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525B1 -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525B1
KR102018525B1 KR1020170107907A KR20170107907A KR102018525B1 KR 102018525 B1 KR102018525 B1 KR 102018525B1 KR 1020170107907 A KR1020170107907 A KR 1020170107907A KR 20170107907 A KR20170107907 A KR 20170107907A KR 102018525 B1 KR102018525 B1 KR 10201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local
rss
global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092A (ko
Inventor
박재현
이성복
이종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를 복수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핑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는 과정, 및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Method of Phase Synchronization for Distributed Beamforming System}
본 발명은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한된 피드백 환경에서 최적의 분산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동기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링크를 통해 전달된 무선 신호는 이상적이지 않은 통신 환경으로 인하여 신호가 약해지거나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이를 페이딩 현상이라고 하는데, 페이딩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시간 다이버시티, 주파수 다이버시티 등의 다양한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이 연구되어 왔다.
공간 다이버시티는 공간적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다중 안테나가 설치된 송신 기지국에서 서로 안테나에서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 기지국에서 페이딩의 영향이 적은 신호를 취사 선택하거나 수신한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페이딩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공간 다이버시티는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개의 안테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복잡도 및 송신 전력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다이버시티 기술이 협력 다이버시티 기법이다. 협력 다이버시티 기법 중에서도 시스템 용량과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는 분산 빔포밍이 주목 받고 있다. 분산 빔포밍은 복수개의 송신부(이하, '노드')가 동일한 신호를 송출하고, 하나의 수신부(이하, 'AP')에서 복수개의 동일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빔포밍 이득을 얻는 기술이다.
복수개의 노드가 하나의 AP를 향해 동일한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 AP에서는 신호의 보강 간섭에 의해 신호의 강화가 일어나므로 신호의 미약화 및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노드는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AP에서는 신호의 집중으로 인해 빔포밍 현상이 일어나므로 이를 분산 빔포밍(Distributed Beamforming)이라고 칭한다.
분산 빔포밍은 비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딩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분산 빔포밍을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신호를 전송하면 AP가 복수개의 노드에서 전송된 무선 전력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전력 전송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분산 빔포밍에서는 지리적으로 떨어진 복수개의 노드가 동일한 무선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복수개의 노드가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동일한 무선 신호가 다중 경로를 통해 전파됨으로써 AP가 수신하는 각 신호의 위상이 달라지게 되고, 그로 인해 신호의 미약화 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인 빔포밍의 경우 안테나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고 일정한 배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신호를 복수개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더라도 수신부 측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다. 그러나 분산 빔포밍의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개의 노드가 각각의 발진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게 되므로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AP가 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분산 빔포밍에서 최적의 빔포밍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각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분산 빔포밍에서 각 노드가 송출하는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이 미국 특허 US 6,952,455 (2005.10.04. 등록) 및 US 8,666,309 (2014.03.04.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US 6,952,455 및 US 8,666,309는 랜덤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을 이용하여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각 노드가 송출하는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1개의 AP 및 6개의 노드로 구성된 분산 빔포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랜덤 계수 탐색 방법에서는 복수개의 노드가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동시에 송출한다. AP는 복수개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를 측정한 후 새로 수신한 신호의 RSS가 기존의 최대 RSS보다 크면 최대 RSS를 갱신한다. 복수개의 노드는 송출 대상 신호를 새로운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다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AP는 최대 RSS를 계속 갱신하다가 일정한 조건이 성립되면 최종적인 최대 RSS(이하, '최종 RSS')를 결정한 후 각 노드로 피드백한다. 예컨대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가 경과하면 테스트를 중단하고 그 때까지의 최대 RSS를 최종 RSS로 판단한다. 최종 RSS값이 갱신된 시점에 각 노드가 송출하였던 신호가 각 노드의 위상 동기화 신호가 된다.
상기와 같이 랜덤 계수 탐색 방법은 랜덤한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각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하게 되므로 노드의 수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위상 동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까지의 최대 RSS를 최종 RSS로 판단하기 때문에, 해당 RSS가 국소적으로 최대 RSS일 뿐 전체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최대 RSS가 아닌 경우에도 해당 RSS를 최종 RSS로 오판할 가능성이 있다. 즉, 국소 최대치(Local Maxima)를 전체적인 최대 RSS로 오판하여 정확한 위상 동기화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정리하면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종래의 위상 동기화 방법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은 랜덤한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각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하므로 동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노드의 수에 따라 크게 늘어날 뿐만 아니라, 국소 최대치의 문제로 인하여 위상이 올바로 수렴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분산 빔포밍을 위한 위상 동기화 방법은 AP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각 노드의 위상을 순차적으로 적응시킴으로서 이득이 큰 빔을 만들고 나아가 위상 동기화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 중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조정 대상 노드를 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가, 상기 조정 대상 노드로부터 상기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만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1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상기 조정값만큼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2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테스트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와 상기 제2 테스트 신호의 RSS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조정 대상 노드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노드 각각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노드가, 상기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만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1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상기 조정값만큼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2 테스트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1 테스트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와 상기 제2 테스트 신호의 RSS를 비교한 결과를 지시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를 복수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핑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는 과정; 및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노드가 위상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에 의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가 아닌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과정; 및 상기 AP에 의해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안테나를 가진 AP와 단일 안테나를 가진 복수개의 노드가 통신하는 환경에서 분산 빔포밍을 수행할 때 노드들 간의 빠르고 정확한 위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1개의 AP 및 6개의 노드로 구성된 분산 빔포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으로서 bisection based metho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으로서 cluster based metho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luster based method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각 노드가 AP로 송출하는 동일한 신호를 '송출 대상 신호'라고 하고, 송출 대상 신호에서 위상을 조정하여 각 노드 사이의 위상이 동기화된 신호를 '위상 동기화 신호'라고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에서 조정 대상이 되는 무선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일 수도 있고, 무선 전력 전송 신호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신호의 분산 빔포밍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위상 동기화에 의해 페이딩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 신호의 분산 빔포밍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위상 동기화에 의해 무선 전력 전송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1. Bisection based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으로서 bisection based metho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1개의 AP(100) 및 6개의 노드(111 내지 116)로 구성된 분산 빔포밍 시스템을 예시하였으나, 노드의 개수는 6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AP(100)가 N개의 노드로부터 동일한 신호를 수신할 때 AP(100)가 n번째 타임슬롯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1
수학식 1에서 A는 송신 전력, 채널 이득 및 Path-Loss를 포함한다.
하나의 AP(100)가 복수개의 노드로부터 동일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AP(100)에서는 신호의 보강 간섭에 의해 신호의 강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각각의 노드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무선 신호가 다중 경로를 통해 전파되는 과정에서 위상이 변형되어 AP(100)가 수신하는 각 신호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신호가 충분히 보강되지 않아 빔포밍 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분산 빔포밍에서 빔포밍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노드가 송출하는 신호의 위상이 동기화되어야 한다. 즉, AP(100)가 각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해야 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2
수학식 2에서 θ는 각 노드에서 회전시키는 위상으로서 각 노드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값이다. γ는 AP(100)와 각 노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위상 변화를 의미하고, Φ는 각 노드의 하드웨어적 특성에 따른 위상 변화를 의미한다. γ과 Φ에 의한 위상 변화는 각 노드에서 제어하기가 어렵다.
각 노드의 위상 변화는 θ+γ+Φ으로 표현되며, AP(100)가 각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 빔포밍 이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노드의 θ+γ+Φ 값이 동일해지도록 위상을 동기화해야 한다.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각 노드에서 회전시키는 θ만이 제어 가능하므로 각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각 노드에서 θ값을 조정하게 된다. 이 때 각 노드에서 위상을 얼마나 회전시켜야 하는지 θ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문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에서는 각 노드가 2개의 테스트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출하고 AP(100)는 수신한 2개의 테스트 신호의 RSS를 비교하여 RSS를 최대로 만드는 위상을 적응적으로 찾아나감으로써 회전값 θ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랜덤 계수 탐색 방법에서는 복수개의 노드가 동시에 신호를 송출하여 위상을 동기화시켰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에서는 각 노드가 순차적으로 위상을 동기화한다. bisection based method에서 현재 동기화 순서인 노드를 이하 '조정 대상 노드'라고 한다.
i번째 노드가 조정 대상 노드(111)라고 할 때 i번째 노드가 처음 송출하는 신호의 위상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3
조정 대상 노드(111)는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이하, Δ로 표현)만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1 테스트 신호')와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만큼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신호(이하, '제2 테스트 신호')를 순서대로 송출한다.
제1 테스트 신호는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4
제2 테스트 신호는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5
제1 및 제2 테스트 신호에서 최초 조정값은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6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에서는 조정값을 점차 감소시켜 적응적으로 정밀한 위상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각 노드가 제1 테스트 신호와 제2 테스트 신호를 순서대로 송출하면 AP(100)는 제1 테스트 신호와 제2 테스트 신호의 RSS를 측정한다. 제1 테스트 신호의 RSS를 Yi1[n]이라고 하고 제2 테스트 신호의 RSS를 Yi2[n]라고 할 때, AP(100)는 Yi1[n]과 Yi2[n]를 비교하여, Yi1[n] ≥ Yi2[n] 이면 조정 대상 노드(111)로 피드백 신호 "1"을 전송하고, Yi1[n] < Yi2[n] 이면 조정 대상 노드(111)로 피드백 신호 "0"을 전송한다. 분산 빔포밍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피드백 신호의 크기는 1비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 대상 노드(111)는 피드백 신호 "1"을 수신하면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Δ)만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드백 신호 "0"을 수신하면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조정값(Δ)만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AP(100)는 적응적인 조정을 위하여 조정값을 갱신하여 갱신된 조정값을 조정 대상 노드(111)로 전송한다.
조정값 갱신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갱신 횟수에 따른 조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조정값의 갱신 횟수에 따라 조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일례로, 조정값에서 기 설정된 감산값을 뺌으로써 조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일례로, 매 갱신시마다 조정값을 기 설정된 제수로 나누어 조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매 갱신시마다 조정값을 2로 나누어 조정값을 갱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n회차의 조정값과 n+1회차의 조정값 사이의 관계는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17082461744-pat00007
한편, 갱신은 AP(100)가 아닌 조정 대상 노드(111)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AP(100)가 조정값을 갱신하여 갱신된 조정값을 조정 대상 노드(111)로 전송하는 대신, 조정 대상 노드(111)가 자체적으로 조정값을 갱신한다. 구체적인 조정값 갱신 방법은 AP(100)의 조정값 갱신 방법과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인 랜덤 계수 탐색 방법에 의하면 복수개의 노드로부터 AP가 수신한 신호 세기의 총합이 약 180일 때, 약 220일 때, 약 250일 때, 약 320일 때, 순간적으로 국소 최대치(Local Maxima)의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까지의 최대 RSS를 최종 RSS로 판단하기 때문에, 해당 RSS가 국소적으로 최대 RSS일 뿐 전체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최대 RSS가 아닌 경우에도 해당 RSS를 최종 RSS로 오판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를 500회로 설정한 후 최종 RSS를 결정할 경우, RSS가 250인 것이 최종 RSS로 판단될 위험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할 경우, 테스트를 반복할 수록 RSS가 계속 상승하며, RSS가 최대가 된 시점에서야 RSS 상승이 중단되므로, 랜덤 계수 탐색 방법과는 달리 국소 최대치(Local Maxima)에 빠질 우려가 없다.
2. Cluster based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luster based method는 복수개의 노드를 복수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핑한 후, 각 클러스터 단위로 위상 동기화를 수행하고, 이후 복수개의 클러스터 사이에서 위상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각 클러스터 단위로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노드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위상 동기화를 이하 '로컬 동기화'라고 하고, 로컬 동기화 완료 후 복수개의 클러스터 사이에서 수행되는 위상 동기화를 이하 '글로벌 동기화'라고 한다.
2-1. Cluster based method - Phase 1 (로컬 동기화)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으로서 cluster based metho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cluster based method의 첫번째 단계인 로컬 동기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1개의 AP(200) 및 15개의 노드로 구성된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3개의 클러스터(210, 220, 230)을 지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노드의 개수는 15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고, 클러스터는 3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AP(200)는 복수개의 노드를 노드의 수보다 적은 수의 클러스터로 그룹핑한다.
AP(200)는 복수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고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복수개의 노드들을 복수개의 클러스터들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노드들은 상대적으로 수가 적다. 따라서 굳이 상술한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랜덤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더라도 만족할 만한 동기화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랜덤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으로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랜덤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 외에 상술한 bisection based method 또는 추후 설명할 그리드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을 사용하여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P(200)가 로컬 동기화를 명령하면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가 아닌 노드들(211 내지 216를 제외한 노드들)은 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이하, '로컬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한다. 이 때 랜덤값은 각 노드에서 독립적으로 생성된 랜덤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AP(200)는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이 동시에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여 RSS(이하, '로컬 RSS')를 측정한다.
AP(200)는 로컬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로컬 RSS가 기존의 최대 로컬 RSS보다 크면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AP(200)의 최대 로컬 RSS의 갱신에 따라 위상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이 때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AP(200)의 최대 로컬 RSS 갱신을 매 갱신시마다 반영할 수도 있고 최종 1회 반영할 수도 있다.
2-1-1. 매 갱신시마다 반영
AP(200)는 로컬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로컬 RSS가 기존의 최대 로컬 RSS보다 크면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한다.
AP(200)는 최대 로컬 RSS 갱신 사실을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로 송출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최대 로컬 RSS 갱신 사실을 수신하면 최대 로컬 RSS 갱신 직전에 송출하였던 신호를 메모리의 기존 주소에 저장한다.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는 overwrite되어 삭제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새로운 랜덤값을 생성한 후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다시 송출한다.
AP(200)는 로컬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가 지나면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에 로컬 동기화의 종료를 명령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로컬 동기화의 종료 사실을 수신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 들여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한다.
2-1-2. 최종 1회 반영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고 송출한 신호를 메모리의 새로운 주소에 저장한다.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는 유지된다.
AP(200)는 로컬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로컬 RSS가 기존의 최대 로컬 RSS보다 크면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새로운 랜덤값을 생성한 후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다시 송출한다.
AP(200)는 로컬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가 지나면 마지막으로 갱신된 최대 로컬 RSS를 최종 로컬 RSS로 결정한 후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로 최종 로컬 RSS가 갱신된 시점을 피드백한다.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211 내지 216)은 AP(200)으로부터 최종 로컬 RSS가 갱신된 시점을 수신하면 최종 로컬 RSS가 갱신된 시점에 각 노드가 송출하였던 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 들여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한다.
2-2. Cluster based method - Phase 2 (글로벌 동기화)
로컬 동기화가 완료되면 각 클러스터 내의 노드들 사이에서는 위상이 동기화된 상태이다. 그러나 다른 클러스터와의 관계에서는 위상이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클러스터 간 동기화를 수행하여 분산 빔포밍 시스템 전체의 위상을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로컬 동기화 완료 후 수행되는 클러스터 간 동기화를 이하 '글로벌 동기화'라고 한다.
도 5는 cluster based method의 두번째 단계인 글로벌 동기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AP(200)는 복수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고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이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글로벌 동기화 과정에서는 하나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모든 노드들의 위상을 공통적으로 바꿔야 하기 때문에 아래에서 설명할 그리드 계수 탐색(grid gradient search)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그리드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으로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그리드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 외에 상술한 랜덤 계수 탐색(random gradient search) 방법 또는 상술한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하여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P(200)가 글로벌 동기화를 명령하면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가 아닌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를 제외한 노드들)은 로컬 동기화 과정에서 결정된 위상 동기화 신호를 송출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로컬 동기화 과정에서 결정된 위상 동기화 신호의 위상을 그리드값만큼 이동시킨 신호(이하,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송출한다.
G가 자연수라고 할 때, 그리드값은 2π/G의 n배(n은 0에서 G 사이의 정수)일 수 있다. n의 값은 1에서 시작하여 글로벌 테스트 신호의 송출시마다 1씩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정한 글로벌 테스트 신호의 송출시마다 위상이 2π/G만큼 이동하는 것이다.
AP(200)는 모든 노드들이 동시에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여 RSS(이하, '글로벌 RSS')를 측정한다.
AP(200)는 글로벌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글로벌 RSS가 기존의 최대 글로벌 RSS보다 크면 최대 글로벌 RSS를 갱신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AP(200)의 최대 글로벌 RSS의 갱신에 따라 위상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이 때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AP(200)의 최대 글로벌 RSS 갱신을 매 갱신시마다 반영할 수도 있고 최종 1회 반영할 수도 있다.
2-2-1. 매 갱신시마다 반영
AP(200)는 글로벌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글로벌 RSS가 기존의 최대 글로벌 RSS보다 크면 최대 글로벌 RSS를 갱신한다.
AP(200)는 최대 글로벌 RSS 갱신 사실을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로 송출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최대 글로벌 RSS 갱신 사실을 수신하면 최대 글로벌 RSS 갱신 직전에 송출하였던 신호를 메모리의 기존 주소에 저장한다.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는 overwrite되어 삭제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송출 대상 신호를 2π/G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다시 송출한다.
AP(200)는 글로벌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가 지나면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에 글로벌 동기화의 종료를 명령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글로벌 동기화의 종료 사실을 수신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 들여 최종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한다.
2-2-2. 최종 1회 반영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송출 대상 신호를 랜덤값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고 송출한 신호를 메모리의 새로운 주소에 저장한다.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는 유지된다.
AP(200)는 글로벌 RSS를 측정한 후 측정된 글로벌 RSS가 기존의 최대 글로벌 RSS보다 크면 최대 글로벌 RSS를 갱신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송출 대상 신호를 2π/G만큼 이동시킨 신호를 다시 송출한다.
AP(200)는 글로벌 동기화 시작 후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테스트 반복 횟수(iteration)가 지나면 마지막으로 갱신된 최대 글로벌 RSS를 최종 글로벌 RSS로 결정한 후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로 최종 글로벌 RSS가 갱신된 시점을 피드백한다.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311 내지 316)은 AP(200)으로부터 최종 글로벌 RSS가 갱신된 시점을 수신하면 최종 글로벌 RSS가 갱신된 시점에 각 노드가 송출하였던 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 들여 최종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luster based method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6(a)는 cluster based method에서 클러스터 별 RSS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cluster based method에서 AP의 수신 RSS를 나타낸 것이다.
3. 비교 실험 결과
표 1은 각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노드의 수(N) 항목 종래 방식 bisection 방식 cluster 방식
N=20 iteration 288 320 288
N=20 수렴되는 RSS값 365 376 378
N=40 iteration 783 640 644
N=40 수렴되는 RSS값 1433 1459 1494
N=60 iteration 1361 960 1048
N=60 수렴되는 RSS값 3175 3196 3314
N=100 iteration 4521 1600 2060
N=100 수렴되는 RSS값 8766 8610 9094
표 1에 의할 때, 노드의 수가 20개인 분산 빔포밍 시스템의 동기화에 종래 방식을 사용하면 최종 RSS값이 365, bisection based method를 사용하면 최종 RSS값이 376, cluster based method를 사용하면 최종 RSS값이 376이다. 최종 RSS값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빔포밍 성능 향상의 정도는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최대 성능 향상까지의 동기화 속도에 차이가 있다.
노드의 수가 20개일 때 최대 RSS 성능을 도출하기까지의 테스트 횟수를 살펴 보면, 종래 방식은 288회, bisection based method는 320회, cluster based method는 288회이다. 노드의 수가 적을 때는 종래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동기화 속도가 충분히 빠름을 알 수 있다.
노드의 수가 40개일 때 최대 RSS 성능을 도출하기까지의 테스트 횟수를 살펴 보면, 종래 방식은 783회, bisection based method는 640회, cluster based method는 644회이다.
노드의 수가 60개일 때 최대 RSS 성능을 도출하기까지의 테스트 횟수를 살펴 보면, 종래 방식은 1361회, bisection based method는 960회, cluster based method는 1048회이다.
노드의 수가 100개일 때 최대 RSS 성능을 도출하기까지의 테스트 횟수를 살펴 보면, 종래 방식은 4521회, bisection based method는 1600회, cluster based method는 2060회이다.
즉, 노드의 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종래 방식보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section based method 또는 cluster based method의 동기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로 설명된 분산 빔포밍 시스템의 위상 동기화 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CD-ROM, DVD 등), 및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USB, SSD)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AP 111 내지 116: 노드
200: AP 211 내지 216: 노드
311 내지 316: 노드

Claims (39)

  1.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가,
    상기 복수개의 노드를 복수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핑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는 과정; 및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클러스터의 로컬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복수개의 클러스터 간 동기화(이하,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클러스터 간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를 지정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노드가 송출한 신호의 RSS(이하, '글로벌 RSS')를 수신하는 과정; 및
    측정된 글로벌 RSS가 기 측정된 최대 글로벌 RSS보다 크면 상기 최대 글로벌 RSS를 갱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동시에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한 신호의 로컬 RSS(Received Signal Strength)를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로컬 RSS가 기 측정된 최대 로컬 RSS보다 크면 상기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최대 로컬 RSS가 갱신된 사실을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로컬 동기화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최대 로컬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로컬 RSS를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로컬 RSS를 측정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최대 로컬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최대 글로벌 RSS가 갱신된 사실을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글로벌 동기화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최대 글로벌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글로벌 RSS를 측정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최대 글로벌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로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1. AP(Access Point)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노드가 위상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에 의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가 아닌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과정; 및
    상기 AP에 의해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이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의 로컬 동기화가 완료되면,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노드들이 상기 복수개의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 간 동기화(이하,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글로벌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AP에 의해 클러스터 간 동기화를 수행할 클러스터(이하,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로 지정되지 않은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로컬 동기화 과정을 통해 결정된 위상 동기화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상기 AP에 의해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각 로컬 동기화 과정에서 결정된 위상 동기화 신호의 위상을 그리드값만큼 이동시킨 신호(이하,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및
    상기 글로벌 테스트 신호의 송출시마다 상기 그리드값을 갱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각 노드에서 독립적으로 생성된 랜덤값만큼 송출 대상 신호의 위상을 이동시킨 신호(이하, '로컬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AP로부터 최대 로컬 RSS가 갱신된 사실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최대 로컬 RSS가 갱신된 사실을 수신하면 상기 최대 로컬 RSS 갱신 직전에 송출하였던 로컬 테스트 신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AP로부터 최대 로컬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최대 로컬 RSS의 최종 갱신 시점에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송출하였던 로컬 테스트 신호를 상기 로컬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의 상기 송출 대상 신호에 대한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값은 2π/G의 n배이되, 상기 G는 자연수이고, 상기 n은 0에서 상기 G 사이의 정수이며, 상기 n의 값은 1에서 시작하여 상기 글로벌 테스트 신호의 송출시마다 1씩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AP로부터 최대 글로벌 RSS가 갱신된 사실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최대 글로벌 RSS가 갱신된 사실을 수신하면 상기 최대 글로벌 RSS 갱신 직전에 송출하였던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AP로부터 최대 글로벌 RSS의 최종 갱신 시점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상기 최대 글로벌 RSS의 최종 갱신 시점에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송출하였던 글로벌 테스트 신호를 상기 글로벌 동기화 클러스터에 그룹핑된 노드들 각각이 송출 대상 신호에 대한 최종적인 위상 동기화 신호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동기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내지 제14항, 및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70107907A 2017-08-25 2017-08-25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KR10201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07A KR102018525B1 (ko) 2017-08-25 2017-08-25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07A KR102018525B1 (ko) 2017-08-25 2017-08-25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92A KR20190022092A (ko) 2019-03-06
KR102018525B1 true KR102018525B1 (ko) 2019-09-05

Family

ID=6576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07A KR102018525B1 (ko) 2017-08-25 2017-08-25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9733A1 (en) * 2020-11-24 2022-06-02 Macdonald, Dettwiler And Associat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beamform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2455B1 (en) 2000-08-02 2005-10-04 Via Telecom, Co., Ltd. Adaptive antenna method and apparatus
US8666309B2 (en) 2008-01-28 2014-03-04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beamforming for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relay nodes
US20150208431A1 (en) * 2012-10-02 2015-07-2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68B1 (ko) * 2011-11-25 2013-06-28 국방과학연구소 적응형 뱅뱅 제어 방식의 순차적 분산 협력 빔포밍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2455B1 (en) 2000-08-02 2005-10-04 Via Telecom, Co., Ltd. Adaptive antenna method and apparatus
US8666309B2 (en) 2008-01-28 2014-03-04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beamforming for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relay nodes
US20150208431A1 (en) * 2012-10-02 2015-07-2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9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57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U2012284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59991B2 (e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target terminal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interference alignment scheme
CN103404052B (zh) 干扰协调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20160066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bea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982076A (zh) 用于无线能量优化的方法
WO2010100809A1 (ja) 通信装置、および自動利得制御方法
CN103592635B (zh) 一种认知fda雷达及其信号发射方法和装置
JP2020535680A (ja) 電気機器及び通信方法
KR102358756B1 (ko) Mimo 수신기의 수신 신호 처리 방법
KR102018525B1 (ko) 분산 빔포밍 시스템에서의 위상 동기화 방법
KR102034961B1 (ko) C-ran 통신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동적 rrh 선택 알고리즘
CN11016715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US20210384954A1 (en) Uplink beam reconfiguration
CN104410442A (zh) 无线信号发射方法、发射装置及无人机
US11989965B2 (en) Cross-corre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detection using a network of RF repeaters
WO2017190501A1 (zh) 一种室内高密度网络的天线云节点通讯实现方法及系统
KR101760411B1 (ko) 하이브리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US20200169347A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51934B1 (ko) 다중 사용자 간섭 채널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US10485008B2 (en)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48576A (ko) 비직교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 제어 장치 및 이의 자원 중첩비 조절 방법
WO2019095247A1 (zh) 无人飞行器及其功率控制的方法
KR20200041967A (ko) 빔 형성 패킷의 포스트앰블 프로세싱을 위한 상이한 섹터 회전 속도
WO2015084350A1 (en) A method for ue-assisted antenna parameters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