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585B1 -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585B1
KR102017585B1 KR1020170144363A KR20170144363A KR102017585B1 KR 102017585 B1 KR102017585 B1 KR 102017585B1 KR 1020170144363 A KR1020170144363 A KR 1020170144363A KR 20170144363 A KR20170144363 A KR 20170144363A KR 102017585 B1 KR102017585 B1 KR 10201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um screen
plate
fram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997A (ko
Inventor
정동환
김태영
강문신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7014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분산날개가 형성되어 유입된 하폐수로부터 원수를 분리하고 남은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드럼스크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을 지지하면서 드럼 스크린을 회전 가능하게 받쳐주는 롤러;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롤러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다리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홈과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걸고리가 형성된 고정식슬러지박스; 및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의 상단에 걸쳐져 슬라이딩 되고, 메시망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럼스크린에서 떨어지는 슬러지가 적층될 때 수분을 배출시키는 이동식슬러지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Drum screen for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having a sludge storage appratus}
본 발명은 하수나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드럼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은 생물학적 공정이나 물리화학적 공정으로 하수나 오폐수에 포함된 용존오염물질과 미생물 및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함으로써 정화하는 장치이다.
드럼스크린 장치는 이와 같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수나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이나 물리적 공정으로 처리할 때, 하수와 오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질, 고형물질, 협잡물 등과 같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하는 장치이다.
드럼스크린 장치는 하수나 오폐수를 받아 들여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한 후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을 이루는 처리조로 유입시켜야 하므로, 이물질을 걸러내기 쉽고 물빠짐이 좋은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다. 드럼 스크린은 원통형의 드럼 프레임에 메시망이 감겨져 있어 명명한 것인데, 메시망은 물빠짐이 좋아서 드럼 스크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재료이다.
드럼스크린은 고정된 상태로 이용하면 하수나 오폐수가 드럼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통하여 걸려지므로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히므로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켜 하수나 오폐수(이하, '하폐수'라 칭함)를 걸려내면서 발생된 이물질(슬러지)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각종 동력 수단이 필요하고 이러한 동력 수단을 드런 스크린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것이 드럼스크린 장치이다.
하폐수에서 발생되어 드럼 스크린의 메시망은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크면서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걸죽한 상태의 슬러지가 된다. 즉, 점성이 있어서 드럼 스크린을 기울이지 않으면 잘 토출되지 않지만, 드럼 스크린을 기울이면 하폐수가 한쪽으로 쏠려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므로 드럼 스크린 내부에 하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발생된 이물질을 드럼 스크린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분산날개가 형성된다. 분산날개는 나선 형태로 되어 있어서 앞쪽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드럼 스크린이 회전하는 동안 전진시켜 뒷쪽으로 이동시킨 후 드럼 스크린 외부로 토출시킨다.
지금까지 드럼 스크린을 이용하여 하폐수를 걸러내면서 발생된 슬러지는 바닥을 파서 받아내 모았다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처리하거나 별도의 슬러지저장조를 마련하여 받아내 모았다가 비워내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그런데, 슬러지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방치되어 있으면 악취가 심하여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요원들은 물론이고,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을 운영할 때 민원의 주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드럼 스크린 장치는 24시간 동안 가동되지 않고 수분 동안 가동후 처리조에 하폐수를 다 채우면 수시간 동안 멈추고 다시 가동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가동이 멈춘 상태에서도 슬러지는 부폐가 진행되므로 악취가 더 심해지는데, 부폐의 진행을 막기 위한 별 다른 장치가 없어서 악취 문제는 시스템 운영에서 작업 환경을 높일 때 중요한 문제 사항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133601호 (2012.12.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116566호 (2005.12.1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7874호 (2006.01.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4924호 (2015.09.1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저장장치를 드럼 스크린 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켜 슬러지의 무게도 줄이고, 슬러지가 부폐되는 속도도 늦춰 악취을 감소시키고, 탈착과 부착도 간단하게 하여 슬러지 처리 작업을 단순화 시키며, 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악취성 수분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분산날개가 형성되어 유입된 하폐수로부터 원수를 분리하고 남은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드럼스크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을 지지하면서 드럼 스크린을 회전 가능하게 받쳐주는 롤러;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롤러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다리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홈과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걸고리가 형성된 고정식슬러지박스; 및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의 상단에 걸쳐져 슬라이딩 되고, 메시망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럼스크린에서 떨어지는 슬러지가 적층될 때 수분을 배출시키는 이동식슬러지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는 바닥판의 좌,우에 좌판과 우판이 형성되고, 뒤에는 후판이 형성되며, 상기 우판의 하부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유체가 모여서 흐를 수 있는 배출홈이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도록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저부에는 상기 거치대에 끼울 수 있는 한쌍의 걸고리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고리에는 바닥판을 받쳐주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좌보강대와 우보강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식슬러지박스는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의 좌판과 우판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좌테와 우테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전방에는 전방막음판 후방에는 후방막음판을 결합시켜 일체화되어 있고, 전방막음판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이 형성되며, 후방막음편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막음판과 후방막음판의 양측단과 하단을 연결하면서 막고, 양단이 상기 좌테와 우테에 각각 결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슬러지가 적층되면 그 슬러지에서 수분만 배출되도록 하는 메시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취가 심한 슬러지를 드럼스크린 장치 주변에 방치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으므로, 드럼스크린 장치 운영중에 발생되는 슬러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이동식슬러지박스에 적층되는 슬러지에서 지속적으로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슬러지박스에 슬러지가 적층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고, 미생물이 번식할 때 절대적 요소인 수분을 배출시켜 슬러지를 건조되게 함으로서 악취의 발생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지저장장치에 쌓인 슬러지는 간단하게 비어낼 수 있으므로 슬러지 버리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슬러지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프레임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드럼스크린 장치를 필요에 따라 탈착시키면서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드럼스크린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스크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스크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스크린에 분산날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슬러지박스와 이동식슬러지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슬러지박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슬러지박스가 고정식슬러지박스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저장장치에 슬러지가 적층되면서 슬러지에 포한된 수분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어 각종 구성부들이 설치되는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프레임(110) 위에는 드럼스크린(120)이 설치된다. 드럼스크린(120)은 유입관(130)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하폐수로부터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각종 부유물질, 고형물질, 협잡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하폐수를 다음 단계의 처리조로 흘러 보낼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다. 드럼스크린(120)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스크린이 회전될 때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형의 분산날개(122)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10) 위에는 전후로 각각 한쌍의 롤러(140)를 설치하여 그 위에 드럼스크린(110)을 올려 놓음으로써 드럼스크린(110)이 롤러(140) 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140)의 일측에는 전동모터(150)가 설치되어 롤러(140)와 연결됨으로써 전동모터(150)의 구동으로 롤러(140)를 회전시켜 그 위의 드럼스크린(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펌프(160)를 설치하고, 펌프(160)에 물공급관(162)을 연결하여 드럼스크린(120)의 일측에 연결한 후, 물공급관(162)의 일측에 밸브(164)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밸브(164)를 온/오프 시켜 깨끗한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드럼스크린(120)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드럼스크린(120)과 일정 거리 이격시켜 슈트(170)를 설치한다. 슈트(170)는 드럼스크린(120)에서 발생 된 슬러지가 배출될 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쪽은 막혀 있고 한쪽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부분으로 슬러지가 유입되면서 비산될 때 다른 한쪽은 막혀 있어 외부로 슬러지가 비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110)은 전후좌우에 각각 하나씩 4개의 다리(112)로 지지되어 있는데, 후방 하부의 두개 다리(112) 사이를 연결하는 거치대(180)를 형성한다. 거치대(180)는 프레임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기능도 하지만 후술하는 슬러지박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거치대(180)에는 고정식슬러지박스(210)가 설치된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판(212), 좌판(214), 우판(216), 후판(218)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한쪽면이 열려 있는 사각박스 형태가 된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바닥판(212) 저면에는 양쪽으로 이격된 한쌍의 걸고리(220)가 형성된다. 걸고리(220)는 바닥판(212)의 뒷부분 끝에 설치된다. 걸리고(220)는 강편을 (∩)와 같은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 열려 있는 쪽이 거치대(180)에 위에 끼워진다. 걸고리(220)에는 걸고리의 일측면에 맞대어져 용접되거나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된 후 연장되어 바닥판의 앞 부분까지 이어지는 좌보강대(230a)와 우보강대(230b)가 형성된다.
좌보강대(230a)와 우보강대(230b)는 모두 고정슬러지박스(210)가 걸고리(220)에 의해서 거치대(180)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식슬러지박스(210)가 후술하는 이동식슬러지박스에 슬러지가 쌓여서 무거워지면 걸고리(220) 만으로는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우므로 좌보강대와 우보강대가 그 하중을 분산시켜 걸고리와 바닥판 및 고정식슬러지박스의 휘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한다. 좌보강대(230a)에는 후술하는 배출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공(23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바닥판(212)에는 바닥판 보다 낮게 반원형으로 배출홈(240)이 형성된다. 배출홈(240)은 슬러지에서 떨어지는 수분이 흘러들어 배출되는 곳으로, 바닥판(212)을 누르거나 바닥판을 따내고 반원형의 파이프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배출홈(240)은 바닥판의 한쪽에서 부터 가로질러 길게 형성하거나 가운데 부분에서 시작하여 형성되어도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하폐수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가운데 부터 형성하였다. 배출홈(240)의 끝은 우판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공(242)에 연결되고, 배출공(242)에는 배출홈(240)과 연통되는 배출관(250) 겹합된다. 배출관(250)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에 다른 배출관과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플랜지(25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250)은 관공(232)에 삽입되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서, 배출관(250)이 형성되어도 좌보강대(230a)에 간섭되지 않는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수용공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안착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는 수용공간에 조립되어 앞뒤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작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좌테(270)와 우테(280)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전방에는 전방막음판(290) 후방에는 후방막음판(310)을 결합시켜 일체화시킨 것이다.
좌테(270)와 우테(280)는 외측으로 한번 절곡된 절곡편(bp)이 형성되어 있고, 좌테(270)와 우테(280)의 상부에는 각각 손잡이(hd)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의 높이는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좌판(214)과 우판(216)의 높이 보다 낮다.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은 동일한 높이로서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조립되면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바닥판(212)에서 1 ~ 5cm 정도 들뜬 상태가 된다.
전방막음판(29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320)이 형성되고, 후방막음편(310)의 상단에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320)이 형성된다. 지지편(320)은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슬러지가 적층되어 무거워질 때 그 하중에 이동시슬러지박스가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하면서 받쳐주는 것으로, 지지편(320)의 저면은 좌테(270)와 우테(280)의 상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한다.
좌테(270)와 우테(280)의 전후방에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이 결합되면, 좌테(270)와 우테(280)를 기준으로 전후면은 막히고, 좌우면과 저면은 열린 상태가 되는데, 여기에 메시망(330)을 (┗┛)와 같은 형태로 절곡시켜 결합함으로써 상면을 제외한 열린 공간을 모두 막는다. 따라서 좌테(270), 우테(280), 전방막음판(290), 후방막음판(310)으로 이루어진 이동식슬러지박스(260)는 상부만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가 된다.
메시망(330)은 전후측면이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서 빈틈이 없도록 하고, 전망막음판(290) 하단 모서리와 후방막음판(310)의 하단 모서리를 상호 연결되는 보강대를 형성하여 얇은 철망을 절곡하여 형성된 메시망(330)이 적층되는 슬러지에 의해 하중이 가중될 때 쳐지지 않고 단단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슬러지박스(210)를 거치대에 고정시킨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 하부에 형성된 걸고리(220)의 열린 부분을 프레임의 다리 사이에 형성된 거치대(180)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가 거치대(18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고정식슬러지박스(210)에 조립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수용공간에 조립하면,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좌테(270)와 우테(280)는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좌판(214) 상단과 우판(216) 상단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이동식슬러지박스(260)는 높이 차이로 인해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바닥판(212)에서 1 ~ 5cm 정도 들뜬 상태가 된다. 좌판(214) 상단과 우판(216) 상단은 수평이어서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조립된 상태에서 잡아당기거나 밀면 좌판(214) 상단과 우판(216) 상단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 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슬라이딩은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슬러지로 가득 채워져 비어내야 할 때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손으로 들어내지 않고 살짝 잡아당겨 그 하부에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받치고 들어낼 때 작업의 편의성을 준다.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에 형성된 지지편(320)은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조립되었을 때 후판(218)의 상단과 좌판(214) 및 우판(216)의 상단 끝에 안착되어 좌테(270)와 우테(280) 만으로 지지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한다.
좌테(270)와 우테(280)에 형성된 절곡편(bp)은 좌테와 우테가 좌판(214)과 우판(216)의 상단을 슬라이딩 할 때 좌우측으로 요동치거나 벗어나는 것을 막아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스크린 장치가 작동될 때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때도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과도하게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식슬러지박스(210)가 거치대(180)에 고정되고,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고정식슬러지박스(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드럼스크린 장치를 작동시키면 유입관(130)을 통해 하폐수가 드럼스크린(120)으로 유입되고, 드럼스크린을 통해 하폐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이물질인 슬러지는 걸러지고 하폐수는 시스템의 다음 조로 유입된다.
드럼스크린(120)은 전동모터(150)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롤러에 의해 한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데, 드럼스크린(1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의 분산날개(12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드럼스크린(120)의 끝 부분에서 이동식슬러지박스(260)로 떨어진다. 이때 드럼스크린(120)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슬러지가 멀리까지 비산될 수 있는데 그 앞에 형성된 슈트(170)에 의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슬러지가 떨어지면, 슬러지는 메시망(330)에 걸려서 적층되지만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메시망(330) 아래로 흘러내린다. 흘러내린 수분은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바닥판(212)에 떨어져 배출홈(240)을 타고 흐르다가 배출관(25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슬러지가 적층되어 가득차면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비어내야 하는데, 이때는 손잡이(hd)를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손잡이(hd)를 잡아당기면 좌테(270)와 우테(280)가 좌판(214)과 우판(216)의 상단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빠져나온다. 책상 서랍처럼 빠져나온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손잡이를 잡고 들어내어 옮겨서 인력으로 처리할수도 있지만,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하부에 지게차와 같은 이동수단에 실어 날라 처리한다. 비어 낸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고정식슬러지박스(210)에 다시 조립하여 슬러지를 받아내면 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크기는 드럼 스크린 장치가 수일 동안 가동되어야만 다 채워질 수 정도의 크기이므로 드럼 스크린 장치를 수 시간 가동 후 멈추면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모인 슬러지는 적층된 상태로 있게 되어 악취가 심하게 날 수 있지만, 이때에도 지속적으로 수분이 배출되어 슬러지가 건조되므로 악취의 발생이 크게 감소 된다.
드럼스크린(120)을 통해서 드럼스크린 밖으로 떨어지는 슬러지에 수분이 함유량이 적다 하더라도 적층된 슬러지에서 수분이 지속적으로 빠지지 않으면 적층된 상태로 부폐가 가속되어 악취가 더 심해지지만,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는 메시망(330)이 바닥판(212)에서 들뜬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속으로 수분이 빠져나가 슬러지가 건조되므로 부폐의 진행이 가속되지 않는다. 즉 드럼스크린 장치에 장착된 상태의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적층된 상태로 있는 슬러지에서 수분이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메시망(330)의 형성은 악취감소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에 슬러지가 적층될수록 하중이 가중되어 좌테(270)와 우테(280) 만으로 하중을 지지하면 이동식슬러지박스(260) 전체가 휘거나 뒤틀릴 수도 있는데,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에 형성된 절곡편(bp)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므로 이동식슬러지박스(260)의 휨이나 뒤틀림이 방지된다.
이동식슬러지박스(260)는 고정식슬러지박스(210)에 올려진 상태이므로, 이동식슬러지박스(260)가 무거워질수록 그 하중이 그대로 고정식슬러지박스(210)로 전달된다. 고정식슬러지박스(210)에 하중이 가중되면 고정식슬러지박스(210)를 받치고 있는 걸고리(220)에 하중이 가중되어 걸고리(220)나 걸고리가 결합된 바닥판(212) 부분이 휘거나 뒤틀리고, 심하면 손상될 수도 있는데, 걸고리(220)와 일체로 결합된 좌보강대(230a)와 우보강대(230b)에 그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함으로써 걸고리(220)와 걸고리가 연결된 부분 및 고정식슬러지박스(210) 전체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한다.
드럼스크린 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식슬러지박스(210)와 이동식슬러지박스(260)로 이루어진 슬러지 저장장치를 프레임(110)에서 분리해 놓으면 된다.
110 : 프레임 112 : 다리
120 : 드럼스크린 122 : 분산날개
130 : 유입관 140 : 롤러
150 : 전동모터 160 : 펌프
162 : 물공급관 164 : 밸브
170 : 슈트 180 : 거치대
210 : 고정식슬러지박스 212 : 바람판
214 : 좌판 216 : 우판
218 : 후판 220 : 후판
230a : 좌보강대 230b : 우보강대
240 : 배출홈 242 : 배출공
250 : 배출관 252 : 플랜지
260 : 이동식슬러지박스 270 : 좌테
280 : 우테 290 : 전방막음판
310 : 후방막음판 320 : 지지편
330 : 메시망

Claims (5)

  1.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분산날개가 형성되어 유입된 하폐수로부터 원수를 분리하고 남은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드럼스크린(120);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드럼스크린을 지지하면서 드럼 스크린을 회전 가능하게 받쳐주는 롤러(140);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롤러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150);
    상기 프레임의 다리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대(180);
    바닥판(212)의 좌,우에 좌판(214)과 우판(216)이 형성되고, 뒤에는 후판(218)이 형성되며, 상기 우판(216)의 하부 일측에 배출공(24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12)에는 유체가 모여서 흐를 수 있는 배출홈(240)이 상기 배출공(242)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242)에는 상기 배출홈(240)과 연통되도록 배출관(25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12)의 저부에는 상기 거치대(180)에 끼울 수 있는 한쌍의 걸고리(220)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고리(220)에는 바닥판(212)을 받쳐주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좌보강대(230a)와 우보강대(230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고정식슬러지박스(210); 및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의 상단에 걸쳐져 슬라이딩 되고, 측면과 저면에 메시망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럼스크린에서 떨어지는 슬러지가 적층될 때 메시망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는 이동식슬러지박스(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슬러지박스(260)는
    상기 고정식슬러지박스(210)의 좌판(214)과 우판(216)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좌테(270)와 우테(280)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전방에는 전방막음판(290) 후방에는 후방막음판(310)을 결합시켜 일체화되어 있고, 전방막음판(29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320)이 형성되며, 후방막음편(3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편(320)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막음판(290)과 후방막음판(310)의 양측단과 하단을 연결하면서 막고, 양단이 상기 좌테(270)와 우테(280)에 각각 결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슬러지가 적층되면 그 슬러지에서 수분만 배출되도록 하는 메시망(3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50)의 단부에는 다른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2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테(270)의 외측에는 좌테(270)가 좌판(214)의 상단에서 슬라이딩 될 때 좌우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편(bp)이 형성되고, 상기 우테(280)의 외측에도 우테(280)가 우판(216)의 상단에서 슬라이딩 될 때 좌우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편(b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0170144363A 2017-11-01 2017-11-01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01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63A KR102017585B1 (ko) 2017-11-01 2017-11-01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63A KR102017585B1 (ko) 2017-11-01 2017-11-01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97A KR20190048997A (ko) 2019-05-09
KR102017585B1 true KR102017585B1 (ko) 2019-09-03

Family

ID=6654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363A KR102017585B1 (ko) 2017-11-01 2017-11-01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71A (ko) 2021-11-01 2023-05-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23B1 (ko) 2021-01-18 2021-06-28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772856A (zh) * 2022-04-27 2022-07-22 深圳世纪盛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膜生物反应器的污水处理系统及污水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317A (ja) * 2001-10-16 2003-04-22 Shinko:Kk 水処理装置
KR200444922Y1 (ko) * 2008-11-25 2009-06-16 강경철 하수처리용 드럼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712B1 (ko) 2004-06-08 2006-02-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100552637B1 (ko) 2004-07-22 2006-02-21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간편 조립형 오폐수 처리용 침지식 분리막 유니트 장치
KR101281642B1 (ko) 2011-05-31 2013-07-03 강문신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KR101554924B1 (ko) 2015-04-01 2015-09-22 씨제이대한통운 (주)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317A (ja) * 2001-10-16 2003-04-22 Shinko:Kk 水処理装置
KR200444922Y1 (ko) * 2008-11-25 2009-06-16 강경철 하수처리용 드럼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71A (ko) 2021-11-01 2023-05-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9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585B1 (ko) 슬러지 저장장치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US7846331B2 (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for vacuum truck
US20110198268A1 (en) Hybrid rotary screen separator
US10286340B2 (en) Feed systems and methods for rotary screen separators
EP31790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watering septic sludge
US202001221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particulate from raw slurry material
US20130299395A1 (en) Hybrid Rotary Screen Separator
CN108067022A (zh) 一种倾斜式可翻转过滤装置及方法
US201500081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Particulate from Raw Slurry Material
CN112237764B (zh) 一种城市生活污水初步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US7323022B1 (en) Vacuuming machine
CN111908724A (zh) 一种市政污水处理系统
CA2653425C (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for vacuum truck
KR102644074B1 (ko)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CN110526541A (zh) 一种螺旋压榨机
NZ232468A (en) Filter assembly with at least two screen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CN215161532U (zh) 一种地下管网污水处理装置
CN210313755U (zh) 河道排污口污水处理装置
CN202876446U (zh) 砂水分离器
CN210423060U (zh) 一种便于拆卸的排污泵
WO2017044028A1 (en) Device for dewatering and purification of sludge or dredged material
CN213867714U (zh) 一种河道治理净化装置
DE3035224C2 (de) Schlammsaugewagen
CN116899311B (zh) 一种污水预过滤装置及过滤方法
CN221753903U (zh) 一种芝麻筛选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