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350B1 - 캥거루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캥거루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350B1
KR102018350B1 KR1020180009532A KR20180009532A KR102018350B1 KR 102018350 B1 KR102018350 B1 KR 102018350B1 KR 1020180009532 A KR1020180009532 A KR 1020180009532A KR 20180009532 A KR20180009532 A KR 20180009532A KR 102018350 B1 KR102018350 B1 KR 102018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sleep
care
kangaroo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615A (ko
Inventor
한희현
김지언
Original Assignee
한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현 filed Critical 한희현
Priority to KR102018000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3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엄마 품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캥거루 케어 매트에서 신생아를 안전하게 케어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모와 아기의 피부 접촉에 있어 피부와 거의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아기의 피부접촉에서의 피부 트러블 문제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으며, 피부가 서로 맞닿으면 특수 감각섬유가 자극되어 뇌에 쾌락 신호를 보내고 이는 뇌선엽 피질로 가서 옥시토신을 분비하게 하여 신생아에게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캥거루 케어 중에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건강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그 검출결과를 검진센터에 보내어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그 검진결과를 신생아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캥거루 케어 효과는 물론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캥거루 케어 매트를 신생아 보호자가 착용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도 있고, 필요시에는 분리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캥거루 케어 시스템{KANGAROO MOTHER CARE SYSTEM}
본 발명은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엄마 품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캥거루 케어 매트 위에서 신생아를 안전하게 케어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 중에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그 검진결과를 신생아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캥거루 케어 효과는 물론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기와 엄마의 맨살을 최대한 오래 밀착시켜 미숙아의 정서안정과 성장발달을 돕는 캥거루 케어(kangaroo mother care)는 그 방식이 마치 주머니 안에서 따뜻하게 새끼를 키우는 캥거루의 케어 방식과 비슷해서 이름 붙여진 이 캥거루 케어의 효능이 과학적으로도 증명이 되고 있다.
1983년 콜롬비아 보고타의 한 병원에서 인큐베이터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한 의료인이 캥거루를 떠올려 캥거루처럼 엄마 품속에 아기를 넣어서 키워 보자는 제안이 시초가 되었다고 알려진다.
캥거루 케어를 받은 아기들은 그렇지 못한 아기들에 비해 하루에 몸무게가 20g 이상 늘고 면역력도 높아졌고 7%였던 조산아 사망률은 캥거루 케어 도입 이후 0.5%로 크게 줄었다
현재 콜롬비아에서는 미숙아뿐만 아니라 만삭아에게도 캥거루 케어가 보편화 되어 있다. 피부접촉으로 아기를 키우는 것이 인큐베이터에서만 키우는 것보다 낫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콜롬비아에서 시작된 캥거루 케어는 유니세프를 통해 미국, 유럽, 남미 등 25개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 중반에 캥거루 케어를 도입하였다. 단순히 병원에서 매일 1~2시간씩 안아 주는 것이었지만, 캥거루 케어가 엄마들에겐 아주 특별한 감동을 주는 일이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200여 곳이 넘는 곳에서 캥거루 케어를 실천하고 있다.
캥거루 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와 아기의 피부접촉이다. 피부가 서로 맞닿으면 특수 감각섬유가 자극되어 뇌에 쾌락 신호를 보내고 이는 뇌선엽 피질로 가서 옥시토신을 분비하게 된다.
옥시토신은 뇌간으로 가서 아기의 뇌를 스트레스받는 전투적인 상태가 아니라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를 만들어 준다. 캥거루 케어 도중에 나오는 옥시토신이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엄마 가슴에 있는 건강한 산재 균이 오히려 병원균을 차단하기 때문에 아기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옥시토신은 고통지각을 감소시켜 주어 캥거루 케어를 받고 있는 아기에게 주사를 놓거나 혈액을 채취해도 울지 않는다.
캥거루 케어는 출생 직후 한 시간 이내 할 것을 권장한다. 아기는 본능적으로 냄새가 나는 엄마의 가슴으로 움직여서 엄마의 젖을 찾아 물게 된다. 그리하여 스스로 젖을 빨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고, 엄마는 아기에 대한 애착이 깊어진다. 캥거루처럼 엄마가 아기를 안아주면 엄마는 비로소 엄마가 되었음을 느끼게 되고 아기는 엄마와 접촉함으로써 자궁에서의 기억을 되살리게 된다. 이때 아기는 엄마의 소리를 듣고 엄마를 느끼고 엄마의 체취를 맡게 된다.
통상적으로 캥거루 케어 시에는 매일 1~2시간씩 안아 주게 되는데, 종전의 캥거루 케어는 보호자(엄마 또는 아빠)가 신생아를 가슴에 안은 상태로 장시간 자세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호자가 많이 힘들고, 불편하며, 신생아를 가슴에 안은 상태에서 자세를 움직이거나 신생아를 옮기는 경우에 신생아가 숙면을 하지 못하거나 잠에서 깨어나게 되어 캥거루 케어가 도중에 중단되거나 캥거루 케어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5579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엄마 품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캥거루 케어 매트에서 신생아를 안전하게 케어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 도중에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그 검진결과를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캥거루 케어 효과는 물론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 매트를 신생아 보호자가 착용하여 캥커루 케어를 할 수도 있고, 필요시에는 캥거루 케어 매트를 분리하여 캥커루 케어를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 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 부는 인체가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케어 패드; 및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에게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진동 발생 부를 포함하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테두리에 신생아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용 가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낙하방지용 가드는 선택적으로 상하로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양측에 신생아를 홀딩하기 위한 밴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하부는 상기 캥거루 케어 패드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캥거루 케어 시스템은 수면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 센서;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검출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 및 상기 건강판단 유닛에서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진센터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캥거루 케어 시스템은 상기 수면 케어 패드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에 따라 상기 수면부 온도를 높이는 히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캥거루 케어 시스템은 상부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 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 부는 인체가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케어 패드; 및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에게 심장박동 주파수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펄스 발생 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신생아 보호자가 가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면 부 위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한 뒤에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상기 신생아 보호자(예를 들어, 엄마) 가슴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엄마 품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캥거루 케어 매트 위에서 신생아를 안전하게 케어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모와 아기의 피부 접촉에 있어 사람의 피부와 거의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아기의 피부접촉에서의 피부 트러블 문제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으며, 피부가 서로 맞닿으면 특수 감각섬유가 자극되어 뇌에 쾌락 신호를 보내고 이는 뇌선엽 피질로 가서 옥시토신을 분비하게 하여 신생아에게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캥거루 케어 중에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건강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그 검출결과를 검진센터에 보내어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그 검진결과를 신생아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캥거루 케어 효과는 물론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캥거루 케어 매트를 신생아 보호자가 착용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도 있고, 필요시에는 분리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의 높이조절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의 높이조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케어 패드 양측에 설치된 낙하방지용 가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고,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여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로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의 캥거루 케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의 캥거루 케어 도중 캥거루 케어 매트 분리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의 높이조절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의 높이조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케어 패드 양측에 설치된 낙하방지용 가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고,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여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로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100)은 상부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 부(111)가 형성되고, 그 수면 부(111)가 인체가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케어 패드(110)를 구비한다.
수면 부(111)는 엄마의 가슴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생아의 머리가 편안하게 놓일 수 있도록 움푹 파인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캥거루 케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신생아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 감성 매트(SSM; Smart Sensibility Mat), 즉 수면 케어 패드(110)를 제공한다.
수면 케어 패드(110) 자체는 소프트하고 플렉서블 하면서도 신생아 체중을 버틸 수 있는 정도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면 케어 패드(110)의 표면은 피부와 유사하고 부드러운 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촉감 자극의 경우, 약 32℃의 일정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면 케어 패드(110)의 내부에는 히터(181) 또는 온수튜브(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수면 케어 패드(1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온도센서(180)에 측정에 따라 히터(181)가 수면 부(111)의 온도를 적당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주위 온도 및 신생아의 체온에 따라 히터(181)의 온도를 적절하게 자동 제어할 수 있다.
히터(181)는 단순 코일뿐만 아니라 수면 케어 패드(110) 전체 균일한 온도 제공을 위해 열전도성 섬유로 구성된 직물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수면 케어 패드(110) 표면에는 면 패드로 감싼 후, 피부 접촉과 비슷한 촉감 자극을 주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이 접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은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에게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진동 발생 부(120)를 구비한다.
청감 자극의 경우,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약 30dB로 제공할 수 있는 진동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진동 발생 부(120)가 수면 케어 매트(110)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진동 발생 부(120)는 소리뿐만 아니라 주파수 또는 심박수와 같은 진동을 제공하여 엄마의 가슴과 거의 동일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케어 패드(110)는 테두리에 신생아의 낙하(떨어짐)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케어 패드(110) 양측에 신생아를 홀딩하기 위한 밴드(132)가 마련될 수 있다. 밴드(132)는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케어 패드(110)의 하부에는 수면 케어 패드(11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부(1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높이 조절 부(140)의 반대 측 수면 케어 패드(110)의 바닥면에는 밀착 판(141)이 설치되어 수면 케어 패드(1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 부(140)는 수면 케어 패드(110) 전방 하면에 형성된 수납 홈(H) 안에 보이지 않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수납 홈(H)에서 인출하여 수면 케어 패드(1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140)는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높이 조절 부(140)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토션 스프링(S)의 탄발력을 극복하고 젖혀서 수납 홈(H)에서 꺼내 거치시키고, 높이 조절 부(140) 비 사용시에는 토션 스프링(S)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납 홈(H) 안으로 보관되어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즉 미관(美觀)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케어 패드(110) 양측에 낙하방지용 가드(131)가 마련될 수도 있다. 낙하방지용 가드(131)는 선택적으로 상하로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면 케어 패드(110)의 테두리에 단 턱이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은 수면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 센서(150); 검출 센서(150)로부터 검출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160); 및 건강판단 유닛(160)에서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C)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진센터(C)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M)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170)을 포함한다.
즉, 검출 센서(150)는 수면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검출 센서(150)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신생아의 심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160)은 인공지능(AI)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검출 센서(150)로부터 검출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는 신생아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 내부 저장소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170)은 건강판단 유닛(160)에서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C)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검진센터(C)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M)로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모듈(170)은 인터넷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검출과 신생아의 건강이상 판단 및 정보 송수신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면 케어 패드(110) 안에 설치된 제어부(인공지능)에서 제어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의 캥거루 케어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의 캥거루 케어 도중 캥거루 케어 매트 분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200)은, 상부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 부(211)가 형성되고 수면 부(211)는 인체가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케어 패드(210); 및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에게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진동 발생 부(220)를 포함하되, 수면 케어 패드(210)는 신생아 보호자가 가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수면 부(211) 위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한 뒤에 수면 케어 패드(210)는 신생아 보호자(예를 들어, 엄마) 가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면 케어 패드(210)의 측면에는 신생아 보호자의 팔이 끼워질 수 있는 팔 삽입구(212)가 형성되고, 수면 케어 패드(210)의 전면에는 신생아 보호자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목 삽입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200)은 수면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 센서(250); 검출 센서(250)로부터 검출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260); 및 건강판단 유닛(260)에서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C)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진센터(C)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M)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2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200)은, 수면 케어 패드(2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2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온도센서(280)에 측정에 따라 히터(281)가 수면 부(211)의 온도를 적당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전의 캥거루 케어는 신생아 보호자가 신생아를 가슴에 안은 상태로 몇 십분 내지는 몇 시간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자세를 움직이거나 신생아를 옮기는 경우에 신생아가 숙면을 하지 못하거나 잠에서 깨어나게 되어 캥거루 케어가 도중에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200)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면 케어 패드를 보호자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호자(엄마나 아빠)는 손을 깨끗이 씻고 의자 또는 쿠션에 편안히 앉아 수면 케어 패드(210)를 자신의 가슴에 착용한다. 온도센서(180)에 따라 히터(181)가 수면부(111)의 온도를 적당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신생아는 기저귀만 채우고 옷을 벗겨서 아기의 배꼽에서 흉골까지 수면부(211) 위에 세워서 완전히 밀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한 손으로 아기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한 채 다리를 살짝 구부려 안고, 다른 한 손으로 아기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도록 한다.
아기의 보온 유지를 위해서 속싸개로 감싸고 가운으로 아기의 등을 덮어주도록 한다. 보호자는 아기와 눈을 맞추거나 큰소리로 이야기하거나 세게 흔들지 않도록 한다. 캥거루 케어는 아기의 컨디션이 좋을 때 하루에 3회 정도 1회 약 40~60분 정도 접촉하는 게 좋다. 가능하면 매일 많은 시간을 아기를 가슴에 품고 엄마나 아빠를 느끼도록 피부 접촉을 하도록 한다.
필요시에는 음향진동 발생 부(220)를 사용하여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신생아의 캥거루 케어 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검출 센서(250)가 수면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며,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은 검출 센서(250)로부터 검출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며, 무선 통신모듈(270)은 건강판단 유닛(260)에서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C)로 수면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검진센터(C)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M)로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검출과 신생아의 건강이상 판단 및 정보 송수신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면 케어 패드(210) 안에 설치된 제어부(인공지능)에서 제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신생아 보호자가 화장실을 가거나, 필요에 의해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신생아 보호자는 수면 케어 패드(210)를 분리하여 캥거루 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신생아 숙면을 방해하거나 잠에서 깨어나게 되어 캥거루 케어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실험 예>
본 발명의 캥거루 케어 매트(110)와 일반 매트에 대하여, 신생아의 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생후 4주 이내의 건강한 신생아 20명을 대상으로 생리신호인 심박수, 호흡수와 체온을 20분 간격으로 5회씩 측정하였다.
이를 7일에 걸쳐 1일 1회씩 측정한 후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 매트에 있을 때보다 캥거루 케어 매트에 있을 때 심박수(t=8.131, p<.001)와 호흡수(t=7.227, p<.001)가 정상범위 안에서 유의 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캥거루 케어 매트의 감각자극이 신생아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일반매트보다 이른 시일 안에 심리적 안정을 주는데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엄마 품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캥거루 케어 매트에서 신생아를 안전하게 케어할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모와 아기의 피부 접촉에 있어 피부와 거의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아기의 피부접촉에서의 피부 트러블 문제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으며, 피부가 서로 맞닿으면 특수 감각섬유가 자극되어 뇌에 쾌락 신호를 보내고 이는 뇌선엽 피질로 가서 옥시토신을 분비하게 하여 신생아에게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캥거루 케어 중에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건강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그 검출결과를 검진센터에 보내어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그 검진결과를 신생아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캥거루 케어 효과는 물론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캥거루 케어 매트를 신생아 보호자가 착용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도 있고, 필요시에는 분리하여 캥거루 케어를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캥거루 케어 매트의 사이즈, 높이 및 형상은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을 설명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실시 예에서는 신생아 보호자가 바닥에 누워서 캥거루 케어를 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바닥에 눕지 않고 쿠션이나 베개에 허리를 받친 후에 신생아를 비스듬하게 하여 캥거루 케어 매트를 편리하게 분리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제1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
110: 수면 케어 패드
120: 음향진동 발생 부
131: 낙하방지용 가드
132: 밴드
140: 높이 조절 부
150: 검출 센서
160: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
170: 무선 통신모듈
180: 온도센서
181: 히터
200: 제2 실시 예에 따른 캥거루 케어 시스템
210: 수면 케어 패드
220: 음향진동 발생 부
250: 검출 센서
260: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
270: 무선 통신모듈
280: 온도센서
281: 히터
C: 검진센터
M: 모바일

Claims (9)

  1. 상부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 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 부는 인체가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케어 패드; 및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에게 사전에 녹음된 엄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제공하여 신생아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진동 발생 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신생아 보호자가 가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면 부 위에 신생아가 수면을 취한 뒤에 상기 수면 케어 패드는 상기 신생아 보호자 가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측면에는 상기 신생아 보호자의 팔이 끼워질 수 있는 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전면에는 상기 신생아 보호자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목 삽입구가 형성되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면을 취하는 신생아의 심장박동수와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 센서;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검출한 상기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및 체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생아의 건강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생아 건강판단 유닛; 및
    상기 건강판단 유닛에서 상기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검진센터로 상기 신생아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진센터로 수신받은 검진결과를 기설정된 보호자의 모바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면 케어 패드의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에 따라 히터가 상기 수면 부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구성되는 캥거루 케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09532A 2018-01-25 2018-01-25 캥거루 케어 시스템 KR102018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32A KR102018350B1 (ko) 2018-01-25 2018-01-25 캥거루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32A KR102018350B1 (ko) 2018-01-25 2018-01-25 캥거루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15A KR20190090615A (ko) 2019-08-02
KR102018350B1 true KR102018350B1 (ko) 2019-09-04

Family

ID=6761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32A KR102018350B1 (ko) 2018-01-25 2018-01-25 캥거루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272B1 (ko) * 2019-12-12 2021-06-18 신영재 아기용 팔 빼기 쿠션
FR3108851A1 (fr) 2020-04-07 2021-10-08 Calinescence Dispositif de génération de stimuli sensoriels pour nouveau-né et procede de génération de stimuli correspondant
FR3108850B1 (fr) * 2020-04-07 2024-03-29 Calinescence Dispositif de traitement et de diffusion de sons pour enfant nouveau-né, et procede de traitement et de diffusion de sons correspond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39Y1 (ko) * 2005-09-05 2006-01-31 채용수 인큐베이터 유아의 정서 안정화용 보조물
KR100791098B1 (ko) * 2007-01-22 2008-01-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용 침구
KR101720430B1 (ko) * 2015-09-18 2017-03-27 서경원 스마트 베이비 침대, 및 스마트 베이비 침대 시트
CN206910144U (zh) * 2017-01-10 2018-01-23 厦门梦贝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携带方便的新型婴儿小睡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730A (ko) * 2009-01-02 2010-07-12 강재민 영ㆍ유아용 안전관리 기능이 있는 침대
KR20120055799A (ko) 2010-11-24 2012-06-01 이정원 신생아와 유아의 다기능 쿠션기능 및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39Y1 (ko) * 2005-09-05 2006-01-31 채용수 인큐베이터 유아의 정서 안정화용 보조물
KR100791098B1 (ko) * 2007-01-22 2008-01-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용 침구
KR101720430B1 (ko) * 2015-09-18 2017-03-27 서경원 스마트 베이비 침대, 및 스마트 베이비 침대 시트
CN206910144U (zh) * 2017-01-10 2018-01-23 厦门梦贝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携带方便的新型婴儿小睡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15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964B2 (en) Delivery of audio and tactile stimulation therapy for animals and humans
US8803682B2 (en) Sleep-posture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US8361000B2 (en) Automated infant massager
JP5689169B2 (ja) 頭蓋整形具、頭蓋整形具を備えたシステム、および頭蓋整形具を装着している人の状態を検知する方法
KR102018350B1 (ko) 캥거루 케어 시스템
CA2681225C (en) Automated infant massager
US20130096368A1 (en) Uterine sound and motion simulation device
CN111248904B (zh) 一种婴幼儿看护装置及其方法
JP2016536094A (ja) 睡眠障害の監視及び治療
KR101652437B1 (ko)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AU2011248559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person wearing head gear
US20110245737A1 (en) Fetal stimulation device
WO2020113350A1 (es) Dispositivo para evitar episodios de apnea en infantes
NL2017506B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CN203736193U (zh) 枕头
KR100539398B1 (ko) 자궁환경형 요람
KR20130072428A (ko) 유아 급사 방지구 및 유아 급사 방지구를 포함하는 유아 안전 관리 시스템
CN103961196A (zh) 模拟母亲婴儿保育仿真设备
CN203953889U (zh) 模拟母亲婴儿保育仿真设备
KR101965797B1 (ko) 아기머리보호패드
CN210672907U (zh) 一种睡姿矫正用孕妇枕
CN216603204U (zh) 早产儿减音防光专用保护垫
KR200324009Y1 (ko) 자궁환경형 요람
TWM592745U (zh) 早產兒照護墊
Antunovic Strollers, Baby Carriers, and Infant Stress: Horizontal Versus Upright Transport in Early Infa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