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70B1 -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70B1
KR102021370B1 KR1020180025698A KR20180025698A KR102021370B1 KR 102021370 B1 KR102021370 B1 KR 102021370B1 KR 1020180025698 A KR1020180025698 A KR 1020180025698A KR 20180025698 A KR20180025698 A KR 20180025698A KR 102021370 B1 KR102021370 B1 KR 10202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plant
composition
weight
contr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이용상
김택수
이인기
Original Assignee
인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Abstract

프로베나졸(Probenazole) 및 플로니카미드(Flonicamid)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USING SAME}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 및 이들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병원체에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선충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거의 모든 작물에 식물 병해를 유발하여 작물의 수확량 감소를 초래한다.
이 중,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 바이러스병은 종류에 따라 모자이크, 반점, 퇴록, 괴사, 왜화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감염된 작물의 생육을 좋지 않게 만든다. 증상의 형태는 작물(기주)과 바이러스 종류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식물 바이러스 종류는 작물에 따라 다르지만, 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여러 작물에 병을 유발할 수 있다.
국내의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는 토마토퇴록바이러스(Tomato chlorosis virus, ToC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 고추얼룩바이러스(Pepper mottle virus, PepMoV),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Tomato mosaic virus, ToM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이며, TYLCV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RNA 바이러스이다. ToCV는 2013년에 논산, 익산, 함평, 화순, 제주에서 처음 발생하였고, 감염된 식물체는 잎갈변과 엽맥퇴록 병징을 보이며, 7종 이상의 잡초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TSWV는 2004년 안양 관양동 지역에서 대발생하였고, 감염식물에 괴사 및 다중원형반점을 일으킨다. CMV는 국내 채소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로 토마토에서는 잎에 모자이크와 고사리잎(fern leaf) 모양 병징을 일으킨다. 이밖에 PepMoV와 ToMV는 토마토 품종에 따라 황화모자이크, 엽맥괴사, 퇴록반점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벼의 주요 바이러스 병은 벼줄무늬잎마름병, 벼오갈병, 벼검은줄오갈병이며, 이러한 병은 각각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 벼위축바이러스(Rice dwarf virus, RDV) 및 벼검은줄무늬위축바이러스(Rice black streaked dwarf virus, RBSDV)에 의해 발병한다. 특히, 애멸구에 의해 전반되는 RSV는 1935년에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2007년과 2008년에는 충남 서천, 전북 부안 등의 약 4,450ha 논과 전남 해남, 진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869ha 논에서 대량 발생하여 큰 피해를 일으켰다. 이러한 벼 바이러스병은 국내뿐만 아니라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아시아의 벼 재배지역에 큰 피해를 주고 있어, 국가간 교류를 통해 벼 바이러스 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무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mosaic virus, TuMV) 등 7종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TuM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와 무모자이크바이러스(RaMV)가 보고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고추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6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16종의 바이러스가 보고되었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국내 고추 재배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CMV는 65속 885종의 식물에 감염되는 기주 범위가 넓고, 3개의 분절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의 방향 외가닥 RNA 바이러스(positive-sense single stranded RNA virus)이다. RNA1은 복제효소, RNA2는 RNA-의존 RNA 폴리머라제, RNA3는 3a와 외피단백질유전자를 암호화하고 있다. 거의 모든 재배종 마늘은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바이러스로는 양파황화위축바이러스(Onion yellow dwarf virus, OYDV)와 부추황화줄무늬바이러스(Leek yellow stripe virus, LYSV)가 알려져 있다.
감자를 기주로 하는 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4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5여 종이 보고되었다. 이들 중 감자에 피해를 많이 주는 바이러스로는 포티바이러스(Potyvirus) 속의 대표 바이러스인 감자바이러스 Y(Potato virus Y, PVY)와 루테오바이러스(Luteovirus) 속의 대표 바이러스인 감자잎말림바이러스(Potato leafroll virus, PLRV)가 있다. PVY는 감자 품종과 지표식물에 나타나는 병원성의 차이로 PVYO(common strain), PVYC (stipple streak strain), PVYN(tobacco veinal necrosis strain), PVYNTN(potato tuber necrosis strain)으로 나누어진다. 국내 감자에서는 PVYN 계통이 우점하고 있으며, 감자 품종에 따라 PVY에 의한 병원성에 차이를 나타낸다.
한편, 식물 세균병은 주로 식물의 상처 부위를 통해 식물체 내로 침입한 후, 식물 체내에서 급속히 증식하여, 침입 후 수일 내에 식물을 무르게 하거나, 시들게 하거나 심하면 고사시킨다.
이러한 식물병 중, 특히, 고추, 토마토, 파프리카 등 가지과 작물에 발생하는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세균은 토양으로부터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통해 침입하므로 더욱이 방제가 힘들다. 다조메, 메탐소듐과 같은 등록된 약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들은 토양에 처리되는 경우 세균뿐만 아니라, 처리된 지역 내의 곤충, 미생물, 식물 등 모든 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는 것으로, 유용한 미생물까지 모두 사멸시켜 토양 환경에 문제를 야기시키는 한편, 작물의 생육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또한, 가스에 의한 소독이므로, 주로 외기와 밀폐가 되는 시설(하우스) 내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노지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약제 처리 후 반드시 비닐 피복을 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토양 처리를 통해 풋마름병을 방제할 수 있으면서, 시설 재배뿐만 아니라 노지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방제하고자 하는 병을 제외한 토양 내의 기타 유용 미생물에는 영향을 안 주며, 작물의 생육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바이러스와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5451호와 같이 미생물, 추출물과 같은 다양한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이용한 약제 등이 사용되어 왔지만, 여전히 효과적인 방제제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 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5451호 (2013.03.12. 공개)
본 발명은 해충에 의해 전염되어 식물, 구체적으로는 작물에 발생하는 식물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개발 및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베나졸(Probenazole) 및 플로니카미드(Flonicamid)의 혼합 조성물이 작물 정식 전에 토양에 처리됨으로써 주요 식물 병해들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프로베나졸 및 플로니카미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베나졸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중량%로, 상기 플로니카미드는 1 내지 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베나졸과 플로니카미드의 중량비는 3:1 내지 1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은 고추, 토마토, 벼, 배추, 담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병해 방제제는 입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병해 방제제는 토양 처리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양태는 상기 식물 병해 방제제를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 구체적으로는 작물에 발생하는 식물 병해, 구체적으로 바이러스 및/또는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중 프로베나졸은 작물의 유도저항성을 발현시켜 자체적인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플로니카미드는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매개충을 예방한다. 상기 두 성분을 동시에 작물에 처리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바이러스 및/또는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매개충을 제외한 벌, 나비 등 익충에게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토양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제를 살포한 후의 처리구 토양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시험 포장의 골타기 작업 중인 토양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제를 살포한 처리구에 고추를 정식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방제제 무처리구에서 관찰된 고추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a), 및 고추 풋마름병에 감염된 식물체(b)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제(실시예 1)의 처리구 및 무처리구에서의 고추 바이러스 및 풋마름병 발병률을 나타낸다. 여기서, 고추 바이러스의 방제율은 93.0%, 및 풋마름병의 방제율은 78.7%로 확인되었다.
도 6은 식물 병해가 나타난 감염주의 고춧잎의 PCR 동정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감염주는 3종의 바이러스(TSWV, CMV, Pepmov)에 중복감염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식물 병해,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프로베나졸 및 플로니카미드를 일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로베나졸 및 플로니카미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바이러스 저해제 및/또는 곤충 방제제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물"은 작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고추, 토마토, 벼, 배추, 담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예컨대 고추 또는 토마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베나졸(Probenazole)"은 불용성의 무색의 고체로서, 3-클로로-1,2-벤즈이소티아졸-1,1-디옥시드와 알릴 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토양에서의 반감기는 1일 미만으로 분해속도가 빠르다. 프로베나졸은 살리실산-매개된 방어 신호 경로를 활성화 시켜 식물의 유도저항성을 발현시키며, 이를 통해 식물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 식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상기 프로베나졸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중량%, 예컨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로니카미드(Flonicamid)"는 식물 바이러스 매개충, 예컨대, 진딧물, 총채벌레, 가루이, 개미, 흰개미, 벼룩, 좀, 응애, 이, 선충, 딱정벌레, 집게벌레, 바퀴벌레, 파리, 깍지벌레, 매미충, 말벌, 나방, 나비, 방아깨비, 메뚜기, 귀뚜라미 등의 영양 패턴을 파괴하는 전신활성 물질로 기능하여 이들을 방제한다. 식물 바이러스는 주로 매개충에 의해 전염되므로, 매개충을 방제함으로써 식물이 식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플로니카미드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 예컨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플로니카미드는 원제 자체의 독성이 낮은 농약으로서, 농약사용 매뉴얼(Pesticide Manual)에 의하면, 익충, 예컨대 꿀벌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D50)가 섭식의 경우 60.5μg/개체 초과, 접촉의 경우 100μg/개체 초과로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해성 평가 지수(Hazard Quotient)가 50μg/개체 이상인 경우 그 원제의 독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꿀벌에 대한 독성 시험이 면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포함되는 플로니카미드는 입제의 형태로 토양에 처리되므로, 방제제가 꿀벌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가능성이 낮으며, 방제제가 식물 체내로 침투이행 하여도 유해성 형가 지수 수치 미만이므로, 꿀벌 등 익충에 대해 안전하다.
식물에 대한 식물 바이러스의 매개충의 예는 다음과 같다. 고추에서 잠두위조바이러스(Broad Bean Wilt Virus, BB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진딧물에 의해 매개되고,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에 의해 매개되며, 토마토의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및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는 각각 온실가루이 및 총채벌레에 의해 매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서, 프로베나졸과 플로니카미드의 중량비는 3:1 내지 10:1일 수 있다. 두 성분의 중량비가 3:1을 초과하는 경우, 플로니카미드의 약량 과다로 식물의 잎 가장자리부터 황화 현상의 발생하거나 생장 속도가 저하되어 수확시기의 지연 등의 약해가 유발되며, 두 성분의 중량비가 10:1 미만인 경우, 방제 대상 곤충의 방제 기대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조립제, 증량제, 계면활성제, 안정제, 착색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립제는 조성물을 입제 상태로 형성시키기 위한 물질로서, 결합제 또는 고결제로도 지칭되며, 예컨대, 덱스트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전분 등의 다당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폴리머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증량제는 장석, 탈크, 카올린, 백운석, 규조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와 같은 천연 광물질, 소성클레이, 퍼라이트, 소성규조토 등의 천연 광물질의 소성품, 탄산마크네슘,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수소암모늄, 염화칼륨 등의 무기염류, 포도당, 과당, 자당, 유당 등의 당류, 요소, 요소유도체, 안식향산, 안식흉산 등의 염의 유기물, 목분, 옥수수자루, 호두껍질, 담배줄기 등의 식물류, 비료, 화이트카본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카올린 및 백운석의 혼합물을 증량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입자의 형성에 도움이 되고, 붕괴와 식물 체내의 흡수의 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페닐에테르의 포르말린 축합물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지방산에스테르형의 다가알코올계,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코올, 아세틸렌글리콜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등의 아세틸렌계,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알킬글리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펠리말레인산, 폴리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과 올레핀과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공중합물, 메타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과 스티렌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미토아크릴산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초산비닐과의 공중합물, 수지산 및 지방산 등의 염 등의 카리본산형 계면활성제와 알킬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폴리머)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텔렌스티릴페닐 등의 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형계면활성제, 알킬술폰숙신산형 계면활성제,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페닐에테르의 폴리머의 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면, 알킬4급암모늄, 알킬아면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알킬4급암모늄염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형 및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안정제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의 저장 또는 살포 후에 유효성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로서, 방향족 아민류, 고급 지방산, 예컨대, 크실렌, 알킬벤젠, 페닐크실릴 에탄 및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머신유, 노말파라핀, 이소파라핀 및 나프텐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케로신등의 방향족탄화수소와 지방족탄화수소의 혼합물, 에틸렌클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시클로헥사논 및 감마부티로락톤 등의 케톤,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호박산디알킬에스테르, 글루타민산디알킬에스테르, 아디핀산디알킬에스테르 및 프탈산디알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알킬 피롤디돈 등의 산아미드, 대두유, 아마씨유, 야자유, 피마자유 등의 유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착색제는 수용성이 낮은 안료 또는 수용성 염료로서, 예컨대, 로다민(rhodamin) B, C.I. 피그먼트 레드(pigment red) 112, C.I. 솔벤트 레드(solvent red) 1, 피그먼트 블루(pigment blue) 15:4, 피그먼트 블루 15:3, 피그먼트 블루 15:2, 피그먼트 블루 15:1, 피그먼트 블루 80, 피그먼트 옐로우(pigment yellow) 1, 피그먼트 옐로우 13, 피그먼트 레드 112, 피그먼트 레드 48:2, 피그먼트 레드 48:1, 피그먼트 레드 57:1, 피그먼트 레드 53:1, 피그먼트 오렌지(pigment orange) 43, 피그먼트 오렌지 34, 피그먼트 오렌지 5, 피그먼트 그린(pigment green) 36, 피그먼트 그린 7, 피그먼트 화이트(pigment white) 6, 피그먼트 브라운(pigment brown) 25, 베이직 바이올렛(basic violet) 10, 베이직 바이올렛 49, 애시드 레드(acid red) 51, 애시드 레드 52, 애시드 레드 14, 애시드 블루(acid blue) 9, 애시드 옐로우(acid yellow) 23, 베이직 레드 (basic red) 10, 베이직 레드 108 등이 이에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프로베나졸, 플로니카미드, 안정제, 착색제, 조립제 및 증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프로베나졸 10 내지 13중량%, 플로니카미드 1 내지 5중량%, 안정제 3 내지 10중량%, 착색제 0.01 내지 0.5중량%, 조립제 5 내지 10중량% 및 증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프로베나졸 12.3중량%, 플로니카미드 2.2중량%, BAB 5중량%, 애시드 불루 9 0.1중량%, AG-1210 0.5중량%, 덱스트린 5중량%, CMC 1중량%, 카올린 40중량% 및 백운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는 입제, 분제, 수화제, 입상수화제 또는 그 혼합제일 수 있으나, 토양에 처리 가능한 제형이면 족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입제"는 입제 및 세립제를 포함하여, "분제"는 분제, 미분제 및 저비산분제를 포함한다. 입제의 직경은 0.25 내지 15mm이고, 분제의 직경은 10 내지 250㎛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입제는 혼합된 상태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조립법, 흡착법, 피막법 등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는 토양에 처리, 예컨대 살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제를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은, 예컨대, 입상의 식물 병해 방제제를 토양에 직접 처리, 예컨대 살포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토양에 살포되는 시기에는 제한이 없으나, 식물이 정식 또는 파종되기 전에 살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양에 살포된 식물 병해 방제제의 성분은 뿌리를 통하여 식물에 흡수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있어서, 방제제의 살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5kg/10a, 예컨대 3kg/10a의 양으로 살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는 희석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다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예를 들면 잠두위조바이러스(Broad Bean Wilt Virus, BB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및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중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병해 방제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예를 들면 난방제 세균병인 풋마름병의 방제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방제 조성물 및 방제제의 제조
시판 중인 분말형의 프로베나졸, 플로니카미드, 알킬벤젠(CR-BAB(CR-Branched alkyl benzene), 유성화연테크로부터 구입함), 애시드 블루 9(Acid blue 9), 소디움술폰숙신산 계면활성제(Sodium bis(2-ethylhexyl)sulfosuccinate, AG-1210, 거영으로부터 구입함), 덱스트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카올린(부남) 및 백운석을 준비하고,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21953519-pat00001
방제용 조성물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직경이 2mm 이상이 되도록 배출하여 조립하고, 이어서 수득된 조립물을 30 내지 80℃에서 건조하여 입상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방제 조성물 및 방제제의 제조
방제용 조성물을 하기 함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방제 조성물 및 입상 방제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21953519-pat00002
실험예 1. 입상 방제제의 약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입상 방제제의 작물에 대한 약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5월 15일부터 2주 동안 경기도 화성시 소재 고추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였다.
작물을 정식하기 전, 방제제의 처리 기준량을 3kg/10a로 결정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기준량 및 배량(6kg/10a)을 각각 10m2의 토양에 살포하였다. 이후, 갱신작업(로터리)을 수행하고, 골타기 작업과 비닐 멀칭을 한 후 고추를 정식하였다.
실험 결과,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의 작물에서 육안으로 인정될 정도의 약해가 확인되지 않아, 고추에 대하여 약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입상 방제제의 병해 방제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입상 방제제의 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5월 15일부터 2개월 동안 경기도 화성시 소재 고추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였다.
작물을 정식하기 전, 방제제의 처리 기준량을 3kg/10a로 결정하고,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방제제의 기준량을 각각 20m2의 토양에 살포하였다(도 1). 상기 방제제 처리구 8구역 및 비처리구(대조군)에 갱신작업(로터리)을 수행하고(도 2), 비닐 멀칭을 한 후 고추를 정식하였다(도 3).
병의 발생이 시작되는 6월부터 수시로 고추 바이러스, 풋마름병 및 탄저병의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방제제의 처리구 및 비처리구에서 모두 고추 바이러스, 풋마름병 및 탄저병의 발생을 확인하였다(도 4). 그러나, 비처리구 및 비교예에 따른 방제제 처리구에 비해 실시예들에 따른 방제제 처리구에서 고추 바이러스, 풋마름병 및 탄저병이 현저히 적게 발생한 것이 관찰되었다.
바이러스 발병률에 대하여, 실시예 1의 방제제 처리구에서는 1.2%, 무처리구에서는 17.1%의 바이러스 발병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풋마름병에 대하여는, 실시예 1의 방제제 처리구에서 2.3%의 발병률을 확인한 것에 반해, 무처리구에서는 10.8%의 발병률을 확인하였다(표 3 및 4, 및 도 5). 상기 발병된 바이러스 감염주의 고춧잎을 무작위로 채집한 후, PCR 동정을 수행한 결과, 3종의 바이러스(TSWV, CMV, Pepmov)가 중복감염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Figure 112018021953519-pat00003
Figure 112018021953519-pat00004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확인된 고추바이러스 및 풋마름병 방제가는 하기와 같이 확인 되었다.
Figure 112018021953519-pat0000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프로베나졸(Probenazole) 10 내지 15중량% 및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고,
    잠두위조바이러스(Broad Bean Wilt Virus, BB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고추얼룩바이러스(PepMoV), 풋마름병 또는 탄저병을 방제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베나졸과 플로니카미드의 중량비는 3:1 내지 10:1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고추, 토마토, 벼, 배추, 담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5.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프로베나졸 10 내지 13중량%, 플로니카미드 1 내지 5중량%, 안정제 3 내지 10중량%, 착색제 0.01 내지 0.5중량%, 조립제 5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증량제를 포함하고,
    잠두위조바이러스(Broad Bean Wilt Virus, BB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토마토반점시듦바이러스(TSWV), 고추얼룩바이러스(PepMoV), 풋마름병 또는 탄저병을 방제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 방제제는 입제인 식물 병해 방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 방제제는 토양 처리용인 식물 병해 방제제.
  9. 제6항의 식물 병해 방제제를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1020180025698A 2018-03-05 2018-03-05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10202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98A KR102021370B1 (ko) 2018-03-05 2018-03-05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98A KR102021370B1 (ko) 2018-03-05 2018-03-05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70B1 true KR102021370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98A KR102021370B1 (ko) 2018-03-05 2018-03-05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059B1 (ko) * 2022-04-07 2022-09-07 김도현 미량요소를 포함하는 식물바이러스 발병억제 및 확산방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451A (ko) 2011-08-22 2013-03-12 강원도 떡갈나무 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KR20130101014A (ko) * 2010-08-11 2013-09-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절지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 유해 절지동물 방제 방법
KR20170020768A (ko) * 2014-06-30 2017-02-24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살충, 살진드기, 살선충, 살연체동물, 살균 또는 살박테리아 조성물 및 병해충의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014A (ko) * 2010-08-11 2013-09-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절지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 유해 절지동물 방제 방법
KR20130025451A (ko) 2011-08-22 2013-03-12 강원도 떡갈나무 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KR20170020768A (ko) * 2014-06-30 2017-02-24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살충, 살진드기, 살선충, 살연체동물, 살균 또는 살박테리아 조성물 및 병해충의 방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059B1 (ko) * 2022-04-07 2022-09-07 김도현 미량요소를 포함하는 식물바이러스 발병억제 및 확산방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1559B (zh) 含硫杂芳族酸类似物作为杀细菌剂的用途
CN102771510B (zh) 一种含噻唑膦的杀虫组合物
Pons et al. Control of maize pests with imidacloprid seed dressing treatment in Catalonia (NE Iberian Peninsula) under traditional crop conditions
Hussain et al. A review on aphid-borne virus (Potato Virus Y)
Lal et al. Failure of control measures against Heliothis armigera (Hübner) infesting tomato in heavy pesticidal application areas in Delhi and satellite towns in western Uttar Pradesh and Haryana (India)
CN101642097A (zh) 噻虫胺缓控释颗粒剂组合物
KR102021370B1 (ko)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Stapleton et al. Effect of combining soil solarization with certain nematicides on target and nontarget organisms and plant growth
Otieno Impac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comm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pests and diseases in East Africa
Chandi Integrated management of insect vectors of plant pathogens
Alvarez et al. Managing hairy nightshade to reduce potato viruses and insect vectors
Ahmad et al. Resistance of cabbage aphid, 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 to endosulfan, organophosphates and synthetic pyrethroids
TW201717762A (zh) 協同性殺蟲組合物
Golvankar et al. Management of chickpea pod borer, Helicoverpa armigera Hubner by using microbial pesticides and botanicals
Ram et al. Biocontrol research in India
Al-Zyoud Efficacy of insecticides' applications against the cereal leafminer Syringopais temperatella Led.(Lep., Scythrididae) on barley under field conditions in Karak-Jordan
Regassa et al. Occurrence, distribution, economic importance and management of maize chlorotic mottle virus: a review
Mohanraj et al. Biological control of sugarcane diseases
Anusha et al. Avoidable loss estimation due to pod borers in C-152 and DC-15 varieties of cowpea.
Chander et al. Effect of insecticides including a novel molecule triflumezopyrim and biopesticides on rice planthoppers
CN106973933A (zh) 一种高效除草组合物及其应用
Srikanth et al. Status of biological control of Parthenium hysterophorus L. in India: a review
Vuković et al. Control of Myzus persicae Sulzer in paprika in greenhouse.
Patel et al. Efficacy of insecticides against rice tungro disease and its vector (Nephotettix Virescens) under glasshouse conditions
Sutnga et al. BIOEFFICACY OF IMIDACLOPRID AND THIACLOPRID AGAINST CHILLI APHID (Aphis gossypii GLOVER) IN MID HILLS OF MEGHALA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