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430B1 - 원형 문합기 - Google Patents

원형 문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430B1
KR102021430B1 KR1020170115279A KR20170115279A KR102021430B1 KR 102021430 B1 KR102021430 B1 KR 102021430B1 KR 1020170115279 A KR1020170115279 A KR 1020170115279A KR 20170115279 A KR20170115279 A KR 20170115279A KR 102021430 B1 KR102021430 B1 KR 10202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stomosis
head
guide
anus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165A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7011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4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Abstract

원형 문합기에 관한 것으로,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항문을 통해 체내로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유선 형상이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항문을 통해 체내로 헤드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선단에 가이드부를 돌출시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형 문합기{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원형 문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문합기의 체내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적용되는 원형 문합기에 관한 것이다.
문합(anastomosis)이란 식도, 위, 대장, 소장과 같은 인체의 장질환과 관련된 절단수술 후 장기의 절단된 부분을 접합하는 것으로, 문합수술은 인체에서 식도암에 의한 식도 부분제거수술 후의 식도재건, 위암에 의한 위 제거수술 후 식도와 십이지장의 접합, 대장암 등과 같은 대장질환에 의한 대장 부분제거수술 후 대장의 재건, 직장에 생기는 병변 제거수술 후 직장 재건수술 등의 경우에 수행되는 접합수술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기의 절제 및 문합은 복부 개방을 수반할 수도 있으나, 복부를 개방하지 않고, 항문을 통해 문합 기구를 삽입해서 수행되기도 한다.
최근까지는 고전적인 수봉합에 의한 단순문합술이 시행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시술방식 중 하나이다.
그러나, 수봉합에 의할 경우 봉합수술 후 문합 부위의 누출발생으로 인한 합병증 및 이로 인한 2차변화의 진행으로 많은 경우에 문합 부위의 협착이 발생하며, 이것은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최근 들어, 관형 장기의 외과수술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로서 원형 문합기가 상술한 문합수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헤드부, 연결부 및 핸들부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는 수술시 스테이플러에 의해 창자를 문합하고 불필요한 연조직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부는 수술시 창자의 형태나 수술부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분이며, 상기 핸들부는 문합시 창자 연조직의 인터페이스 압력을 조절해주고 문합을 위한 스테이플러를 발사하며 연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기계적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형 문합기는 핸들부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선단부에 다수의 'ㄷ' 형상 스테이플을 원주상에 배치한 베드 및 스테이플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드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되는 앤빌을 포함한다.
따라서, 베드와 앤빌을 관형의 장기의 내부에 삽입하고, 베드와 앤빌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 후 스테이플을 타출하여, 대향하는 앤빌면에 설치된 홈에 의해 스테이플을 변형시킴과 동시에, 스테이플 열의 내측에 남은 여분의 조직을 스테이플 열의 내측에 배치된 원형 나이프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문합을 완성한다.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5392979호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5205459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에서 복부를 개방하지 않고, 항문을 통해 헤드부와 연장부의 일부를 삽입해서 문합하는 경우, 헤드부와 연장부의 직경이 항문보다 넓기 때문에 항문을 통과하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 헤드부의 최대 외경은 항문의 직경보다 상당히 큼에 따라, 시술자는 원형 문합기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할 때 환자의 항문을 향해 큰 힘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항문 삽입시 시술자에게는 많은 수고가 필요하며, 환자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항문에 큰 힘으로 접촉함에 따라, 항문의 점막과 피부, 그리고 항문 괄약근이 손상되거나, 좁은 항문을 통과한 헤드부가 빠른 속도로 체내의 장기와 접촉하면서 체내의 장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내 삽입시 보다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가 적용된 원형 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내 삽입 과정에서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항문의 점막과 피부, 그리고 항문 괄약근의 손상을 방지하고, 체내의 장기와 접촉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원형 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항문을 통해 체내로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유선 형상이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문합기에 의하면, 항문을 통해 체내로 헤드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선단에 가이드부를 돌출시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 수술을 위해 헤드부를 삽입하는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고,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문을 통해 삽입하는 과정에서 항문의 점막과 피부, 그리고 항문 괄약근이 손상되거나, 좁은 항문을 통과한 헤드부가 빠른 속도로 체내의 장기와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체내의 장기 손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문합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합부와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원형 문합기의 작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문합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20),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30), 문합부(20)에 마련된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40) 및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10)는 문합부(20)에 마련된 헤드부(22)를 항문을 통해 체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10)는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문합부와 가이드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합부와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문합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테이플을 수용하고 구동부(4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헤드부(21)와 헤드부(21) 선단에 결합되는 앤빌헤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1)에는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스테이플 수용구(23)가 마련되고, 앤빌헤드(22)에는 발사된 스테이플이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앤빌(24)이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플(11)은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사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바(12)와 베이스바(12)의 양단에 발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바(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이플(11)은 스테이플 수용구(23)에서 발사되면, 한 쌍의 돌출바(13)가 앤빌(24)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25)에 접촉되면 오목부(25)의 형상에 따라 휘어진다.
즉, 헤드부(21)와 접하는 앤빌헤드(22)의 후단에는 앤빌(24)이 형성되고, 앤빌(24)의 후면에는 헤드부(21)에 형성된 스테이플 수용구(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쌍의 오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쌍의 오목부(25)는 단면이 반원 형상이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오목부(25) 사이에는 출몰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출몰부(26)의 양면은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25)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출몰부(26)의 최상단은 중앙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돌출바(13)는 각각 한 쌍의 오목부(25) 형상을 따라 먼저 한 쌍의 오목부(25) 사이의 출몰부(26)를 향해 휘어지고, 출몰부(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곡면을 형성한 후, 다시 한 쌍의 오목부(25) 형상을 따라 출몰부(26)를 향해 휘어진다.
따라서 한 쌍의 돌출바(13) 선단부는 각각 최종적으로 대략 링 형상으로 말아진다.
이에 따라, 수술 과정에서 문합하고자 하는 문합 부위의 제1 조직(14)과 제2 조직(15)이 스테이플(11)에 의해 문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헤드부(21)에는 문합 부위에서 스테이플로 고정될 부분의 내측에 있는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커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1)의 선단에는 투관침(27)이 마련되고, 앤빌헤드(22)의 후단에는 투관침(27)에 결합되는 앤빌샤프트(2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는 서로 문합하고자 하는 문합 부위의 제1 조직 측에 헤드부(21)를 배치하고, 제2 조직 측에 앤빌헤드(22)를 배치한 상태에서 투관침(27)과 앤빌샤프트(28)를 결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문합부(20)의 헤드부(21)와 핸들부(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32)로 연결되고, 연결부재(32)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40)의 앤빌헤드 구동축(42)과 핸들부(30)의 스테이플 구동축(34) 및 가이드부(60)의 가이드 구동축(64)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문을 통해 체내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선단이 뾰쪽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부(60)는 헤드부(21)의 선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부(61), 출몰부(61)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부(62) 및 연결부(62)의 후단에 연결되고 출몰부(61)가 출몰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출몰부(61)는 체내 삽입시 항문에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연결부(62)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뿔 형상이나 유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몰부(61)의 외면에는 가이드부(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개공(66)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절개공(66)은 출몰부(61)의 길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몰부(61)의 외면에 복수의 절개공(66)이 형성됨에 따라, 출몰부(61)는 헤드부(21)의 선단에서 돌출시 하나로 연결되고, 항문 내측으로 헤드부(21)의 삽입이 완료되면 복수의 절개공에 의해 복수의 분할판(67)으로 분할되어 헤드부(21)의 내부로 이동해서 수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절개공(66)이 6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부(21)의 직경, 출몰부(61)의 길이나 직경 등에 따라 절개공(66)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연결부(6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부(21)의 내부에 구동모듈(6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출몰부(61)와 연결부(6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출몰부(61)의 외측단과 헤드부(21)의 선단면 외측단 사이의 단차로 인한 통증 유발을 방지하는 환형 리브(68)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 리브(6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이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환형 리브(68)는 출몰부(61)가 헤드부(21)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 넓게 펴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출몰부(61)가 헤드부(21)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출몰부(61)의 외측단과 헤드부(21)의 선단면 외측단 사이의 단차를 메워 제거할 수 있다.
구동모듈(63)은 연결부(62)의 후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구동축(64)과 시술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가이드 구동축(64)에 전달하는 조작레버(6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구동축(64)은 연결부재(32)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레버(65)는 핸들부(30)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시술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의해 직선운동하도록 가해지는 조작력을 가이드 구동축(6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핸들부(30)의 일측면에는 조작레버(65)가 직선이동하는 이동공(36)과 이동공(36)의 선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이동한 조작레버(65)를 고정하는 고정공(37)이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시술자는 조작레버(65)를 전방으로 가압해서 출몰부(61)를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출몰부(61)와 헤드부(61)를 항문에 삽입하고, 헤드부(21)가 항문 내측으로 삽입된 후, 조작레버(65)를 후방으로 가압해서 출몰부(61)를 헤드부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시술자는 이동공(36)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고정공(37)이 직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출몰부(61)를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65)를 손으로 고정할 필요없이, 조작레버(65)를 고정공(37)에 위치시켜 고정하고, 출몰부(61)와 헤드부(21)를 항문 내측으로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들부(30)에 조작레버(65)를 마련해서 시술자가 직접 조작레버(65)를 가압 조작해서 출몰부(61)를 돌출시키거나 헤드부(21)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구동모듈(60)에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버튼(도면 미도시)과 상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도면 미도시)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술자가 직접 조작레버를 조작할 필요없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서 가이드부에 마련된 출몰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헤드부 내부로 이동시켜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에서, 핸들부(30)는 시술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압력을 발생하는 레버(31) 및 레버(31)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스테이플 수용구(23)에 수용된 스테이플(11)을 앤빌(24) 측으로 가압해서 발사하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스테이플 구동축(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30) 내부에는 구동부(40)와 제어부(50) 및 전원부(70)가 마련되고, 핸들부(30)의 외면에는 가이드부(60)의 조작레버(65)와 표시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31)에는 레버(31)의 회전을 차단 또는 해제하는 안전클립(33)이 설치되고, 레버(31)와 스테이플 구동축 사이에는 레버(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 동력변환유닛(3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동력변환유닛(35)은 샤프트와 기어 등을 조합해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전원부(7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41) 및 구동모터(4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투관침(27)으로 전달해서 투관침(27)에 결합된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앤빌헤드 구동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1)의 출력축과 앤빌헤드 구동축(42) 사이에는 기어나 샤프트 등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동력변환유닛(53)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을 이동시켜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가이드부(60)의 구동모듈(63)에 상기 모터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조작버튼을 통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구동해서 출몰부(61)를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헤드부(21)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원형 문합기의 작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의 (a)에서 항문(H)의 직경(DH)은 헤드부의 외경(D0)보다 상당히 작다.
따라서 시술자는 항문(H)에 마찰 감소용 물질을 바른 후, 항문(H) 내측으로 앤빌헤드를 삽입하고, 조작레버(65)를 전방으로 가압 조작해서 헤드부(21)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가이드부(60)의 출몰부(61)를 돌출시킨다.
이때, 출몰부(61)는 가이드 구동축(64)과 연결부(62)의 전진 이동에 의해 헤드부(21)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시술자는 출몰부(61)를 항문(H)에 접촉시켜 가압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부(61)와 헤드부(21)를 항문(H) 내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출몰부(61)의 항문 삽입시, 항문(H)의 직경(DH)은 유선형의 출몰부(61)에 의해 헤드부(21)의 외경(DO)에 이르도록 점차적으로 확장된다.
그래서 헤드부(21)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하게 항문(H)을 통과하여 항문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21)가 항문 내측으로 삽입되면, 시술자는 조작레버(65)를 후방으로 가압 조작하고, 가이드부(60)의 출몰부(61)는 가이드 구동축(64)과 연결부(62)의 후진 이동에 의해 헤드부(21)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해서 수용된다.
이후, 시술자는 체내로 삽입된 원형 문합기(10)를 이용해서 본격적인 문합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항문을 통해 원형 문합기의 헤드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선단에 가이드부를 돌출시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항문을 통해 원형 문합기의 헤드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선단에 가이드부를 돌출시켜 원활하게 삽입하는 원형 문합기 기술에 적용된다.
10: 원형 문합기
11: 스테이플 12: 베이스바
13: 돌출바 14,15: 제1,제2 조직
20: 문합부 21: 헤드부
22: 앤빌헤드 23: 스테이플 수용구
24: 앤빌 25: 오목부
26: 출몰부 27: 투관침
28: 앤빌샤프트 30: 핸들부
31: 레버 32: 연결부재
33: 안전클립 34: 스테이플 구동축
35: 제1 동력변환유닛 36: 이동공
37: 고정공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앤빌헤드 구동축
43: 제2 동력변환유닛 50: 제어부
60: 가이드부 61: 출몰부
62: 연결부 63: 구동모듈
64: 가이드 구동축 65: 조작레버
66: 절개공 67: 분할판
68: 환형 리브 70: 전원부
80: 표시부

Claims (6)

  1.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항문을 통해 체내로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유선 형상이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몰부,
    상기 출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출몰부가 출몰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몰부는 외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개공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선단에서 돌출시 하나로 연결되고, 항문 내측으로 상기 헤드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절개공에 의해 복수의 분할판으로 분할되어 상기 헤드부의 내부로 이동해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원형 문합기에 마련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원형 문합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구동축과
    시술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가이드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구동축,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버튼 및
    상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을 공급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와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출몰부의 외측단과 상기 헤드부의 선단면 외측단 사이의 단차를 메우는 환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KR1020170115279A 2017-09-08 2017-09-08 원형 문합기 KR10202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9A KR102021430B1 (ko) 2017-09-08 2017-09-08 원형 문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9A KR102021430B1 (ko) 2017-09-08 2017-09-08 원형 문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5A KR20190028165A (ko) 2019-03-18
KR102021430B1 true KR102021430B1 (ko) 2019-09-16

Family

ID=6594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79A KR102021430B1 (ko) 2017-09-08 2017-09-08 원형 문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81B1 (ko) 2006-05-15 200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
JP2009072599A (ja) * 2007-09-24 2009-04-09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器具のための挿入シュラウド
JP2012505725A (ja) * 2008-10-16 2012-03-08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ビルの位置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944A (en) 1987-05-26 1994-02-15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apparatus
GR920100358A (el) 1991-08-23 1993-06-07 Ethicon Inc Οργανο συρραφής χειρουργικής αναστομώσεως.
JP3791856B2 (ja) * 1996-04-26 2006-06-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縫合器
KR101189374B1 (ko) * 2010-03-31 2012-10-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용 삽입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81B1 (ko) 2006-05-15 200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
JP2009072599A (ja) * 2007-09-24 2009-04-09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器具のための挿入シュラウド
JP2012505725A (ja) * 2008-10-16 2012-03-08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ビルの位置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5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3784B1 (en) Surgical system for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
JP4510001B2 (ja) 湾曲器具に沿っての駆動力の伝達
EP3320858B1 (en) Circular surgical stapler with recessed deck
US5782397A (en) Stapling device
US6742692B2 (en) method of sequentially firing staples using springs and a rotary or linear shutter
EP2286740B1 (en) Surgical stapler
EP0923345B1 (en) A flexible annular stapler for closed surgery of hollow organs
EP1785098A2 (en)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hydraulically actuated end effector
JPH0647050A (ja) 組織縫合結紮器
WO2007037335A1 (ja) 縫合器
JP2006212453A (ja) 組織縫合結紮器
JP4841821B2 (ja) 組織に対する手術手技用のアプライヤー
JP2005103277A5 (ko)
KR102021430B1 (ko) 원형 문합기
KR102072045B1 (ko) C-자형 문합기
CN217853123U (zh) 一种外翻式缝合器
JP3851849B2 (ja) 組織縫合結紮器
KR20190028164A (ko)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
US8231642B2 (en) Intestinal anastomotic surgery aid
CN115120293A (zh) 一种用于外翻式缝合器的执行机构、缝合器及缝合器质量检验方法
JP2003111763A (ja) 組織縫合結紮器
US11642133B2 (en) Securing ring for use with an end-to-end anastomosis stapling device
US20220395275A1 (en) Surgical fastening instrument
CN214966105U (zh) 外科吻合器
CN117794468A (zh) 具有带可扩张冠部的钉的圆形外科缝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