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916B1 -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916B1
KR102020916B1 KR1020180035827A KR20180035827A KR102020916B1 KR 102020916 B1 KR102020916 B1 KR 102020916B1 KR 1020180035827 A KR1020180035827 A KR 1020180035827A KR 20180035827 A KR20180035827 A KR 20180035827A KR 102020916 B1 KR102020916 B1 KR 10202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xercise
calf
squa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김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일 filed Critical 김재일
Priority to KR102018003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 일측에는 발등부위와 종아리부위를 고정 지지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타측에는 허리 및 뱃살운동이 가능하도록 트위스트용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al exercise equipment that can squa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는 발등부위와 종아리부위를 고정 지지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타측에는 허리 및 뱃살운동이 가능하도록 트위스트용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기구, 특히 근육 운동 기구는 특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추를 이용한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중량추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운동 기구에 세팅한 후 일정 세트의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만, 중량추들을 조합하는 위의 방법은 중량추의 무게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중량을 제공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각 사용자들의 근력에 맞게 중량을 조절하기 힘들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방식의 등장 운동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최대 근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중량추들을 경험적으로 운동 기구에 세팅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러한 세팅이 사용자에게 무리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무리한 운동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의 근육 단련 과정, 예를 들어 근육의 수축 과정을 효율적으로 행해지기 위하여 등장 운동뿐만 아니라 등속 운동이 필요함에도, 종래의 운동 기구는 등장 운동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근육단련을 행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느 한쪽으로만 근육이 발달한 사람 또는 재활자에 의해 수행되는 스쿼트(Squad) 운동과 같은 하체 재활 운동의 경우, 하체 근력이 약하여 체중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재활 운동시 부상을 입을 위험이 크고, 어느 정도 하체 근력이 있다 하더라도 운동시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없어 운동 부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측의 하체 근력과 우측의 하체 근력에 차이(불균형)가 있는 경우, 이를 파악하여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하였다.
이와 같이, 재활 운동은 정확한 데이터가 없이 치료사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운동 방법과 운동부하가 결정되므로, 재활 운동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고, 운동 효과에 대한 수치적인 확인이 어려우며, 전문적인 치료사와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한 관계로 인해 재활 운동에 드는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138826호에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후방지지부는, 상기 종아리 지지부가 삽입되어 상하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하부방향으로 관통된 길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길이조절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길이조절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통공까지 삽입되어 상기 종아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쪽 중 어느 한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와 전방지지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프레임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전방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으로 돌출된 지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세워지면, 상기 지면지지부의 끝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후방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판형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후길이조절부의 발등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로 인해 스쿼트 운동은 행할 수 있으나, 다른 운동 예를 들면 트위스트 운동을 행하고자 할 경우, 별도로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구매하여야 하므로 구매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운동기구로 인해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138826호, 출원일; 2015년10월01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측에는 발등부위와 종아리부위를 고정 지지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타측에는 허리 및 뱃살운동이 가능하도록 트위스트용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동 기구의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과 함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등과 종아리 부위를 가압 지지하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쿼트 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쿼트 운동부의 후단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위스트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부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 양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발굽혀펴기를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운반에 따른 손잡이가 가능한 팔굽혀펴기 운동부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따르면,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 나아가 발굽혀펴기 운동까지 할 수 있어서, 운동 기구의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뒤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트위스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스쿼트 운동을 위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트위스트 운동을 위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 나아가 발굽혀펴기 운동까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등과 종아리 부위를 가압 지지하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쿼트 운동부(13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쿼트 운동부(130)의 후단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위스트 운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 양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발굽혀펴기를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운반에 따른 손잡이가 가능한 팔굽혀펴기 운동부(170)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베이스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평바(도면부호 생략)와, 상기 수평바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바(도면부호 생략)로 구성되어 "ㅍ"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용 틀(111)과, 상기 베이스용 틀(111)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용 발판(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베이스용 발판(113)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운동을 하고자 사용할 때,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끌림방지돌기(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부재(110)의 저면 양측 전,후단에는 스쿼트용 운동기구의 무게를 흡수시켜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러버재질의 지지부(도면부호 생략)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스쿼트 운동부(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등과 종아리 부위를 가압 지지하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스쿼트 운동부(130)는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상면 전단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와,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 일측에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을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발등지지부재(132)와,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 타측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회동한 발등지지부재(13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위치고정수단(133)과,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중간부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와,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타단 일측에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종아리지지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스쿼트 운동부(130)의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전단 상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되, 타단 일측에는 발등지지부재(132)의 일단을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는 사용자의 발등을 발등지지부재(132)가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 보다 타단이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타단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측으로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가 일단 보다 타단이 5°각도 이하로 기울어질 경우, 사용자의 발등을 발등지지부재(132)가 헐겁게 가압할 수도 있게 되고, 15°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 구비될 경우, 사용자의 발등을 발등지지부재(132)가 너무 가압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등지지부재(13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홀에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을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발등지지부재(132)는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홀에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일단에 회동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1)와, 상기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의 타단 중앙부가 고정 연결된 것에 의해 "ㅗ"자 형상의 단면이 형성되도록 발등지지용 지지바(132b)와, 상기 발등지지용 지지바(132b)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가압 지지시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발등지지용 쿳션부재(132c)로 구성된다.
상기한 위치고정수단(133)은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 타측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발등지지부재(132)가 회동에 따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위치고정수단(133)은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홀 일측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 선단부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전 간격 위치고정용 결정홀(133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위치고정용 판(133b)과, 상기 발등지지부재(132)의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 중앙부에 형성된 위치고정용 홀(도면부호 생략)과, 상기 위치고정용 홀을 수용하면서 일단이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위치고정용 홀과 위치고정용 판(133b)에 형성된 고정용 결정홀(133a)을 관통하여 걸림되는 것에 의해 발등지지부재(132)의 위치가 고정가능하도록 인장스프링(미도시함)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위치고정부재(133c)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후단 상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종아리지지부재(136)를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가능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단보다 타단이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일단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측으로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가 일단 보다 타단이 5°각도 이하로 기울어질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종아리지지부재(136)가 헐겁게 가압할 수도 있게 되고, 15°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 구비될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종아리지지부재(136)가 너무 가압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아리지지부재(136)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중간부 상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타단 일측에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종아리지지부재(136)는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중간부 상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종아리지지용 삽입부(136a)와, 상기 종아리지지용 삽입부(136a) 타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종아리지지용 연결바(136b)와, 상기 종아리지지용 연결바(136b)의 타단에 용접에 의해 일면이 고정되는 종아리지지용 지지판(136c)의 타면에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높이조절수단(13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지지부재(136)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높이조절수단(135)은 종아리지지부재(136)의 종아리지지용 삽입부(136a)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홀(135a)과,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일면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연결홀(도면부호 생략)과, 상기 높이조절용 연결홀을 수용하면서 일단이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높이조절용 연결홀과 높이조절용 홀(135a)을 관통하여 걸림되는 것에 의해 종아리지지부재(136)의 위치가 고정가능하도록 인장스프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높이조절용 고정부재(135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시키는 것에 의해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로 삽입된 종아리지지용 삽입부(136a)의 다른 측면을 가압 고정시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가압부재(135c)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트위스트 운동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쿼트 운동부(130)의 후단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트위스트 운동부(150)는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후단 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수평으로 구비되는 트위스트 운동부용 설치바(151)와, 상기 트위스트 운동부용 설치바(151)의 중앙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위스트용 회전발판(152)과,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에 따른 고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트위스트용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 삽입부(15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153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트위스트용 손잡이부재(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트위스트용 회전발판(152)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트위스트 운동을 하고자 사용할 때,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끌림방지돌기(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스쿼트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쿼트 운동부(130)의 발등지지부재(132)와 종아리지지부재(136) 사이의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발판(113)위에 올라선다.
이때, 종아리 부위가 종아리지지부재(136)의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에 지지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가 종아리 부위보다 위쪽을 지지하고 있을 경우, 높이조절수단(135)을 이용하여 상기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의 높이가 조절 완료되면, 위치고정수단(133)에 의해 고정된 발등지지부재(132)를 고정 해제시킨 후, 발등쪽으로 상기 발등지지부재(132)를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발등지지부재(132)가 사용자의 발등측으로 회동되면, 위치고정수단(133)을 위치고정부재(133c)를 이용하여 상기 발등지지부재(132)의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를 위치고정용 판(133b)에 고정시킨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발등은 발등지지부재(132)의 발등지지용 쿳션부재(132c)가 가압 기지하게 되고, 종아리는 종아리지지부재(136)의 종아리지지용 쿳션부재(136d)가 지지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된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쿼트 운동부(130)를 통하여 스쿼트 운동이 완료된 후 트위스트 운동부(150)를 통하여 트위스트 은동을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135)으로부터 종아리지지부재(136)를 고정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에 삽입된 종아리지지용 삽입부(136a)를 이탈시킨다.
이후, 트위스트 운동부(150)의 트위스트용 손잡이부재(153) 일단 즉, 삽입부(153a)를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에 삽입시킨 후 높이조절수단(135)를 이동하여 높이를 맞춘 후 고정시킨다.
이후, 트위스트용 회전발판(152)에 올라서면서 양손으로 트위스트용 손잡이부재(153)의 손잡이부(153b)를 파지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153b)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안전하게 트위스트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운동기구로 스쿼트 운동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운동도 행할 수 있어 운동기구 구매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운동기구의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110 ; 베이스부재
130 ; 스쿼트 운동부 150 ; 트위스트 운동부
170 ; 팔굽혀펴기 운동부

Claims (6)

  1.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등과 종아리 부위를 가압 지지하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쿼트 운동부(13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쿼트 운동부(130)의 후단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위스트 운동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 양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발굽혀펴기를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운반에 따른 손잡이가 가능한 팔굽혀펴기 운동부(1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쿼트 운동부(130)는,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용 틀(111) 상면 전단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와,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 일측에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을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발등지지부재(132)와,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 타측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회동한 발등지지부재(13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위치고정수단(133)과,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중간부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와,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타단 일측에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종아리지지부재(136)로 구성되며,
    상기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는 사용자의 발등을 발등지지부재(132)가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 보다 타단이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타단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측으로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되고,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단보다 타단이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일단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측으로 5°~ 15°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위치고정수단(133)은 발등지지용 고정부재(131)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홀 일측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 선단부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전 간격 위치고정용 결정홀(133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위치고정용 판(133b)과, 상기 발등지지부재(132)의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 중앙부에 형성된 위치고정용 홀과, 상기 위치고정용 홀을 수용하면서 일단이 발등지지용 회동부재(132a)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위치고정용 홀과 위치고정용 판(133b)에 형성된 고정용 결정홀(133a)을 관통하여 걸림되는 것에 의해 발등지지부재(132)의 위치가 고정가능하도록 인장스프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위치고정부재(133c)로 구성되고,
    상기 트위스트 운동부(150)는, 베이스부재(110)의 후단 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수평으로 구비되는 트위스트 운동부용 설치바(151)와, 상기 트위스트 운동부용 설치바(151)의 중앙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위스트용 회전발판(152)과, 상기 종아리지지용 고정부재(134)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135)을 통하여 높이 조절에 따른 고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트위스트용 고정홀이 천공된 삽입부(15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153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트위스트용 손잡이부재(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5827A 2018-03-28 2018-03-28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2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827A KR102020916B1 (ko) 2018-03-28 2018-03-28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827A KR102020916B1 (ko) 2018-03-28 2018-03-28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916B1 true KR102020916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827A KR102020916B1 (ko) 2018-03-28 2018-03-28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8338A (zh) * 2020-09-08 2020-12-29 何乐琰 一种具备限速机构的健身转盘同步调节机构
KR200493808Y1 (ko) * 2020-01-30 2021-06-08 주식회사 인사이트 런지운동머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323A (ko) * 2010-10-26 2010-12-21 김재영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US20150251037A1 (en) * 2014-03-04 2015-09-10 Robert Runyan Versatile Glute Ham System
KR20150138826A (ko) 2014-06-02 2015-12-10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저항성 기판들 상에서의 최적화된 전기 도금 성능을 위한 웨이퍼 에지의 금속화
CN206700607U (zh) * 2017-04-25 2017-12-05 厦门市宏道科技有限公司 一种下蹲卷腹器
CN107596642A (zh) * 2017-09-27 2018-01-19 哈尔滨学院 用于深蹲卷腹的多功能训练体育器械及训练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323A (ko) * 2010-10-26 2010-12-21 김재영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US20150251037A1 (en) * 2014-03-04 2015-09-10 Robert Runyan Versatile Glute Ham System
KR20150138826A (ko) 2014-06-02 2015-12-10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저항성 기판들 상에서의 최적화된 전기 도금 성능을 위한 웨이퍼 에지의 금속화
CN206700607U (zh) * 2017-04-25 2017-12-05 厦门市宏道科技有限公司 一种下蹲卷腹器
CN107596642A (zh) * 2017-09-27 2018-01-19 哈尔滨学院 用于深蹲卷腹的多功能训练体育器械及训练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08Y1 (ko) * 2020-01-30 2021-06-08 주식회사 인사이트 런지운동머신
CN112138338A (zh) * 2020-09-08 2020-12-29 何乐琰 一种具备限速机构的健身转盘同步调节机构
CN112138338B (zh) * 2020-09-08 2022-02-25 山东美能达健身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限速机构的健身转盘同步调节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459A (en)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5669865A (en) body fold and extension exercise apparatus
US7611445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5545114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10850152B2 (en) Power squat exercise machine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US7662075B2 (en) Squat machine for exercising
US20140364284A1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MX2012013436A (es) Maquina de cambio de direccion y metodo de entretenimiento para la misma.
CA2251525A1 (en) Stretching and exercise apparatus
US5941804A (en) Exercise machine for simulating running
US5800318A (en) Rehabilitation thru athletic training principal/walker type device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KR102112966B1 (ko) 하체운동기구
US20040097353A1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20200094099A1 (en) Free weight belt squat machine
US5295936A (en)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2020916B1 (ko)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DK2056776T3 (en) EXERCISE TO EXTEND PATTERN MUSCLE
US4813666A (en) Leg anterior muscle exerciser
US10870031B2 (en) Hip flexor bench
KR101410899B1 (ko) 힙업 운동기구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20070275835A1 (en) Exercis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