 가능하고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급수부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여 과수원의 지형과 토질 및 지하수 공급량이 다소 열악하여도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관수가 불가능한 오지나 건조지역에서도 과수나 조림 및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관수량 조절부를 통해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관수가 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식물의 여건에 따른 선택적으로 관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점적관수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동력을 가하지 않고도 관수가 가능하며, 관수량 조절을 통해 먼 거리 또는 넓은 면적에서 재배되는 작물 개체간의 관수량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지중에 박아 넣은 관수유도관을 통해 작물의 뿌리 부근으로 관수함에 따라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비료와 함께 관수하여 지표면에서의 비료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관리의 절약과 더불어 토양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작물의 뿌리 부분에 직접 관수함에 따라 지표면 관수로 인한 잡초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따르면, 지중점적관수에 의해 물의 사용량이 대폭 줄어듬에 따라 지하수 사용량이 감소되고 저장시설과 동력의 사용 경비와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급수관 연결부 및 관수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와 급수부의 연결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이용하여 수목에 관수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급수관 연결부 및 관수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의 설치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와 급수부의 연결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이용하여 수목에 관수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점적관수장치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은 후 관수유입공(15)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구(25)를 통해 물을 점적 형태로 배출하도록 급수관 연결부(1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관수배출부(20)와;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 사이에 구비되어 관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조절부(30)과; 토양에 삽입 설치되어 관수배출부(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일정 깊이로 공급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배출부(20)에 결합되는 관수유도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관 연결부(10)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수유입공(15)이 형성되고 관수배출부(20)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 중실형의 몸체(11)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돌출배관(13)과, 몸체(11)와 돌출배관(13)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 연결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배관(110)의 배관소켓(115)에 직접 연결되거나 양단이 각각 급수호스(120)에 연결되는 T자형 접속구(12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소켓(115)으로 상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관 연결부(10)의 돌출배관(13)은 상용 배관재의 규격에 맞는 크기로 제작하며, 상기 몸체(11)에 형성되는 관수유입공(15)은 대략 3㎜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수배출부(20)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 연결부(10)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21')가 형성된 제1체결부(21)와, 관수유도관(40)이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체결부(22)와, 제1체결부(21)와 제2체결부(22)를 구획하며 중앙에 관수배출구(25)가 구비된 분리벽(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22)는 제1체결부(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수조절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 연결부(1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점적 형태로 관수배출부(20)로 빠져나가도록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점적형성 섬유판(31)과,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급수량 조절을 위해 조임량이 변화되는 나사결합부(32)와, 조임 간격의 고정을 위하여 나사결합부(32)에 구비되는 관수조절링(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적형성 섬유판(31)은 점적관수를 위한 것으로, 가벼우면서도 화학물질에 의한 변질이 적고 쉽게 부패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뭉친 후 가압하여 원형판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에 따라, 급수관 연결부(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점적형성 섬유판(31)을 구성하는 섬유 사이를 통과한 후 관수배출부(20)로 천천히 배출된다.
상기 나사결합부(32)는 급수관 연결부(10)의 몸체(11)에 형성된 나사부(12)와 관수배출부(20)의 제1체결부(21)에 형성된 나사부(2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사결합부(32)를 조이거나 풀어줌에 따라 급수량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관수조절링(33)은 나사합부(32)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를 사용하거나,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다수의 관수조절링(33)을 사용하게 되는데, 관수조절링(33)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관수량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참고로, 1㎜ 두께의 관수조절링(33)을 사용하게 되면, 관수조절부(30)를 구성하는 급수관 연결부(10) 또는 관수배출부(20)의 마찰면과 점적형성 섬유판 사이의 간극이 1㎜로 조절되므로, 작물의 종류나 토양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관수조절링(33)의 두께를 조절한다. 따라서, 같은 밭에서도 개체에 따라 관수량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먼 거리에 있거나 넓은 면적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고르게 관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수유도관(40)은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에 삽입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후단부가 관수배출부(20)에 체결되며 관수배출부(20)에서 떨어진 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측부에 길이 방향의 슬롯홀(42)이 구비된 내부관(41)과, 슬롯홀(42)을 막아 내부관(41)의 안쪽으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관(4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외부관(43)과, 내부관(41)의 하단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부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수유도관(40)은 관수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물방울을 일정 깊이의 지중으로 내려보내는 것으로, 관수유도관(40)의 내부관(41)이 관수배출부(20)에 체결되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수유도관(40)을 관수배출부(20)에 결합시킬 경우에만 지중관수 기능이 발생하고, 상기 관수유도관(40)을 관수배출부(20)로부터 분리하면 관수배출부(20)에서 물방울이 배출되는 일반관수기로 전환된다.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3)이 별도 개체로 분리되어 있으며, 외부관(43)을 내부관(41)에 끼우면 이중관의 형태가 된다. 그리고, 내부관(41)의 슬롯홀(42)을 통해 배출된 물이 내부관(41)과 외부관(43) 사이로 흐른 후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관(41)이 체결되는 관수배출부(20)의 하단과 외부관(43)의 상단 사이에 대략 5㎜ 정도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내부관(41)이 관수배출부(2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3) 사이의 틈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관(43)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3)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관수유도관(40)을 땅에 밀어넣으면 외부관(43)이 상승하여 상부의 틈을 막아주게 되고 하부는 내부관(41)의 뾰족한 선단부와 플랜지(44)가 내부관(41)의 안쪽으로 토양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관수유도관(40)을 마음놓고 땅속에 밀어넣더라도 토양이 내부로 유입되어 막히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중점적관수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의 하단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설치된 급수부에 연결되어 나무의 뿌리 부분에 점적관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수유도관(40)은 대략 지면으로부터 15~20㎝ 떨어진 위치로 관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 필요한 부분에만 지중관수장치를 설치하고 관수량 조절을 통해 각 개체마다 관수량을 달리할 수 있다. 물론, 직선 형태의 급수부에 구비된 배관소켓(115)이나 T자형 접속구(125)에 지중점적관수장치를 연결하여 관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급수관 연결부 11...몸체 12...나사부 13...돌출배관 14...플랜지 15...관수유입공 20...관수배출부 21...제1체결부 21'...나사부 22...제2체결부 23...분리벽 25...관수배출공 30...관수조절부 31...점적형성 섬유판 32...나사결합부 33...관수조절링 40...관수유도관 41...내부관 42...슬롯홀 43...외부관 44...플랜지 100...급수부 110...급수배관 115...배관소켓 120...급수호스 125...T자형 접속구

Claims (6)

  1. 급수부(1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은 후 관수유입공(15)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 연결부(10); 관수배출구(25)를 통해 물을 점적 형태로 배출하도록 급수관 연결부(1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관수배출부(20);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 사이에 구비되어 관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조절부(30); 및 토양에 삽입 설치되어 관수배출부(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일정 깊이로 공급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배출부(20)에 결합되는 관수유도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 연결부(10)는 중앙에 관수유입공(15)이 형성되고 관수배출부(20)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 중실형의 몸체(11)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돌출배관(13)과, 몸체(11)와 돌출배관(13)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관수배출부(20)는 급수관 연결부(10)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21')가 형성된 제1체결부(21)와, 관수유도관(40)이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체결부(22)와, 제1체결부(21)와 제2체결부(22)를 구획하며 중앙에 관수배출구(25)가 구비된 분리벽(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관수조절부(30)는 급수관 연결부(1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점적 형태로 관수배출부(20)로 빠져나가도록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점적형성 섬유판(31)과, 급수관 연결부(10)와 관수배출부(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급수량 조절을 위해 조임량이 변화되는 나사결합부(32)와, 조임 간격의 고정을 위하여 나사결합부(32)에 구비되는 관수조절링(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관수유도관(40)은 토양에 삽입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후단부가 관수배출부(20)에 체결되며 관수배출부(20)에서 떨어진 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측부에 길이 방향의 슬롯홀(42)이 구비된 내부관(41)과, 슬롯홀(42)을 막아 내부관(41)의 안쪽으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관(4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외부관(43)을 포함하며, 내부관(41)의 하단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부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44)가 구비되고, 내부관(41)이 체결되는 관수배출부(20)의 하단과 외부관(43)의 상단 사이에 일정 정도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내부관(41)이 관수배출부(2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 연결부(10)는 급수배관(110)의 배관소켓(115)에 직접 연결되거나 양단이 각각 급수호스(120)에 연결되는 T자형 접속구(1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점적관수장치.
KR1020210028546A 2021-03-04 2021-03-04 지중점적관수장치 KR2022012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46A KR20220124887A (ko) 2021-03-04 2021-03-04 지중점적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46A KR20220124887A (ko) 2021-03-04 2021-03-04 지중점적관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87A true KR20220124887A (ko) 2022-09-14

Family

ID=8327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46A KR20220124887A (ko) 2021-03-04 2021-03-04 지중점적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4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3823A (zh) * 2023-10-10 2023-11-17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一种林下种植中药材滴灌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48B1 (ko) 2013-11-14 2015-02-10 이영수 관수용 점적스틱
KR20180094744A (ko) 2017-02-16 2018-08-24 함승완 관수용 점적관
KR20190082466A (ko) 2018-01-02 2019-07-10 정쌍영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48B1 (ko) 2013-11-14 2015-02-10 이영수 관수용 점적스틱
KR20180094744A (ko) 2017-02-16 2018-08-24 함승완 관수용 점적관
KR20190082466A (ko) 2018-01-02 2019-07-10 정쌍영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3823A (zh) * 2023-10-10 2023-11-17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一种林下种植中药材滴灌装置及使用方法
CN117063823B (zh) * 2023-10-10 2024-04-05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一种林下种植中药材滴灌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934B2 (en) Non pressure compensated drip irrigation emitter with multiflow facility
US9055718B2 (en) Root watering device
US20230086006A1 (en) Sub-surface soil irrigation
US20140223816A1 (en) Vertical gardening apparatus
US3361363A (en) Watering device
HU177567B (en) Sprinkler
KR20220124887A (ko) 지중점적관수장치
WO2022149006A1 (en) Subsurface irrigation nozzle with adjustable length
CN212493524U (zh) 一种可调节式滴灌喷嘴
RU2685139C1 (ru) Способ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плодово-ягодных, кустарниковых культур и цветочных растений
CN210808634U (zh) 一种水利工程管理用灌溉装置
RU2352105C1 (ru) Оросительная сеть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KR200447594Y1 (ko) 수분 공급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관수 장치
RU2764266C1 (ru) Система локально-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орошения многолетних насаждений
CN214614314U (zh) 一种用于植物栽培的水肥一体化滴灌系统
CN209768470U (zh) 一种甘薯定穴栽培浇水器
RU135487U1 (ru) Система капельного полива (варианты)
GB2263853A (en) Underground watering apparatus
WO2017035410A1 (en) Liquid containment and focus for subterranean capillary irrigation
EP0206708A2 (en) Automatic water feeding device
RU2222938C1 (ru) Инъектор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US20220287253A1 (en) Root irrigation apparatus
RU2812947C1 (ru) Система капельного полива
CN209218825U (zh) 农业节水地下灌溉系统
CN213639169U (zh) 一种节水型沙漠化防治用灌木浇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