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14B1 -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14B1
KR102019814B1 KR1020170079962A KR20170079962A KR102019814B1 KR 102019814 B1 KR102019814 B1 KR 102019814B1 KR 1020170079962 A KR1020170079962 A KR 1020170079962A KR 20170079962 A KR20170079962 A KR 20170079962A KR 102019814 B1 KR102019814 B1 KR 10201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erminal
spectral characteristics
foo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70A (ko
Inventor
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7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8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8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 G01N2021/0143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compu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11Application to online plant, process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물의 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음식물의 성분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서 분석을 하지 못하더라도, 추후 업데이트를 통하여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정보를 알려주어 지속적으로 성분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에 빛을 조사하여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한 성분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an apparatus for analyzing the ingredient of a food and drink}
본 발명은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물의 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음식물의 성분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서 분석을 하지 못하더라도, 추후 업데이트를 통하여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정보를 알려주어 지속적으로 성분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적정한 체중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상식이며,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자신의 체중을 관리하려고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체중을 관리하는 방법은 운동을 통한 관리 방법과 칼로리 섭취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운동 못지 않게 칼로리 섭취를 조절하는 방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칼로리 섭취를 조절하기 위해 식사량이나 식사의 종류만을 관리하고 있을 뿐, 정작 그들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료에 의한 칼로리 섭취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운동을 통한 칼로리 소비와 운동 중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섭취하는 음료의 칼로리는 운동을 통한 실질적 칼로리 소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사항들은 간과되어 왔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음료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의 성분값을 측정하는 성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음식물의 성분값에 대응되는 음식물의 종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식물의 성분값에 대응되는 음식물의 종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분 측정 센서가 측정한 상기 음식물의 성분값에 대응되는 음식물의 종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5호에 기재된 기술은 음료의 성분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섭취하는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음료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음료에 한정되어 성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물의 성분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부가 직접 음식물과 접촉하여야 하므로, 센서부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깨끗하게 세척이 되지 않을 경우 추후 음료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음식물에 근적외선(NIR,Near Infrared Ray)을 조사하여 음식물의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서 전송받은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결과를 전송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는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의 성분 DB에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분광특성이 저장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음식물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분광특성을 특정하는 측정기에는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센싱하는 보조 센서가 더 구비되고, 단말기에서는 보조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와 함께, 현재 시간과 분석의뢰하는 음식물의 개략적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보다 정확하게 성분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해당 분광특성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미확인 성분 DB에 저장하여 추후 업데이트 될 경우 다시 성분을 확인하여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현재 확인되지 않은 성분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에 빛을 조사하여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한 성분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기는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LED와, 음식물에서 반사된 광선을 통하여 분광특성을 검출하는 분광센서와, 상기 분광센서에서 검출한 분광특성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기에는 온도, 습도,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성분의 분광특성 정보가 저장되는 성분 DB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분광특성과 성분 DB의 정보를 비교하여 성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에는 단말기에서 분석을 요청한 요청 리스트와, 상기 단말기에서 분석을 요청한 분광특성 중에서 성분 DB에 대응 정보가 없는 분광특성을 저장하는 미확인 성분 D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버는 미확인 성분 DB에 저장된 분광특성 중에서 확인이 완료된 분광특성은 상기 요청 리스트에서 요청 단말기를 확인하여, 분석한 성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음식물의 개략적인 카테고리, 분석 위치, 분석 시간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음식물에 근적외선(NIR,Near Infrared Ray)을 조사하여 음식물의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서 전송받은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결과를 전송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는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의 성분 DB에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분광특성이 저장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음식물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광특성을 특정하는 측정기에는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센싱하는 보조 센서가 더 구비되고, 단말기에서는 보조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와 함께, 현재 시간과 분석의뢰하는 음식물의 개략적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보다 정확하게 성분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해당 분광특성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미확인 성분 DB에 저장하여 추후 업데이트 될 경우 다시 성분을 확인하여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현재 확인되지 않은 성분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음료용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료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음료용기장치의 동작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음료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음료용기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상호동작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외선의 파장에 따른 피사체에 대한 투과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물질의 분광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외선의 파장에 따른 피사체에 대한 투과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물질의 분광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음식물에 빛을 조사하여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100)와 상기 측정기(100)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한 성분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기(100)는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Ray, 760 ~ 1500nm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110)와 상기 LED(110)에서 조사된 빛이 음식물에서 반사되고, 이렇게 반사된 광선을 통하여 분광특성을 검출하는 분광센서(120)와 상기 분광센서(120)에서 검출한 분광특성을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통신모듈(13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LED(110)는 한 쌍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분광센서(120)에서 안정적으로 분광특성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광특성이란, 각 성분들은 고유한 진동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고유한 진동에너지와 일치하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게 되므로, 각 물질의 성분 차이에 따른 분자 진동 스펙트럼이 달라지게 되어 음식물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중에서도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Ray, 760 ~ 1500nm의 파장)을 사용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의 파장대에 따라 피사체에 침투 투과율이 달라지게 되는데, 근적외선에서의 침투 투과율이 높아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고유 특성에 따른 분광특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광센서(120)는 나노 광학필터를 광학소자 CCD/CMOS 센서에 집적한 센서로서, 각각의 픽셀에 특정파장의 나노필터가 부착되어 있어, 본 발명에서는 기존 분광계와 센서의 기능을 하나의 분광센서(120)로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기(100)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잭(미도시)이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작동할 수도 있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200)는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테블릿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전송한 분광특성을 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통신모듈(220)은 블루투스 타입과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뿐만 아니라,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LTE 타입과 같은 원거리 통신수단도 같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2통신모듈(220)은 근거리 통신수단과 원거리 통신수단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모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버(300)는 각 성분의 분광특성 정보가 저장되는 성분 DB(320)와 서버(3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분광특성 정보와 성분 DB(320)에 저장된 분광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분광특성에 해당하는 성분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10)는 분광특성을 비교하여 확인한 성분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수신한 성분을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0)는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테블릿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스마트폰과 같은 경우는 별도의 앱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고, 별도로 제조한 경우에는 해당 기기에 대응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200)에 분광특성 정보가 별도로 저장되지 않고, 서버(300)를 통하여 성분을 확인하게 되며, 단말기(200)는 분석한 성분을 출력만하기 때문에 분광특성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과 같은 기술에서는 기본적인 구성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분광특성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정보가 서버(300)에만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서버(300)는 일반적인 타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타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100)에는 보조센서(1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센서(140)는 온도, 습도 및 조도 등을 감지하게 되어, 분광특성을 검출할 때, 현지의 상황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센서(140)에서 측정된 정보는 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버(300)로 전송되며, 서버(300)의 제어부(310)에서는 분광특성뿐만 아니라, 측정당시의 환경 상태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서 분석을 요청한 요청 리스트(340)와 상기 단말기(200)에서 분석을 요청한 분광특성 중에서 성분 DB(320)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성분을 알려주지 못 한 경우, 분석을 요청한 분광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미확인 성분 DB(3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300)의 제어부(310)는 단말기(200)에서 분석 요청을 한 분광특성에 대응되는 성분을 발견하지 못 한 경우, 단말기(200)로는 해당 성분은 현재 분석할 수 없으며, 추후에 분광특성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분석하여 보내주겠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200)는 분광특성을 서버(300)로 전송할 때, 음식물의 개략적인 카테고리, 내부에 구비되는 GPS(240)를 통하여 획득한 분석요청 위치, 분석시간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그래서, 서버(300)에서는 미확인 성분 DB(330)에 분광특성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분광특성을 측정한 주변환경의 정보를 포함하여 측정위치, 측정시간, 개략적인 카테고리를 함께 저장하여, 추후에 해당 분광특성을 확인할 때,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미확인 성분 DB(330)에 저장된 분광특성 중에서 확인이 완료되어 성분이 특정된 경우에는 상기 요청 리스트(340)의 정보를 참조하여 요청한 단말기(200)로 요청 위치, 요청 시간과 함께 해당 성분의 정보를 통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대한 실시간으로 음식물의 성분을 분석하도록 하며, 현재 분석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서버(300)의 관리자가 수신된 분광특성 및 음식물의 정보를 통하여 분광특성에 매칭되는 성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빠른 시간에 다양한 분광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성분 분석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물의 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음식물의 성분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서 분석을 하지 못하더라도, 추후 업데이트를 통하여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정보를 알려주어 지속적으로 성분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측정기 110 : LED
120 : 분광센서 130 : 제1통신모듈
140 : 보조센서 200 : 단말기
210,310 : 제어부 220 : 제2통신모듈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GPS
300 : 서버 320 : 성분 DB
330 : 미확인 성분 DB 340 : 요청 리스트
350 : 제3통신모듈

Claims (7)

  1. 음식물에 빛을 조사하여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한 분광특성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한 성분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기는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LED와, 음식물에서 반사된 광선을 통하여 분광특성을 검출하는 분광센서와, 상기 분광센서에서 검출한 분광특성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기에는 습도,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는 성분의 분광특성 정보가 저장되는 성분 DB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분광특성과 성분 DB의 정보를 비교하여 성분을 확인하되, 상기 보조센서에서 측정한 습도와 조도를 포함하는 측정 당시의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성분을 판단하며,
    상기 서버에는 단말기에서 분석을 요청한 요청 리스트와, 상기 단말기에서 분석을 요청한 분광특성 중에서 성분 DB에 대응 정보가 없는 분광특성을 저장하는 미확인 성분 DB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는 단말기에서 분석 요청을 한 분광특성에 대응되는 성분을 발견하지 못 한 경우, 단말기로는 해당 성분은 현재 분석할 수 없으며, 추후에 분광특성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분석하여 보내주겠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미확인 성분 DB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음식물의 개략적인 카테고리, 분석 위치, 분석 시간의 정보가 함께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미확인 성분 DB에 저장된 분광특성 중에서 확인이 완료된 분광특성은 상기 요청 리스트에서 요청 단말기를 확인하여, 분석한 성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9962A 2017-06-23 2017-06-23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KR10201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62A KR102019814B1 (ko) 2017-06-23 2017-06-23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62A KR102019814B1 (ko) 2017-06-23 2017-06-23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0A KR20190000670A (ko) 2019-01-03
KR102019814B1 true KR102019814B1 (ko) 2019-09-09

Family

ID=6502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62A KR102019814B1 (ko) 2017-06-23 2017-06-23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7932A (ja) 2014-07-11 2016-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品分析装置
JP2017505901A (ja) * 2014-01-03 2017-02-23 ベリフード, リミテッドVerifood, Ltd. 分光システム、方法、および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078A (ko) * 2012-12-07 2014-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광 센서를 이용한 시료 분석 장치
KR20160061586A (ko) * 2014-11-22 2016-06-01 김근식 음식의 열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KR101869938B1 (ko) 2015-10-02 2018-06-21 주식회사 제주컨버전스 지능형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5901A (ja) * 2014-01-03 2017-02-23 ベリフード, リミテッドVerifood, Ltd. 分光システム、方法、および用途
JP2016017932A (ja) 2014-07-11 2016-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品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0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ssain et al. Optical fiber smartphone spectrometer
US9312575B2 (en) Battery testing system and method
US20190154566A1 (en) An analysis instrument,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8044972A1 (en) A personal liquid analysis system
CN104040309A (zh) 用于最终使用者食品分析的低成本光谱测定系统
JP2017511494A (ja) 電子試験装置によるデータ通信
KR20160071371A (ko) 표면의 색상 및 스펙트럼의 측정 및 범주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829870A (zh) 扫描工作流的视觉指示器
Hossain et al. Early warning smartphone diagnostics for water security and analysis using real-time pH mapping
CN103281459A (zh) 一种可测水果甜度和ph值的手机
CN109963976A (zh) 光谱计、包含光谱计和家用器具的系统及其运行方法
US20160109295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pectrometer combined therewith, and method for detecting quality of test object by using the same
US20200182781A1 (en) Mobile spectrum analyzer systems and methods
CN105651771A (zh) 一种集成颜色传感-时间温度指示的农产品品质监测方法
KR102019814B1 (ko) 음식물의 성분 분석 장치
KR102293333B1 (ko) 식품의 상태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상태 측정 시스템
CN106546548B (zh) 用于测量复合材料的热降解的系统和方法
US10161861B2 (en) Compact device for sensing a liquid with energy harvesting from liquid motion
US20190228205A1 (en) Skinprint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43762A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90170719A1 (en) Wine probe
CN207923719U (zh) 基于图像灰度识别的拉曼光谱检测设备
KR200404482Y1 (ko) 휴대형 과일 품질정보 측정장치
TWI519773B (zh) 農藥檢測裝置
NL2032862B1 (en) Spectral sensor system for analysing a sample in a harsh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