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37B1 -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37B1
KR102022037B1 KR1020180008580A KR20180008580A KR102022037B1 KR 102022037 B1 KR102022037 B1 KR 102022037B1 KR 1020180008580 A KR1020180008580 A KR 1020180008580A KR 20180008580 A KR20180008580 A KR 20180008580A KR 102022037 B1 KR102022037 B1 KR 10202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nurungji
blade
grain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134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웰빙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빙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빙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35Individual or non-extruded flakes, granules or shapes having similar size, e.g. breakfast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83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heating without using a pressure releas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한 현미를 가열판 상부에서 끌개를 이용해 끌면서 가열하여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낱알 형태의 누룽지로 제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씻어서 젖은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부와, 공급된 현미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부와, 공급된 현미를 가열장치부의 표면에서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끌어 이동시키면서 열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낱알 형태의 누룽지로 제조하는 이송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Nurungji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uncooked rice}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한 현미를 가열판 상부에서 끌개를 이용해 끌면서 가열하여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쳐 낱알 형태의 누룽지로 제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밥을 짓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밥이 완숙될 무렵 수분이 감소된 상태에서 솥과 접촉하는 부분의 밥이 탄화하면서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누룽지는 그대로 먹거나, 또는 물을 부어 넣고 끓여 물은 숭늉으로 알갱이는 누룽지 밥으로 애용해 오던 전통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누룽지는 과자나 빵, 그 밖의 간식거리가 많이 선보이고 있고, 밥을 짓는데 예전처럼 재래식 밥솥이 쓰이지 않고 전기 밥솥 등이 쓰는 경우가 많아 누룽지를 만들어 먹는 가정이 줄어듬에 따라 한때 먹는 사람과 찾는 사람의 수효가 급격히 줄어든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인스턴트 식품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간식 대용 또는 식후의 후식으로의 누룽지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밥을 짓고 나서 생기는 부산물의 용도를 넘어서 지금은 식당에서 후식용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누룽지를 숭늉을 위한 차 또는 시리얼 개념으로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이러한 누룽지를 대량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세척한 쌀을 물과 함께 밥을 짓고 지어진 밥을 누룽지 형상으로 가열하여 제조하게 되는 바,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급된 밥을 압착하여 누룽지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일정한 틀에 밥을 압입하거나 누룽지 한개 분량의 밥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며 회전롤러로 압입하여 누룽지 형상으로 성형하는 장치가 대부분으로, 누룽지 형상의 틀을 다수개 구비해야 하는 등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단 누룽지를 생산하기 위해 쌀과 물을 이용해 밥 형태로 지어야 하기 때문에 밥 특유의 끈적임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밥의 끈적임이 장치에 들어붙지 않는지 항상 작업자가 작업 공정의 진행 상태를 확인해야 하고 남은 밥이나 작업 중 이탈되는 밥을 처리해야 하는 부가적인 작업이 요청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더불어, 통상의 누룽지 형태가 아닌 숭늉을 위한 차 형태나 시리얼 형태의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만들어진 형태를 가지는 누룽지를 재차 파쇄해야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작업 소요 시간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성형을 유지하는 포장 관리가 어렵고, 장치의 복잡성 및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누룽지 형상으로의 성형이 용이하면서 간단한 공정으로 누룽지를 제조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누룽지 본연의 풍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 방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64호(2008.06.24.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57호(2017.08.2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하여 젖은 현미를 가열판 상부에서 이동하는 끌개를 이용해 끌면서 가열하여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통해 낱알 형태의 누룽지로 제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는, 세척 후 젖은 현미를 이용하여 낱알 형태의 누룽지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공급장치부와 가열장치부 및 이송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열장치부에 젖은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부는, 내부공간에 개방된 출구를 가지는 호퍼를 구비하여, 호퍼로 공급된 현미를 하부 출구 측으로 배출한다.
가열장치부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가열판과, 가열판을 가열하는 전열부를 포함하여, 가열판의 상면에 공급된 현미를 가열한다.
이송장치부는, 가열판의 상부에 위치되되, 회전 구동하는 체인 컨베이어와,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끌개날을 가지며 체인 컨베이어에 고정되어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끌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가열판의 전방 측에 공급된 현미를 끌개날을 이용해 후방 측으로 굴리면서 가열판의 열을 이용해 낱알 형태의 누룽지로 생산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호퍼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추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 일측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판과,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판의 하부로 위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솔을 가지는 회전롤러와, 출구를 차단하고 현미이 분산되면서 통과하도록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공급판과, 본체의 외부에 돌출된 회전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호퍼는 높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 조절되도록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은 하부에 바퀴와, 일측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테이블을 더 포함한다.
이어서, 가열판은, 장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되, 호퍼의 출구 하부에 전단이 위치되어 하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전열부에 의해 전방 측의 위치와 후방 측의 위치 사이에 고온의 구역과 중온의 구역과 저온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온도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판은 전단이 후단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되도록 경사각도를 가지는 기울기를 형성한다.
한편, 이송장치부의 끌개는 체인 컨베이어의 대응되는 좌측 체인와 우측 체인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고, 이동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끌개의 끌개날 선단과 가열판의 상면은 현미 크기 보다 작은 간격을 가진다.
또한, 끌개날의 선단은 현미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슬릿이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체인 컨베이어 중 회전하여 끌개의 끌개날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하부 체인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정해진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직선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끌개는, 끌개날의 양단이 절곡되어 이웃하는 끌개의 끌개날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이송장치부는, 가열되는 현미가 팽화되면서 튀지 않도록 가열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메쉬망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후방에 위치된 끌개날의 선단과 접촉하여 현미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를 털어내는 브러쉬와, 브러쉬과 근접하게 위치되어 떨어진 현미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를 분리 수거하는 수거부로 구성된 분리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는, 호퍼를 이용한 공급장치부에서 공급된 현미를 끌개를 이용해 끌면서 가열판을 이용해 가열함으로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낱알 형태의 누룽지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간단한 공정으로 누룽지를 제조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누룽지 본연의 풍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에 적용된 끌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의 측면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의 누룽지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단 또는 전방은 현미가 공급되는 공급장치부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단 또는 후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또는 상방은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는, 공급된 젖은 현미(A)를 가열판(121) 상면에서 가열하여 증숙, 팽화, 건조과정을 통해 낱알 형태의 누룽지(C)로 생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통상의 현미(A)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발아를 시키면 현미 내부로 약 35% 의 수분이 들어간다. 이때 열을 가하면 현미는 증숙되면서 수분이 증발하고, 이때 증발하면서 팽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이러한 현미를 건조시키면 부드럽게 되고 끓이면 팽화된 틈새로 물이 쉽게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미의 특성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는, 크게 씻어서 젖은 현미(A)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부(110)와, 일정한 양으로 공급된 현미(A)를 열을 가해 가열하는 가열장치부(120)와, 공급된 현미(A)를 가열장치부(120)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끌어 이동시키면서 열을 이용한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낱알 형태의 누룽지(C)로 제조하는 이송장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급장치부(110)와 가열장치부(120) 및 이송장치부(130)는 하나의 장치 프레임(140)에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전체 장치의 조립, 분해 및 이동하여 세척이 용이하다면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세척 후 젖은 현미(A)를 이용하여 낱알 형태의 누룽지(C)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공급장치부(110)는 내부공간에 개방된 출구(111b)를 가지는 호퍼(110a)를 포함하여, 호퍼(110a) 내부로 공급된 현미(A)를 하부의 출구(111b) 측으로 일정한 양을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공급장치부(110)의 호퍼(110a)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된 입구(111a)와 출구(111b)를 가지는 추 형상의 본체(111)를 가진다.
필요에 따라 입구(111a)에는 선택적으로 입구(11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111)의 내부 공간으로 씻어서 젖은 현미(A)를 공급하여 채우게 되는데, 본체(111)의 내부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판(11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판(112)은 하단부 측이 이웃하는 본체(111)의 내벽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공급된 현미(A)는 벌려진 간격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판(112)은 필요에 따라 평평한 단일 판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판이거나, 골판지와 같이 주름 형상을 가진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12)은 단부의 벌려진 간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본체(111)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게 격벽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판(112)은 공급되는 현미(A)가 한번에 하부 출구(111b) 측으로 몰려 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현미(A)가 출구(111b) 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가이드판(112)의 하부로 본체(111)의 내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솔(113a)을 가지는 회전롤러(1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롤러(113)는 본체(111)의 외부에 돌출된 축이 구동모터(115)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구동모터(115)와 회전롤러(113)의 축은 필요에 따라 별도의 체인이나 벨트에 의해 속도 제어가 가능하면서 구동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회전롤러(113)는 회전 속도 조절에 따라 현미(A)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한편, 본체(111)의 출구(111b)에는 이를 차단하고 공급된 현미(A)가 분산되면서 통과하도록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의 통공(114a)을 가지는 공급판(114)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공급판(114)의 통공(114a)은 현미(A)가 개별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현미(A)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2~3개의 쌀알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는 전체 누룽지 제조 장치(100)의 크기와 생산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호퍼(111)의 구성에 따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체(111)의 개구된 입구(111a)로 공급된 현미(A)는 가이드판(112)을 따라 이동되어 벌려진 간격을 통과해 출구(111b) 측으로 떨어지고, 회전롤러(113)는 구동모터(115)의 회전에 따라 제어되어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솔(113a)을 이용해 현미(A)를 공급판(114)의 통공(114a) 측으로 일정한 양을 유도한다.
회전하는 솔(113a)이 회전하면서 일정한 양의 현미(A)를 통공(114a) 측으로 유도하게 되고, 결국 출구(111b)를 통과하는 현미(A)는 일정한 양으로 배출된다.
한편,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공급장치부(110)의 호퍼(110a)는 별도의 높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10b)에 의해 이송장치부(130)와 가열장치부(120)로 부터 위치조절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호퍼(110a)는 높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10b)을 구성하는 지주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부재(116)에 의해 높이 위치 조절되도록 고정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10b)은 필요에 따라 하부에 바퀴(117)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b)은 호퍼(110a)에 쌀을 공급하기 용이하고 작업 중 필요한 물건 또는 쌀을 안착시켜 대기할 수 있도록 일측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테이블(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별도 지지프레임(110b)의 구성에 따라 조립, 분해 및 이동이 용이하고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재차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가열장치부(12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가열장치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부(110)를 통해 공급된 젖은 현미(A)에 열을 가해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누룽지로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열장치부(120)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가열판(121)과, 가열판(121)을 가열하는 전열부(1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가열판(121)의 상면에 공급된 현미(A)를 열을 가해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가열판(121)은 별도의 장치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데, 전단 측이 호퍼(110a)의 출구(111b) 하부에 위치되고 공급된 현미(A)가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누룽지(C)화 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이와 같은 가열판(121)은 공급되는 현미(A)의 양과 생산되는 누룽지(C)의 양을 고려하여 그 폭과 길이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단일 판 형상 또는 다수개의 판이 연결되어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가열판(121)은 전방 측의 위치에서 후방 측의 위치 사이에 후방 측으로 갈수록 현미(A)가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온도차를 가지는 구간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가열판(121)은 공급장치부(110)에 근접한 구역에서 고온의 온도를 가지며 중앙 구역에서는 중온의 온도를, 그리고 후방 측 구역에서는 저온의 온도를 가지도록 구획되어 구성한다.
대략적 고온은 250 ∼ 400 ℃ 내외, 중온은 200 ∼ 250 ℃ 내외, 저온은 150 ℃ 정도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데, 이러한 온도는 작업 환경과 현미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현미(A)는 가열판(121)의 서로 다른 온도 구역을 통과하면서 겉은 바삭하고 안은 부드러운 누룽지 특유의 풍미를 가지게 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한다.
한편, 가열판(121)은 이송장치부(130)에 의한 현미(A)와 누룽지(C)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단이 후단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경사각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가열판(121)의 경사각도의 기울기에 따라 현미(A)가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누룽지(C)화 되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지며 이는 결국 누룽지 제조 생산 효율을 더욱 높게 한다.
그리고, 기울어진 가열판(121)의 경사각도에 따라 현미(A)는 스스로 굴러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열부(122)는 가열판(121)에 열을 가해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에 전열선 등을 이용한 히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전열부(122)는 외부에 구비된 제어패널(150) 중 전열제어패널(150b)에 의해 각각의 온도가 측정되고 표시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재차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에 적용된 이송장치부(13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이송장치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부(120)의 가열판(121) 전단측 상면에 투입된 현미(A)를 끌개(132)를 이용해 후방으로 끌고 가면서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거쳐 누룽지(C)화 되게 하는 이송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송장치부(130)는 가열판(121)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전방과 후방 스프로킷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체인 컨베이어(131)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끌개날(132a)을 가지며 체인 컨베이어(131)의 체인에 고정되어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끌개(132)를 다수개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끌개날(132a)은 가열판(121)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바람직하게 평평한 판 형상이거나 주름지거나 굴곡진 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끌개(132)는 체인 컨베이어(131)의 대응되는 좌측 체인(131a)와 우측 체인(131b)에 양단(도3, 132b)이 고정 결합되는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끌개날(132a) 선단과 가열판(121)의 상면은 현미(A)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d)을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끌개(132)는 체인 컨베이어(131)의 회전에 따라 체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끌개날(132a)이 하방으로 향하면서 가열판(121) 상면에 투입된 현미(A)를 가열판(121)의 후방으로 끌고 이동한다.
끌개날(132a)의 선단과 가열판(121)의 상면이 형성하는 간격(d)이 현미(A)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이탈되는 현미가 없이 누룽지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끌개(132)의 끌개날(132a)은 선단에 현미(A)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슬릿(132a-1)을 형성한다.
슬릿(132a-1)은 간격을 가지며 끌개날(132a)의 길이방향, 즉 가열판(12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32a-1)은 누룽지 제조 작업 중, 끌개날(132a)이 현미나 이물질에 걸려 절곡되거나 틀어짐이 생김을 방지하며 끌개날(132a)을 다수개의 무수한 구역으로 구분시켜 일부분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더라도 전체 작업과정에 무리가 없도록 하며, 파손된 끌개날(132a)을 펴는 등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열판(12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열변형이 생김을 방지한다.
그리고, 끌개날(132a)은 양단이 절곡되어 이웃하는 끌개(132)의 끌개날(132a)과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곡된 끌개날(132a)에 의해 이웃하는 끌개날과 끌개날은 가열판(121)의 상면을 통과할 때 절곡된 끌개날(132a)이 측방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현미의 누룽지화 작업 시 작업 과정 중 쌀이 측방으로 튀거나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로, 재차 도 3을 참조하면, 끌개(132)는 길이를 가지는 단일 판을 자르고 절곡시켜 끌개날(132a)을 상방으로 돌출 형성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양 측단(132b)은 가공하지 않은 평평한 판 상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인 컨베이어(131)의 양 측 체인(131a, 131b)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해 고정 결합시키고, 절곡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끌개날(132a)은 슬릿(132a-1)을 형성하고 양 측단을 절곡시켜 이웃하는 끌개날(132a)에 근접하게 한다.
이때, 절단하고 절곡시켜 상방으로 돌출 형성한 끌개날(132a)에 의해 이웃하는 끌개(132)와 끌개(132)는 사이에 홀 형태의 공간(e)을 형성하는데,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호퍼(110a)의 통공(114a)을 통과한 현미(A)는 상술의 홀 형태의 공간(e)을 통과해 하방으로 낙하하고 가열판(121)의 전단측에 떨어져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호퍼(110a)의 통공(114a)과 가열판(121)의 전단 사이에는 장치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투입가이드(141)가 더 구비되며, 공급된 현미(A)는 도 5를 참조하면 투입가이드(141)를 따라 가열판(121)의 전단에 안정적으로 투입되어 안착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투입가이드(141)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판 또는 상반되는 각을 가지는 2개의 판으로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부(130)는 가열판(121)에서 가열되는 현미(A)가 팽화되는 과정에서 튀어 이탈되지 않도록 가열판(12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메쉬망(13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메쉬망(134)의 메쉬는 쌀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가지며, 엎어진 바구니 형상으로 측방이 절곡되어 하방으로 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메쉬망(134)은 이송장치부(130)의 체인 컨베이어와 끌개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장치프레임(140)에 별도의 부재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또한, 메쉬망(134)은 현미(A)가 투입되어 누룽지(C)화 되어 배출되기 까지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가열판(121)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쉬망(134)과 끌개날(132a)의 절곡된 구조에 따라 가열판(121)의 상면에 투입된 현미와 누룽지는 누룽지화 되는 팽화 과정 중 튀어 장치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되고, 또한 전체 작업 공정 중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이송장치부(130)를 구성하는 체인 컨베이어(131)는 통상의 알려진 구조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체인 컨베이어(131)의 회전하여 끌개(132)의 끌개날(132a)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하부 체인(131-2)은, 가열판(1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가이드(133)를 따라 직선상으로 이동되게 구성한다.
이때 가이드(133)는 가열판(121)의 기울기와 동일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하부 체인(131-2)은 이에 따라 정해진 기울기는 유지하면서 직선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133)는 장치프레임(140) 상에 별도의 부재를 이용해 고정 결합되게 구성되며, 하부 체인(131-2)의 상부와 하부를 가이드하도록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133)는 일자형의 판 형상이거나 관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가이드(133)는 절곡된 'ㄷ'자 형의 관체로 하부에 위치된 하부 가이드 내부에 끌개(132)의 측단이 끼워져 가이드의 내부 라인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133)의 구비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131)의 하부 체인(131-2)은 출렁거림이 없이 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체인에 고정 결합된 끌개(132) 또한 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가이드(133)는 하부 체인(131-2)을 잡아주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높이조절되도록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위치조절부재가 이용된다.
가열장치부(120)의 가열판(12)은 작업이 길어지고 오랜 작업에 따라 고온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휘어지는 등의 열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열변형이 가해진 가열판(121)은 끌개날(132a)과의 간격 유지가 어렵게 되고 작업 효율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133)를 이용해 하부 체인(131-2)의 위치를 높낮이 조정 가능함에 따라 결국, 끌개(132)의 끌개날(132a)은 이동하면서 가열판(121)의 상면과 전방과 후방 측에서 동일하게 간격(d)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현미와 누룽지의 이탈됨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게 된다.
필요에 따라 가이드(133)는 가열판(121)의 고온, 중온, 저온의 온도별 구간에 따라 하부 체인(131-2)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체인 컨베이어(131)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패널(150) 중 구동 제어패널(150a)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상술의 작동 제어는 통상의 기술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의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공급장치부(110)의 호퍼(110a) 입구(111a)를 통해 현미(A)를 공급한다.
공급된 현미(A)는 가이드판(112)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며, 회전롤러(113)가 정속으로 회전하면서 솔(113a)에 의해 출구(111b) 측의 공급판(114) 통공(114a)으로 유인된다.
그리고, 현미(A)는 회전롤러(113)의 솔(113a)에 밀려 통공(114a)을 통과해 출구(111b)를 통과하여 하부로 일정한 양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현미(A)는 이송장치부(130)의 끌개(132)와 끌개(132) 사이의 홀 형태의 공간(e)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고 장치프레임(140)에 구비된 투입가이드(141)를 따라 가열장치부(120)의 가열판(121) 전단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회전하는 체인 컨베이어(131)에 의해 끌개(132)는 일체형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끌개날(132a)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된 하부 체인(131-2)에 의해 끌개날(132a)은 가열판(121) 상면에 투입된 현미(A)를 후방으로 끌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현미(A)는 경사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가열판(121)의 형상에 따라 후방으로 스스로 굴러 이동함이 더해진다.
이때, 끌개날(132a)과 가열판(121)의 상면은 하부 체인(131-2)이 가이드(133)를 따라 출렁거림이 없이 직선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열판(121)의 열변형 상태에 따라 가이드(133)의 위치를 조절해 하부 체인(131-2)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 간격(d)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현미(A)는 가열판(121)의 고온 구역(a)과 중온 구역(b) 및 저온 구역(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가열판(121)의 열에 의해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누룽지(C)화 된다.
한편, 현미(A)가 누룽지(C)화 되는 팽화 과정 중 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메쉬망(134)와 끌개날(132a)의 절곡된 양단에 의해 사방이 차단됨으로 외부 이탈은 완전히 방지되며 투입된 현미(A)는 안정적으로 전부 누룽지(C)화 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누룽지(C)화 작업이 완료되어 생산된 누룽지(C)는 최종적으로 가열판(121)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별도의 수거함(160) 등에 포집되어 포장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가열판(121)의 후방으로 완성된 누룽지(C)가 안정적으로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배출가이드(14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가이드(142)는 장치프레임(140)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부재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100)는, 도 5를 재차 참조하면, 현미(A)가 누룽지(C)화 완료되어 수거함(160)으로 포집된 이후, 끌개(132)의 끌개날(132a)에 붙어 있을 수 있는 젖은 현미(A)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C)를 털어 제거하기 위한 분리장치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분리장치부(170)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분리 구성되거나, 장치 프레임(14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데 장치 후방의 끌개날(132a)에 접촉하여 닿도록 위치된 브러쉬(171)와, 브러쉬(171)와 근접하게 위치되어 떨어진 현미(A)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C)를 장치 외부로 이탈 시킬 수 있도록 수거부(17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술의 브러쉬(171)는 체인 컨베이어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솔을 포함한 회전롤러 이거나 막대 형상의 빗자루 일 수 있으며, 상술의 수거부(172)는 필요에 따라 일련의 가이드 판재 형상이거나 수거함(160)과 동일하게 별도의 수거 가능한 함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장치부(170)의 구성은 끌개날(132a)과의 접촉을 통해 선단에 붙어 있을 수 있는 현미(A)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C)를 털어 분리 수거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분리장치부(170)의 구성에 따라 현미에 대한 누룽지화 작업을 완료한 끌개날(132a)이 체인(131)과 함께 회전할 때, 혹시나 붙어 있을 수 있는 현미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는 브러쉬(171)에 의해 쓸려 떨어지게 되고 수거부(172)에 의해 수거되어 별도 처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110 : 공급장치부 110a : 호퍼
110b : 지지프레임 111 : 본체
112 : 가이드판 113 : 회전롤러
113a : 솔 114 : 공급판
114a : 통공 115 : 구동모터
116 : 고정부재 117 : 바퀴
118 : 테이블 120 : 가열장치부
121 : 가열판 122 : 전열부
130 : 이송장치부 131 : 체인 컨베이어
131a : 좌측 체인 131b : 우측 체인
131-2 : 하부 체인 132 : 끌개
132a : 끌개날 132a-1 : 슬릿
132b : 측단 133 : 가이드
134 : 메쉬망 140 : 장치프레임
141 : 투입가이드 142 : 배출가이드
150 : 제어패널 150a : 구동 제어패널
150b : 전열 제어패널 160 : 수거함
170 : 분리장치부

Claims (11)

  1. 세척한 현미(A)를 이용하여 낱알 형태의 누룽지(C)를 제조하기 위한 누룽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개방된 출구(111b)를 가지는 호퍼(110a)를 구비하여, 상기 호퍼(110a)로 공급된 현미(A)를 하부 출구(111b) 측으로 배출하는 공급장치부(110)와,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가열판(121)과, 상기 가열판(121)을 가열하는 전열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121)의 상면에 공급된 현미(A)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부(120)와;
    상기 가열판(121)의 상부에 위치되되, 회전 구동하는 체인 컨베이어(131)와,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끌개날(132a)을 가지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131)에 고정되어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끌개(132)를 구비한 이송장치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121)의 전방 측에 공급된 현미(A)를 상기 끌개날(132a)을 이용해 후방 측으로 굴리면서 상기 가열판(121)의 열을 이용해 증숙, 팽화, 건조 과정을 통해 낱알 형태의 누룽지(C)로 생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10a)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된 입구(111a)와 출구(111b)를 가지는 추 형상의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내부 일측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판(112)과,
    상기 본체(111)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판(112)의 하부로 위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솔(113a)을 가지는 회전롤러(113)와,
    상기 출구(111b)를 차단하고, 현미(A)가 분산되면서 통과하도록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통공(114a)이 형성된 공급판(114)과,
    상기 본체(111)의 외부에 돌출된 상기 회전롤러(113)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10a)는,
    높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10b)의 일측에 고정부재(116)에 의해 위치 조절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b)은,
    하부에 바퀴(117)와, 일측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테이블(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21)은,
    장치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호퍼(110a)의 출구(111b) 하부에 전단이 위치되어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열부(122)에 의해 전방 측의 위치와 후방 측 위치 사이에 고온의 구역과, 중온의 구역과, 저온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온도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21)은,
    전단이 후단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되도록 경사각도를 가지는 기울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끌개(132)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131)의 대응되는 좌측 체인(131a)와 우측 체인(131b)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고,
    이동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기 끌개(132)의 끌개날(132a) 선단과 상기 가열판(121)의 상면은 현미(A) 크기 보다 작은 간격(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끌개날(132a)의 선단은 현미(A)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슬릿(132a-1)이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컨베이어(131) 중 회전하여 끌개(132)의 끌개날(132a)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하부 체인(13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가이드(133)를 따라 직선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끌개(132)는,
    끌개날(132a)의 양단이 절곡되어 이웃하는 끌개(132)의 끌개날(132a)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130)는,
    가열되는 현미(A)가 팽화되면서 튀지 않도록 상기 가열판(12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메쉬망(13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는,
    후방에 위치된 끌개날(132a)의 선단과 접촉하여 현미(A)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C)를 털어내는 브러쉬(171)와, 상기 브러쉬(171)과 근접하게 위치되어 떨어진 현미 또는 미숙 상태의 누룽지(C)를 분리 수거하는 수거부(172)로 구성된 분리장치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KR1020180008580A 2018-01-24 2018-01-24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KR10202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80A KR102022037B1 (ko) 2018-01-24 2018-01-24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80A KR102022037B1 (ko) 2018-01-24 2018-01-24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34A KR20190090134A (ko) 2019-08-01
KR102022037B1 true KR102022037B1 (ko) 2019-09-18

Family

ID=6761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580A KR102022037B1 (ko) 2018-01-24 2018-01-24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130A (ko) 2022-06-13 2023-12-20 웰빙고 주식회사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4B1 (ko)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101133318B1 (ko) 2009-07-14 2012-04-04 최용태 곡립 볶음기
KR101448930B1 (ko)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101469141B1 (ko) 2013-08-02 2014-12-04 김정호 곡물 코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57B1 (ko) 2016-12-09 2017-09-04 이상수 시리얼용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시리얼용 누룽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4B1 (ko)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101133318B1 (ko) 2009-07-14 2012-04-04 최용태 곡립 볶음기
KR101469141B1 (ko) 2013-08-02 2014-12-04 김정호 곡물 코팅장치
KR101448930B1 (ko)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130A (ko) 2022-06-13 2023-12-20 웰빙고 주식회사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34A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15B1 (ko) 누룽지 제조장치
US8181592B2 (en) Apparatus for applying coating to produ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359995B2 (en) Hybrid apparatus for applying coating to produ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022037B1 (ko)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CN105166129A (zh) 用于有机扁茶微波杀青的连续生产线
CN207907647U (zh) 摇摆给料式多层网带烘干机
RU2591717C1 (ru) Способ разрых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ыхления отварного риса
CN107079944A (zh) 豆干油炸机
CN107755332A (zh) 一种高效粮食淘洗烘干一体机
CN105325578A (zh) 炒青绿茶生产线
CN105028720A (zh) 一种用于炒青绿茶生产的系统
CN105028725A (zh) 一种炒青绿茶的生产方法
CN205250255U (zh) 新型茶机
KR20230171130A (ko)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KR101519586B1 (ko) 즉석 조리용 곡물 제조장치
CN105192125A (zh) 一种绿茶新型连续生产线
CN105028730A (zh) 一种生产炒青绿茶的系统
CN105028722A (zh) 一种生产炒青绿茶的方法
CN105028731A (zh) 一种有机绿茶生产系统
CN105192132A (zh) 一种炒青绿茶的生产新技术
JPH0231075Y2 (ko)
CN105145933A (zh) 一种用于有机绿茶生产的工艺
CN105028721A (zh) 一种绿茶生产系统
CN105192137A (zh) 一种有机扁茶烫青-多级杀青联用生产新工艺
CN205250254U (zh) 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