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569B1 -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569B1
KR102017569B1 KR1020170054979A KR20170054979A KR102017569B1 KR 102017569 B1 KR102017569 B1 KR 102017569B1 KR 1020170054979 A KR1020170054979 A KR 1020170054979A KR 20170054979 A KR20170054979 A KR 20170054979A KR 102017569 B1 KR102017569 B1 KR 10201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circuit
power
circuit breaker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957A (ko
Inventor
이상호
구본철
정준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신동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신동아(주) filed Critical 파나소닉신동아(주)
Priority to KR102017005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시전원의 정전 또는 과부하로 상시전원이 차단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발전기로부터 인입되는 비상전원을 사용 가능케 하는 스위치인 전원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공간배치 활용도 향상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로부본체, 상기 회로부본체의 작동에 따라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 상기 회로부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기와 결합할 수 있는 측면안착부 및 상기 회로부본체와 상기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며, 상기 측면안착부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차단기는 결합돌기를 가져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측면안착부의 하부에 경사진 돌출부를 가져 상기 차단기가 슬라이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Side attached automatic power transfer unit}
본 발명은 전원 자동 절환장치로써, 상세하게는 회로부본체의 측면에 차단기를 배치하고,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배치 활용도 향상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자동 절환장치는 상시전원의 정전 또는 과부하로 인하여 상시전원이 차단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발전기로부터 인입되는 비상전원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종래에는 전자 및 전기 회로로 구성된 회로부본체는 외부의 먼지나 충격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차단기가 분전반 내부에 있어 차단기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차단기와 회로부본체를 일체화하고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발명이 고안되었다. 이 발명에서는 차단기와 회로부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부하단자의 결합을 나사 조임 상태로 하였고, 차단기와 회로부본체를 분전반에 설치시 상하로 배치하여 연결하도록 하였다.
다만, 종래에 고안된 전원 자동 절환장치는 차단기와 회로부본체의 결합을 종으로 배치하여 그 설치에 있어 제약이 있고, 설치 및 교체시 부하단자를 삽입하고 나사 조임으로 결합하는 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차단기나 회로부본체 어느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차단기와 회로부본체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457310 y1 KR 100907298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회로부본체와 차단기의 결합에 있어, 차단기와 회로부본체의 배치를 종에서 횡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분전반의 배치 운용에 있어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고, 원터치로 차단기가 되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는 회로부본체, 상기 회로부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기, 상기 회로부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본체의 상부면과 배면이 연장된 형태를 가진 측면안착부 및 상기 회로부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안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자인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전반에서 상시전원의 차단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인 전원 자동 절환장치에 대한 것으로써, 종래의 전원 자동 절환장치가 차단기와 회로부본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단자의 삽입 후 나사결합에 의한 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차단기의 고정도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차단기의 설치 및 교체에 있어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차단기나 회로부본체 어느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차단기와 회로부본체 전체를 교체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차단기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단하게 설치 및 교체를 할 수 있게 되어 해당 작업의 실시시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문제가 생긴 구성요소 하나만을 교체하기 용이하게 되어 정상작동하는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게 교체되지 않게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는, 종래의 차단기와 달리 소형화된 차단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중요하게는 차단기가 회로부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횡으로 배치됨에 따라 분전반 내의 메인차단기, 누전차단기 및 부스바 배치에 있어 공간활용의 유연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차단기가 측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차단기가 측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전원 자동 절환장치는, 상시전원의 정전 또는 과부하로 인하여 상시전원이 차단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발전기로부터 인입되는 비상전원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차단기와 회로부본체가 종래 종으로 배치되며 나사결합에 의해서만 체결되었던 것을, 소형화된 차단기와 회로부본체를 횡으로 배치되도록 개발하고, 원터치로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분전반내에서의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고안된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차단기가 측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차단기가 측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전원 자동 절환장치는 회로부본체(100)와 과부하가 인입되면 상시전원을 자동 및 수동으로 차단하는 차단기(200), 상기 의 측면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기(200)의 하부와 결합할 수 있는 측면안착부(300) 및 상기 와 상기 차단기(200)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구성요소인 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서 상기 전원 자동 절환장치 회로부본체(100)의 LED표시부(170) 및 차단기(200)의 스위치(210)가 위치하는 면을 전면으로 하고, 회로부본체(100)와 차단기(200)가 결합하도록 연결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면을 상부면으로 정의하고 이하 살펴본다.
상기 회로부본체(100)는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자동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절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상부면에는 상시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개구부로 형성된 상시전원입력단(110)을 구비하고, 하부면에는 개구부로 형성된 전원출력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부본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상시전원입력단(110)과 전원출력단(130)이 형성하는 개구부의 깊이방향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단자의 삽입시 회로부본체(100)의 전면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상시전원입력단(110)과 전원출력단(130)으로 삽입된 외부단자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전면에는 전원 자동 절환동작에 따라 그 상태인 비상 및 상시전원임을 표시하는 LED표시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내부 기능 및 구성은 종래 공지된 발명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210)를 가지고 있는 차단기(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차단기(200)는 전면에 스위치(210)를 가지고 있고, 하부면에는 비상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개구부로 형성된 비상전원입력단(230)이 구비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깊이방향 측면에 대응되는 차단기(200) 전면에는 상술한 회로부본체(100)의 상시전원입력단(110)과 전원출력단(130)의 결합방식과 동일하게 나사결합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200)의 상부면에는 회로부본체(100)의 측면에서 돌출된 후술할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90)을 가지고 있다. 홈의 내부에는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 판스프링형 전도체(250)가 가이드홈(290) 내부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어 판형 연결부의 삽입에도 전기적으로 단락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20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270)가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270)는 후술할 측면안착부(300)의 정면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삽입후 홀에 걸림이 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70)의 끝단이 상부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있어 상부로 절곡된 고리형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일부분으로써 상기 차단기(200)가 결합하는 부분인 측면안착부(300)를 살펴본다.
상기 측면안착부(300)는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측면 하부가 연장된 부분과 의 상부면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안착부(3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연결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측면안착부(300) 하부의 높이는 회로부본체(100)가 형성하는 높이에서 후술할 차단기(200)의 높이를 차감한 만큼의 높이, 즉 차단기(200)와 측면안착부(300)의 하부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높이가 회로부본체(1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회로부본체(100)와 차단기(200)가 결합시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정면에 위치한 회로부본체(100)의 정면과 차단기(200)의 정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측면안착부(300)가 회로부본체(100)의 측면에서부터 연장된 폭은 차단기(200)의 폭과 동일하여 차단기(200)와 결합시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측면은 차단기(200)의 측면과 측면안착부(300)의 측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안착부(300)의 정면에는 상술한 차단기(2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310)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홈(310)은 폭은 결합돌기(270)와 동일하고 길이는 결합돌기(27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차단기(200)가 결합시에 도 7과 같이 측면안착부(300)에 비스듬히 결합됨에 따라 결합의 시작단계에서부터 결합돌기(270)가 삽입될 수 있고,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결합홈(310)의 상부와 결합돌기(270)가 가진 절곡된 부분이 걸림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안착부(300)의 하부측에는 차단기(200)가 결합시에 차단기(200)의 하부면에서 상부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차단기(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30)는 도 8과 같이 차단기(200)가 측면안착부(300)로 비스듬히 결합할 때, 차단기(200)의 하부면과 배면이 형성하는 모서리가 걸림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330)의 형상은 차단기(2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로부본체(100)와 상기 차단기(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부를 살펴본다.
상기 연결부는 회로부본체(100)가 차단기(200)가 결합하는 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회로부본체(100)의 내부로부터 단자가 돌출되는 형상이다.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로부본체(100)와 차단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써, 차단기(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9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부스바와 같은 판형 전도체가 넓은 면이 보이도록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써 차단기(200)가 측면안착부(300)로 비스듬히 결합될 때 가이드홈(290)으로 삽입되고, 가이드홈(290) 내부의 판스프링형 전도체(250)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차단기(200)가 측면안착부(300)로 결합되는 일련의 과정을 본다. 도 7과 같이 차단기(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90)을 연결부에 비스듬히 끼워맞춤하며 셋팅하면, 차단기(200)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70)가 측면안착부(300) 정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차단기(200)의 정면을 배면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차단기(200)의 배면과 하부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측면안착부(300) 하부측에 형성된 돌출부(330)의 경사진 형상에 따라 회전 슬라이딩하여 결합되고 이에 따라 차단기(200)의 상하방향으로 고정이 되고, 차단기(200) 상부면의 가이드홈(290)에 연결부가 완전히 삽입이 되고, 차단기(200) 배면의 결합돌기(270)의 절곡부가 측면안착부(300)의 결합홈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차단기(200)가 정면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는 바,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
100: 회로부본체
110: 상시전원입력단
130: 전원출력단
150: 관통홀
170: LED표시부
200: 차단기
210: 스위치
230: 비상전원입력단
250: 판스프링형 전도체
270: 결합돌기
290: 가이드홈
300: 측면안착부
310: 결합홈
330: 돌출부
400: 연결부

Claims (4)

  1. 회로부본체(100);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기(200);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본체의 상부면과 배면이 연장된 형태를 가진 측면안착부(300); 및
    상기 회로부본체(100)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안착부(3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자인 연결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안착부(300)는 결합홈(310)을 가지고, 상기 차단기(200)는 상기 결합홈(310)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70)를 가져 원터치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단기(200)가 슬라이딩하여 결합하는 경사진 돌출부(3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54979A 2017-04-28 2017-04-28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KR1020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79A KR102017569B1 (ko) 2017-04-28 2017-04-28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79A KR102017569B1 (ko) 2017-04-28 2017-04-28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57A KR20180120957A (ko) 2018-11-07
KR102017569B1 true KR102017569B1 (ko) 2019-09-03

Family

ID=6436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79A KR102017569B1 (ko) 2017-04-28 2017-04-28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83B1 (ko) * 2012-04-02 2012-08-21 (주)써지프리 차단기와 연결 구조를 갖는 조합형 서지보호기
JP2015156291A (ja) * 2014-02-20 2015-08-27 日東工業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の接続相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98B1 (ko) 2009-03-04 2009-07-13 주식회사 유코스텍 부하 분리 상태에서 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개선된 전원자동절체장치
KR200457310Y1 (ko) * 2009-11-27 2011-12-13 파나소닉전공신동아 주식회사 전원자동 절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83B1 (ko) * 2012-04-02 2012-08-21 (주)써지프리 차단기와 연결 구조를 갖는 조합형 서지보호기
JP2015156291A (ja) * 2014-02-20 2015-08-27 日東工業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の接続相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57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KR102017569B1 (ko) 탈착이 간단한 측면형 전원 자동 절환장치
MX2012009961A (es) Accesorio de anclaje mejorado para cortacircuitos.
CN206742521U (zh) 一种pcb连接器及连接结构
CN205488651U (zh) 电子卡装置
CN105873395A (zh) 一种空调壁挂机及其电器盒
US20080242119A1 (en) Bus connector with at least two cable connections for bus lines
KR101783942B1 (ko) 원터치 보호커버를 구비한 릴레이 소켓
KR102013257B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101321178B1 (ko) 보안등 점멸기 외함의 부품 설치구조
KR101503319B1 (ko) 차단기용 단자 커버
CN105703327A (zh) 一种组装方便的自复式过欠压保护器
CN105048215A (zh) 自动短路功能的电连接器
KR20160002644U (ko) 분전반
CN202142679U (zh) 一种短路电连接器
JP2020054102A (ja) 分電盤
KR20180003568U (ko) 분전반 측면에 콘센트의 부착장치
CN201689857U (zh) 用于直插式电器盒的备用保险结构
KR200287656Y1 (ko) 단자대
KR101151631B1 (ko) 분전반용 접지단자대
CN204464572U (zh) 排插组件
CN210350211U (zh) 一种新型航空插头
CN101770902B (zh) 断路器
RU2666748C2 (ru) Сдвоенная настенная розе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