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49B1 -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749B1 KR102020749B1 KR1020190071207A KR20190071207A KR102020749B1 KR 102020749 B1 KR102020749 B1 KR 102020749B1 KR 1020190071207 A KR1020190071207 A KR 1020190071207A KR 20190071207 A KR20190071207 A KR 20190071207A KR 102020749 B1 KR102020749 B1 KR 102020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upport
- pipeline
- electromagne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the movement being hydraulically or electrically control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파이프라인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지지하고, 진동이 감지될 때 자기력을 출력하여 파이프를 부상(浮上)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파이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파이프를 감싸 지지하고 진동의 감지시 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상시 작동유니트, 상기 상시 작동유니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진동의 감지시 작동하여 파이프를 부상시키는 다수의 전자석을 구비한 비상시 작동유니트를 갖는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파이프 자체 또는 지중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및 파이프지지부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파이프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는, 평상시에는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지진의 발생시 파이프라인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부로부터 흔들림이나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파이프라인을 부상(浮上)시켜, 파이프라인이 외력의 영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는, 평상시에는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지진의 발생시 파이프라인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부로부터 흔들림이나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파이프라인을 부상(浮上)시켜, 파이프라인이 외력의 영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상이나 건물 내부에 배관되는 파이프라인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스스로 작동하여 파이프라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나 가스 또는 원유 공급용 배관(이하, 파이프라인) 등은 다양한 구조의 커플링장치를 통해 적절히 설계되며 지중에 매립되거나 (원거리 수송용일 경우) 받침대에 지지된 상태로 지상에 배관되기도 한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유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송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파이프라인이,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이나 충격에 의해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가령, 지진이 발생하거나, 또는 굳이 지진이 아니더라도 지반이 함몰되어 파이프라인에 외력이 가해져 파이프라인이 파손이나 변형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파이프라인은, 외부로부터 가해진 비정상적인 힘에 대항하거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내충격성이나 내진성 등을 고려한 각종 구체적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가령, 국내 등록특허공보 공개특허 제2010-0066099호에는, 배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나, 유체 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배관 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여 배관 및 지지체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배관의 규격에 따른 변동 및 오차에 의한 제한적인 사용을 해소할 수 있는 내진형 배관 클램프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파이프라인은, 파이프라인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한 설계가 제대로 반영 되어 있지 않다. 즉, 지진에 대비한 효과적인 구조가 고려되지 않아, 지진이 막상 발생할 경우,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파이프라인이 배관된 지역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지진에 따른 외력에 의해 휘거나 뒤틀리면서 변형이나 손상되고 심할 경우 절단되기도 하는 것이다.
지진이나 지반침하 등과 같은 천재지변에도, 충분히 견디어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능력을 갖는 구조의 파이프라인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지진의 발생시 파이프라인을 부상(浮上)시켜, 파이프라인이 외력의 영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되지 않게 하는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는, 파이프라인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지지하고, 진동이 감지될 때 자기력을 출력하여 파이프를 부상(浮上)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파이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파이프를 감싸 지지하고 진동의 감지시 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상시 작동유니트, 상기 상시 작동유니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진동의 감지시 작동하여 파이프를 부상시키는 다수의 전자석을 구비한 비상시 작동유니트를 갖는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파이프 자체 또는 지중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및 파이프지지부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파이프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시 작동유니트는; 상기 파이프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되 파이프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착자 또는 탈자되는 전자석과, 상기 지지대에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지지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는 지지대 하부로 돌출되는 수직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고 하강한 위치에서 파이프의 상반부(上半部)를 감싸 지지하고 상승한 상태로 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파이프지지부를 갖는 승강식클램프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자석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고, 전자석의 착자시, 자기력에 의해 전자석측으로 상승하고, 전자석의 탈자시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승강식클램프가 승강하게 하는 승강블록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상시 작동유니트는; 상기 파이프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내에서 파이프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고 제어부에 의해 착자 또는 탈자되는 상부전자석과, 상기 파이프의 연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어 제어부에 의해 착자 또는 탈자되는 하부전자석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되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파이프의 길이방향 좌우측에 위치하는 고정영구자석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측 고정영구자석과 상부전자석과 하부전자석에 각각 대향 배치되는 다수의 가동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와 가동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체결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영구자석은 체결밴드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는, 반원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를 감싼 상태로 그 단부가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밴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는, 평상시에는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지진의 발생시 파이프라인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부로부터 흔들림이나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파이프라인을 부상(浮上)시켜, 파이프라인이 외력의 영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한 상시 작동유니트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시 작동유니트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체결밴드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한 상시 작동유니트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시 작동유니트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체결밴드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 지지장치는, 비상시에 파이프라인을 부상(浮上)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비상시라 함은 지진이나 지반함몰 등과 같이 파이프라인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한다. 아울러 파이프라인을 부상시키는 이유는, 파이프라인을 띄워, 외부에서 파이프라인을 향해 접근하는 충격이 파이프라인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파이프라인의 부상높이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다. 상기 파이프라인은 지중에 매설된 것이거나, 지상에 일정 높이로 배관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10)는, 파이프지지부(50), 다수의 센서부(55), 제어부(53), 전원(51)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센서부(55)는,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파이프(P)에 부착되거나, 지중(地中)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55)는 지진이나 지반의 함몰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센서부(55)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어부(53)는 센서부(55)와 접속되며 센서부(55)가 감지한 내용을 전달받아 후술할 전자석(27,47a,47b)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즉, 전원(51)의 전력을 전자석으로 전달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센서는 지진이 발생하거나 지반의 변화가 있을 경우 신호를 발생하므로, 센서부(55)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전자석에 전력을 유도한다.
전원(51)은 전자석(27,47a,47b)에 독립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55)의 신호에 의해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자석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석이 착자(着磁) 되어 주변으로 자기력을 출력하고,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전자석이 탈자(脫磁)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지지부(50)는 상호 결합한 상태의 상시 작동유니트(20)와 비상시 작동유니트(40)로 구성된다. 상시 작동유니트(20)는 평상시 파이프(P)를 지지하는 것이다. 평상시라 함은 지진이나 지반 침하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새하지 않는 때이다. 비상시 작동유니트(40)는 비상 상황시 작동하여 파이프(p)를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국 평상시에는 상시 작동유니트(20)가, 지진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비상시 작동유니트(40)가 작동하는 것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한 상시 작동유니트(2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평상시의 모습이고, 도 2b는 비상상황 발생 시의 내부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시 작동유니트(20)는, 제1하우징(21), 지지대(22), 전자석(27), 승강식클램프(24), 승강블록(26)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21)은 내부공간(21a)을 제공하는 박스형 케이스로서 그 내부로 파이프(p)를 통과시킨다. 파이프(p)가 제1하우징(2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21)은 파이프의 연장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하우징(21)은 강철판으로 용접 구성되거나 콘크리트로 성형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는,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받침(22a), 수평받침(22a)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22b), 수평받침(22a)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다수의 사이드써포터(22c)로 구성된다. 지지대(22)는 승강식클램프(24)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시멘트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성형물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22)의 저면에는 전자석(27)이 설치된다. 전자석(27)은 지지대(22)의 하부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51) 및 제어부(53)와 접속된다. 제어부(53)의 제어에 의해 착자 또는 탈자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식클램프(24)는, 지지대의 수평받침(22a)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부재로서, 수직연장부(24b)와 곡선연장부(24a)를 갖는다. 수직연장부(24b)는 수평받침(22a)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승강운동 가능한 부분으로서 그 하단부는 수평받침(22a) 하부에서 승강블록(26)과 결합하고, 상단부는 곡선연장부(24a)와 일체를 이룬다.
곡선연장부(24a)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 대략 반원형 부분으로서, 승강식클램프(2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상반부(上半部)를 감싸 지지한다. 아울러 곡선연장부(24a)의 내측에는 완충라이너(25)가 적용된다. 완충라이너(25)는 완충능력을 갖는 시트형 부재로서, 파이프와 승강식클램프(24)사이의 진동 전달을 방지한다.
상기 승강블록(26)은 수직연장부(24b)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자석(27)의 연직 하부에 위치한다. 승강블록(26)은 자기력에 반응하는 소재의 블록형 부재이다. 경우에 따라, 승강블록(26)으로서 일정두께의 강철판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식클램프(24) 및 승강블록(26) 조립체는, 평상시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 가령,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곡선연장부(24a)가 파이프(P)의 상부에 걸쳐 있고, 승강블록(26)이 전자석(2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전자석(27)과 승강블록(26)의 최대 이격거리는 3cm 내외 일 수 있다.
상기 평상시의 상태에서, 지진이나 지반함몰 또는 기타 상황이 발생하여 센서부(55)가 진동을 감지하면, 제어부(53)는 전원(51)의 전력을 전자석(27)으로 유도하여 전자석(27)을 착자시킨다. 전자석(27)이 착자됨에 따라 그 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승강블록(26)은 자기력의 영향을 받아 상승하여 전자석(27)에 부착된다. 승강블록(26)의 상승에 따라 승강식클램프(24)도 화살표 b방향으로 동시에 상승하게 됨은 당연하다.
도 2b는 승강식클램프(24)가 화살표 b방향으로 상승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연장부(24a)가 파이프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파이프(p)의 부상(浮上)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작동유니트(40)의 작동에 의해 파이프(p)가 부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시 작동유니트(4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체결밴드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시 작동유니트(40)는, 제2하우징(41), 상부전자석(47a), 하부전자석(47b), 고정영구자석(46), 가동영구자석(45), 체결밴드(42)를 구비한다.
제2하우징(41)은 제1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사각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 내부공간(41a)을 제공한다. 제2하우징(41)도 강철판으로 용접 구성되거나 콘크리트로 성형 제작 가능하다. 또한 제2하우징(41)은 제1하우징(21)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즉 파이프라인은 제1,2하우징(21,41)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전자석(47a)은 파이프(p)의 연직 상부에 고정된다. 상부전자석(47a)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2하우징(41)의 천장면에는 전자석홀더(48)가 구비된다. 전자석홀더(48)는 상기 천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전자석(47a)을 고정한다. 상부전자석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전자석홀더(48)의 홀딩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하부전자석(47b)은 파이프(p)의 연직 하부에 고정된다. 하부전자석(47b)도 마찬가지로 전자석홀더(48)에 지지된다. 전자석홀더(48)는 파이프(p)의 하부에 하부전자석(47b)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한다. 상기 전자석홀더(48)는 합성수지나 콘크리트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자석(47a)과 하부전자석(47b)이 전원(51)과 제어부(53)에 접속됨은 물론이다. 즉, 진동 발생시 제어부(53)의 제어에 의해 착자되거나 탈자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하우징(41)의 내벽면에는 두 개의 고정영구자석(46)이 장착된다. 고정영구자석(46)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사이에 두고 파이프(p)의 좌우에 배치된다. 즉, 제2하우징(41)의 내벽면에 고정되되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파이프의 길이방향 좌우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고정영구자석(46)은 파이프(p)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일부 가동영구자석(45)과 대응하며, 가동영구자석(45)과 인력 또는 척력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척력의 자기장을 형성함이 좋다. 상기 고정영구자석(46)의 작용에 의해, 파이프(p)는, 항상 내부공간(41a)의 좌우 방향 중앙에 유지된다.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는 네 개의 가동영구자석(45)이 배치된다. 가동영구자석(4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밴드(42)에 고정되며, 체결밴드(42)를 파이프(p)에 장착함에 의해 정위치 된다. 정위치라 함은, 상기 상하부전자석(47a,47b)과 양측 고정영구자석(46)에 대향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체결밴드(42)는, 한 쌍의 밴드부재(42a)를 갖는다. 밴드부재(42a)는 반원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42b)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밴드부재(42a)의 사이에 파이프(p)를 위치시킨 상태로 오므리면 파이프(p)가 밴드부재(42a)에 감싸이게 된다.
아울러, 일측 밴드부재(42a)의 단부에는, 유도구멍(42e), 체결공간부(42c), 암나사구(42d)가 마련되어 있다. 체결공간부(42c)는 반대편 밴드부재(42a)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또한 반대편 밴드부재(42a)의 단부에는 관통구멍(42f)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42f)은 체결공간부(42c)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도구멍(42e) 및 암나사구(42d)와 일직선을 이룬다. 유도구멍(42e)과 관통구멍(42f)과 암나사구(42d)를 일직선으로 맞춘 상태에서 체결볼트(42g)를 체결하면, 파이프(p)에 대한 체결밴드(4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각 밴드부재(42a)의 내향면에는 완충띠(43)가 부착된다. 완충띠(43)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나 스폰지 또는 고무패드로서, 파이프(p)에 대한 체결밴드(42)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한편 양측 밴드부재(42a)의 외측면에는 두 개씩의 가동영구자석(45)이 장착된다. 가동영구자석(45)은 파이프(p)에 체결밴드(42)를 채운 상태로 상기한 고정영구자석(46)과 상하부전자석(47a,47b)에 일대일 대응한다.
아울러 각 가동영구자석(45)은 완충케이스(45a)에 커버된다. 완충케이스(45a)는 탄성력을 갖는 시트형 부재로서 가동영구자석(45)을 보호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비상시 작동유니트(40)의 작동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평상시에는 파이프(p)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져 있다. 이 때 하측 가동영구자석(45)은 하부전자석(47b)에 올려 있다. 이 때 상하부전자석(47a,47b)은 탈자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센서부(55)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실을 제어부(53)로 전달한다. 제어부(53)는 센서부(55)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전원(51)의 전력을 상부전자석(47a)과 하부전자석(47b)에 인가하여 상하부전자석(47a,47b)을 착자 시킨다.
착자된 상태의 하부전자석(47b)은 하측 가동영구자석에 척력(斥力)을 인가하고, 상부전자석(47a)은 인력(引力)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하부전자석(47a,47b)에서 동시에 발생한 척력과 인력의 자기력이, 위아래 가동영구자석(45)에 전달되어 결국,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가 공중으로 부상한다.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파이프에 도달하지 못하여 파이프의 손상이 최소화 되게 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비상시에, 상시 작동유니트(40)가 파이프로부터 이격되므로, 비상시 작동유니트(40)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시 작동유니트(20)와 비상시 작동유니트(40)의 공동 동작에 의해, 파이프라인은 평상시나 비상시나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지지장치 20:상시 작동유니트 21:제1하우징
21a:내부공간 22:지지대 22a:수평받침
22b:다리 22c:사이드서포터 24:승강식클램프
24a:곡선연장부 24b:수직연장부 25:완충라이너
26:승강블록 27:전자석 40:비상시 작동유니트
41:제2하우징 41a:내부공간 42:체결밴드
42a:밴드부재 42b:힌지 42c:체결공간부
42d:암나사구 42e:유도구멍 42f:관통구멍
42g:체결볼트 43:완충띠 45:가동영구자석
45a:완충케이스 46:고정영구자석 47a:상부전자석
47b:하부전자석 48:전자석홀더 50:파이프지지부
51:전원 53:제어부 55:센서부
21a:내부공간 22:지지대 22a:수평받침
22b:다리 22c:사이드서포터 24:승강식클램프
24a:곡선연장부 24b:수직연장부 25:완충라이너
26:승강블록 27:전자석 40:비상시 작동유니트
41:제2하우징 41a:내부공간 42:체결밴드
42a:밴드부재 42b:힌지 42c:체결공간부
42d:암나사구 42e:유도구멍 42f:관통구멍
42g:체결볼트 43:완충띠 45:가동영구자석
45a:완충케이스 46:고정영구자석 47a:상부전자석
47b:하부전자석 48:전자석홀더 50:파이프지지부
51:전원 53:제어부 55:센서부
Claims (4)
- 삭제
- 파이프라인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지지하고, 진동이 감지될 때 자기력을 출력하여 파이프를 부상(浮上)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파이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파이프를 감싸 지지하고 진동의 감지시 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상시 작동유니트, 상기 상시 작동유니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진동의 감지시 작동하여 파이프를 부상시키는 다수의 전자석을 구비한 비상시 작동유니트를 갖는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파이프 자체 또는 지중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및 파이프지지부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파이프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상시 작동유니트는; 상기 파이프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되 파이프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착자 또는 탈자되는 전자석과, 상기 지지대에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지지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는 지지대 하부로 돌출되는 수직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고 하강한 위치에서 파이프의 상반부(上半部)를 감싸 지지하고 상승한 상태로 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파이프지지부를 갖는 승강식클램프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자석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고, 전자석의 착자시, 자기력에 의해 전자석측으로 상승하고, 전자석의 탈자시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승강식클램프가 승강하게 하는 승강블록을 구비하는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시 작동유니트는;
상기 파이프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내에서 파이프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고 제어부에 의해 착자 또는 탈자되는 상부전자석과,
상기 파이프의 연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과 접속되어 제어부에 의해 착자 또는 탈자되는 하부전자석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되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파이프의 길이방향 좌우측에 위치하는 고정영구자석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측 고정영구자석과 상부전자석과 하부전자석에 각각 대향 배치되는 다수의 가동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가동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체결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영구자석은 체결밴드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는,
반원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를 감싼 상태로 그 단부가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밴드부재를 구비하는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207A KR102020749B1 (ko) | 2019-06-17 | 2019-06-17 |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207A KR102020749B1 (ko) | 2019-06-17 | 2019-06-17 |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0749B1 true KR102020749B1 (ko) | 2019-09-10 |
Family
ID=6795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207A KR102020749B1 (ko) | 2019-06-17 | 2019-06-17 |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07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74930A (zh) * | 2021-06-11 | 2021-09-10 | 储士元 | 一种用于市政工程的管道铺设用预埋式支撑限定支架 |
CN115487966A (zh) * | 2022-10-14 | 2022-12-20 | 青岛宏泰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铜管加工用钝化剂涂抹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9694A (ko) | 1997-11-13 | 1999-06-05 | 이계철 | 기지국 제어기간 핸드오버 처리방법 |
KR20100066099A (ko) | 2008-12-09 | 2010-06-17 | 김성구 |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
JP2013185691A (ja) * | 2012-03-09 | 2013-09-19 | Toshiba Corp | 磁気浮上装置 |
KR101601258B1 (ko) | 2014-10-30 | 2016-03-08 | 주식회사 엠알테크 | 내진형 배관 클램프 |
-
2019
- 2019-06-17 KR KR1020190071207A patent/KR1020207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9694A (ko) | 1997-11-13 | 1999-06-05 | 이계철 | 기지국 제어기간 핸드오버 처리방법 |
KR20100066099A (ko) | 2008-12-09 | 2010-06-17 | 김성구 |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
JP2013185691A (ja) * | 2012-03-09 | 2013-09-19 | Toshiba Corp | 磁気浮上装置 |
KR101601258B1 (ko) | 2014-10-30 | 2016-03-08 | 주식회사 엠알테크 | 내진형 배관 클램프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74930A (zh) * | 2021-06-11 | 2021-09-10 | 储士元 | 一种用于市政工程的管道铺设用预埋式支撑限定支架 |
CN113374930B (zh) * | 2021-06-11 | 2024-02-23 | 山西承峻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工程的管道铺设用预埋式支撑限定支架 |
CN115487966A (zh) * | 2022-10-14 | 2022-12-20 | 青岛宏泰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铜管加工用钝化剂涂抹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0749B1 (ko) | 자기부상형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 |
US11339849B2 (en) | Three-dimensional isolator with adaptive stiffness property | |
KR101967360B1 (ko) | 공기부상식 진동제어시스템 | |
CN1321447C (zh) | 机械手 | |
US9423000B2 (en) | Magnetically suspended vibration isolator with zero stiffness whose angle degree of freedom is decoupled with a joint ball bearing | |
KR200485852Y1 (ko) | 내진 흔들림 방지버팀대 | |
WO2015125996A1 (en) |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 |
CN109837993B (zh) | 一种电磁控制的摩擦摆减隔震装置及控制方法 | |
US9429209B2 (en) | Magnetically suspended and plane-drove vibration isolator | |
CN103122969A (zh) | 三维隔震装置 | |
KR102023846B1 (ko) |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 |
KR20200065668A (ko) | 계측제어반의 내진 보호시설 | |
JP2019173940A (ja) | 空気浮上式振動制御システム | |
JP3195374U (ja) | 配管固定装置 | |
CN207333566U (zh) | 一种石油管道支撑装置 | |
JP2007211445A (ja) | 浮体式免震構造 | |
CN101784818A (zh) | 具有防地震的构件的装置 | |
JP2019015310A (ja) | 構造物用制振装置 | |
WO2015119303A1 (ja) | 免震装置 | |
KR102420806B1 (ko) | 내진형 상하수도관 설비 | |
JP2010174580A (ja) | 揺れ止め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対振動基礎構造 | |
CN107816134B (zh) | 一种基于杆式阻尼器的永磁体磁悬浮隔震支座 | |
JP2006291588A (ja) | 免震構造 | |
CN104964098A (zh) | 双向缓冲管道支吊架 | |
JP2011202769A (ja) | 浮上式の免震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