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79B1 -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79B1
KR102018679B1 KR1020180073271A KR20180073271A KR102018679B1 KR 102018679 B1 KR102018679 B1 KR 102018679B1 KR 1020180073271 A KR1020180073271 A KR 1020180073271A KR 20180073271 A KR20180073271 A KR 20180073271A KR 102018679 B1 KR102018679 B1 KR 10201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evaluation
technical
evaluated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성
Original Assignee
(주) 케이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티지 filed Critical (주) 케이티지
Priority to KR102018007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식재산권을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로는 기술 분야, 거래사례 존재여부 등 여러 가지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다양한 기술가치 평가방법들을 하나의 정보시스템에 탑재하고, 정보시스템이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정한 평가방법을 자동으로 찾아서 적용하고 평가를 함은 물론 기술가치 평가결과에 거래기업의 상황과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까지 반영한 투자활성화지표도 자동으로 산출하여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으로 기술 가치를 평가하고 거래결정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Method for Evaluating Technological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본 발명은 지식재산권을 이용하여 기술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로는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 분야나 거래사례 존재여부 등 여러 가지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다양한 기술가치 평가방법들을 하나의 시스템에 탑재하고,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 분야, 유사한 과거 거래사례 존재여부, 유사한 연구과제 수행사례 존재여부 등에 따라 최적의 평가방법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평가대상기술을 거래하고자 하는 기업과 연관 짓는 투자활성화지표 까지도 포함하여 산출할 수 있는 가치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가치 평가란 사업화하려는 기술이나 사업화된 기술이 그 사업을 통하여 창출되는 경제적 가치를 가액, 등급 또는 점수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또한 기술이전, 사업화 등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하여 적정기술료 결정, 기술사업화 타당성검토, 출자 지분 결정 등을 위해 기술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가치평가 원칙과 방법론에 입각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기술가치 평가는 기술거래, 현물출자, 투자 및 융자전략 수립, 세무, 소송 및 청산, M&A전략 수립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이루어지므로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그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가치 평가의 대상은 기술 및 지식재산이다. 평가대상 기술은 관계법령에서 기술로 정의된 것들이나 관계법령에 따라 보호되는 생물의 품종이나 유전자원 또는 신지식재산 등을 대상으로 한다. 한편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기술’이란 특허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등록 또는 출원된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 및 소프트웨어 등 지식재산, 기술이 집적된 자본재, 기술에 관한 정보, 그 밖에 상기에 준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명시적으로 재산권 행사 등이 가능한 형태로 정의되고 있지는 않아 상업적인 거래로 직접 연결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기술의 가치는 객관적이거나 절대적이지 않기 때문에 평가의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하여야 한다.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시장접근법, 수익접근법, 비용접근법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대상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금액으로 산출하기 위한 심층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그 중 소득접근법(Income Approach)은 대상기술의 경제적 수명기간 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인 현금흐름을 추정한 후 할인율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로 환산하고, 여기에 기술기여율을 고려하여 시장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소득접근법의 가치산정에는 기술의 경제적 수명, 현금흐름, 할인율, 기술기여도 등의 평가요소 추정이 필요하다. 소득접근법은 논리적으로 매우 엄격하고 구조적으로 체계화된 가치분석 방법론으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된 주요 경제적 평가요소의 추정근거가 분명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주요 평가요소는 기술의 경제적 수명 추정, 경제적 이익흐름 추정(시장규모, 매출액, 원가, 예상 자본적 지출, 순 운전자본 등), 사업위험 분석에 따른 할인율 추정, 기술기여도 산출 등이다. 다른 평가방법도 이와 유사한 평가요소의 추정이 요구되나, 소득접근법은 다른 접근법에 비해 많은 요소를 평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장접근법은 대상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이 시장에서 거래된 가치에 근거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시장접근법은 실제 시장에서의 거래사례에 근거하여 대상기술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므로 시장거래사례 비교법이라고도 한다. 실제 시장에서의 거래사례란 독립적인 제3자의 입장에서 공정한 거래로서 비교 가능하거나 또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기술의 거래를 의미한다. 시장접근법에서 시장거래사례 비교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상기술의 속성과 동일한 혹은 유사한 기술의 거래사례 정보가 있어야 한다. 거래사례로 부터 거래조건, 기술의 차별성, 기술의 수준 및 완성도, 기술 활용분야 및 지리적 영향범위 등과 같은 비교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술거래 시장에서 거래사례 비교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면 거래사례 기술과 대상기술이 비교기준에서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교기준에 대한 차이의 조정을 통해 적정 가치를 산출해야 하고, 비교기준의 차이에 대한 분석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장거래사례 비교법은 시장에서 동일기술 혹은 유사기술에 대한 거래사례가 없을 경우 적용할 수 없고, 거래사례가 매우 적은 경우에 적용이 제한적이고 가치산출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시장접근법에서 거래사례와 비교정보가 수집 가능하더라도, 대상기술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하는데 필요한 조정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은 기술시장에서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진 유사기술의 거래사례를 토대로 거래조건, 기술의 차이 등을 반영하여 비교 평가함으로써 대상기술의 시장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시장접근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비교대상과 어느 정도 유사성이 있는지 판단하여 비교 대상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때는 그 차이를 적절히 조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비용접근법은 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투입된 비용을 기초로 기술의 가치를 산정하거나 대체의 경제 원리에 기초를 두고 동일한 경제적 효익을 가지고 있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구입하는 원가를 추정하여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즉, 대상기술 개발에 투입된 모든 원가(인건비, 재료비, 이익 및 보상금 등)에 진부화율을 적용하여 대상기술의 시장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비용접근법을 적용할 경우 기술개발비용, 재생산원가, 대체원가 등 상세한 원가 정보가 필요하다.
한편 비용접근법은 역사적원가법(Historical Cost Approach), 재생산원가법(Reproduction Cost Approach) 및 감가상각된 대체원가법(Depreciated Replacement Cost Approach)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적원가법은 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투입되었던 과거의 제반 비용을 합산하여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재생산원가법은 대상기술과 동일한 과학적 연구, 디자인 및 개발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기술을 개발하여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총 원가를 의미하며, 대상기술의 정확한 복제물의 건설이나 구입에 소요되는 원가이다. 대체원가법은 평가시점에서 대상기술과 동일한 효용 및 유용성을 가지는 대체기술을 개발하여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총 원가를 의미하며, 현재의 기술로 대상기술의 효용을 재생하는 원가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술이전 또는 사업화 등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화폐금액으로 산출하여 적정 기술료를 결정하거나 출자지분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술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소득접근법, 시장접근법, 비용접근법 등 다양한 방법 중 하나에 기초하여 실질적인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단독 또는 복수의 방법이 혼합된 형태로도 기술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평가방법에는 각자마다의 제한점과 한계가 있고, 적용이 불가능한 기술 분야 또는 케이스가 각기 존재하기 때문에 단 하나의 평가방법으로 모든 기술과 케이스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는 가치평가방법은 없다. 따라서 각자의 평가대상기술에 알맞은 적정한 평가방법을 평가자의 판단아래 찾아서 적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평가자가 모든 평가모델에 대하여 깊은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과 전문성은 일반인으로 하여금 평가시스템의 사용을 더욱 어렵게 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이에 더하여 평가자가 완벽한 전문지식을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지식의 부족 또는 착오로 인하여 잘못된 평가모델을 선택하는 경우 시행착오 등으로 인하여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기술의 가치는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여건 등 거래기업이 처한 여건에 따라서 실질가치나 판단기준이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고,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해당 기술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 등에 따라서도 그 판단이 달라질 수 있는데, 기술가치 평가를 통한 거래 등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황까지 고려하는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하여 기술가치 평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제대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인데, 현재까지 이러한 부분까지 종합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하나의 정보시스템에 다양한 평가모델을 탑재하여, 기술평가 시 정보시스템이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정한 최적의 평가방법을 자동으로 찾아서 적용하고 평가를 함은 물론 기술가치 평가결과에 거래기업의 상황 및 기술수명주기의 상대적 위치까지도 반영한 투자활성화지표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으로 기술 가치를 평가할 수 있고, 같이 제공되는 투자활성화지표를 활용하여 거래결정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의 일 실시예는, 특허공보 및 실용신안공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정보를 수록한 제1데이터베이스, 기술분야별 특허분류코드를 수록한 제2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술분야별 기술거래사례를 수록한 제3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 과제정보와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를 수록한 제4데이터베이스, 평가서버 및 평가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정보시스템이 수행하는 기술가치 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지식재산권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평가대상기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평가대상 입력단계; 상기 평가대상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번호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분류코드 검색단계; 상기 분류코드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특허분류코드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를 확인하는 기술분야 확인단계;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정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1평가단계;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상기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에 대한 기술거래 사례를 검색하는 거래사례 검색단계;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거래사례에 대한 거래유형을 분석하는 거래유형 분석단계;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로열티기반 거래가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로열티공제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2평가단계;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금액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거래사례비교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3평가단계;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상기 로열티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미만이면서 상기 금액기반 거래도 상기 일정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거래사례비교법 또는 상기 로열티공제법 중에서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4평가단계;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진척수준을 입력받는 기술수준 입력단계;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에 수록된 전문을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의 전문과 비교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유사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 후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유사과제를 선택받는 유사과제 검색단계;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시장대체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5평가단계;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과거비용 산출 가능여부를 입력받는 과거비용 입력단계;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역사적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6평가단계;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인 경우에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하는 수명주기 분석단계;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도입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실물옵션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7평가단계;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성장기 또는 성숙기에 해당하거나,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 가능여부를 입력받는 기여도 입력단계;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증분수익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8평가단계;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요소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9평가단계; 상기 제1평가단계 내지 상기 제9평가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평가진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평가대상기술에 관한 정보,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 및 평가방법을 포함하는 평가보고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특정기술분야는 제약분야 또는 바이오분야이며, 상기 특정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은 인허가과정에서 승인가능성, 임상단계별 성공가능성 및 특허만료까지의 기간을 포함하는 평가요소를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정보시스템은 상기 기술분야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별 재무제표를 수록한 제5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기업 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을 사용할 기업에 대한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는 투자지표 산출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고서 생성단계에서, 상기 평가보고서에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특징들을 포함하되, 상기 투자지표 산출단계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와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에 대하여 기술수명주기를 산출하는 분야별 수명주기 산출과정;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의 기술수명주기와 비교하여 백분위 수명주기(T)를 산출하는 백분위 수명주기 산출과정; 상기 제5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기업에 대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를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로 하고,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 기업들에 대한 평균매출액 대비 평균 연구개발비를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로 하여 산출하는 연구개발비율 산출과정; 및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및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구하는 지표 산출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대비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이 작을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며,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가 클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는 아래 수식에 의하여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 투자활성화지표 = (1.5 - 백분위 수명주기(T)) x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 조정계수(α)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는 하나의 정보시스템에 다수의 평가모델을 탑재하고, 여러 평가방법 중에서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정한 평가방법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판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평가대상기술에 가장 적절한 최적의 평가방법으로 기술 가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평가자의 지식부족 또는 착오로 인하여 잘못된 평가모델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방함으로써 시행착오 등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가대상기술의 거래관련 기업이 연구개발비 투자에 있어서 유사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평가대상 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해당 기술 분야에 있는 다른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위치에 와있는지 등을 반영하는 투자활성화지표까지 자동으로 산출하여 가치평가결과에 포함하는 방법까지 제공함으로써, 기술거래 등에 있어 거래당사자들이 평가대상기술을 정확하게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에 수록된 전문을 연구과제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의 전문과 문서단위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찾으며, 찾아낸 과제정보들을 유사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 후 평가자로부터 선택받도록 하므로 시장접근법을 적용하는 가치평가 시 유사과제를 손쉽고 정확하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거래사례비교법 적용 시에는 평가자로부터 거래기업의 유형, 거래방법, 계약기간을 포함하는 기술거래 조건정보를 입력받아, 정보시스템이 기존 거래사례들에 대하여 기술거래 조건정보에 기반 한 유사도분석을 하여 유사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사례들의 거래금액을 기반으로 평균값, 최고값 및 최저값을 감안하여 자동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유사거래 금액을 손쉽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이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가치평가 방법에 사용되는 평가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평가모델들은 상술한 바 있는 시장접근법, 수익접근법 및 비용접근법에 의한 방법모델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 로열티공제법, 거래사례비교법, 시장대체원가법, 역사적원가법, 실물옵션법, 증분수익법 및 기술요소법을 사용한다.
그 중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은 특정기술분야 즉 제약분야 또는 바이오분야에만 적용되는 평가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T기반 산업, 특히 제약산업의 경우 기존 기술가치평가 방법을 적용했을 때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값이 너무 과소평가되는 문제점이 생기는데, 그 이유는 타 산업과 다른 제약산업의 독특한 특징 때문이다. 즉 제약산업은, 기술개발 후 그 즉시 성과물을 낼 수 있는 타 산업과는 달리, 복잡한 개발과정을 가지고 개발과정의 각 단계마다 많은 제약이 따르는 특징을 지니는 반면 일반적인 기술가치평가 모형에서는 개발과정에서 기초 및 발굴, 전임상시험, 여러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치는 제약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개발 단계별 위험요소를 모두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T기반 기술가치 평가에 적용되는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은 개발 중인 약물의 시장출시 이후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특허 독점기간과 각 임상단계부터 최종 인허가과정까지의 개발단계별 승인가능성이 고려된 보건의료 분야에 특화된 기술가치평가 모형이며, 전형적인 가치평가 방법 중 하나인 NPV법을 BT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일련의 임상단계별 성공률을 고려하여 수정된 위험조정 순현재가치(rNPV, 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에 의한 가치평가 결과는, 인허가과정에서 승인가능성, 임상단계별 성공가능성 및 특허만료까지의 기간을 포함하는 평가요소를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하여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1
rLOA 는 승인가능성, PROpt 는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t 는 특허만료까지의 기간, CF는 현금흐름, CFt 는 출시이후 현금흐름
pt는 각 개발단계별 기간, Cpt 는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a는 할인율
한편, 로열티공제법은 시장접근법 중의 하나로서, 제3자로부터 라이선스 되었을 경우 지급할 로열티를 기술소유자가 부담하지 않음으로써 절감될 수 있는 로열티 지불액을 추정하여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로열티공제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거래시장에서 비교 가능한 기술거래 로열티 자료가 다수 존재하여야 한다. 비교 가능한 기술거래 로열티 자료가 미흡한 경우 업종별 로열티 통계 혹은 상관행법 로열티 통계를 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하기는 하다. 로열티공제법은 대상기술과 비교할 만한 투자위험과 수익성을 가지는 라이선스 거래를 선택하여 그 로열티율을 반영하여야 한다.
로열티공제법에서는 대상기술의 로열티 수입에 근거하여 가치를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방법이 적용될 경우 선택된 라이선스 거래는 대상기술과 비교할 만한 유사한 속성(투자 위험과 수익성 등)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그 다음 대상기술의 기대되는 경제적 수명기간 동안 발생될 예상 매출액에 로열티율을 곱하면, 그 결과치가 대상기술을 라이선스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발생될 로열티 수익의 추정치가 되는 것이다. 로열티공제법은 평가대상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의 매출액을 평가자로부터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비교기술의 로열티율을 획득한 다음에 아래와 같은 산식에 의하여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가치 = (매출액 × 비교기술의 로열티율)의 현재가치 × (1-세율) × 조정계수
그리고 거래사례비교법은, 시장접근법의 한 기법으로, 유사기술의 거래사례를 통해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서 실제의 시장거래에 근거하여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제의 시장거래란 독립적인 제3자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공정한 거래(arm's-length transaction)로 비교 가능한 기술의 매매거래 또는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를 도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술의 매매거래를 말한다. 거래사례비교법은, 평가자로부터 거래기업의 유형, 거래방법, 계약기간을 포함하는 기술거래 조건정보를 입력받아 검색한 기술거래 사례들에 대하여 기술거래 조건정보에 기반한 유사도분석을 하여 유사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사례들의 거래금액을 기반으로 평균값, 최고값 및 최저값을 감안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장대체원가법은 비용접근법 중 재생산원가법과 대체원가법의 취지를 결합한 것으로,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R&D과제에 투입된 연구비에 물가상승률 및 진부화율을 반영하여 개별 R&D과제들의 원가를 보정한 후 최종 대체원가를 추정하는 것이다. 최종 대체원가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N은 총 유사과제 개수, wi 는 i 번째 유사과제, wi A는 i 번째 유사과제의 가중치 Ci A는 i 번째 유사과제의 개별보정 원가이다.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2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3
그리고 개별 유사과제의 개별보정원가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4
는 물가상승율 및 진부화율을 반영하여 아래의 식과 같이 산출하는데, 여기서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5
는 i번째 유사과제의 원가(연구비)이며,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6
는 i번째 유사과제의물가상승율이며,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7
는 i번째 유사과제의 진부화율(월)이며,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8
는 는 i번째 유사과제의 경과기간(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8062573310-pat00009
역사적원가법은 비용접근법 중 하나로서, 평가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투입되었던 과거의 제반비용을 합산하여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역사적원가법에서는 과거 투입비용 항목에 대하여 항목구분 내역은 그대로 인정하고, 과거 투입비용 금액에 대하여는 대상기술을 재생산하기 위해 평가시점에 제반 비용항목을 재투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소요 예상되는 금액으로 인정한다. 다만, 특정 비용항목이 과거에는 투입되었으나 평가시점의 연구개발단계에서는 투입되지 않은 상황으로 변경되었을 경우는 평가시점에 대체 투입되는 항목을 기준으로 비용금액을 산정한다. 역사적원가법을 계산하는 경우 상기 평가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물옵션법은 불확실성을 반영한 가치평가방법으로서 옵션가격결정모형은 크게 이항모형, 블랙숄즈모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모델 등이 있는데, 블랙숄즈 모형(Black-Scholes Model)을 이용하여 기술의 가치를 산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물옵션법으로 계산하는 경우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시장분석, 원가구조분석, 추정손익계산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증분수익법은 평가대상기술이 공헌하는 증분소득을 기준으로 소득흐름을 추정하는 방식으로서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증가된 판매가격과 판매수량을 감안한 증분수익,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감소한 절약원가 및 비용 등을 산출한 후 필요시 증분수익과 절약원가의 결합효과를 검토 및 감안하여 산출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분수익법으로 가치평가를 하는 경우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증가된 판매가격, 판매수량 및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감소한 비용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술요소법은 산업특성과 개별기술 특성을 동시에 반영하여 기술기여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산업특성을 반영하는 산업기술요소(industry factor)와 개별기술의 특성을 평가하는 개별기술강도(technology rating)의 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술요소법으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산업기술요소와 개별기술강도를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이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특허공보 및 실용신안공보 등의 지식재산권정보를 수록한 제1데이터베이스(210), 기술 분야별 특허분류코드를 수록한 제2데이터베이스(220), 상기 기술 분야별 기술거래사례를 수록한 제3데이터베이스(230), 연구개발 과제정보와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를 수록한 제4데이터베이스(240), 평가서버(100) 및 평가자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정보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술 분야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별 재무제표를 수록한 제5데이터베이스(250)를 더 포함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와는 별개로 인용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제6데이터베이스(211)를 별도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 내지 상기 제5데이터베이스(250) 각각에 대하여 검색하고 분석하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가치 평가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서버이며, 상기 평가자단말기(310)는 평가자가 평가서버에 접속하여 평가업무를 수행하는 평가자용 단말기로서,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접속하여 평가업무를 수행하는 원격지 평가자단말기(31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에는 특허 및 실용신안에 관한 공개공보 및/또는 등록공보가 수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건수 분석 등을 위해서는 공개공보가 필요하며, 인용관계분석 등을 위하여 등록공보가 필요하므로 두 가지 공보를 모두 수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특허공보 및 상기 실용신안공보에는 특허분류, 인용문헌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기술 분류 및 인용관계 분석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인용관계 분석을 위한 상기 제6데이터베이스(211)를 별도로 구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게 되는 기술수명주기 분석에서 인용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기도 하기 때문이며, 인용정보 데이터베이스(211)를 별도로 구축하게 되면 신속하고 다양한 인용관계 분석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술 분야별 특허분류코드를 수록한 것으로서 IPC 또는 CPC 등 국제적으로 통일된 특허문헌 분류체계에 따른 특허분류코드 각각을 기술 분야별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기술 분야는 산업분류에 따른 세부업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품이나 제품에 따른 분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평가대상기술에 맞춤형으로 설계된 IPC나 CPC 들을 따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230)에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에 채택된 기술분야별로 기술거래사례를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기술거래 사례에는 상기 기술 분야별로 실시권에 대한 로열티기반 계약인지 양수도를 위한 금액기반 계약인지 등이 구분되고, 로열티액 또는 금액 등과 계약기간 등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240)에서 상기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에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기술내용 등이 파악될 수 있도록 제안요청서나 제안서 또는 최종결과보고서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사문서 검색기법 등을 이용하여 유사과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본 발명에서는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내용을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와 문서 대 문서 비교검색을 통하여 찾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5데이터베이스(250)에 수록되는 기업별 재무제표에는 각각의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비 및 매출액정보를 포함하도록 하고, 기술 분야별로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및 매출액 평균을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에 채택된 기술 분야별 분류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이용하여 기술가치 평가가 이루어져 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가치 평가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평가대상기술 정보를 입력 받는 평가대상 입력단계(s101)로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단계에서는 평가자로 하여금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데, 이 정보에는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식별번호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에서 특허 또는 실용신안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번호 또는 출원번호가 바람직하며. 공개공보인 경우에는 공개번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에는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평가대상 입력단계(s100)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번호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분류코드 검색단계(s102)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특허 또는 실용신안에 관한 등록공보와 공개공보를 수록해 놓은 데이터베이스로서 서지정보와 전문정보를 Full Text형태로 가지고 있도록 하고, 특허분류코드는 IPC 또는 CPC 등의 국제분류코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는 데이터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검색을 위해서는 상기 정보시스템(10)에 별도의 검색엔진(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분류코드 검색단계(s102)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분류코드 검색단계(s102)에서 검색한 상기 특허분류코드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 분야를 확인하는 기술 분야 확인단계(s104)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업분류에 따른 세부업종 또는 상품이나 제품에 따른 기술 분류별로, 각각에 해당되는 특허분류코드들을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분류코드 검색단계(s102)에서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특허분류코드를 획득하는 경우 그 특허분류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면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 분야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s104)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평가서버(10)가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정확하게 검색된 것인지를 확인 및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평가자의 확인 또는 정정입력을 받을 수 있는 단계(미도시)를 더 두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s104) 이후에 상기 평가서버(10)는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s104)에서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4). 그리고 상기 s104단계에서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특정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1평가단계(s105)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특정기술분야 여부를 확인하여 그 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은, 일부 특정한 기술분야의 경우 일반적인 평가방법으로 평가하는 경우 정확한 평가가 어려우며 그 기술분야에 특화된 평가방법으로 수행해야만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바이오 및 의약분야의 경우, 기술개발 후 그 즉시 성과물을 낼 수 있는 타 산업과는 달리 복잡한 인허가과정, 여러 단계의 임상실험과 승인절차 등 복잡한 개발 과정을 가지고 개발과정의 단계마다 많은 제약이 따르는 특징을 지니는 반면, 일반적인 기술가치평가 모형에서는 이렇게 복잡한 개발과정과 개발단계마다 많은 제약이 따르는 위험요소를 모두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이오 및 의약분야의 경우 인허가과정에서 승인가능성, 임상단계별 성공가능성 및 특허만료까지의 기간을 포함하는 평가요소를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기술가치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s104)에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를 확인한 결과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상기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에 대한 기술거래 사례를 검색하는 거래사례 검색단계(s106)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의 기술거래사례를 기술분야별로 수록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거래사례에는 거래기업의 유형 등 기본적인 기업정보와 함께 해당 거래를 위한 계약이 로열티기반의 실시계약인지 양수도를 위한 금액기반 계약인지 등이 구분되고, 로열티액 또는 금액 등과 계약기간 등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s106)에서 검색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107)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기술거래 사례 각각에 대한 거래유형을 분석하는 거래유형 분석단계(s108)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거래유형이란 지불방법에 대한 유형으로서, 로열티를 기반으로하는 실시권계약인지 아니면 일정 금액을 일시불 또는 일정 조건으로 지불하는 금액기반 실시계약이나 양수도계약인지 또는 무상제공이나 기타의 지불방법에 의한 계약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s108)에서 기술거래 사례 중 로열티기반 거래가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s109), 예를 들어 로열티기반 거래비율이 40%이상이면서 금액기반 거래비율보다 높은 경우에는, 로열티공제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2평가단계(s11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열티공제법은,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 중 상기 로열티기반의 거래사례들에 대한 로열티율 평균값 및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의 매출액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매출액은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s108)에서 금액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s111), 예를 들어 금액기반 거래비율이 40%이상이면서 로열티기반 거래비율보다 높은 경우에는, 거래사례비교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3평가단계(s112)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래사례비교법은, 평가자로부터 거래기업의 유형, 거래방법, 계약기간을 포함하는 기술거래 조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여 획득한 기술거래 사례들에 대하여 기술거래 조건정보에 기반한 유사도분석을 하여 유사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사례들의 거래금액을 기반으로 평균값, 최고값 및 최저값을 감안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s108)에서 상기 로열티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미만이면서 상기 금액기반 거래도 상기 일정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금액기반 거래비율이 40% 미만이면서 로열티기반 거래비율도 4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에 대하여 상기 거래사례비교법 또는 상기 로열티공제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며(s113), 평가자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에 상기 거래사례비교법 또는 상기 로열티공제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s114),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선택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4평가단계(s113)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s106)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미만인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s107),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진척수준에 대한 입력요청을 받도록 하고(s116), 상기 평가자단말기(300)가 상기 평가자로부터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진척수준을 입력받는 경우 이를 상기 평가서버(100)에 전송하는(s117) 절차로 이루어 진 기술수준 입력단계(s116 ~ s117)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 진척수준이라 함은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개발이 완료되었는지 어느 정도 단계인지 등에 대한 수준으로서, 개발완료 여부만 구분할 수 있는 정도로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s116 ~ s117)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8), 개발완료단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에 수록된 전문을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240)에 수록된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의 전문과 문서단위로 비교하는 검색을 수행하여(s119),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유사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여 평가자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선택하도록 한 후(s120) 상기 평가자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표시된 과제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경우(s121) 이들을 유사과제로 정하는, 유사과제 검색단계(s119 ~ s121)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240)에는 연구개발 과제정보와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가 수록되는데, 상기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는 구체적인 기술내용 등이 파악될 수 있도록 과제 제안요청서나 제안서 또는 최종결과보고서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240)에 수록된 상기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 중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에 수록된 전문과 문서단위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과제수행내용 문서들을 찾게 되며, 유사도가 높은 문서를 가진 연구개발과제들을 유사과제로 하여 이들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서단위 비교는 비교대상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에 대한 출현빈도, 출현 빈도, 근접도, 어순도 등을 측정하여 한다거나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공지기술이 있으며, 이러한 유사문서 검색방법을 적용한 별도의 유사문서 검색엔진(미도시)를 상기 정보시스템(10)에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s119 ~ s121)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되는데(s122), 상기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시장대체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5평가단계(s123)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장대체원가법은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s119 ~ s121)에서 검색한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유사과제의 연구개발비와 물가상승율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시장대체원가법은 비교대상 유사과제가 어느 정도 있어야 가능하며, 비교대상 유사과제가 없는 경우 적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s122절차를 거쳐서 시장대체원가법 적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s119 ~ s121)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에 대하여 과거비용 산출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입력을 요구하도록 하고(s124), 평가자가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과거비용 산출 가능여부를 입력하면 상기 평가자단말기는 이를 상기 평가서버(1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과거비용 입력단계(s125)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교대상 유사과제가 부족하여 상기 시장대체원가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평가방법인 역사적원가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역사적원가법은 상기 평가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산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s125)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가능하다고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입력받은 후 역사적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6평가단계(s127)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s116 ~ s117)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8), 개발완료 단계인 경우에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하는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CHI Research에서 특허인용분석을 통해 제공하는 기술변화측정지표인 TCT(Technology Cycle Time)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한 기술수명 측정지수로 대표적인 기술수명주기 산출방법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또한, 특정시점에서 과거 기술에 대한 횡단면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보의 동태성이 떨어질 수 있는 TCT 지수의 단점을 보완하고, 기술군별 기술수명을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특허인용빈도를 이용한 기술수명주기 추정방법인 인용특허수명(Cited-patent Life Time, CLT) 추정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개별기술의 경제적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속성과 시장적 속성을 반영한 다양하고 정교한 기술수명 측정방법이 공지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는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기술수명주기상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s129), 기술군의 발전단계를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쇠퇴기”로 봤을 때 상기 평가대상기술은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편 기술군의 발전단계는 TCT나 CLT 외에도 특허출원건수의 증가율로 판단하기도 하는데,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의 분석으로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하는 기술군의 발전단계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 IPC 서브클래스 별 특허출원의 연평균증가율을 분석하여 파악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PC 서브클래스의 특허출원건수(PCT출원 기준)의 연평균증가율이 5~10%인 경우 도입기로 판단하고, 도입기를 지나 연평균증가율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성장기로 판단하고, 도입기 및 성장기를 지난 후 연평균증가율이 1~5%대에 들어서면 성숙기로 판단하고, 연평균증가율이 1% 미만인 경우 쇠퇴기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상기 평가자단말기(300)에 제시하고 평가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도입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s129),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하여 실물옵션법을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진행한 후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7평가단계(s13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물옵션법은 초기단계 기술개발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한 가치평가방법이기 때문에,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적절한 평가방법은 없고, 그 기술이 도입기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바람직한 평가방법이다. 상기 실물옵션법에 적용하는 옵션가격결정모형은 크게 이항모형, 블랙숄즈모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모델 등이 있는데,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도입기 기술가치평가에 이론적으로 매우 적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실물옵션법은 기술개요 파악, 시장 및 원가구조분석, 추정손익계산서 계산, 현금흐름 추정, 사업가치 분석, 기술기여도 추정, 실물옵션가치 산정 및 기술가치 산정의 순서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7평가단계에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시장분석, 원가구조분석, 추정손익계산 등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성장기 또는 성숙기 이상에 해당하거나,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s124)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 가능여부를 입력하도록 상기 평가자단말기(300)에 요청한 뒤(s131) 상기 평가자단말기(300)를 통하여 기술기여도 직접추정 가능여부를 입력받아 이를 판단하는 과정(s133)으로 이루어진 기여도 입력단계(s131)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s131)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증분수익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8평가단계(s134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분수익법은, 대상기술의 식별 및 분리가 가능한 합리적인 방법이 전제될 경우 적용가능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s131)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증가된 이익을 산출하여 특허가치를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8평가단계(s134단계)에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증가된 판매가격, 판매수량 및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적용으로 감소한 비용 등을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s131)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요소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9평가단계(s135)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술요소법은, 기술사업에 의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사업가치(business value)를 산정한 다음, 기술기여도를 곱하여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술요소법으로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산업특성을 반영하여 산업기술요소를 세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별적인 대상기술의 특성은 기술성(권리성 포함) 및 사업성(시장성 포함)으로 구성된 평가지표에서 산출되는 평가점수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요소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산업기술요소와 개별기술강도를 상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평가단계(s105) 내지 상기 제9평가단계(s135) 중 가장 적절한 하나의 평가방법으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자에게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가장 적정한 평가방법을 선택하여 수행되며, 이로 인하여 평가자의 전문성과 관계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평가단계(s105) 내지 상기 제9평가단계(s135) 중 어느 하나의 평가단계를 거쳐서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평가진행이 완료된 후에는, 즉 상기 평가서버(100)가 상기 제1평가단계(s105) 내지 상기 제9평가단계(s135)의 모든 평가방법 중 어느 한 단계를 진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평가진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관한 정보,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 및 평가방법을 포함하는 평가보고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단계(s136)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가치 평가를 진행하여 얻은 평가결과에 대하여 평가자가 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거래당사자 기업을 연계하여 분석한 자료를 평가결과에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는,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거래당사자 기업을 연계하여 분석한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거치도록 하고, 상기 평가보고서에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보시스템(10)은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 내지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240) 외에 기업별 재무제표를 수록한 제5데이터베이스(250)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술한 단계들에 더하여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는 투자지표 산출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보고서 생성단계(s136)에서, 상기 평가보고서에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업별 재무제표는 상기 기술 분야별로 기업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와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 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에 대하여 기술수명주기를 산출하는 분야별 수명주기 산출과정(s21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수명주기의 산출에 대하여는 상술한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하되,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 적용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수명주기는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에서 이미 산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산출할 필요는 없겠지만, 상기 s118 단계에서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인 경우에만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s128) 기술수명주기가 산출되므로,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수명주기가 아직 산출되어 있지 않은 단계일 것이므로 이들에 대하여는 기술수명주기를 산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분야별 수명주기 산출과정(s210) 이후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 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의 기술수명주기와 비교하여 백분위 수명주기(T)를 산출하는 백분위 수명주기 산출과정(s202)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는 같은 기술 분야 내 다른 기술(특허 및 실용신안 등)과 상대적으로 비교되는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가 산출되는데,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짧은 경우, 즉 다른 지식재산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남은 수명이 짧은 경우에는 높은 백분위율을 가질 것이며, 남은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은 경우에는 낮은 백분위율을 가질 것이다.
한편 상기 평가서버(100)는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 산출과정(s202) 이후에 상기 제5데이터베이스(250)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기업에 대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를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로 산출하는 과정과(s203),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 기업들에 대한 평균매출액 대비 평균 연구개발비를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로 산출하는 과정(s204)를 포함하는 연구개발비율 산출과정(s203 ~ s204)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및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구하는 지표 산출과정(s204)을 포함하도록 하는데,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대비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이 작을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며,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가 클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아래와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투자활성화지표를 구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투자활성화지표 = (1.5 - 백분위 수명주기(T)) x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 조정계수(α)
여기서 상기 조정계수(α)는 백분위 수명주기(T)와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용(R1)이 어느 정도에 있을 때를 중간지점으로 할 것인가를 정하기 위하여 조정할 수 있는 계수인데, 예를 들어 백분위 수명주기(T)가 중간에 있고,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용(R1)이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과 같을 때를 중간점으로 하고, 그 중간수준을 1로 하고 싶은 때는 조정계수를 0으로 하면 되는데, 이 경우 투자활성화지표는 중간지점에서 1로 산출되는데, 1보다 낮으면 투자활성화지표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1보다 높으면 투자활성화지표가 높은 것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된다. 상기 산식은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거래당사자 기업을 연계하여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산식을 이용하여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여 가치평가결과와 같이 제공하는 경우 평가자들이 평가대상기술을 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아무리 평가결과가 좋게 나왔다 하더라도 실시권 계약을 맺을 당사자기업 또는 양수기업의 연구개발비 수준과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감안할 때 해당기업에게는 좋은 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기술이 아닌 경우 등을 걸러줄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평가서버
210 제1데이터베이스 211 제6데이터베이스
220 제2데이터베이스
230 제3데이터베이스
240 제4데이터베이스
250 제5데이터베이스
300 평가자단말기
310 원격지 평가자단말기
400 인터넷망

Claims (5)

  1. 특허공보 및 실용신안공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정보를 수록한 제1데이터베이스, 기술분야별 특허분류코드를 수록한 제2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술분야별 기술거래사례를 수록한 제3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 과제정보와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를 수록한 제4데이터베이스, 평가서버 및 평가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정보시스템이 수행하는 기술가치 평가방법에 있어서,
    -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지식재산권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평가대상기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평가대상 입력단계;
    - 상기 평가대상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번호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분류코드 검색단계;
    - 상기 분류코드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특허분류코드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를 확인하는 기술분야 확인단계;
    -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정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1평가단계;
    - 상기 기술분야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가 상기 특정기술분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분야에 대한 기술거래 사례를 검색하는 거래사례 검색단계;
    -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거래사례에 대한 거래유형을 분석하는 거래유형 분석단계;
    -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로열티기반 거래가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로열티공제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2평가단계;
    -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금액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이상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거래사례비교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3평가단계;
    - 상기 거래유형 분석단계에서 상기 로열티기반 거래가 상기 일정비율 미만이면서 상기 금액기반 거래도 상기 일정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거래사례비교법 또는 상기 로열티공제법 중에서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4평가단계;
    - 상기 거래사례 검색단계에서 검색한 상기 기술거래 사례가 일정 건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진척수준을 입력받는 기술수준 입력단계;
    -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특허공보 또는 실용신안공보에 수록된 전문을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과제수행내용 상세정보의 전문과 비교검색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과 유사한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유사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유사과제를 선택받는 유사과제 검색단계;
    -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시장대체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5평가단계;
    - 상기 유사과제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유사과제의 개수가 일정 개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평가자단말기를 통하여 과거비용 산출 가능여부를 입력받는 과거비용 입력단계;
    -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역사적원가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6평가단계;
    - 상기 기술수준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진척수준이 개발완료 단계인 경우에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하는 수명주기 분석단계;
    -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도입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실물옵션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7평가단계;
    - 상기 수명주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가 성장기 또는 성숙기에 해당하거나, 상기 과거비용 입력단계에서 과거비용 산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 가능여부를 입력받는 기여도 입력단계;
    -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증분수익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8평가단계;
    - 상기 기여도 입력단계에서 상기 기술기여도에 대한 직접추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기술요소법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진행을 종료하는 제9평가단계;
    - 상기 제1평가단계 내지 상기 제9평가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평가진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평가대상기술에 관한 정보,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가치 및 평가방법을 포함하는 평가보고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기술분야는 제약분야 또는 바이오분야이며, 상기 특정기술분야용 평가방법은 인허가과정에서 승인가능성, 임상단계별 성공가능성 및 특허만료까지의 기간을 포함하는 평가요소를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시스템은 상기 기술분야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별 재무제표를 수록한 제5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기업에 대한 투자활성화지표를 산출하는 투자지표 산출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고서 생성단계에서, 상기 평가보고서에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지표 산출단계는,
    -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와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에 대하여 기술수명주기를 산출하는 분야별 수명주기 산출과정;
    -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수명주기를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의 지식재산권 각각의 기술수명주기와 비교하여 백분위 수명주기(T)를 산출하는 백분위 수명주기 산출과정;
    - 상기 제5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기업에 대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를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로 하고, 상기 평가대상기술이 속한 기술분야 기업들에 대한 평균매출액 대비 평균 연구개발비를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로 하여 산출하는 연구개발비율 산출과정;
    -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및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를 구하는 지표 산출과정;을 포함하며,
    - 상기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대비 상기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이 작을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며, 상기 백분위 수명주기(T)가 클수록 상기 투자활성화지표가 작은 값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활성화지표는 아래 수식에 의하여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 투자활성화지표 = (1.5 - 백분위 수명주기(T)) x (평가기업 연구개발비율(R1) ÷ 분야평균 연구개발비율(R0)) - 조정계수(α)
KR1020180073271A 2018-06-26 2018-06-26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KR10201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71A KR102018679B1 (ko) 2018-06-26 2018-06-26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71A KR102018679B1 (ko) 2018-06-26 2018-06-26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79B1 true KR102018679B1 (ko) 2019-09-04

Family

ID=6795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71A KR102018679B1 (ko) 2018-06-26 2018-06-26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65B1 (ko) * 2020-12-08 2021-10-29 (주)바른경영연구소 기업 경영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CN113781105A (zh) * 2021-08-16 2021-12-10 北京神矢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产业场景的技术交易公允定价方法
KR20210152119A (ko) * 2020-06-08 2021-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프 모델을 활용한 비지니스 모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220046943A (ko) 2020-10-08 2022-04-15 최훈식 지식재산권의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KR102479096B1 (ko) * 2022-09-05 2022-12-19 주식회사 로보그램 블록코드 거래 및 라이브러리 등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9B1 (ko) * 2011-05-20 2013-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기여도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536536B1 (ko) * 2014-09-26 2015-07-23 기술신용보증기금 조정재생산 비용접근법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
KR101803171B1 (ko) * 2016-02-01 2017-11-29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식물품종 분야에 특화된 로열티공제법에 기반한 식물품종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831532B1 (ko) * 2015-11-24 2018-02-22 윤정호 특허 라이센스 대상기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9B1 (ko) * 2011-05-20 2013-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기여도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536536B1 (ko) * 2014-09-26 2015-07-23 기술신용보증기금 조정재생산 비용접근법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
KR101831532B1 (ko) * 2015-11-24 2018-02-22 윤정호 특허 라이센스 대상기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803171B1 (ko) * 2016-02-01 2017-11-29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식물품종 분야에 특화된 로열티공제법에 기반한 식물품종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119A (ko) * 2020-06-08 2021-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프 모델을 활용한 비지니스 모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473175B1 (ko) * 2020-06-08 2022-12-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프 모델을 활용한 비지니스 모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220046943A (ko) 2020-10-08 2022-04-15 최훈식 지식재산권의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KR102319465B1 (ko) * 2020-12-08 2021-10-29 (주)바른경영연구소 기업 경영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CN113781105A (zh) * 2021-08-16 2021-12-10 北京神矢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产业场景的技术交易公允定价方法
KR102479096B1 (ko) * 2022-09-05 2022-12-19 주식회사 로보그램 블록코드 거래 및 라이브러리 등록 방법
WO2024053783A1 (ko)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로보그램 블록코드 거래 및 라이브러리 등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79B1 (ko)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방법
Tseng et al. Improving the benefits and costs on sustainable supply chain finance under uncertainty
US20220343432A1 (en) Machine learning architecture for risk modelling and analytics
Arani et al. Integrated material-financial supply chain master planning under mixed uncertainty
Mitra et al.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shareholder value: Evidence from consortium based industry exchanges
US632120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odeling and analyzing business improvement programs
US7580848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analyzing, modeling and valuing elements of a business enterprise
KR10106109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중고차 정보 제공 및 매매 시스템
AU2012203348B2 (en) High-risk procurement analytics and scoring system
KR100796058B1 (ko) 예비 실사 문제에 관한 협력 방법과 시스템 및 컴퓨터
Cagliano et al. E-grocery supply chain management enabled by mobile tools
US20040172319A1 (en) Value chain system
US2005011992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analyzing, modeling and valuing elements of a business enterprise
US20010034628A1 (en) Detailed method of and system for modeling and analyzing business improvement programs
KR100746107B1 (ko) 자산 포트폴리오의 기술 속성 상관 방법, 상관 시스템 및 상관 컴퓨터
Stojanović et al. Possibilities of using Incoterms clauses in a country logis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benchmarking
JPWO2006004131A1 (ja) 企業評価装置、企業評価プログラム並びに企業評価方法
Beck et al. Mobile money, trade credit and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evidence
Chen et al. Supply chain finance platform evaluation based on acceptability analysis
Ker et al. Frascati manual R&D and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Nguyen et al. Spherical Fuzzy WASPAS-based Entropy Objective Weighting for International Payment Method Selection.
US7711615B2 (en) Methods, apparatus, system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mediums for use in association with accounting and/or financial analysis
Wei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supplier credit risk assessment based on supply chain management
US200902223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tail Recovery Auditing
CN113744024A (zh) 一种商家匹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