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115B1 - 배관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15B1
KR102020115B1 KR1020170124816A KR20170124816A KR102020115B1 KR 102020115 B1 KR102020115 B1 KR 102020115B1 KR 1020170124816 A KR1020170124816 A KR 1020170124816A KR 20170124816 A KR20170124816 A KR 20170124816A KR 102020115 B1 KR102020115 B1 KR 102020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lower plate
shock
buf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054A (ko
Inventor
허재실
현중섭
김정면
박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며, 배관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1 완충유닛 및 제1 완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완충유닛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완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2 기준값 미만인 제1 이상상태일 시, 제2 완충유닛만 작동하고,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2 기준값 이상인 제2 이상상태일 시, 제1 및 2 완충유닛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완충 장치{Pip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배관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석유화학공장과 같이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지지하는 종래의 스프링 행거는 내진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행거는 지진이나 수충격(Water Hammering)에 의한 순간적인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지 못하여, 배관의 이탈로 인한 누수, 누전, 질식, 폭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지진이나, 수충격에 의한 충격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며,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메인 완충기인 제2 완충유닛이 구동을 하며, 충격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일 시, 메인 완충기인 제2 완충유닛과, 서브 완충기인 제1 완충유닛이 함께 구동을 하여,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배관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충격의 발생 정도에 따라, 완충유닛의 작동이 달라져,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며, 배관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1 완충유닛 및 제1 완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완충유닛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2 기준값 미만인 제1 이상상태일 시, 제2 완충유닛만 작동하고,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2 기준값 이상인 제2 이상상태일 시, 제1 및 2 완충유닛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진이나, 수충격에 의한 충격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며,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메인 완충기인 제2 완충유닛만 구동을 하며, 충격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일 시, 메인 완충기인 제2 완충유닛과, 서브 완충기인 제1 완충유닛이 함께 구동을 함으로써,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의 발생 정도에 따라, 완충유닛의 작동이 달라져,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 완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완충 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푸싱 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관 완충 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 완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관 완충 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푸싱 바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완충 장치는 제1 완충유닛(10), 제2 완충유닛(80)을 포함한다.
제1 완충유닛(10)은 배관(1)의 상측에 배치되며, 배관(1)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제1 완충유닛(10)은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완충유닛(80)은 제1 완충유닛(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완충유닛(80)은 제1 완충유닛(1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2 기준값 미만인 제1 이상상태일 시, 제2 완충유닛(80)만 작동한다. 일예로, 제1 기준값은 배관 기본 하중에서 ~ 약 2500kg 범위일 수 있다.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2 기준값 이상인 제2 이상상태일 시, 제1 및 2 완충유닛(10,80)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제2 기준값은 약 2501kg ~ 5000kg 범위일 수 있다.
충격의 발생 정도에 따라, 제 1 및 2 완충유닛(10,80)의 작동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완충유닛(80)은 평상 시(정상운전), 배관(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진이나 수충격에 의한 순간적인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제 1 및 2 완충유닛(10,80)이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하우징(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제1 완충유닛(10)을 지지하면서, 상부는 제2 완충유닛(8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는 배관(1)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제1 이상상태일 시, 충격을 제1 완충유닛(10)으로 전달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제2 완충유닛(80)으로 전달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제2 이상상태일 시, 충격을 제1 완충유닛(10)으로 전달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하우징(20)은 충격을 제1 완충유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21) 및 하부 하우징(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은 제2 완충유닛(8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26)은 배관(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연결볼트(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의 하측에 하부 하우징(26)이 맞되게 배치되어, 연결볼트(28)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하우징(21,26)은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상부 하우징(21)에 결합된 하부 하우징(26)은 상부 하우징(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예로,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분리된 하우징(21,26)이 연결볼트(28)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은 배관(1)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부 하우징(2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배관(1)의 작용하는 충격이 제2 이상상태일 시, 하부 하우징(26)은 상부 하우징(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배관(1)에 작용하는 충격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하우징(26)의 연결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파손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하우징(21,26)을 결합한 연결볼트(28)는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볼트(28)의 전단응력은, 연결볼트(28)의 직경, 상부 및 하부 하우징(21,26)의 재질 등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일예로, 연결볼트(28)의 재질은 비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완충유닛(10)의 일측은 상부 하우징(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완충유닛(10)의 타측은 하부 하우징(26)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제1 완충유닛(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1 이상상태일 시, 충격은 결합된 하부 및 부 상부 하우징(21,26)을 차례로 거쳐, 제2 완충유닛(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의 결합이 해제되어, 충격은 하부 하우징(26)을 거쳐 제1 완충유닛(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2 완충유닛(10,80)은 배관(1)에 연결되어, 충격 발생 정도에 따른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충격의 발생 정도에 따라, 제 1 및 2 완충유닛(10,80)의 구동이 달라짐으로써, 충격흡수를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1 및 2 완충유닛(10,80)은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연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완충유닛(10)의 하단과 배관(1)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은 하측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돨 수 있다. 하부 하우징(26)은 상부 하우징(21)의 양측 말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6)은 한 쌍의 수직 바(22)들과, 수직 바(22)들을 수평하게 서로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3)에 연결부(30)는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하부 플레이트(2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제1 완충유닛(10)을 하부 플레이트(23)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배관(1)을 하부 플레이트(23)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부(30)는 하부 플레이트(23)에 결속될 수 있으며, 결속력은 제 1 이상상태 시, 결속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이상상태일 시, 결속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3)는 수평 파트(24), 삽입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3)는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수평 파트(24)의 양단에 각각 삽입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5)은 수평 파트(24)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고 외측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5)에 수직 바(22)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제1 고정너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9)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에 대응되게 제1 고정너트(60)의 내주면에 나사산(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60)는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60)는 하부 플레이트(23)의 하측에서,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60)는 하부 플레이트(23) 하측에 배치된 채로,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수직 바(22)에 하부 플레이트(23)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수직 바(22)와 하부 플레이트(23)는 일체형 형태로 연결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연결부(30)는 배관(1)의 충격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23)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배관(1)에 의하여, 하부 플레이트(23)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제1 푸싱 바(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푸싱 바(40)의 일단은 하부 플레이트(23) 상측의 연결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푸싱 바(40)의 일단은 연결부(30)에 용접될 수 있다.
제1 푸싱 바(40)의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 접촉되게 또는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연결부(30)는 하부 플레이트(23)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연결부(30)는 하부 플레이트(23)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제1 푸싱 바(40)는 연결부(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하측으로 작용 시, 제1 완충유닛(10)은 신장되면서, 연결부(3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푸싱 바(40)는 연결부(30)를 따라 이동하여, 하부 플레이트(23)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푸싱 바(40)는 하부 플레이트(23)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하부 플레이트(23)와 연결된 수직 바(22)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1 푸싱 바(40)는 제1 연장 파트(41), 제1 삽입 파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파트(41)의 일단은 하부 플레이트(23)의 상측에서 연결부(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23)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 파트(42)는 제1 연장 파트(4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삽입 파트(42)는 하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 접촉되게 또는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삽입 파트(42)는 외측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를 통해 수직 바(2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 파트(4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라고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삽입 파트(42)는 수직 바(22)에 물리는 형태이면 모든 만족한다.
제1 푸싱 바(40)는 연결부(30)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23)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의 결합의 해제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22)에 제1 고정너트(60)가 나사결합되어, 하부 플레이트(23)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너트(60)에 의하여, 지지된 하부 플레이트(23)는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수직방향 기준으로, 충격이 하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1 푸싱 바(40)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하게 될 수 있다. 제1 푸싱 바(40)의 가압에 의하여,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 결합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일 시,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제2 푸싱 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푸싱 바(50)의 일단은 하부 플레이트(23)의 하측에서 연결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푸싱 바(50)의 일단은 연결부(30)에 용접될 수 있다.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은 수직 바(22)를 따라 상하방향을 이동 가능하게 수직 바(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푸싱 바(50)는 제2 연장 파트(51), 제2 삽입 파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 파트(51)의 일단은 하부 플레이트(23)의 하측에서 연결부(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은 수직 바(22)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 파트(52)는 제2 연장 파트(5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삽입 파트(52)는 외측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 파트(52)의 개구를 통해 수직 바(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 파트(5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라고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삽입 파트(52)는 수직 바(22)에 물리는 형태이면 모든 만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제2 고정너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너트(70)는 수직 바(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9)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나사산(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너트(70)는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의 하측에서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된 채로,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수직방향 기준으로, 충격이 하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2 푸싱바(50)의 일단은 연결부(3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은 수직 바(22)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너트(70)는 수직 바(22)에 나사결합된 채,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의 하측을 지지함에 따라, 연결부(3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푸싱 바(50)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할 시, 제2 푸싱바(50)의 타단은 제2 고정너트(70)를 가압하여, 수직 바(22)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2 푸싱 바(50)의 타단은 연결부(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 바(22)의 타단을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배관(1)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2 푸싱 바(50)는 하부 플레이트(23)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 사이의 결합의 해제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분리된 상부 하우징(21)과 수직 바(22)는 연결볼트(28)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제2 이상상태일 시, 제2 푸싱 바(50)는 하부 하우징(26)을 상측으로 올림으로써, 연결부위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 및 5에 제1 푸싱 바(40) 및 제2 푸싱 바(50)가 수직 바(22)를 상하 이동시키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직 바(22)를 수직방향에 수직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부 하우징(21)과 및 하부 하우징(26)의 결합을 해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예로, 제1 푸싱 바(40) 및 제2 푸싱 바(50)의 일단은 연결부(30)에 접합되지 않고, 힌지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수직방향 기준으로, 충격이 하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1 푸싱바(40)의 일단은 연결부(3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부 플레이트(23)의 상측과 제1 푸싱바(40) 의 타단의 경사는 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수직 바(22)를 수직방향에 수직되게 가압할 수 있다.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수직방향 기준으로, 충격이 상측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제2 푸싱바(50)의 일단은 연결부(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플레이트(23)와 제2 푸싱바(50)의 타단과의 경사를 보다 작게 형성하면서, 수직 바(22)를 수직방향에 수직되게 가압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완충 장치는 클램프(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클램프(2)는 배관(1)의 외면을 둘러싼 채로, 연결부(30)의 하측에 결합되어, 배관(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유닛(10)은 몸체(81), 수평 스프링(82), 수직 스프링(83)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스프링(82)은 몸체(81)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관(1)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스프링(82)은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완충유닛(10)은 스프링 행거일 수 있다.
수평 스프링(82)의 사이에 수직 스프링(83)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 스프링(83)의 타단은 상부 하우징(21)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 스프링(82)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수평 스프링(82)은 배관(1)의 길이방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수평 스프링(82)과, 수직 스프링(83)의 충격 흡수에 의하여, 제1 및 2 완충유닛(10,80)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수직 스프링(83)은 바(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84)의 일단은 수직 스프링(8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84)의 타단은 상부 하우징(21)에 연결될 수 있다. 바(84)의 외면에는 나사산(8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에 대응되게 상부 하우징(21)의 내측은 나사산(87)이 형성될 수 있다. 바(84)와 상부 하우징(21)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배관(1)의 길이방향의 수직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은 제1 완충유닛(10)과 수직 스프링(83)이 흡수할 수 있으며, 배관(1)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은 수평 스프링(82)이 흡수할 수 있다. 배관의 길이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제1 및 2 완충유닛(10,80)이 흡수함으로써, 배관의 충격 완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1 이상상태일 시, 배관(1)에 가해지는 충격은 하부 및 상부 하우징(21)을 거쳐, 바(84)를 통해, 제2 완충유닛(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이상상태이며,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6)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지 않을 시. 제1 및 2 푸싱 바(40,50)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하우징(21,26)은 결합은 해제되고, 배관(1)에 가해지는 충격은 연결부(30)를 통해, 제1 완충유닛(10)을 거쳐, 바(84)를 통해 제2 완충유닛(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완충유닛 20: 하우징
30: 연결바 40: 제1 푸싱바
50: 제2 푸싱바 60: 제1 고정너트
70: 제2 고정너트 80: 제2 완충유닛

Claims (12)

  1.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1 완충유닛;
    상기 제1 완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완충유닛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완충유닛; 및
    상기 제1 완충유닛을 지지하되, 상부에서 상기 제2 완충유닛과 연결되고 하부에서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2 기준값 미만인 제1 이상상태일 시, 상기 제2 완충유닛만 작동하고, 상기 배관에 작용하는 충격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인 제2 이상상태일 시, 상기 제1 및 2 완충유닛이 작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이상상태일 시, 상기 충격의 상기 제1 완충유닛으로의 전달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충격의 상기 제2 완충유닛으로의 전달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이상상태일 시, 상기 충격의 상기 제1 완충유닛으로의 전달을 허용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완충유닛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배관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상상태일 시,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1 완충유닛은, 일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충격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이상상태일 시, 상기 하부 및 상부 하우징을 차례로 거쳐, 상기 제2 완충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는, 상기 제2 이상상태일 시, 상기 하부 하우징을 거쳐 상기 제1 완충유닛으로 전달되는 배관 완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되, 상기 제2 이상상태일 시, 파손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연결 볼트를 더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완충유닛의 하단과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하측으로 개구되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 말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 바들과, 상기 수직 바들을 수평하게 서로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완충유닛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시키고, 또한 상기 배관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시키는 배관 완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게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1 푸싱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이상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시,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배관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푸싱 바는, 상기 연결부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의 해제를 유도하는 배관 완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싱 바는,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 및
    상기 제1 연장 파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게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며, 외측으로 개구되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수직 바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파트를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파트; 및
    상기 수평 파트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수평 파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내측으로 요입되고 외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 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 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 바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 바를 따라 상하방향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직 바에 연결되는 제2 푸싱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이상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시,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배관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푸싱 바는, 상기 연결부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 바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의 해제를 유도하는 배관 완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싱 바는,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 바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 및
    상기 제2 연장 파트의 타단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개구되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수직 바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파트를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 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푸싱 바의 타단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 바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푸싱 바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배관 완충 장치.
KR1020170124816A 2017-09-27 2017-09-27 배관 완충 장치 KR10202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16A KR102020115B1 (ko) 2017-09-27 2017-09-27 배관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16A KR102020115B1 (ko) 2017-09-27 2017-09-27 배관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054A KR20190036054A (ko) 2019-04-04
KR102020115B1 true KR102020115B1 (ko) 2019-09-10

Family

ID=6610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816A KR102020115B1 (ko) 2017-09-27 2017-09-27 배관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38A (ko) * 2020-12-03 2022-06-10 한국전력공사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444A (zh) * 2021-02-24 2021-06-22 河南民生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爆炸缓冲保护装置、方法及应用
KR102573970B1 (ko) *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41B1 (ko) * 2016-08-29 2017-02-09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유연배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094B1 (ko) * 2011-11-28 2017-1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41B1 (ko) * 2016-08-29 2017-02-09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유연배관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38A (ko) * 2020-12-03 2022-06-10 한국전력공사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KR102453178B1 (ko) * 2020-12-03 2022-10-14 한국전력공사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054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115B1 (ko) 배관 완충 장치
JP5948457B1 (ja) 免震構造物
CN107245943B (zh) 可转换抗震模式的减震支座及减震桥梁装置
KR101419308B1 (ko)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20200019322A (ko) 다중 슬립하중 마찰댐퍼
KR101284777B1 (ko) 수직 및 수평 잭킹이 가능한 유압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방법
KR101830871B1 (ko) 열변위 보상이 가능한 배관 진동제어 스마트 댐퍼
US20200181931A1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CN211597165U (zh) 改进弧形构件、水平波纹钢板组合耗能的拉压型阻尼器
CN112942080A (zh) 一种拉压防落桥梁减隔震支座
CN202530572U (zh) 一种带限位装置的高阻尼隔震橡胶支座
CN209800854U (zh) 一种适用范围广的建筑机电设备用抗震支架
KR100917035B1 (ko) 교량 측면 경사 방지 및 교량 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교량받침
CN111218999A (zh) 一种金属与弹簧橡胶复合阻尼器
CN116291656A (zh) 碟形弹簧式冲击吸能防护装置
KR101121133B1 (ko) 납-주석 합금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면진장치
CN102797221B (zh) 滑杆式限位隔震支座
CN103088932B (zh) 防屈曲摩擦支撑
KR20110072412A (ko) 면진 장치
KR10211834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내진장치
CN111395845B (zh) 一种避震安全仓用弹簧固定装置及其安装方法
CN113719575A (zh) 一种阻尼器
CN106835952A (zh) 一种组合式抗震系统以及组合式抗震桥梁
CN218497906U (zh) 一种变压器用防护性能好的抗震底座
CN214250719U (zh) 一种具备抗震功能的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