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63B1 -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63B1
KR102019163B1 KR1020170143271A KR20170143271A KR102019163B1 KR 102019163 B1 KR102019163 B1 KR 102019163B1 KR 1020170143271 A KR1020170143271 A KR 1020170143271A KR 20170143271 A KR20170143271 A KR 20170143271A KR 102019163 B1 KR102019163 B1 KR 10201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gas
ignition device
time
sp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362A (ko
Inventor
김태준
지영두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23Q7/24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6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23Q7/1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 F23N2027/02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에는 자동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염검지소자 간을 회로적으로 단선함으로써,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주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화 위치로 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점화스위치(100)와;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400)와; 화염을 감지하여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500)와;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610)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으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소자(500)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700)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칭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섀시(610) 쪽으로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influxed noise by igniter in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기구에서의 노이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가열하여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요리하고자 가스를 연소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레인지 또는 가스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가스보일러와 같이 가스의 연소를 통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는 가스기구에는 점화장치(Igniter)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점화장치는 가스가 연소될 수 있게 스파크를 방전하는 부재로서, 종래의 가스기구에는 가스가 연소되는지 즉, 화염(불꽃)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염검지소자가 탑재되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는 크게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Igniter)(10)와,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20) 및 염검지소자(20)로부터 입력되는 화염검지정보를 토대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3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0)에서 스파크를 방전시키는데 이로 인해, 노이즈(누설전기)가 발생된다.
이처럼, 발생되는 노이즈가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30)을 이루는 회로부품구성 쪽으로 유입될 경우 오작동을 하거나 심한 경우 파손까지 야기시키는 폐단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40)를 접지를 위한 대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섀시(chassis)(40)에 접지섀시(50)를 설치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의 경우 노이즈가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공되는 접지섀시(50)를 통해 온전하게 노이즈가 패스되지 않고, 접지섀시(50)와 금속적으로 연결된 염검지소자(20)에도 유입되는 위험성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는 염검지소자(20)로 노이즈가 유입되면, 그 유입되는 노이즈는 염검지소자(20)를 경유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30) 쪽으로도 유입됨으로써,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30)의 오작동 또는 파손의 위험성을 온전하게 해소하여 주지 못하고 있다.
KR 20-1998-059068 U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에는 자동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염검지소자 간을 회로적으로 단선함으로써,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주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는, 점화 위치로 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점화스위치와;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와;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와;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와;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으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소자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화장치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섀시 쪽으로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인 점화동작 기준시간(RT) 동안 상기 스위칭부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 기준시간(RT)은 상기 점화장치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인 점화동작 측정시간(MT) 동안 상기 스위칭부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 측정시간(MT)은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상기 점화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1
Figure 112017107767639-pat00001
(여기서, MV는 점화장치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
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이 경과한 후 방전을 정지하고 상기 스위칭부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소자의 화염검지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되지 않은 것이면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한 시간을 적산한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점화장치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총 시간이 최대로 설정된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보다 작은 경우 연결된 상기 스위칭부가 재차 단선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추가로 점화장치를 방전시키는 시간인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한 후 방전을 정지하고, 재차 상기 스위칭부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소자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이 아니면, 상기 염검지소자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으로 입력될 때까지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을 상기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에 적산하되,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하기 전까지 반복체크하며,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 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점화실패 메시지가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염검지소자는 써머커플소자이고,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하기 전에 상기 염검지소자인 써머커플소자의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 동안 상기 스위칭부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은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상기 점화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 및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2
Figure 112017107767639-pat00002
(여기서, MV는 점화장치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 TC는 측정된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에 비례하는 상수인 온도전압 변환 기준상수)
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기구의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에는 자동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염검지소자 간을 회로적으로 단선함으로써,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MCU의 오작동이나 파손을 예방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염검지소자가 구비된 가스기구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를 통해 점화 시 노이즈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염검지소자가 써머커플소자인 경우 초기 염검지소자전압의 값에 따라 점화완료시간이 변동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는 점화스위치(100), 화력조절 스위치(200), 가스공급량 제어밸브(300), 점화장치(Igniter)(400), 염검지소자(500), 섀시(600), 접지섀시(610), 스위칭부(800) 및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점화스위치(100)는 스위치가 점화 위치로 이동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부재이다.
상기 화력조절 스위치(200)는 스위치의 이동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화력의 세기를 요청하는 부재이다.
상기 가스공급량 제어밸브(300)는 후술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가스기구의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조절하는 부재이다.
상기 점화장치(Igniter)(400)는 후술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염검지소자(500)는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부재이다.
특히, 염검지소자(500)로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를 이용 시 가스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의 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열기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섀시(600)는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610)가 설치제공된다.
상기 스위칭부(800)는 후술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염검지소자(500)를 후술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800)에는 릴레이(RELAY)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900)는 점화실패 메시지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부저(Buzzer), 스피커, 액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가스기구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로서, 특히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접지섀시(610) 쪽으로만 유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는 시간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가변되어진다.
즉,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는 시간은 크게 점화동작 기준시간(RT), 점화동작 측정시간(MT) 및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 등의 조건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먼저, 점화동작 기준시간(RT)은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 가스기구의 점화장치(400)가 가장 이상적인 동작전압일 때를 산정한 시간이며, 이는 3가지 조건의 시간 중 비교적 짧은 점화완료시간에 속하는 반면에, 발생되는 노이즈의 세기는 크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동작 기준시간(RT) 동안 자신과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 방전으로 인해 발생된 노이즈 중 섀시(600)에 설치된 접지섀시(610) 쪽으로 패싱되지 않은 일부의 노이즈가 금속적으로 연결된 염검지소자(500)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단선된 스위칭부(800)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오작동이나 파손을 사전에 예방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점화동작 측정시간(MT)은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점화장치(400)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되어진다.
Figure 112017107767639-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MV는 점화장치(400)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이다.
여기서, 점화동작 측정시간(MT)은 점화장치(400)의 초기 동작전압(PV)의 세기에 따라 점화완료시간은 비례하여 가변되며, 발생되는 노이즈의 세기 또한 비례한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동작 측정시간(MT) 동안 자신과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 방전으로 인해 발생된 노이즈 중 섀시(600)에 설치된 접지섀시(610) 쪽으로 패싱되지 않은 일부의 노이즈가 금속적으로 연결된 염검지소자(500)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단선된 스위칭부(800)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오작동이나 파손을 사전에 예방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점화동작 측정시간(MT) 동안에 가스의 점화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이 경과한 후 스위칭부(800)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를 판독한다.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그 판독된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되지 않은 것이면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한 시간을 적산한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총 시간이 최대로 설정된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보다 작은 경우 연결된 스위칭부(800)가 재차 단선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추가로 점화장치(400)를 방전시키는 시간인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한 후 방전을 정지하고, 재차 스위칭부(800)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이 아니면,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으로 입력될 때까지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을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에 적산하되,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하기 전까지 반복체크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하기 전에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상태의 것이면, 가스기구 점화수행을 완료한다.
그러나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 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점화실패 메시지가 정보출력부(9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은 염검지소자(500)가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로 특정된 경우에 적용되는 점화완료시간이다.
여기서, 염검지소자(500)가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로 특정된 경우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의 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열기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점화완료시간도 가변 적용을 받는다.
이를 감안하여,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하기 전에 염검지소자(500)인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의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 동안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은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상기 점화장치(400)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과 더불어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되어진다.
Figure 112017107767639-pat00004
상기 수학식 2에서, MV는 점화장치(400)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 TC는 측정된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에 비례하는 상수인 온도전압 변환 기준상수이다.
여기서,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은 초기 동작전압(PV) 및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에 영향을 받아 점화완료시간은 가변(도 4 참조)되며, 노이즈의 세기 또한 비례한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 동안 자신과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 방전으로 인해 발생된 노이즈 중 섀시(600)에 설치된 접지섀시(610) 쪽으로 패싱되지 않은 일부의 노이즈가 금속적으로 연결된 염검지소자(500)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단선된 스위칭부(800)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 쪽으로 노이즈의 유입 자체를 제거하여 오작동이나 파손을 사전에 예방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10,400 : 점화장치 20,500 : 염검지소자
30,700 : 마이크로컨트롤유닛 40,600 : 섀시
50,610 : 접지섀시 100 : 점화스위치
200 : 화력조절 스위치 300 : 가스공급량 제어밸브
800 : 스위칭부 900 : 정보출력부

Claims (6)

  1. 점화 위치로 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점화스위치(100)와;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Igniter)(400)와;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를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500)와;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610)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으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소자(500)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칭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섀시(610) 쪽으로만 유도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인 점화동작 기준시간(RT)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 기준시간(RT)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
  2. 점화 위치로 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점화스위치(100)와;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Igniter)(400)와;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를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500)와;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610)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으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소자(500)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칭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섀시(610) 쪽으로만 유도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인 점화동작 측정시간(MT)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 측정시간(MT)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상기 점화장치(400)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9038224788-pat00005

    (여기서, MV는 점화장치(400)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
  3. 점화 위치로 조작되면 가스의 점화를 요청하는 점화스위치(100)와;
    스파크를 방전하여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게 점화시키는 점화장치(Igniter)(400)와;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에 불이 붙었는지를 여부를 안내하는 화염검지정보를 생성하는 염검지소자(500)와;
    가스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섀시(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지를 위한 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섀시(610)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가 요청되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으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소자(500)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칭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화장치(400)에서 스파크를 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섀시(610) 쪽으로만 유도되고,
    상기 염검지소자(500)는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이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하기 전에 상기 염검지소자(500)인 써머커플(TC;thermocouple)소자의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 동안 상기 스위칭부(800)가 단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화동작용 온도전압 반영시간(TT)은 상기 점화스위치(100)로부터 가스의 점화 요청 시 상기 점화장치(400)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한 값인 초기 동작전압(PV) 및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9038224788-pat00006

    (여기서, MV는 점화장치(400)를 동작하기 위해 공급되는 최대 동작전압, RT는 점화장치(400)가 최대 동작전압(MV)에서 점화가 완료되는 동안의 시간, TC는 측정된 초기 염검지소자전압(TV)의 값에 비례하는 상수인 온도전압 변환 기준상수)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스위칭부(800)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되지 않은 것이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한 시간을 적산한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점화장치(400)가 점화를 위해 스파크를 방전하는 동안의 총 시간이 최대로 설정된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보다 작은 경우 연결된 상기 스위칭부(800)가 재차 단선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추가로 점화장치(400)를 방전시키는 시간인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상기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00)은 상기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 동안 상기 점화장치(400)가 스파크를 방전하도록 제어한 후 방전을 정지하고 재차 상기 스위칭부(800)가 연결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이 아니면, 상기 염검지소자(500)의 화염검지정보가 화염이 검지된 것으로 입력될 때까지 점화장치 추가 방전시간(AT)을 상기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에 적산하되,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하기 전까지 반복체크하며, 그 적산되는 점화장치 총 방전시간(UT)이 상기 최대 점화대기 허용시간(LT)을 초과 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점화실패 메시지가 정보출력부(9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방지 장치.
  6. 삭제
KR1020170143271A 2017-10-31 2017-10-31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KR10201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71A KR102019163B1 (ko) 2017-10-31 2017-10-31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71A KR102019163B1 (ko) 2017-10-31 2017-10-31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362A KR20190048362A (ko) 2019-05-09
KR102019163B1 true KR102019163B1 (ko) 2019-09-09

Family

ID=6654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271A KR102019163B1 (ko) 2017-10-31 2017-10-31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74B1 (ko) * 2019-10-29 2021-04-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점화 및 화염검출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4807A (ja) * 1986-06-16 1987-12-22 Hitachi Ltd 燃焼制御装置の誤動作防止回路
KR19980059068U (ko) 1997-02-28 1998-10-26 배순훈 노이즈감쇄부가 설치된 이그나이터 구동회로
US9546788B2 (en) * 2012-06-07 2017-01-17 Chentronics, Llc Combined high energy igniter and flam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36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192B2 (en) Gas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38456B2 (ja) ガス燃焼装置
KR102019163B1 (ko)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방지 장치
US7438023B2 (en) Heating device having a thermal cut-off circuit for a fuel l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3277949A (en) Apparatus for hydrocarbon ignition and monitoring
TWM584874U (zh) 瓦斯爐自動熄火安全裝置
TWI690678B (zh) 瓦斯爐系統及其控制方法
IT201800005549A1 (it) Apparecchio di riscaldamento con bruciatore a gas combustibile
AU2016266056B2 (en) Water Heater
JP2016183807A (ja) 燃焼機器
JP5259431B2 (ja) ガスコンロ
JP2010014336A (ja) ガスコンロ
KR101474537B1 (ko) 가스 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3504993A (en) Combustion control circuit
JP5863698B2 (ja) 燃焼制御装置
KR200329025Y1 (ko) 연기 검지에 의한 가스렌지의 가스차단장치
CN218379503U (zh) 一种具有再点火功能的灶具
JP5480506B2 (ja) 燃焼制御装置
CN110332569B (zh) 控制件可分离的燃气灶及其控制方法
JP4885172B2 (ja) ガスコンロ
JP2013167426A (ja) 給湯装置
KR100186709B1 (ko) 전자식 가스렌지의 열전도체를 이용한 화염감지장치의 제어 방법
KR19980032812A (ko) 연소제어회로
KR0134852B1 (ko) 연소기기의 불완전연소 검출장치
JP2015078781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