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577B1 - 종패 리튜빙 장치 - Google Patents

종패 리튜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577B1
KR102021577B1 KR1020170008875A KR20170008875A KR102021577B1 KR 102021577 B1 KR102021577 B1 KR 102021577B1 KR 1020170008875 A KR1020170008875 A KR 1020170008875A KR 20170008875 A KR20170008875 A KR 20170008875A KR 102021577 B1 KR102021577 B1 KR 10202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gear
solid
net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310A (ko
Inventor
한기민
박행원
Original Assignee
한기민
박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민, 박행원 filed Critical 한기민
Priority to KR102017000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5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종패(S)가 저장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종패(S)를 공급하는 종패공급호퍼(10)와,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2)과,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종패이송관(18)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낙하는 다수개의 종패(S)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패이송컨베이어(20)로 이루어지는 종패이송수단(16)과, 일정한 간격으로 종패지지대(32)가 고정되며, 로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외부의 견인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종패지지대(32)에 의해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투입된 종패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외부로 배출하는 로프(30)와, 상기 종패이송수단(16)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그물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로프에 결속되어 상기 로프(30)에 의해 풀려나가면서 상기 종패지지대에 의해 이송되는 종패를 내부에 수용하는 그물(46)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끝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그물이송홀(56)을 통해 상기 로프(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그물(46)이 관통되어 이송되고, 상기 그물(46)의 외측에 실을 감아주는 실결속수단(52)을 포함하며, 상기 실결속수단(52)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중앙에 그물이송홀(56)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프(30)와 그물(46)이 관통 이송되는 결속플레이트(54)와,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1실타래부(68)가 고정 설치되는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2실타래부(82)가 고정설치되는 제2실결속기어부(72)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에 치차 결합되어 실결속구동부재(8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86);를 포함하는 종패리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패가 저장된 그물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제1,2실이 교차되도록 감져겨 그물의 강도를 보강하고, 그물이 종패의 무게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튜브 형태의 그물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결속기어부와 제2결속기어부 사이에 회전가이드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의 회전시 제1,2실결속기어부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치차 결합부의 이상 발생시 치차가 과도하게 밀착되어 치차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패 리튜빙 장치{Seed Shell Retubing Device}
본 발명은 종패 리튜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튜브 형태의 그물 내부에 다량의 종패를 자동으로 공급하며, 그물에 담겨진 다량의 종패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의 외주면에 실을 서로 교차하도록 감아주는 종패 리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합 등 부착성 패류의 양식방식에는 말목식, 뗏목식, 연승수하식 등이 있다.
말목식이란 연안의 깊이가 얕은 곳에서 두 줄의 말목을 박고 그 위에 옆으로 나무를 걸쳐서 이 나무에 수하연을 늘어뜨려 양식하는 방법을 말하고, 뗏목식이란 해수면에 뜸통이 부착된 뗏목을 띄우고, 뗏목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말목식의 경우 내파성이 약하여 양식할 수 있는 지역이 연안에 한정되고, 뗏목식의 경우 시설비가 많이 들므로 최근에는 내파성이 우수하여 내만 뿐 아니라 외해에서도 시설할 수 있는 연승수하연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공개특허 10-2014-0009659호에 기술된 연승수하식 양식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해수면에 복수개의 부이(10)와 연결된 메인로프(20)의 양단을 해저면에 말목(50)으로 고정하고, 메인로프(20)에 소정 간격으로 수하연로프(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하연로프(30)에 양식할 종패를 부착한 후 해저에 투하하여 일정기간동안 양식하는 방식이다.
한편, 수하연로프(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한 종패받침물(4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여 수하연로프(30)에 붙어 있는 종패 뭉치가 자체 무게로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갓 태어난 1mm 크기의 홍합 새끼가 20m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면 양식장으로 이송하여 양식하여야 하는데, 아직까지도 크기가 20mm 전후의 종패를 선정하는 작업과 선정된 종패를 수하연로프(30)에 부착하는 작업이 고된 데다 현재 농어촌에 인력이 부족하므로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인력이 있다 하더라도 작업이 더디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하연로프(30)에 묶인 종패가 해류 등의 외력에 의해 수하연로프(30)로부터 떨어져 유실됨으로써 생산성이 그 만큼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등록특허 10-1594905호가 제안되는데, 그 구조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패를 수용하여 하측으로 배출하는 호퍼(110)과, 옆으로 놓인 관 형태로 되고, 상기 호퍼(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호퍼(110)로부터 배출되는 종패를 후방상측에 구비된 투입구(141)를 통해 투입받는 이송관(140)과, 일정간격으로 펙(peg)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관(14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까지 관통되어 삽입되고,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펙에 의해 이송관(140)의 내부에 투입된 종패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로프(200)과, 상기 이송관(140)의 외측에 튜브형태로 씌워지며, 그 전방부위가 상기 로프(200)에 묶여서 고정되는 로프(200)에 의해 풀려나가면서 펙에 의해 이송되는 종패를 내부에 수용하는 튜브형태의 그물(220)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140)의 전방에는 종패가 수용된 그물(22)의 외측에 실을 감아 종패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감기부(170)가 구비된다.
종래의 실감기부(170)은 종패가 수용된 그물이 통과하는 관통공(171-3)이 중앙에 형성된 내륜(171-1) 및 내륜(171-1)의 외측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륜(171-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171)과, 상기 내륜(171-1)의 어느 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100)에 고정 가능하게 이루어진 고정부재(172)와, 상기 외륜(171-2)의 일측면으로 상기 고정부재(172)가 고정된 반대측면에 고정되고, 실이 권취되어 회전하는 보빈(173)과, 상기 실이 상기 그물의 외면에 감겨지도록 상기 외륜(171-2)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수단(174)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종패 리튜빙 장치는 회전수단이 원동체, 구동모터, 밴드부재로 이루어져 구동모터와 원동체가 밴드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구조는 밴드부재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 밴드부재가 늘어져 밴드부재와 원동체의 결속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밴드부재가 원동체에서 이탈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종패 리튜빙 장치는 튜브형태의 그물에 실을 일방향으로 감도록 구성되어, 그물을 지지하는 파지력이 떨어짐에 따라 그물이 쉽게 찌져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5949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 형태의 그물 내부에 다량의 종패를 자동으로 공급하며, 그물에 담겨진 다량의 종패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의 외주면에 실을 서로 교차하도록 감아주는 종패 리튜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다량의 종패가 저장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종패를 공급하는 종패공급호퍼와, 상기 종패공급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종패공급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종패이송관과, 상기 종패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의 내부로 낙하는 다수개의 종패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패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종패이송수단과, 일정한 간격으로 종패지지대가 고정되며, 로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패이송관의 내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외부의 견인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종패지지대에 의해 상기 종패이송관의 내부로 투입된 종패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종패이송관의 외부로 배출하는 로프와, 상기 종패이송수단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그물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로프에 결속되어 상기 로프에 의해 풀려나가면서 상기 종패지지대에 의해 이송되는 종패를 내부에 수용하는 그물과, 상기 종패이송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그물이송홀을 통해 상기 로프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그물이 관통되어 이송되고, 상기 그물의 외측에 실을 감아주는 실결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실결속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중앙에 그물이송홀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프와 그물이 관통 이송되는 결속플레이트와,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1실타래부가 고정 설치되는 제1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2실타래부가 고정설치되는 제2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에 치차 결합되어 실결속구동부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2결속기어부의 제1,2실타래부에서 배출되는 제1,2실이 상기 그물의 외측에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감겨진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와 상기 제2실결속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기어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기어는, 전,후측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 사이에 설치되며,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에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휠을 포함한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와 접속되고,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기어지지휠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의 외주면 중앙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휠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는 제1기어이탈방지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의 내주면 중앙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휠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는 제2기어이탈방지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패 리튜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 및 로프 그리고 종패지지대에 의해 종패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다량의 종패를 그물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실결속수단이 설치되어 그물의 외주면에 실이 교차하도록 감겨져 그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패가 저장된 그물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제1,2실이 교차되도록 감져겨 그물의 강도를 보강하고, 그물이 종패의 무게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튜브 형태의 그물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결속기어부와 제2결속기어부 사이에 회전가이드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의 회전시 제1,2실결속기어부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치차 결합부의 이상 발생시 치차가 과도하게 밀착되어 치차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동력전달기어와 제1,2실결속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가이드기어와 제1,2실결속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에 의해 그물에 실이 교차되도록 감겨진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종패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동력전달기어와 제1,2실결속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가이드기어와 제1,2실결속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종패리튜빙장치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종패(S)가 저장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종패(S)를 공급하는 종패공급호퍼(10)와,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2)과,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종패이송관(18)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낙하는 다수개의 종패(S)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패이송컨베이어(20)로 이루어지는 종패이송수단(16)과, 일정한 간격으로 종패지지대(32)가 고정되며, 로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외부의 견인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종패지지대(32)에 의해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투입된 종패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외부로 배출하는 로프(30)와, 상기 종패이송수단(16)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그물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로프에 결속되어 상기 로프(30)에 의해 풀려나가면서 상기 종패지지대에 의해 이송되는 종패를 내부에 수용하는 그물(46)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끝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그물이송홀(56)을 통해 상기 로프(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그물(46)이 관통되어 이송되고, 상기 그물(46)의 외측에 실을 감아주는 실결속수단(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패공급호퍼(10)는 내부가 중공된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내부에 다수개의 종패(S)으로 저장되며,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후술할 종패이송수단(16)에 종패를 공급한다.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는 본체프레임(12)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은 철재빔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철재빔을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은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단을 지지함을 물론 후술할 종패이송수단(16)과 실결속수단(52)을 지지한다.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는 종패공급가이드부(14)가 설치된다. 상기 종패공급가이드부(14)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다량의 종패(S)가 내부에 공급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후술할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 종패(S)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패공급가이드부(14)의 하부에는 종패이송수단(16)이 설치된다. 상기 종패이송수단(16)은, 종패이송관(18)과, 종패이송컨베이어(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은, 도 3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공급가이드부(14)의 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상기 종패공급호퍼(10)를 통해 공급되는 다량의 종패(S)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는 종패이송컨베이어(20)가 설치된다.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는 일반적인 컨베이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는 구동휠(22), 컨베이어벨트(24), 컨베이어구동모터(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휠(22)은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의 좌우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외측에 컨베이어벨트(24)가 감겨져 상기 컨베이어구동모터(26)에 작동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4)의 상부면에 안착된 다량의 종패(S)가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는 로프(30)가 설치된다. 상기 로프(30)는 일반적인 로프(rop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프(30)는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프(30)의 끝단은 후술할 그물(46)의 끝단부를 감겨진 상태에서 권양기(미도시)에 권취되어 그물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프(30)에는 종패지지대(32)가 설치된다. 상기 종패지지대(32)는 절단된 원통 형상의 고무 또는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30)에 일정한 간격으로 감겨져 설치된다. 상기 종패지지대(32)는 상기 로프(30)와 함께 후술할 그물(46)의 내부에 수용되며, 후술할 그물(46)을 벌려주는 역할과 함께 상기 종패지지대(32) 사이에 안착되는 다량의 종패(S)를 지지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상단 중앙에는 종패이송차단부재(34)가 설치된다. 상기 종패이송차단부재(34)는 도 3 또는 도 6과 같이,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절개홀(38)을 통해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패차단플레이트(36)와, 상기 종패차단플레이트(3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차단플레이트(36)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측면에 습동홈(41)이 형성되어 상기 종패차단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프레임(40)과, 상기 승강안내프레임(40)에 관통 삽입되며, 일단이 종패차단플레이트(36)에 밀착되어 상기 종패차단플레이트(36)를 상기 승강안내프레임(4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패차단플레이트(36)는 양단에 설치되는 승강안내프레임(4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4)의 상부면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차단하여 종패(S)의 공급을 차단한다.
즉, 상기 종패이송차단부재(34)는 작업 도중에 컨베이어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다른 작업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종패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끝단 하부에는 종패투입가이드플레이트(44)가 설치된다. 상기 종패투입가이드플레이트(44)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우측 하단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종패투입가이드플레이트(44)는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량의 종패(S)가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에 상기 종패지지대(32) 측으로 종패(S)가 낙하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외주면에는 그물(46)이 설치된다. 상기 그물(46)은 일반적인 망형태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그물(46)은 도 1과 같이,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끝단이 오므라진 상태로 상기 로프(30)에 결합된다. 상기 그물은 상기 로프(30)의 이송에 따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우측단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이송된 다량의 종패(S)와 상기 종패지지대(32) 그리고 로프(3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그물(46)은 상기 종패지지대(32) 사이에 담겨지는 일정량의 종패(S)를 일정한 공간에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우측 끝단 외주면에는 그물압착링(48)이 설치된다. 상기 그물압착링(48)은 코일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져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그물압착링(48)은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우측 끝단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그물(46)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그물압착링(48)은 상기 그물(46)의 배출시 상기 그물(46)을 상기 종패이송관(18)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그물(46)이 일정한 면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끝단 외주면에는 압착링삽입홈(50)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링삽입홈(50)은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끝단 외주면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압착링삽입홈(50)의 내부에는 그물압착링(48)이 삽입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우측 끝단에는 실결속수단(52)이 설치된다. 상기 실결속수단(52)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중앙에 그물이송홀(56)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프(30)와 그물(46)이 관통 이송되는 결속플레이트(54)와,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1실타래부(68)가 고정 설치되는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2실타래부(82)가 고정설치되는 제2실결속기어부(72)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에 치차 결합되어 실결속구동부재(8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8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플레이트(54)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우측 끝단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중앙에는 그물이송홀(56)이 형성된다. 상기 그물이송홀(56)은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물이송홀(56)은 상기 그물(46)이 좌우로 관통되어 후술할 제1실타래부(68)와 제2실타래부(82) 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우측면에는 제1실결속기어부(5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그물안내홀(62)이 형성되는 제1간격조절링(60)과, 상기 제1간격조절링(6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제1링기어(6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는 제1간격조절링(60)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각각 제1링기어(64)가 결합되어, 상기 제1링기어(64) 사이에 제1기어이탈방지홈(6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는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우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동력전달기어(86)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그물이송홀(56)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우측면에는 제1실타래부(6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타래부(68)는 보빈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실이 감겨진 실타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실타래부(68)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제1실타래부(68)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실타래부(68)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그물안내홀(62)을 통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실을 감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실타래부(68)의 제1실(70)은 끝단이 상기 그물(46)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그물안내홀(62)을 통과하는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1실(70)을 감아준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측에는 제2실결속기어부(7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체결홀(76)이 형성되는 제2간격조절링(74)과, 상기 제2간격조절링(74)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제2링기어(7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는 제2간격조절링(74)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각각 제2링기어(78)가 결합되어, 상기 제2링기어(78) 사이에 제2기어이탈방지홈(8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후술할 동력전달기어(86)와 치차 결합되어 제1실결속기어부(58)를 기준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우측면에는 제2실타래부(8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실타래부(82)는 보빈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실이 감겨진 실타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실타래부(82)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제2실타래부(82)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실타래부(82)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그물안내홀(62)을 통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실을 감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실타래부(82)의 제2실(84)은 끝단이 상기 그물(46)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그물안내홀(62)을 통과하는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2실(84)을 감아준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는 동력전달기어(86)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86)는 일반적인 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86)는, 도 8과 같이,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우측면 상단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와 치차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86)는 후술할 실결속구동부재(88)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기어(86)가 회전되면, 도 8과 같이, 상기 동력전달기어(86)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동력전달기어(86)의 외측에 위치한 제2실결속기어부(7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좌측면 상단에는 실결속구동부재(88)가 설치된다. 상기 실결속구동부재(88)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결속구동부재(88)의 구동축(미도시)은 상기 동력전달기어(86)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86)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는 회전가이드기어(9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가이드기어(90)는, 전,후측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92)와, 상기 피니언기어(92) 사이에 설치되며,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에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휠(9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가이드기어(90)는 상기 가이드휠(94)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각각 상기 피니언기어(92)가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가이드기어(90)는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의 회전을 안내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92)는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휠(94)은 상기 제1,2기어이탈방지홈(66,80)에 삽입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외측에는 기어지지휠(96)이 설치된다. 상기 기어지지휠(96)은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우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기어지지휠(96)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결속플레이트(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회전을 안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종패리튜빙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종패이송관(18)의 외측에 설치되는 그물(46)의 끝단을 우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권양기(미도시)에 권취한다.
또한, 상기 그물(46)의 끝단에는 로프(30)의 끝단을 감아주어, 상기 그물(46)의 내부에 로프(30)와 종패지지대(32)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권양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그물(46)과, 로프(30) 그리고, 종패지지대(32)에 동시에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권양기를 작동시켜 상기 그물(46)을 서서히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종패(S)가 저장되는 종패공급호퍼(10)를 통해 종패이송컨베이어(20)에 다량의 종패(S)가 이송된다.
상기 다량의 종패(S)는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는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우측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로 낙하하는 다량의 종패(S)는 종패투입가이드플레이트(44)에 의해 로프(30)에 고정된 종패지지대(32)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종패지지대(32) 사이에 떨어진 종패(S)는 일정량씩 상기 종패지지대(3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그물(46)에 감싸져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종패(S)가 상기 그물(46)에 담겨진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실결속수단(52)의 그물이송홀(56)을 통해 상기 그물(46)의 좌우로 관통되도록 이송된다.
상기 그물(46)의 좌우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제2실결속기어부(7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도 12와 같이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제1,2실(70,84)을 서로 교차하도록 감아준다.
따라서, 상기 그물(46)의 외주면에 제1,2실(70,84)이 교차하도록 감겨져 다량의 종패(S)를 저장한 그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그물(46)의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그물(46)을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종패공급호퍼 12. 본체프레임
16. 종패이송수단 18. 종패이송관
30. 로프 32. 종패지지대
52. 실결속수단 58. 제1실결속기어부
72. 제2실결속기어부 90. 회전가이드기어

Claims (5)

  1.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종패(S)가 저장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종패(S)를 공급하는 종패공급호퍼(10)와;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2)과;
    상기 종패공급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종패이송관(18)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낙하는 다수개의 종패(S)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패이송컨베이어(20)로 이루어지는 종패이송수단(16)과;
    일정한 간격으로 종패지지대(32)가 고정되며, 로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종패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외부의 견인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종패지지대(32)에 의해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내부로 투입된 종패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종패이송관(18)의 외부로 배출하는 로프(30)와;
    상기 종패이송수단(16)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그물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로프에 결속되어 상기 로프(30)에 의해 풀려나가면서 상기 종패지지대에 의해 이송되는 종패를 내부에 수용하는 그물(46)과;
    상기 종패이송관(18)의 끝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그물이송홀(56)을 통해 상기 로프(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그물(46)이 관통되어 이송되고, 상기 그물(46)의 외측에 실을 감아주는 실결속수단(52)을 포함하며;
    상기 실결속수단(52)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중앙에 그물이송홀(56)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프(30)와 그물(46)이 관통 이송되는 결속플레이트(54)와;
    상기 결속플레이트(5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1실타래부(68)가 고정 설치되는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2실타래부(82)가 고정설치되는 제2실결속기어부(72)와;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에 치차 결합되어 실결속구동부재(8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8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 사이에는,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기어(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기어(90)는,
    전,후측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92)와;
    상기 피니언기어(92) 사이에 설치되며,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에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휠(9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와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2실결속기어부(58,72)의 제1,2실타래부(68,82)에서 배출되는 제1,2실(70,84)이 상기 그물(46)의 외측에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감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종패리튜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외측에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와 접속되고,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회전을 안내하는 기어지지휠(9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패리튜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실결속기어부(58)의 외주면 중앙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휠(94)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는 제1기어이탈방지홈(6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실결속기어부(72)의 내주면 중앙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휠(94)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는 제2기어이탈방지홈(8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패리튜빙장치.
KR1020170008875A 2017-01-18 2017-01-18 종패 리튜빙 장치 KR10202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75A KR102021577B1 (ko) 2017-01-18 2017-01-18 종패 리튜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75A KR102021577B1 (ko) 2017-01-18 2017-01-18 종패 리튜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0A KR20180085310A (ko) 2018-07-26
KR102021577B1 true KR102021577B1 (ko) 2019-09-16

Family

ID=6304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75A KR102021577B1 (ko) 2017-01-18 2017-01-18 종패 리튜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45A (ko) 2020-08-13 2022-02-22 허정규 종패 그물망 자동 결속장치
KR20220170467A (ko) * 2021-06-23 2022-12-30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8112B (zh) * 2019-08-14 2024-05-17 浙江海洋大学 一种齿圈式贻贝自动包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05B1 (ko) 2015-05-11 2016-02-17 김병권 종패 리튜빙 장치
KR101648830B1 (ko) * 2016-03-04 2016-08-17 김병대 종패 리튜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516B2 (ja) * 2004-12-28 2011-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遊星歯車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22508A (ko) * 2010-02-09 2010-03-02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05B1 (ko) 2015-05-11 2016-02-17 김병권 종패 리튜빙 장치
KR101648830B1 (ko) * 2016-03-04 2016-08-17 김병대 종패 리튜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45A (ko) 2020-08-13 2022-02-22 허정규 종패 그물망 자동 결속장치
KR20220170467A (ko) * 2021-06-23 2022-12-30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KR102656699B1 (ko) 2021-06-23 2024-04-09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0A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577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KR101594905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US8656640B2 (en) Tree balling method, system, and wire basket used therein
US4619193A (en) Standing tree baler
JP2019520072A (ja) 海藻収穫機
WO200900983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llusc farming
KR101648830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KR101239929B1 (ko) 주낙용 투승장치
US20160207648A1 (en) Mechanism for an automatic socking machine
CN207135974U (zh) 稻田小龙虾养殖饲喂网
KR101746092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US11066201B2 (en) Baling press for cotton gin trash and other biomass feedstock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5671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planting rope from plant root material
KR102515171B1 (ko) 종패 그물망 자동 결속장치
KR101860683B1 (ko) 종자줄과 이 종자줄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18245248U (zh) 岸边催钓快速投送装置
US36489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ament winding
CN207604285U (zh) 一种防鸟网
JPH01501197A (ja) 道糸に鉤素を接続し又上記道糸を巻上げ又は繰出す方法及び装置
KR20150133983A (ko) 씨줄 로프 제조장치
CN112471093B (zh) 一种转动式鱿鱼自动钓机
CN212911197U (zh) 一种畜牧养殖用的防倾倒防护结构
KR20230120804A (ko) 톳 모종 이식장치
US3267609A (en) Pole bean staking and trellising machine
CN107396872B (zh) 稻田小水产养殖投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