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43B1 - 선박용 조타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43B1
KR102021343B1 KR1020180086865A KR20180086865A KR102021343B1 KR 102021343 B1 KR102021343 B1 KR 102021343B1 KR 1020180086865 A KR1020180086865 A KR 1020180086865A KR 20180086865 A KR20180086865 A KR 20180086865A KR 102021343 B1 KR102021343 B1 KR 102021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ust
unit
interrup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덕
Original Assignee
하이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26Steering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30Ships, e.g. propelling shafts and bear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스크류부, 전기로 구동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력 생성부, 회전력 생성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회전력 생성부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고속 회전을 저속 회전으로 감속시키는 감속부, 감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감속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단속시킴으로써 스크류의 회전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추력 단속부, 추력 단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스크류를 지지하고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 베어링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축 이동을 하는 스크류 축 이동부, 및 스크류 축 이동부와 서로 결합 고정되며, 스크류 축 이동부의 축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타의 회동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조타 장치{Steering gea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878호에는 전기모터, 변속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선박용 조타기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선박용 조타기는 조타기의 구성요소 중에 어느 한 구성요소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더욱 나아가서는 어느 한 구성요소의 문제 발생에 의해 선박의 방향타를 변경할 수 없어 선박의 운항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8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22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9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452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7-13620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7-1362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7-1378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7-2466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7-24668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조타기에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다른 조타기를구동시킴으로써 다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스크류부, 전기로 구동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력 생성부, 회전력 생성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회전력 생성부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고속 회전을 저속 회전으로 감속시키는 감속부, 감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감속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단속시킴으로써 스크류의 회전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추력 단속부, 추력 단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스크류를 지지하고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 베어링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축 이동을 하는 스크류 축 이동부, 및 스크류 축 이동부와 서로 결합 고정되며, 스크류 축 이동부의 축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타의 회동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부는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스크류 축 이동부가 스크류를 따라 축 이동하도록 하는 축 이동 나사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복수의 추력 단속부의 고정 너트가 스크류를 따라 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추력 단속부를 서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하도록 하는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 및 스크류부의 일측 단부영역에 스크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복수의 추력 단속부가 고정 너트에 의해 결합될 때에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키를 포함한다.
또한, 추력 단속부는 고정키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홈이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제1 추력 단속부, 제1 추력 단속부와 결합 고정되며, 제1 추력 단속부 방향으로 고정키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부가 중심영역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키 삽입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제2 추력 단속부, 제2 추력 단속부와 결합 고정되며, 제2 추력 단속부의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제3 추력 단속부, 및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을 따라 축 이동하는 고정 너트에 의해 제1,2,3 추력 단속부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고정 너트부를 포함하며, 고정 너트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에 의해 스크류의 회전이 단속된다.
또한, 고정키는 제1,2,3 추력 단속부가 배치된 사이 공간의 중심영역에 구비된다.
또한, 베어링부는 몸체 내부에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 스크류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관통부, 스크류 및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은 베어링부와 제2 추력 단속부의 사이 공간의 스크류 몸체에 형성된다.
또한, 스크류 축 이동부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베어링부, 추력 단속부, 감속부, 및 회전력 생성부를 구비하는 제1 스크류 구동부,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베어링부, 추력 단속부, 감속부 및 회전력 생성부를 구비하는 제2 스크류 구동부를 포함하며, 제1 스크류 구동부의 고장시에 제1 스크류 구동부의 추력 단속부를 단속시키고, 제2 스크류 구동부의 추력 단속부를 연결 접속함으로써 스크류를 제2 스크류 구동부에 의해 구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와 추력 단속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 추력 단속부와 제3 추력 단속부가 서로 결합 해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 추력 단속부와 제3 추력 단속부가 서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추력 단속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추력 단속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추력 단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스크류부(100), 회전력 생성부(200), 감속부(300), 추력 단속부(400), 베어링부(510), 스크류 축 이동부(600), 레버부(710) 및 타축부(720)로 구성되어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타의 회동각도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조타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100), 회전력 생성부(200), 감속부(300), 추력 단속부(400), 베어링부(510), 스크류 축 이동부(600)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접속된다.
스크류부(1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즉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우측 단부영역에는 제1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좌측 단부영역에는 제2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 구동부를 멀티 또는 다중 구비할 때 형성된다. 스크류부(100)의 대략 중양영역에는 스크류 축 이동부(600)가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 이동하도록 하는 축 이동 나사산(110)이 형성된다. 스크류 축 이동부(600)는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축 이동을 하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레버부(720)를 회동시킨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100)의 우측 단부영역(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1)이 형성된 영역을 지난 우측 단부영역)에는 고정키(130)가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돌출 형성된다. 고정키(130)는 스크류의 우측 단부영역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 형성되고 스크류의 두께방향으로 약간 돌출 형성된다. 고정키(130)는 후술하는 제1 추력 단속부(420)와 제3 추력 단속부(44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고정키(130)는 추력 단속부(400)가 고정 너트부(410)에 의해 결합 고정될 때에 고정 너트부(410)와 함께 추력 단속부(400)의 결합을 고정시키며, 고정키(130)에 의해 결합 고정되면 감속부(300)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부(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키(130)가 고정 해제되면 감속부(300)에서 전달된 회전력이 단속되어 스크류부(100)가 회전하지 않는다.
회전력 생성부(200)는 전기로 구동되어 회전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회전력 생성부(200)는 일정한 전력파워를 가진 전기모터로 구체화될 수 있다. 회전력 생성부(20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선박에 구비된 중앙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선박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해 중앙 제어부에서 회전력 생성부(200)로 제어명령을 내리면, 회전력 생성부(200)는 선박의 변침 방향에 맞도록 회전력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부가 회전하여 선박의 선미에 구비된 타의 방향을 바꾸도록 한다.
감속부(300)는 회전력 생성부(20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회전력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제공 받아 고속 회전을 저속 회전으로 감속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감속부(300)는 기존의 감속기를 사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추력 단속부(400)는 감속부(30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감속부(300)에서 증가된 회전력을 단속시킴으로써 스크류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추력 단속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너트부(410)와 제1,2,3 추력 단속부(420,430,440)를 포함한다.
고정 너트부(410)는 제1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추력 단속부(400)를 결합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한다. 즉, 고정 너트부(410)가 도 6의 도시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축 이동하면 추력 단속부(400)를 결합 고정하게 되어 회전력이 스크류부(100)에 전달되고, 고정 너트부(410)가 왼쪽으로 축 이동하면 추력 단속부(400)의 결합 고정이 해제되어 회전력이 스크류부(100)에 전달되지 않는다. 제1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121)은 베어링부(510)와 제1 추력 단속부(420)의 사이에 샤프트부(100)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추력 단속부(420)는 고정 너트부(410)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제2 추력 단속부(430)와 서로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력 단속부(420)는 스크류부에 구비된 스크류가 관통하도록 하는 스크류 관통홈이 중심영역에 형성되면서 후술하는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중심 결합부(432)와 서로 결합 고정되는 중심 결합부(422)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외곽 결합부(433)와 서로 결합 고정되는 외곽 결합부(423)를 구비한다. 중심 결합부(422)와 외곽 결합부(423)는 이들보다 반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 홈(424) 안에 배치된다. 중심 결합부(422)와 외곽 결합부(423)는 그 단면 형상이 원 또는 타원이고 전체 형상이 일예로서 원기둥일 수 있다. 제1 추력 단속부(420)의 원기둥이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원기둥과 서로 삽입 결합 고정된다. 중심 결합부(422)의 12시 방향에는 상술한 고정키(130)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홈(421)이 형성된다.
제2 추력 단속부(4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력 단속부(420)의 중심 결합부(422) 및 외곽 결합부(423)와 각각 결합 고정되는 중심 결합부(432)와 외곽 결합부(433)를 제1 면에 구비한다.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중심 결합부(432) 및 외곽 결합부(433)는 제1 추력 단속부(420)의 중심 결합부(422) 및 외곽 결합부(423)와 각각 삽입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중심 결합부(432)의 12시 방향에는 상술한 고정키(130)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부(431)가 형성된다. 고정키 삽입부(431)는 제1 추력 단속부(420)의 배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추력 단속부(400)가 고정 너트부(410)에 의해 고정될 때에 고정키(130)는 제1 추력 단속부(420)의 고정키 삽입홈(421)을 관통하고, 제2 추력 단속부(430)의 고정키 삽입부(431)에 삽입되어 가이드 된다. 따라서 고정 너트부(410)가 제1 추력 단속부(410) 쪽으로 축 이동을 하면 고정키(130)는 제2 추력 단속부(430)와 결속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력 단속부(430)는 고정키 삽입부(431)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이하에서는 제2 면으로 한다)에 제3 추력 단속부(440)의 중심 결합부(442) 및 외곽 결합부(443)와 각각 결합하는 중심 삽입홈(436) 및 외곽 삽입홈((437)이 구비된다. 또한, 제2 추력 단속부(430)는 제2 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과 볼록 형상을 한 요철부(438)를 형성한다.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요철부(438)는 후술하는 제3 추력 단속부(440)의 요철부(448)와 서로 치합된다. 제2,3 추력 단속부의 요철부(438,448)가 서로 치합 결합되거나 치합 해제됨으로써 추력 단속부가 단속된다.
제3 추력 단속부(440)는 제1 면에 제2 추력 단속부(430)의 중심 삽입홈(436) 및 외곽 삽입홈(437)과 각각 삽입 결합되는 중심 결합부(442)와 외곽 결합부(443)를 구비한다. 또한, 제3 추력 단속부(440)는 제1 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과 볼록 형상을 한 요철부(448)를 형성한다 제3 추력 단속부(440)의 제2 면에는 감속부(300)와 직간접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요소가 구비된다. 제3 추력 단속부(440)는 회전 단속시에는 제1,2 추력 단속부(420,430)와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제3 추력 단속부(440)는 감속부(300)와 항상 맞물려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은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생성되어 감속부(300)로 전달되면, 감속부(300)와 맞물린 제3 추력 단속부(440)가 회전한다. 이때, 고정 너트부(410)의 축 이동에 의해 제1,2 추력 단속부(420,430)와 제3 추력 단속부(440)가 결합 고정되어 있으면 제3 추력 단속부(440)의 회전력이 제1,2 추력 단속부(420,430)로 전달된다. 제2 추력 단속부(420,430)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키에 의해 스크류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너트부(410)의 결합 해제에 따라 감속부(300)의 회전력이 단속되어 전기모터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스크류가 회전하지 않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너트부(410)의 결합 고정에 따라 감속부(30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전기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가 회전한다.
베어링부(5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몸체 내부에 베어링(512)이 수용되는 베어링 수용부(511)와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스크류 관통부(513)를 포함한다. 베어링 몸체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베어링 지지부(514)는 베어링 몸체를 지지한다.
상술한 회전력 생성부(200), 감속부(300), 추력 단속부(400), 베어링부(510)는 제1 스크류 구동부로서 멀티 또는 다중으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스크류 축 이동부(60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동일한 구성이 구비되어 제2 스크류 구동부를 이룬다. 즉 제1 스크류 구동부는 스크류 축 이동부(600)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고, 제2 스크류 구동부는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선박의 운항 중에 제1 스크류 구동부가 고장 나면 제1 스크류 구동부의 구동을 단속시키고, 제2 스크류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조타기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는 다중화 장치의 장점이 있다. 제2 스크류 구동부 및 이와 연관되는 구성은 상술한 제1 스크류 구동부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스크류 축 이동부(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이동 나사산(110)을 따라 축 이동한다. 즉, 추력 단속부(400)가 접속 연결되어 회전력이 스크류에 전달되면 스크류 축 이동부(600)는 축 이동 나사산(110)을 따라 축 이동한다. 스크류 축 이동부(600)는 레버부(710)와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스크류 축 이동부(600)의 축 이동에 따라 이와 연동되어 레버부(710)가 구동된다. 레버부(720)는 타축부(720)와 서로 결합 고정되어 있으며, 레버부(720)의 회동에 따라 타축부(720)가 구동된다. 타축부(720)의 구동에 따라 이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방향타가 연동 구동되어 선박의 침로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선박용 조타기
100 : 스크류부(샤프트부)
110 : 축 이동 나사산
121 : 제1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
122 : 제2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
130 : 단속부 고정키
200 : 회전력 생성부(모터)
300 : 감속부
310 : 감속부 지지대
400 : 추력 단속부
410 : 고정 너트부
420 : 제1 추력 단속부
421 : 고정키 삽입홈
422 : 중심 결합부
423 : 외곽 결합부
424 : 홈
430 : 제2 추력 단속부
431 : 고정키 삽입부
432 : 중심 결합부
433 : 외곽 결합부
436 : 중심 삽입홈
437 : 외곽 삽입홈
438 : 요철부
438a : 오목부
438b : 볼록부
440 : 제3 추력 단속부
442 : 중심 결합부
443 : 외곽 결합부
448 : 요철부
448a : 오목부
448b : 볼록부
510 : 제1 베어링부
511 : 제1 베어링 수용부
512 : 제1 베어링
513 : 샤프트 관통부(스크류 관통부)
514 : 제1 베어링 지지부
520 : 제2 베어링부
521 : 제2 베어링 수용부
522 : 제1 베어링
523 : 샤프트 관통부
524 : 제1 베어링 지지부
600 : 스크류 축 이동부
710 : 레버부
720 : 타축부

Claims (7)

  1.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스크류부,
    전기로 구동되어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력 생성부,
    상기 회전력 생성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력 생성부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고속 회전을 저속 회전으로 감속시키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상기 감속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단속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추력 단속부,
    상기 추력 단속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를 지지하고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축 이동을 하는 스크류 축 이동부, 및
    상기 스크류 축 이동부와 서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축 이동부의 축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타의 회동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 이동부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축 이동하도록 하는 축 이동 나사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추력 단속부의 고정 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추력 단속부를 서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하도록 하는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 및
    상기 스크류부의 일측 단부영역에 스크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추력 단속부가 상기 고정 너트에 의해 결합될 때에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 단속부는,
    상기 고정키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홈이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제1 추력 단속부,
    상기 제1 추력 단속부와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1 추력 단속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키가 삽입되는 고정키 삽입부가 중심영역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키 삽입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제2 추력 단속부,
    상기 제2 추력 단속부와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추력 단속부의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제3 추력 단속부, 및
    상기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을 따라 축 이동하는 상기 고정 너트에 의해 상기 제1,2,3 추력 단속부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고정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너트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는,
    상기 제1,2,3 추력 단속부가 배치된 사이 공간의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몸체 내부에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
    상기 스크류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관통부,
    상기 스크류 및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단속 고정너트 나사산은,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제2 추력 단속부의 사이 공간의 스크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축 이동부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베어링부, 추력 단속부, 감속부, 및 회전력 생성부를 구비하는 제1 스크류 구동부,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베어링부, 추력 단속부, 감속부 및 회전력 생성부를 구비하는 제2 스크류 구동부를 포함하며,
    제1 스크류 구동부의 고장시에 제1 스크류 구동부의 추력 단속부를 단속시키고, 제2 스크류 구동부의 추력 단속부를 연결 접속함으로써 상기 스크류를 상기 제2 스크류 구동부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KR1020180086865A 2018-07-25 2018-07-25 선박용 조타 장치 KR10202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65A KR102021343B1 (ko) 2018-07-25 2018-07-25 선박용 조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65A KR102021343B1 (ko) 2018-07-25 2018-07-25 선박용 조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43B1 true KR102021343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65A KR102021343B1 (ko) 2018-07-25 2018-07-25 선박용 조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43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004A (ja) * 2004-11-04 2006-05-25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操舵装置
KR100622237B1 (ko) 2001-12-18 2006-09-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조타기
KR101126959B1 (ko) 2008-08-14 2012-03-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타기
JP5215452B2 (ja) * 2011-12-06 2013-06-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小型船舶
KR101334523B1 (ko) 2008-11-06 2013-11-2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타기
JP5945783B2 (ja) * 2012-09-13 2016-07-05 日本発條株式会社 船舶のヘルム装置
US20160201776A1 (en) * 2015-01-13 2016-07-14 Yamaha Hatsukoki Kabushiki Kaisha Steering apparatus of outboard motor and outboard motor boat
JP2017013788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ユニット、電動舵取機用駆動制御装置、電動舵取機構及び船舶
JP2017013620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船舶及び電動舵取機の設計方法
JP2017013621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および船舶
JP2017024668A (ja) 2015-07-27 2017-02-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ユニット、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及び船舶
JP2017024667A (ja) 2015-07-27 2017-02-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及び船舶
KR101734878B1 (ko) 2016-03-04 2017-05-12 윤영원 선박용 조타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237B1 (ko) 2001-12-18 2006-09-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조타기
JP2006131004A (ja) * 2004-11-04 2006-05-25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操舵装置
KR101126959B1 (ko) 2008-08-14 2012-03-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타기
KR101334523B1 (ko) 2008-11-06 2013-11-2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타기
JP5215452B2 (ja) * 2011-12-06 2013-06-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小型船舶
JP5945783B2 (ja) * 2012-09-13 2016-07-05 日本発條株式会社 船舶のヘルム装置
US20160201776A1 (en) * 2015-01-13 2016-07-14 Yamaha Hatsukoki Kabushiki Kaisha Steering apparatus of outboard motor and outboard motor boat
JP2017013788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ユニット、電動舵取機用駆動制御装置、電動舵取機構及び船舶
JP2017013620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船舶及び電動舵取機の設計方法
JP2017013621A (ja) 2015-06-30 2017-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および船舶
JP2017024668A (ja) 2015-07-27 2017-02-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ユニット、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及び船舶
JP2017024667A (ja) 2015-07-27 2017-02-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動舵取機用駆動装置、電動舵取機構、電動舵取ユニット及び船舶
KR101734878B1 (ko) 2016-03-04 2017-05-12 윤영원 선박용 조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103B1 (ko) 스티어링 시스템
KR100389214B1 (ko) 구동엔진 및 직접 구동되는 프로펠러 축을 갖는 선박용 구동장치
JP5135243B2 (ja) 舶用推進ユニット
JP2018071687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WO2010082458A1 (ja)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KR101831393B1 (ko) 전자 액추에이터
WO2018079535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2187967A (ja) 船舶推進機
US9024491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KR102021343B1 (ko) 선박용 조타 장치
US11560209B2 (en) Drive source switching system for marine propulsion device including multiple drive sources, and method of switching drive sources of marine propulsion device
US9359003B2 (en) Clutch device and steering device
JP2008008470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529904B1 (ko) 양방향 분할형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196150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CN102325694B (zh) 控制装置和带有控制装置的艇用驱动器
KR19990013510A (ko) 구동기 및 직구동형 프로펠러 축을 구비한 선박 추진 장치
US6899577B2 (en) Outboard motor shift mechanism
EP2604878B1 (en) Drive coupling device
JP2010190348A (ja) 電動式パーキング機構付ディスクブレーキ
JP7140038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4071080B2 (ja) 軸送り装置
JP7070366B2 (ja) 動力伝達装置
JP5004157B2 (ja) 操作軸の接続部材、およびこの接続部材を備えた遠隔操作装置
JP5239681B2 (ja) 車両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