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061B1 -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061B1
KR102020061B1 KR1020180035779A KR20180035779A KR102020061B1 KR 102020061 B1 KR102020061 B1 KR 102020061B1 KR 1020180035779 A KR1020180035779 A KR 1020180035779A KR 20180035779 A KR20180035779 A KR 20180035779A KR 102020061 B1 KR102020061 B1 KR 102020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ne
conductive layer
out detec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18003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셔틀콕의 헤드부분 및 라인부의 표면이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어 셔틀콕이 라인부와 접촉하는 경우 셔틀콕의 접촉이 감지되어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인 아웃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In-Out Detection System of Badminton Field}
본 발명은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셔틀콕의 헤드부분 및 라인부의 표면이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어 셔틀콕이 라인부와 접촉하는 경우 셔틀콕의 접촉이 감지되어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인 아웃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와 각종 게임으로 여가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특히 배구, 배드민턴, 테니스 등과 같은 스포츠와 각종 레저용 게임들은 게임의 특성상 라인(line)이 있고, 스포츠에 사용되는 공 또는 신체의 일부가 라인을 터치하였는지 또는 라인 밖으로 나갔는지 등을 판단하여 게임의 승패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의 눈으로는 빠르게 진행되는 스포츠 또는 게임에서 라인의 터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의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 10-1336683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라인 터치 감지 방법은 라인에 위치한 복수의 압력 센서들을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감지된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감지된 면적을 이용하여 라인 터치 여부를 판단하고 라인 터치가 얼마만큼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배드민턴과 같이 공이 가벼운 스포츠의 경우, 압력 센서에서 인식이 어려워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에 국제경기에서 사용되는 비디오판독기의 경우, 이를 운용하기 위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며 장비의 가격이 비싸고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어서 일반인이 운동하는 필드에서 비디오판독기와 같이 전문적인 장비의 도움을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36683호(2013.11.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셔틀콕의 헤드부분 및 라인부의 표면이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어 셔틀콕이 라인부와 접촉하는 경우 셔틀콕의 접촉이 감지되어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인 아웃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을 갖는 셔틀콕, 도전층을 갖는 라인부 및 셔틀콕의 인 아웃을 판단하는 인 아웃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셔틀콕의 인 아웃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력 및 도전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라인부를 사용함으로써 배드민턴 필드의 라인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미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라인 위에 라인부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분이 도전성을 갖는 셔틀콕(100); 필드바닥면(300) 위에 설치되어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셔틀콕(100)의 헤드부분의 접촉을 감지하는 라인부(200); 및 상기 라인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셔틀콕(100)의 인 아웃을 판단하는 인 아웃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200)는 상기 필드바닥면(300)과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위에 형성되는 도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수지층에 형성되는 제1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100)은 헤드부분에 도전성 테이프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 아웃 감지 센서는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220);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연결부(230); 상기 접촉부(220)와 상기 외부연결부(230)를 연결하는 신호전송부(240); 및 인 아웃을 판정하여 인 아웃의 결과를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전성을 갖는 셔틀콕, 도전층을 갖는 라인부 및 셔틀콕의 인 아웃을 판단하는 인 아웃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셔틀콕의 인 아웃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력 및 도전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라인부를 사용함으로써 배드민턴 필드의 라인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미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라인 위에 라인부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라인부의 도전층을 2층 이상으로 구성하여, 배드민턴 플레이어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도전층이 쉽게 탈착되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으로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셔틀콕의 헤드부분에 도전성 테이프를 감아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셔틀콕을 재활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드민턴 필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셔틀콕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라인부 및 인 아웃 감지 센서를 구비한 배드민턴 필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라인부의 일 실시예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의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드민턴 필드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셔틀콕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라인 부 및 인 아웃 감지 센서를 구비한 배드민턴 필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라인부의 일 실시예, 그리고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헤드부분이 도전성을 갖는 셔틀콕(100); 필드바닥면(300) 위에 설치되어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셔틀콕(100)의 헤드부분의 접촉을 감지하는 라인부(200); 및 상기 라인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셔틀콕(100)의 인 아웃을 판단하는 인 아웃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은, 셔틀콕의 헤드부분 및 라인부의 표면이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어 셔틀콕이 라인부와 접촉하는 경우, 셔틀콕의 접촉이 감지되어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인 아웃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셔틀콕이 라인부와 접촉하면, 접촉신호가 인 아웃 감지 센서로 전달되고, 인 아웃 감지 센서에서 인(In)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거나 푸른색을 점등하여 인(In)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셔틀콕이 라인부를 벗어나면, 접촉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인 아웃 감지 센서에서 어떠한 신호도 표시하지 않으므로 아웃(Out)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배드민턴 필드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드민턴 필드의 라인을 도전성이 있는 라인부로 구성함으로써, 인 또는 아웃에 대한 판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셔틀콕(100)의 헤드부분은 도전성 소재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셔틀콕의 헤드부분은 금속입자,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전도성 고분자 등의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전도성 소재를 헤드 부분에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콕(100)은 헤드부분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셔틀콕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라인부(200)는 상기 필드바닥면(300)과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위에 형성되는 도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착력 및 도전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라인부(200)를 사용함으로써 배드민턴 필드의 라인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미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라인 위에 라인부(20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는 필드바닥면(300)의 라인에 해당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홈에 라인부(2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인부(200)는 필름 또는 시트로 형성되어 필드바닥면(300) 위에 라인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형성된 라인부를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인부는 필름 또는 시트로 형성되므로, 라인의 규격(폭, 길이)에 따라 적절히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라인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사용으로 라인부가 훼손된 경우에도 새로운 라인부를 부착함으로써 보수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상기 접착층은 필드바닥면(300)과 접착하는 층으로서,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접착력이 우수한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접착층 위에 형성되는 층으로서, 상부에 형성되는 도전층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규산칼륨, 카본블랙 및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수지층에 기계적 강도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탄성 및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 우레탄계 열가소성 고무, 아미드계 열가소성 고무,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고무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천연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와 동적 가교하거나 혼합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고무는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고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규산칼륨은 접착성이 우수하여 조성물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난연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규산칼륨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카본블랙은 전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내부식성, 내열성, 내약품성,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알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불소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비닐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이 사용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특히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50~80중량%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0~50중량%로 구성되는 실란 커플링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강도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규산나트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나트륨은 난연성 및 접착성의 부여를 위해 사용되며, 고체상 또는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규산나트륨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인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3-메틸펜탄디올, 헥산디올, 비스옥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의 글리콜 성분과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산 성분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하이드록시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인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내열성, 내구성 및 탄성이 저하된다.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인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 탄성 회복력 및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스티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은 내열성, 저수축성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공지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 저수축성 및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 수지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라프트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도전층은 수지층 위에 형성되는 층으로서, 셔틀콕의 헤드부분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신호를 인 아웃 감지 센서로 전달한다.
상기 도전층은 금속입자,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전도성 고분자 등의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선이나 금속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수지층에 형성되는 제1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층은 도전성 재료로 금속분말을 포함하고, 제2도전층은 도전성 재료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에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의 함량을 서로 달리할 수도 있다.
라인부(200)의 도전층을 2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배드민턴 플레이어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도전층이 쉽게 탈착되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으로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도전층이 탈착되더라도 제1도전층이 라인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셔틀콕의 인 아웃 감지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부(200)는 감지패턴(210)을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도 3 및 4).
즉, 상기 라인부는 상기 필드바닥면(300)과 접착하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 위에 수지층을 형성하되, 상기 수지층(211)에 음각 영역(212)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212)에 도전성 재료(213)를 충진하여 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감지패턴(210)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음각 영역(212) 사이의 거리는 셔틀콕의 헤드부분이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셔틀콕이 라인부에 접촉하는 경우 접촉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감지패턴(21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지층(211)은 상기 도전성 재료(213)가 충진된 음각 영역(212)을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배드민턴 플레이어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상기 도전층을 보호할 수 있어, 장기간 도전층의 손상 없이 인 아웃 감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라인부의 전체 면적에 도전층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전층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상승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라인부(200)는 상기 필드바닥면(300)의 라인에 설치되거나 또는 라인 주변의 선택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인 아웃의 판정이 미묘한 라인 또는 라인 주변에만 설치하여 설치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일예로서 라인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라인부(200)를 설치하는 경우, 셔틀콕이 라인부에 접촉하는 경우 푸른색을 점등하여 인(In)을 표시하고, 셔틀콕이 라인부를 벗어나는 경우 붉은색을 점등하여 아웃(Out)을 표시할 수 있다.
아래 <그림 1>은 인 아웃 판정 실시예이다.
Figure 112018030797199-pat00001
상기 인 아웃 감지 센서는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220);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연결부(230); 상기 접촉부(220)와 상기 외부연결부(230)를 연결하는 신호전송부(240); 및 인 아웃을 판정하여 인 아웃의 결과를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도 3).
즉, 상기 도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촉부(220)와 제어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외부연결부(230) 사이에 상기 신호전송부(240)가 위치하여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감지패턴(210)이 있는 경우, 상기 음각 영역(212)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21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에 충진되는 상기 도전성 재료(213)가 들떠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드민턴 플레이어가 움직이며 밟더라도 상기 도전성 재료(213)가 상기 수지층(211)의 음각 영역(212)에서 탈락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220)와 상기 외부연결부(230)를 연결하는 상기 신호전송부(240)는 직각으로 꺾여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전송부(240)가 직각으로 꺾이는 경우 충격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단락이 발생되기 쉬운데, 본 발명의 상기 신호전송부(240)는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단락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패턴(210)은 각각에 고유한 ID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셔틀콕(100)이 상기 감지패턴(210)에 접촉할 때, 해당 ID가 함께 전송되어 외부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셔틀콕(100)이 터치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배드민턴 플레이어에게 이후 플레이를 위한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밀한 판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은 인 아웃 감지 센서 뿐만 아니라 제2판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판정수단은 각각의 라인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상기 셔틀콕(100)의 라인 횡단을 감지하여 판정을 제공 또는 판정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촉 센서 뿐만 아니라 비 접촉 센서를 통한 판정 또는 판정 보조가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인 아웃 감지 센서와 상기 제2판정수단의 감지 정보는 외부 제어장치에 제공되며, 제공된 정보를 종합하여 인 아웃 판정을 한다. 따라서 하나의 센서 또는 체계에 오류가 발생되어 판정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다른 센서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오류 증명 및 판정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판정을 유지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0: 셔틀콕
200: 라인부
210: 감지패턴
211: 수지층 212: 음각영역
213: 도전성 재료
220: 접촉부
230: 외부연결부
240: 신호전송부
300: 필드바닥면

Claims (5)

  1. 헤드부분이 도전성을 갖는 셔틀콕(100);
    필드바닥면(300) 위에 설치되어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셔틀콕(100)의 헤드부분의 접촉을 감지하는 라인부(200); 및
    상기 라인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셔틀콕(100)의 인 아웃을 판단하는 인 아웃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200)는
    상기 필드바닥면(300)과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위에 형성되는 도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규산칼륨, 카본블랙 및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고무 1~5중량부, 규산칼륨 1~5중량부, 카본블랙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 아웃 감지 센서는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220);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연결부(230);
    상기 접촉부(220)와 상기 외부연결부(230)를 연결하는 신호전송부(240); 및
    인 아웃을 판정하여 인 아웃의 결과를 소리 또는 점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수지층에 형성되는 제1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100)은
    헤드부분에 도전성 테이프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아웃 감지 시스템.
  5. 삭제
KR1020180035779A 2018-03-28 2018-03-28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KR102020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79A KR102020061B1 (ko) 2018-03-28 2018-03-28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79A KR102020061B1 (ko) 2018-03-28 2018-03-28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061B1 true KR102020061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779A KR102020061B1 (ko) 2018-03-28 2018-03-28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2976B1 (ja) 2022-09-23 2023-07-24 星二 古屋 球技用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164A (ja) * 2008-03-22 2011-05-19 リヒャルト イェッケル ゴルフクラブのヒッティング精度及びスイング運動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10084072A (ko) * 2010-01-15 2011-07-21 나현연 셔틀콕의 라인터치 체크장치
KR101336683B1 (ko) 2012-08-10 2013-12-09 주계원 라인 터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164A (ja) * 2008-03-22 2011-05-19 リヒャルト イェッケル ゴルフクラブのヒッティング精度及びスイング運動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10084072A (ko) * 2010-01-15 2011-07-21 나현연 셔틀콕의 라인터치 체크장치
KR101336683B1 (ko) 2012-08-10 2013-12-09 주계원 라인 터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2976B1 (ja) 2022-09-23 2023-07-24 星二 古屋 球技用具
JP2024046715A (ja) * 2022-09-23 2024-04-04 星二 古屋 球技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61B1 (ko) 배드민턴 필드의 인 아웃 감지 시스템
Ying et al. An anti‐freezing, ambient‐stable and highly stretchable ionic skin with strong surface adhesion for wearable sensing and soft robotics
US201103097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uminescent display
WO2004038570A1 (fr) Moyens d&#39;information avec caracteristiques d&#39;impermeabilite et d&#39;emission de lumiere
EP1628128B1 (en) Moisture detection label, moisture detection device, moisture detection method, power shutoff method, and electronics device
WO2007042772A3 (en) An electrically conductive release liner
ES2862906T3 (es) Lámina y revestimiento
CN109559651B (zh) 一种柔性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06575664A (zh) 可卷曲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MY148925A (en) Microlens sheeting with floating image using a shape memory material
WO2015154616A1 (zh) 一种柔性印制电路板及包括其的一种光纤网络分配设备
KR101954233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187852A1 (ko) 교육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
JP6922261B2 (ja) 検知センサ
JP2010203554A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管理システム
US20080208488A1 (en) Device for Detecting Impact and Use Thereof
CN10247310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0629325B1 (ko)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한 운동화
CN101541148A (zh) 磁性固定结构及应用其的电子装置
KR200449185Y1 (ko) 충격 위치 감지용 센서
CN107450771B (zh) 树脂触摸屏、树脂触摸屏控制面板、家用电器和加工方法
CN110536526A (zh) 一种防爆照明装置、后台监控装置及防爆照明系统
JP4105178B2 (ja) 液晶表示素子
CN101792642A (zh) 胶材及其贴附检测方法
JP7047801B2 (ja) 光電センサ用基板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