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23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23B1
KR102020623B1 KR1020120040754A KR20120040754A KR102020623B1 KR 102020623 B1 KR102020623 B1 KR 102020623B1 KR 1020120040754 A KR1020120040754 A KR 1020120040754A KR 20120040754 A KR20120040754 A KR 20120040754A KR 102020623 B1 KR102020623 B1 KR 10202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terminal
area
mit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964A (ko
Inventor
유용주
민경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23B1/ko
Priority to US13/782,464 priority patent/US9137725B2/en
Publication of KR2013011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5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by manual user inte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것으로, 단말의 동작은,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화면을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USERS IN WIRELE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부분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셀(cell)을 기반으로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커버리지(coverage)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최적의 셀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경우에 따라, 서빙 셀(serving cell)을 변경하는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한다.
사용자들이 자유로이 이동함으로 인해, 특정 셀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집중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서 처리 가능한 트래픽(traffic) 용량은 제한되기 때문에, 특정 셀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집중되는 경우, 모든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없다. 또한, 상대적으로 주변 셀들에 적은 수의 사용자들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주변 셀들에서는 잉여 자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특정 셀에서는 트래픽 과부하가, 주변 셀에서는 잉여 자원이 발생함으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특정 셀에 사용자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셀에 사용자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이 적은 셀들로 사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셀들의 트래픽 상황을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인식 없이 사용자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화면을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은, 셀 별 트래픽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을 이용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표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듈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화면을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듈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셀 별 트래픽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을 이용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분산됨으로써, 시스템 전체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별 트래픽 현황 표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쿠폰 제공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정보의 생성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정보의 생성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셀에 사용자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신되는 트래픽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셀로 사용자들이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집중된 셀이 부담하는 트래픽을 분산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트래픽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셀을 '트래픽 완화 셀(less-traffic cell)' 또는 '트래픽 완화 지역(less-traffic region)'으로, 상기 사용자가 집중된 셀을 '트래픽 집중 셀(high-traffic cell)' 또는 '트래픽 집중 지역(high-traffic region)'으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셀 별 트래픽 현황(status)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다. 즉, 화면 표시를 통해 트래픽 현황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스스로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하 도 1a 및 이하 도 1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별 트래픽 현황 표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a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방식을 도시하며, 상기 도 1b는 맵(map) 방식을 도시한다. 상기 도 1a는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에 반원으로 표현된 각 셀의 커버리지들(111, 112)를 겹쳐 보여주며, 세로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111)은 트래픽 완화 지역을, 대각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112)는 트래픽 집중 지역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 1b는 전자 지도 상에 원으로 표현된 각 셀의 커버리지들(121 내지 124)을 보여주며, 세로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들(122, 123)은 트래픽 완화 지역을, 대각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들(121, 124)은 트래픽 집중 지역을 나타낸다. 상기 도 1a 및 상기 도 1b는 트래픽 현황을 집중, 완화 등 2단계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은 3개 이상의 단계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래픽 현황은 색(color), 문자, 숫자, 도형 등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안내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트래픽 완화 지역들을 안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트래픽 완화 지역들 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트래픽 완화 지역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트래픽 완화 지역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다수의 매체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는 매체 외 트래픽 사용량이 적은 다른 매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 망에 접속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로의 매체 변경, 즉, 이종 망 핸드오버를 권장할 수 있다. 매체 변경 권장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변경될 매체를 지시하는 정보 등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간접적 수단을 통해 사용자들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접적 수단은 트래픽 완화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의 쿠폰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쿠폰은 할인권, 소셜 쿠폰, 영화 티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트래픽 집중에 대한 직접적인 인지 없이도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하 도 2a 및 이하 도 2b와 같은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쿠폰 제공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a는 원으로 표현된 각 셀의 커버리지들(211 내지 213)을 보여주며, 세로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들(212, 213)은 트래픽 완화 지역을, 대각선으로 표현된 커버리지(211)는 트래픽 집중 지역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트래픽 완화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들(221 내지 223)을 제공하며, 상기 쿠폰들(221 내지 223)을 사용 가능한 상점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도 2b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커버리지의 표시 없이 지도 상에 쿠폰들(231 내지 233) 및 상점의 위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상점으로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분산 기법들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또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사용자 분산 기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치는 각 사용자의 테이터 사용량 이력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모든 사용자들에 대하여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사용자 분산 기법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분산 기법을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트래픽 현황 정보,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해야 한다. 만일,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매우 커서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시스템은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논리적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도 3에 도시된 각 객체는 다수의 객체들로 분리되어 존재하거나 또는 다른 객체와 하나의 객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310), 기지국(320), 분산제어서버(330), 광고 네트워크(340), 이동통신망(350), 코어망(core network)(36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310)은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기지국(320)에 접속하고, 상기 기지국(320)을 통해 상기 코어망(360)에 접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310)은 상기 도 1a, 상기 도 1b, 상기 도 2a, 상기 도 2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310)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320)은 상기 단말(31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기지국(320)은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320)은 트래픽 현황 정보를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320)은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는 상술한 사용자 분산 기법을 제어하는 객체이다.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는 '에이전트(agent)'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는 상기 기지국(320)을 비롯한 다수의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을 수집하고, 트래픽 모델링(modeling)을 수행한 후,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상기 단말(3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는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트래픽 모델링은 상기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가공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는 상기 단말(310)의 사용자의 취향, 성향 등을 분석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34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의 취향, 성향 등에 부합하는 광고 정보를 상기 단말(3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 성향 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정보는 상기 단말(310)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망 사업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330)는 상기 기지국(320)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330)의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은 상기 단말(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고 네트워크(340)는 광고 정보를 보유하고, 허가된 요청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 네트워크(340)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객체들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360)은 상기 단말(310)의 무선 통신, 이동성 등을 관리하기 위한 망이다. 상기 이동통신망(360)은 게이트웨이(gateway), 인증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320)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망(360)은 IP(Internet Protocol)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401단계에서, 기지국(420)은 자신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분산제어서버(4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전체 용량 대비 트래픽 사용률, 자원 사용률, 접속된 사용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430)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403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다수의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한 후,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의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단계들은 2개 이상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후, 405단계에서, 단말(410)은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로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요청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또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410)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410)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 407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상기 단말(410)로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최근에 생성된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상기 단말(410)로부터의 요청이 수신된 후, 상기 401단계 및 상기 403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40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상기 단말(4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409단계에서, 상기 단말(410)은 셀 별 트래픽 현황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410)은 상기 도 1a와 같이 증강 현실 방식으로 상기 트래픽 현황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도 1b와 같이 맵 방식으로 상기 트래픽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410)은 각 셀의 트래픽 현황을 색, 문자, 숫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래픽 모델링은 상기 분산제어서버(43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모델링은 상기 단말(4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430)는 상기 단말(410)로 가공되지 아니한 트래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410)이 상기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501단계에서, 기지국(520)은 자신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분산제어서버(5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전체 용량 대비 트래픽 사용률, 자원 사용률, 접속된 사용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530)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503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다수의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취합한 후,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의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단계들은 2개 이상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후, 505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510)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510)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할 것을 판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제공을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로 요청한다.
이어, 507단계에서,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할 것을 판단한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상기 단말(510)로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최근에 생성된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509단계에서,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510)은 셀 별 트래픽 현황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510)은 상기 도 1a와 같이 증강 현실 방식으로 상기 트래픽 현황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도 1b와 같이 맵 방식으로 상기 트래픽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510)은 각 셀의 트래픽 현황을 색, 문자, 숫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래픽 모델링은 상기 분산제어서버(53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모델링은 상기 단말(5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530)는 상기 단말(510)로 가공되지 아니한 트래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510)이 상기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601단계에서, 분산제어서버(630)는 광고 네트워크(640)로 트래픽 완화 지역의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에 위치한 상점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 6에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을 비롯한 모든 지역의 광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 603단계에서, 상기 광고 네트워크(640)는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 등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권, 소셜 쿠폰, 영화 티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605단계에서, 상기 단말(610)은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로 사용자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초 정보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쿠폰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항목들 중 일부는 이동 통신 망의 가입자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부의 정보는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어, 607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단말(610)로 제공할 광고를 선택한다. 즉,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단말(61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기초 정보 및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단말(610)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 등을 선택한다. 단,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단말(610)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광고들 중에서 상기 제공할 광고를 선택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607단계의 광고 선택 동작은 상기 단말(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 609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630)는 상기 단말(610)로 선택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상기 단말(610)의 서빙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607단계의 광고 선택 동작이 상기 단말(61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607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605단계도 함께 생략될 수 있다.
이후, 611단계에서, 상기 단말(610)은 표시 수단을 통해 광고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610)은 상기 도 2a 또는 상기 도 2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트래픽 현황의 표시와 함께 상점의 위치 및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상에 상점의 위치 및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6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점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701단계에서, 분산제어서버(730)는 광고 네트워크(740)로 트래픽 완화 지역의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에 위치한 상점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 7에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기지국들의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을 비롯한 모든 지역의 광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 703단계에서, 상기 광고 네트워크(740)는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 등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권, 소셜 쿠폰, 영화 티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705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광고 정보의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광고 정보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710)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710)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광고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제공할 것을 판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제공을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로 요청한다.
이어, 707단계에서, 상기 광고 정보를 제공할 것을 판단한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단말(710)로 제공할 광고를 선택한다. 즉,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단말(710)의 사용자의 사용자 기초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단말(710)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 등을 선택한다. 단,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단말(710)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광고들 중에서 상기 제공할 광고를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초 정보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쿠폰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항목들은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707단계의 광고 선택 동작은 상기 단말(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 709단계에서, 상기 분산제어서버(730)는 상기 단말(710)로 선택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상기 단말(710)의 서빙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705단계의 광고 선택 동작이 상기 단말(71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7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711단계에서, 상기 단말(710)은 표시 수단을 통해 광고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710)은 상기 도 2a 또는 상기 도 2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트래픽 현황의 표시와 함께 상점의 위치 및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상에 상점의 위치 및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7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점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분산 기법을 수행하는 분산제어서버 및 단말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의 (a)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801단계에서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분석한다. 상기 트래픽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트래픽 현황 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전체 용량 대비 트래픽 사용률, 자원 사용률, 접속된 사용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로 나타내는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의 요청과 함께 제공될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기초 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항목들 중 일부는 이동 통신 망의 가입자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부의 정보는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판단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상기 805단계의 구체적인 절차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인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이하 도 10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인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이하 도 11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매우 커서 상기 사용자 분산을 위한 정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서버가 상기 도 8의 (a)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상기 도 8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8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분석하는 수단(851),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853),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855),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85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의 (a)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901단계에서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분석한다. 상기 트래픽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트래픽 현황 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전체 용량 대비 트래픽 사용률, 자원 사용률, 접속된 사용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의 요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를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산제어 서버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단말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로 나타내는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될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기초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항목들 중 일부는 이동 통신 망의 가입자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부의 정보는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판단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상기 905단계의 구체적인 절차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인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이하 도 10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인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이하 도 11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매우 커서 상기 사용자 분산을 위한 정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서버가 상기 도 9의 (a)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상기 도 9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9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분석하는 수단(951), 사용자를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수단(953),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955),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95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생성 절차 및 이에 대응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즉, 상기 도 10는 트래픽 모델링 정보의 생성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의 (a)를 참고하면, 분산제어서버는 1001단계에서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기지국들의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단계들은 2개 이상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1003단계로 진행하여 셀 별 단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도 10의 (a)의 동작 주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0의 (a)의 동작 주체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0의 (a)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 10의 (a)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0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수단(1051), 상기 셀 별 단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105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의 생성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1의 (a)를 참고하면, 분산제어서버는 1101단계에서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 등의 할인권, 소셜쿠폰, 영화티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광고 네트워크로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에 대한 광고 정보만을 요청하거나, 또는, 전체 광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11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광고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사용자 기초 정보를 이용한다. 즉,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기초 정보 및 이동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 등을 선택한다. 상기 광고 선택의 구체적인 기준은 발명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 11의 (a)의 동작 주체는 상기 분산제어서버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1의 (a)의 동작 주체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1의 (a)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 11의 (a)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1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하는 수단(1151), 상기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1153), 상기 광고를 선택하는 수단(115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의 (a)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201단계에서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또는 미리 정의된 일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입 없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단말이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은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분산제어서버로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로 나타내는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에서 사용 가능한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인 경우, 상기 요청과 함께 제공될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기초 정보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1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산제어서버로부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만일,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매우 커서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단말은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면에 상기 상점의 광고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광고를 사용할 수 있는 상점의 위치, 셀 별 트래픽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에 상기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셀 별 트래픽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상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변경될 매체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단말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a 또는 상기 도 1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래픽 현황은 색, 문자, 숫자, 도형 등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도 2a 또는 상기 도 2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도 12의 (a)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2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2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1251),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수단(1253),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1255),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수단(1257),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1259)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2는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지 여부가 단말에 의해 판단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정보의 표시 여부는 상기 단말이 아닌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분산제어서버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자만이 트래픽 과부하를 파악하고, 상기 트래픽 과부하를 사용자에게 노출하지 아니한 채, 사용자를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유도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 및 이에 대응하는 수단들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의 (a)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3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산제어서버로부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만일,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매우 커서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는 통상의 트래픽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채널은 SMS 채널, 전화망, 비상 연락망으로서 할당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단말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내의 상점의 광고,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면에 상기 상점의 광고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광고를 사용할 수 있는 상점의 위치, 셀 별 트래픽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에 상기 셀 별 트래픽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셀 별 트래픽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상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변경될 매체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단말은 1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트래픽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a 또는 상기 도 1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래픽 현황은 색, 문자, 숫자, 도형 등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도 2a 또는 상기 도 2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도 13의 (a)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도 13의 (b)와 같은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3의 (b)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1351),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수단(1353),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135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산제어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을 참고하면, 상기 분산제어서버는 메모리(14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420), 통신서브시스템(1430)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4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셋트,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각각의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가 상기 메모리(110)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1411), 통신 모듈(1412), 분산제어모듈(141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1411)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체제(1411)는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일 수 있다.상기 통신 모듈(1412)은 상기 통신서브시스템(14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사용자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상기 도 8, 상기 도 10, 상기 도 11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셀 별 트래픽 현황을 분석하는 명령어,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을 이용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셀 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셀 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을 구분하는 명령어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고 정보 중 상기 단말로 제공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선택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4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4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404)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420) 전체는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421), 상기 프로세서(1422) 및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23) 전체 또는 일부는 별개의 구성요소이거나,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421)는 상기 메모리(1410) 및 상기 프로세서(1422) 간 데이터 교환을 처리한다.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23)는 상기 통신서브시스템(1430) 등의 주변 장치 및 상기 프로세서(1422) 간 데이터 교환을 처리한다. 상기 프로세서(14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분산제어서버를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422)는 상기 메모리(14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프로세서(1422)는 상기 메모리(1410)에 저장된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분산을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서브시스템(1430)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즉, 상기 통신서브시스템(1430)은 상기 분산제어서버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분산제어서버로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한다. 상기 통신서브시스템(1430)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도 14을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분산제어서버의 구성에서, 상기 프로세서(1422)는 상기 메모리(1410)에 저장된 분산제어모듈(1413)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분산 기법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모듈(1413)은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1420)은 분산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142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단말은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나열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도 15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메모리(1510), 프로세서 유닛(1520), 통신 유닛(1530), 입출력(IO : Input Output) 시스템(1540), 터치스크린(155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56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5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롬,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컴팩트 디스크 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셋트,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각각의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인트라넷, LAN, WLAN, 또는 S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가 상기 메모리(150)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1511)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1512), 그래픽 모듈(15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514), 분산제어모듈(15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명령어 세트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1511)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체제(1511)는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512)은 상기 통신 유닛(15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모듈(1513)은 상기 터치스크린(155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5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사용자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상기 도 12 또는 상기 도 13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사용자가 트래픽 완화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명령어, 상기 화면을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서버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셀 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셀 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을 구분하는 명령어,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5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5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4)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520) 전체는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21), 상기 프로세서(1522) 및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23) 전체 또는 일부는 별개의 구성요소이거나,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21)는 상기 메모리(1510) 및 상기 프로세서(1522) 간 데이터 교환을 처리한다.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23)는 상기 통신 유닛(1530) 등의 주변 장치 및 상기 프로세서(1522) 간 데이터 교환을 처리한다. 상기 프로세서(15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522)는 상기 메모리(15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프로세서(1522)는 상기 메모리(1510)에 저장된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분산을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1530)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익 통신 유닛(1530)은 제1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1) 및 제2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2)를 포함한다. 무선통신서브시스템들(1531, 1432)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 :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1) 및 상기 제2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2)은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1) 및 상기 제2무선통신서브시스템(1532)은 하나의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서브시스템(1540)은 터치스크린제어기(1541) 및/또는 기타 입력제어기(1542)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기(1541)는 터치스크린(1550)에 결합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550) 및 상기 터치스크린제어기(1541)는 상기 터치스크린(155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 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입력제어기(154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550)은 상기 단말 및 사용자 간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155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단말에 전달한다. 또한 단말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150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터치스크린(155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스크린(155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60)은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60)은 하나 이상의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로커 버튼(rocker button)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60)은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스타일러스 등의 포인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5을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분산제어서버의 구성에서, 상기 프로세서(1522)는 상기 메모리(1510)에 저장된 분산제어모듈(1515)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분산 기법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산제어모듈(1515)은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1520)은 분산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152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전자 장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등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 판독가능 전파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라는 용어는 예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 하기 위한 모든 기기, 장치 및 머신을 포함한다. 기기는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스트림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스트림, 예컨대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의 전송을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생성되는 머신 생성 전기, 광, 또는 전자기 스트림이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재될 수 있고, 이는 자립형(stand-alone)프로그램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의 사용에 적절한 기타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할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은 기타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갖는 파일의 부분에 저장되거나, 해당 프로그램에 전용된 단일 파일 내에 저장되거나, 복수의 좌표 파일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 프로그램 또는 코드 부분)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한 지역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지역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복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입력 데이터를 운영하고 출력을 생성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는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또한 특수 목적 로직 회로,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기가 특수 목적 로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트래픽량이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과 인접한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 중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은,
    상기 인접 지역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의 트랙픽량 보다 트래픽량이 적은 지역인 트래픽 완화 지역에 위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상점의 위치, 상기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셀 별 트래픽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상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변경될 매체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서버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서버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셀 별 트래픽 현황(status)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에 기초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셀 별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에 기초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셀 별 트래픽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을 이용하여 트래픽량이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집중 지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이 존재함을 결정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과 인접한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한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은,
    상기 인접 지역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의 트랙픽량 보다 트래픽량이 적은 지역인 트래픽 완화 지역에 위치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의된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을 선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법.
  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표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듈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단말 장치가, 트래픽량이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과 인접한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 중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은, 상기 인접 지역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의 트랙픽량 보다 트래픽량이 적은 지역인 트래픽 완화 지역에 위치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전자 지도, 셀 커버리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상점의 위치, 상기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 셀 별 트래픽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상기 매체 변경을 권장하는 알림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화면은 변경될 매체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서버로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서버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셀 별 트래픽 현황(status)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에 기초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셀 별 트래픽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에 기초하여 트래픽 완화 지역을 식별하고,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내의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버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듈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브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셀 별 트래픽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셀 별 트래픽 현황을 이용하여 트래픽량이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집중 지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이 존재함을 결정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과 인접한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에 위치한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은, 상기 인접 지역 중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의 트랙픽량 보다 트래픽량이 적은 지역인 트래픽 완화 지역에 위치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미리 정의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의된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트래픽 집중 지역으로 핸드오버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접 지역에 위치한 상점들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을 선택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 정보는, 성별, 나이대, 서비스 별 사용 빈도, 차량 탑승 유무, 데이터 사용량, 쿠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트래픽 완화 지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트래픽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셀들을 미리 정의된 단계들로 구분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3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2.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10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20040754A 2012-04-19 2012-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54A KR102020623B1 (ko) 2012-04-19 2012-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782,464 US9137725B2 (en) 2012-04-19 2013-03-01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us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54A KR102020623B1 (ko) 2012-04-19 2012-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64A KR20130117964A (ko) 2013-10-29
KR102020623B1 true KR102020623B1 (ko) 2019-09-10

Family

ID=4938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754A KR102020623B1 (ko) 2012-04-19 2012-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7725B2 (ko)
KR (1) KR102020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1227B2 (ja) * 2014-03-28 2018-07-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6682893B2 (ja) * 2016-02-09 2020-04-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移動端末装置、管理装置、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663A (ja) * 2002-03-28 2003-10-10 Seiko Epson Corp 移動体誘導システム、移動体誘導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409626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ナビゲーション表示方法
JP2011254348A (ja) * 2010-06-03 2011-12-15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629B1 (fi) * 1996-10-10 1999-07-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puheluliikenteen kuuman pisteen määrittämiseksi solukkomatkaviestinjärjestelmän solussa
SE522834C2 (sv) * 1998-11-11 2004-03-09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system och förfarande relaterande till radiokommunikation
CN100481970C (zh) * 2003-09-04 2009-04-22 富士通株式会社 信息提供方法及信息提供程序
JP5045983B2 (ja) * 2006-06-30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26933B2 (en) * 2007-09-27 2011-09-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ing or augmenting resolution and data associated with zooming or paning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US20100103868A1 (en) * 2008-10-27 2010-04-29 At&T Mobility Ii Llc Method for modeling wireless network coverage under line-of-sight conditions
KR20100098238A (ko) * 2009-02-27 2010-09-06 (주) 마하팩토리 휴대폰 위치정보에 기반한 상품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10114390A (ko) 2010-04-13 2011-10-19 신보식 위치 정보를 이용한 무선 접속 장치 위치 파악 및 가상 공간 상의 명소 지정및 활용에 관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663A (ja) * 2002-03-28 2003-10-10 Seiko Epson Corp 移動体誘導システム、移動体誘導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409626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ナビゲーション表示方法
JP2011254348A (ja) * 2010-06-03 2011-12-15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7725B2 (en) 2015-09-15
US20130281088A1 (en) 2013-10-24
KR20130117964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33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CN107431896B (zh) 基于连接技术的无线覆盖验证
CN102819671B (zh) 一种结合地图进行数据分析的方法
US20170171042A1 (en) Collecting and Using Quality of Experience Information
KR20180030105A (ko)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카드들
KR102361721B1 (ko) 콘텐츠를 제시 및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379B1 (ko) 원격 환경에 대해 데이터 엔트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19160B2 (en) Segment generation describing usage patterns
KR20130124854A (ko)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CN104641334A (zh) 用于大小调整和布置图形用户界面的元素的系统
CN104685487A (zh) 与附近设备共享内容
EP3102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optimizing map destination routing performance
US10061501B2 (en) User interface for co-optimizing weight factors
US11016633B2 (en) Intelligent support recommendations for snap-ins
US20160335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optimizing map tile quality and detail
US20200141759A1 (en) Using Major Route Decision Points to Select Traffic Cameras for Display
KR10202062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59996A (ko) 사용자별 광고 노출 시스템 및 사용자별 광고 노출 방법
US20180121049A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by same, and web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page by same
US20140285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evel of detail contents
KR101226991B1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광고 방법 및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가 가능한 컴퓨팅 장치
US9377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preferred data representation
CN112686489A (zh)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存储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US10531372B1 (en) Location-based service zone cluster management and monitoring
CN107154964B (zh) 一种移动终端信息推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