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843B1 -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843B1
KR102020843B1 KR1020147007585A KR20147007585A KR102020843B1 KR 102020843 B1 KR102020843 B1 KR 102020843B1 KR 1020147007585 A KR1020147007585 A KR 1020147007585A KR 20147007585 A KR20147007585 A KR 20147007585A KR 102020843 B1 KR102020843 B1 KR 10202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wall
delete delete
walls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789A (ko
Inventor
데이빗 에이. 해리스
대니얼 에이. 로우코스키
존 이. 버디
카시에 엠. 말로이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0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74Rags; Fabric scr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ackag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단열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커버는 원하는 구조적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본딩된 복수의 부직 섹션을 포함한다. 부직 섹션은 열경화성 텍스타일 섬유와, 천연 섬유,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트림 재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료의 매트이다. 매트는 용융된 열경화성 텍스타일 섬유의 본딩된 솔기를 가져서 커버가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GREEN NONWOVEN BATTERY C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8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1/526,018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직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green) 재료 구성물질로 제조된 가요성 단열 배터리 커버에 관련된다.
단열재(thermal insulator)는 일반적으로 차량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를 열 열화(thermal degradation)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단단한 플라스틱 커버가 통상 사용되나, 그것들은 비교적 무겁고 전형적으로 배터리를 열적 조건에 대해 보호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단한 플라스틱 커버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열 열화에 대해 보호하는데 요구되는 단열의 정도를 제공하지 않으며, 따라서 배터리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단단한 플라스틱 배터리 커버는 가요성이 아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벌키하고 선적이 번거럽고 가치있는 저장 공간을 차지하고, 이로써 재고 원가를 증가시킨다.
단단한 플라스틱 커버에 더하여, 부직 매트도 또한 배터리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현 부직 커버들은 가요성이고 단단한 플라스틱 커버보다 개선된 단열을 제공할지라도, 그것들은 전적으로 석유계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이로써 그것들을 비교적 고가로 제조하게 하고, 사용 후에도 그것들을 환경친화적이지 못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단열 부직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다. 커버는 원하는 구조적 구성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직 섹션을 포함한다. 부직 섹션은 열경화성 텍스타일 섬유와, 천연 섬유,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트림 재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료의 매트로서 제공된다. 매트는 열경화성 텍스타일 섬유의 용융된 영역에 의해 형성된 본딩된 솔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가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열용융성 섬유는 재활용 재료로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양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제 1 두께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복수의 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된 한 쌍의 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서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직 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부직 벽의 각각은 부직 벽들 중 인접한 것에 본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열 용융된 밀봉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의, 단열 부직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친환경 재료 및 열용융성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천연 섬유 및 열용융성 섬유로부터 자유 가장자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 매트를 형성시킨다.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부직 매트의 자유 가장자리를 솔기를 따라 서로 본딩하여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재활용 재료로부터 열용융성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의 양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힌지는 부직 벽으로부터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에서 복수의 힌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에서 한 쌍의 솔기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복수의 부직 벽을 형성시키고 부직 벽을 서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복수의 부직 벽을 서로 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부직 벽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부직 벽의 단부를 용융함으로써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부직 벽의 인접 단부들의 각각의 재료를 함께 용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천연 섬유, 재활용 재료 및 폐기물 스트림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친환경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현재 바람직한 구체예 및 최적의 방식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첨부 도면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더 쉽게 인식되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배터리 부직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평탄화된, 선적 구조로 나타낸 도 3의 배터리 커버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평탄화된, 선적 구조로 나타낸 도 4의 배터리 커버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의 부분적인, 단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양태에 따르는 가요성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을 더욱 상세히 참고하면, 도 1은 배터리(11)에 열적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11)에 대해 배치된 것을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제조된, 이후 커버(10)로 언급되는, 가요성의, 친환경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환경인 부직 배터리 커버를 예시한다. 커버(10)는 천연 섬유,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트림 재료의 배합물과 같은, 14로 일반적으로 표시한, 친환경 재료와, 16으로 일반적으로 표시한, 열용융성 텍스타일 섬유로도 언급되는 열경화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 벽(12)을 갖는다. 부직 벽(12)은 배터리(11)에의 필요한 열적 보호를 제공하는 한편, 동시에 가요성이고 경량인 커버(10)를 제공한다. 이런 이유로, 커버(10)는 선적 및 보관 목적을 위해 쉽게 소형화 또는 일반적으로 평탄화될 수 있는 한편, 사용 중 경량이고, 이로써 차량에 부가된 중량을 최소화한다. 게다가, 커버(10)는 쉽게 재사용가능하고, 매립식 쓰레기 처리에 대한 영향을 줄여주고 제조도 경제적이다.
친환경 재료(14)는 황마, 케나프, 대마 등과 같은 어떤 섬유로부터, 및 또한 어떤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트림 재료로부터도 제공될 수 있다. 친환경 재료(14)는 또한 아시아산(아시아 국가, 예를 들면 중국 및 한국에서 통상 생산되고 미국으로 선적되는 저급 판지, 이것은 전형적으로 커넥티컷, 뉴햄프셔 및 메사추세츠와 같은 여러 주 환경국에 의해 재활용불가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음) 및 표준 판지 재료(미국에서 전형적인, 소나무와 같은 목재로 만든 것)의 어떤 혼합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재생처리기는 전형적으로 "표준 판지(Standard Cardboard)"와 혼합된 단지 5% 아시아산 판지를 허용하기 때문에, 이 특허의 초점은 5% 내지 100% 아시아산 판지를 갖는 재활용된 판지에 대한 것이다. 이 "표준" 및 "아시아산" 혼합물은 이후 "혼합 아시아산 판지(mixed Asian cardboard)"로 언급하기로 한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차량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판지 재료를 재활용하는 방법은 미국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고급 판지로부터, 아시아산 판지를 포함하는, 열등한 저급 판지 재료를 분리할 필요를 없애준다. 따라서, 판지 콘테이너로부터 표준 고급 판지 재료의 파일, 다발, 또는 혼합물은 두가지 유형의 판지 재료를 서로 분리할 걱정 없이 아시아산 판지와 조합하여 쉽게 재활용될 수 있다. 판지의 함량은 혼합된 것이든지 100% 아시아산이든지, 원함에 따라, 커버(10)의 원하는 특징에 의존하여, 전체 웹 중량의 약 25-99 중량퍼센트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된(Recycled)" 제품으로 간주되기 위해 새로운 제품에서 약 25% 재활용된 재료가 필요하다.
아시아산 판지는 저질의 재활용 섬유, 대나무 섬유, 황마, 벼 섬유, 및/또는 다른 스크랩/폐기물 재료와 같은 열등한 구성물질 성분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인해 저급의, 재활용불가 판지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이유로, 아시아산 판지는 그 자체든지 또는 꾸려지든지 또는 재생된 사용후 판지 로드에 달리 포함되든지, 심각한 재생불가 오염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만일 아시아산 판지가 표준 미국 판지와 꾸려지면 전체 꾸러미 또는 로드는 전형적으로 재활용불가 폐기물(다시 말하면, 전형적으로 5%보다 많은 아시아산 판지의 함량을 포함함)인 것으로 생각된다. 아시아산 판지는 그것의 박약함 및 특징적인 담갈색, 황색 또는 녹색계열 색상에 의해 고품질 미국 판지와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아시아산 판지는 전형적으로 고품질 미국 판지로부터 분리되고 매립지로 보내지거나, 소각하거나 또는 달리 처분된다.
아시아산 판지가 재활용될 수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짧고 따라서 매우 약한, 아시아산 판지의 제조에 사용된 열등한 섬유들의 구성물질 성분들로부터 유래한다. 아시아산 판지에 비교적 미세한 크기의 섬유들 및 다른 분말상 성분들이 주어진다면, 아시아산 판지가 증가된 길이의 섬유들을 갖는 표준 판지와 함께 공지의 습식 재활용 공정에서 가공처리되는 경우, 아시아산 판지의 성분들은 스크린을 통해 플러싱되고 폐 스트림으로 운반되고 및/또는 재생처리 장비를 막히게 하거나 달리 손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10)의 제조는 건식 공정으로 수행되고, 이로써 열등한 아시아산 판지를 그것의 제조시에 0.2mm 미만의 길이를 갖는 섬유들("미세물질"로 언급됨)과 함께 이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열용융성 재료(16)는 예를 들어서, 폴리에틸렌, PET 또는 나일론과 같은 저온 용융 중합체 재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외부 쉬스(sheath)가 예를 들어서 그것의 융점 위에서 가열될 때 용융하는 열가소성 2-성분 섬유와 같은 다른 저온 용융 중합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 이 용융된 수지는 그 다음 존재하는 어떤 텍스타일 천연 섬유와 판지 섬유의 혼합물과 융합시키고 재활용된 판지 재료로부터의 나머지 바인더와 융합시킨다. 예로서, PET 저온 용융 섬유의 외부의 융점은 250℃에서 용융하는 코어와 비교하여 대략 110℃ - 180℃일 수 있다. 당업자는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저온 용융 섬유의 대신에 다른 코팅 또는 충전제 및 충전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로써 제한없이, 약 10 wt% 이상과 같은 적합한 wt% 함량의 벽(12)을 갖는 열용융성 재료(16)가 제공되어, 벽(12)의 자유 가장자리(18)가 서로 본딩되어 용접된 솔기(19)를 갖고 예로써 제한없이, 직사각형인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낸, 원하는 구조를 갖는 벽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열용융성 재료의 wt%는 사용된 재료 및 본딩 공정에 의존하여, 10% 미만일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 열용융성 섬유(16)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재활용된 카페트 또는 분쇄된(shredded) PET 헝겊조각과 같은 재활용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공된다. 따라서, 이들 재활용된 재료의 사용은 매립지로 보내지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도 7에서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벽(12)의 제조방법은 친환경 재료(14), 예를 들면 천연 섬유를 열용융성 섬유(16)와 혼합 또는 배합하고 배합된 재료의 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웹형성 공정은 에어레이 공정으로, 예를 들면 랜도 기계(Rando machine) 상에서, 또는 카딩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균질하게 혼합된 천연 섬유/용융성 섬유 매트 또는 웹을 형성하며, 친환경 재료(14) 및 섬유(16)가 랜덤하게 배향된다.
다음에, 웹을 형성시에, 웹은 예를 들면 기계적, 화학적 및/또는 열적 공정을 통해서, 친환경 재료 및 섬유상 재료를 굳혀서 서로 결합시킨다. 예를 들면, 웹은 오븐에서와 같이 가열할 수 있는데, 열용융성 섬유(1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기에 적합한 온도로 하여, 이로써 친환경 재료(14)의 배합물을 열용융성 섬유(16)와 열에 의해 본딩한다. 달리, 또는 추가로, 웹을 니들링 공정을 받게 하여 친환경 재료(14) 및 섬유(16)를 서로 엮을 수 있고 및/또는 화학적 바인더를 이용하여 친환경 재료(14) 및 섬유(16)를 함께 본딩하는 화학공정을 받게 할 수 있다. 선택된 굳히는 공정에 무관하게, 웹은 시트로 형성되고, 여기서 시트는 원하는 두께(t)를 달성한다.
다음에, 시트를 형성하고 냉각시에, 시트를 절단하여 벽(12)의 원하는 크기의 조각 및 일반적인 구성을 형성시킨다. 다음에, 원하는 자유 가장자리(18)를 서로 인접하는 관계로 가져오고, 이때 자유 가장자리(18)는 적당한 열의 인가하에 서로 본딩되는데,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 공정으로와 같이 용접된다. 이와 같이하여, 마주하는 단부(21, 23) 사이에 연장되는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을 갖는 벽(12)이 구성된다.
상기한 이들 양태에 더하여,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여기서 고려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커버(110)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상기한 유사 특징부를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같은 부재 번호에 100의 인수를 더하여 사용된다.
커버(110)는 상기한 같은 친환경 재료(114) 및 열용융성 섬유(116)로 형성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벽(112)을 갖는다. 벽(112)은 벽의 마주하는 가장자리(118)를 서로 본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 솔기(119)를 포함한다. 게다가, 평탄화된 선적 구조와 펼쳐진 사용 구조 사이에서 벽(112)의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112)은 벽(112)의 재료 내에 형성된 복수의 힌지들(22)을 포함한다. 힌지들(22)은 벽(112)의 마주하는 단부(121, 123) 사이에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주하는 가장자리(118)를 서로 본딩하기 전에, 용융 공정에서 형성되는데, 도 7의 공정 흐름도에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열 및 압력은 가열된 압축하는 고정구를 통해 서로 조합하여 인가되어 벽(112)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을 압축되도록 허용하여 힌지(22)의 원하는 감소된 두께의 압축된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열 및 압축하에 형성되는 힌지(22)로, 그것들은 벽(112)에 비해 감소된 두께 및 증가된 밀도를 갖는데 이것은 힌지(22)에 그것들의 향상된 가요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벽(112)은 제 1 두께를 갖고 힌지(22)는 제 2 두께를 가지며, 여기서 제 2 두께는 제 1 두께보다 작다. 힌지(22) 중 하나는 용접 솔기(119)와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낸 한편, 다른 힌지(22)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벽(112)은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힌지(22)의 쌍을 가로지르거나 아니면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용접 솔기(119) 및 힌지(22)를 가로질러 평탄화되도록 잘 맞는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는 커버(210)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상기한 유사 특징부를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같은 부재 번호에 200의 인수를 더하여 사용된다.
커버(210)는 상기한 같은 친환경 재료(214) 및 열용융성 섬유(216)로 형성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벽(212)을 갖는다. 벽(212)은 벽의 마주하는 가장자리(218)를 서로 본딩하는 한 쌍의 용접 솔기(219)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용접 솔기(219)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게다가, 평탄화된 선적 구조와 펼쳐진 사용 위치 사이에서 벽(212)의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힌지들(222)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힌지들(222)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벽(212)은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힌지(222)의 쌍을 가로지르거나 아니면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용접 솔기(219)를 가로질러 선적 및/또는 보관을 위해 평탄화되도록 잘 맞는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조된 커버(310)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상기한 유사 특징부를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같은 부재 번호에 300의 인수를 더하여 사용된다.
커버(310)는 예로써 제한없이, 서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된 3개의 벽(312, 312', 312")을 갖는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낸 복수의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벽을 갖는 것으로 제조된다. 벽(312, 312', 312")의 각각은 상기한 같은 친환경 재료(314) 및 열용융성 섬유(316)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개개의 벽은 서로 다른 친환경 재료(314) 및 다른 섬유(316)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더 나아가서, 개개의 벽은 같은 친환경 재료(314) 및 같은 섬유(316)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여전히, 그것들은 벽(112)에 대해 기술된 것과 일반적으로 같은 것으로 여기 나타낸 벽들(12, 112, 212)에 대해 기술된 같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각 벽은 원한다면, 다른 또는 약간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벽(312, 312', 312")은 마주하는 가장자리(318)를 서로 본딩하는 단일 용접 솔기(319)를 갖는다. 게다가, 평탄화된 선적 구조와 펼쳐진 사용 위치 사이에서 벽들(312, 312', 312")의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힌지들(322)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한 쌍의 힌지들(322)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한편, 힌지들(322) 중 또 다른 것은 용접 솔기(319)를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커버(310)를 단일 조각 어셈블리로서 제공하기 위해, 부직 벽들(312, 312', 312")은 서로 부착되고, 인접한 부직 벽들(312, 312', 312")은 서로 본딩되고, 열 및 압력 하에 용접되는 것과 같이 힌지들(322)의 적어도 한 세트를 가로질러 본드 조인트(28)에서 서로 본딩되는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낸다. 게다가, 벽들(312, 312', 312")은 다른 부직 조성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것으로서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외부 및 내부 벽(312, 312")이 친환경 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부직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중간 층(312')은 벽(12)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예로써 제한없이, 슬리브(210)의 단부(24)로서 여기에 나타낸 슬리브(10, 110, 210, 310)의 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단부(24)를 통해 벽(212)으로 어떤 유체/습기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벽(212)의 단부 닳아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26)을 갖는다. 시일(26)은 예를 들어서, 용접 공정,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 공정과 같은 어떤 적합한 열용융/압력 인가 공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단부(24)에서 시일(26)은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 가장자리(218)를 서로 본딩하기 전에 형성된다. 커버(310)에 포함시킨다면, 커버(310)는 또한 밀봉된 단부를 통해 벽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개개 벽들(312, 312', 312")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따라 시일의 형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단부에서 단일 시일은 벽들(312, 312', 312")의 각각을 서로 본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가르침에 비추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첨부 청구항들 및 궁극적으로 허여되는 모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달리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8)

  1. 서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고 서로에게서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을 포함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로서,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부직 벽의 각각이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서로 본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적으로 결합된 솔기를 가지고,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은 열용융성 재료를 통해 서로 결합된, 천연 섬유,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트림 재료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섬유의 웹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은 마주하는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이외의 부직 벽의 적어도 부분은 제 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가로질러 형성된 용접된 본드 조인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부직 배터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성 재료는 재활용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공되는 열용융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이외의 부직 벽의 부분에 비하여 증가된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은 복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된 한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힌지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직 벽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축방향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축방향 단부는 함께 용융된 상기 부직 벽의 각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직 벽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부직 벽의 또 다른 것과는 상이한 재료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배터리 커버.
  10.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으로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을 서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배치하고, 서로에게서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을 형성하는 단계는,
    천연섬유, 재활용 재료 및/또는 폐기물 스티림 재료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열용융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친환경 재료 및 열용융성 섬유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각의 벽을 형성하는 단계;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솔기를 따라 열용융성 재료를 통해 상기 조각들의 각각이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서로 열적으로 본딩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의 마주하는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직 벽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별개의 부직 벽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가로질러 형성된 용접된 본드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재활용 재료로부터 열용융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솔기는 부직 벽에 형성되고,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하는 단계는 가압하에 인접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포 벽의 재료를 함께 용융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부직 벽의 단부를 용융시킴으로써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의 축방향 단부의 재료가 함께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의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 단부를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의 축 방향 단부를 용융함으로써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과 상이한 재료 함량을 갖는 다른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부직 벽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제조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47007585A 2011-08-22 2012-08-22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6018P 2011-08-22 2011-08-22
US61/526,018 2011-08-22
PCT/US2012/051897 WO2013028778A1 (en) 2011-08-22 2012-08-22 Flexible green nonwoven battery c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89A KR20150004789A (ko) 2015-01-13
KR102020843B1 true KR102020843B1 (ko) 2019-11-04

Family

ID=4682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585A KR102020843B1 (ko) 2011-08-22 2012-08-22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334591B2 (ko)
EP (1) EP2748362B1 (ko)
JP (1) JP6313207B2 (ko)
KR (1) KR102020843B1 (ko)
CN (1) CN103827373B (ko)
BR (1) BR112014004029A2 (ko)
IN (1) IN2014CN02108A (ko)
WO (1) WO2013028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041A (ko) * 2011-08-22 2014-05-02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방사상 붕괴가능하고 팽창가능한 텍스타일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US10249855B2 (en) 2014-08-29 2019-04-02 Federal-Mogul Powertrain Llc Flexible battery cover with integral li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ethod of enclosing a battery therewith
US9882182B2 (en) 2015-10-01 2018-01-30 Caterpillar Inc. Battery housing
US11081751B2 (en) * 2017-11-06 2021-08-03 Federal-Mogul Powertrain Llc Battery c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488A1 (en) 2001-09-06 2003-03-13 Certainteed Corporation Insulation containing separate layers of textile fibers and of rotary and/or flame attenuated fibers
JP2010086885A (ja) * 2008-10-02 2010-04-15 Sr:Kk 使用済み電池の保管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817A (en) * 1936-04-20 1943-08-17 Zalkind Philip Collapsible insulating casing
DE7601501U1 (de) * 1976-01-21 1976-06-10 Berner, Albert, 7118 Kuenzelsau Umkleidungshuelle fuer rohre
US4160761A (en) 1978-05-04 1979-07-10 Architectural Research Corporation Plastic articles
JPH0527959U (ja) * 1991-09-24 1993-04-09 古河電池株式会社 自動車用蓄電池の遮熱装置
US5407739A (en) 1993-07-28 1995-04-18 The Dow Chemical Company Ignition resistant meltbrown or spunbonded insulation material
US5399423A (en) 1993-07-28 1995-03-21 The Dow Chemical Company Ignition resistant meltblown or spunbonded insulation material
IT250072Y1 (it) * 2000-06-16 2003-07-07 Fiamm Componenti Accessori Spa Rivestimento isolante per accumulatori
US20030047366A1 (en) 2001-07-10 2003-03-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e for battery and/or other vehicle components
KR100507651B1 (ko) 2003-07-16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커버
US7521386B2 (en) 2004-02-07 2009-04-21 Milliken & Company Moldable heat shield
CA2559051A1 (en) * 2004-03-10 2005-11-24 Samuel B. Fryberger, Jr. Heat shield having a sealed edge
US7696112B2 (en) 2005-05-17 2010-04-13 Milliken & Company Non-woven material with barrier skin
US7744143B2 (en) * 2007-01-10 2010-06-29 Federal Mogul Powertrain Nonwoven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090311456A1 (en) * 2008-06-12 2009-12-17 Harris David A 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488A1 (en) 2001-09-06 2003-03-13 Certainteed Corporation Insulation containing separate layers of textile fibers and of rotary and/or flame attenuated fibers
JP2010086885A (ja) * 2008-10-02 2010-04-15 Sr:Kk 使用済み電池の保管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34591B2 (en) 2016-05-10
JP2014529859A (ja) 2014-11-13
CN103827373A (zh) 2014-05-28
JP6313207B2 (ja) 2018-04-18
US20130052518A1 (en) 2013-02-28
IN2014CN02108A (ko) 2015-05-29
KR20150004789A (ko) 2015-01-13
WO2013028778A1 (en) 2013-02-28
US20160226033A1 (en) 2016-08-04
EP2748362A1 (en) 2014-07-02
EP2748362B1 (en) 2016-07-06
CN103827373B (zh) 2016-11-09
US10367177B2 (en) 2019-07-30
BR112014004029A2 (pt)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7177B2 (en) Flexible green nonwoven battery c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249855B2 (en) Flexible battery cover with integral li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ethod of enclosing a battery therewith
JP5578410B2 (ja) 不織シート材料を作成する方法、不織車両用パネル、構造不織製品および回収されたボール紙から車両用部品を製造する方法
KR20140035332A (ko) 부직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0406776B2 (en) Thermoplastic bonded preforms and thermoset matrices formed therewith
EP2534290B1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a high loft nonwoven sheet material
JP7337789B2 (ja) バッテリーカバーおよびその構成方法
US20110189911A1 (en) High loft nonwoven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EP3194216B1 (en) Flexible battery cover with integral li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ethod of enclosing a battery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