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312B1 - 연료전지용 개스킷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312B1
KR102017312B1 KR1020137034361A KR20137034361A KR102017312B1 KR 102017312 B1 KR102017312 B1 KR 102017312B1 KR 1020137034361 A KR1020137034361 A KR 1020137034361A KR 20137034361 A KR20137034361 A KR 20137034361A KR 102017312 B1 KR102017312 B1 KR 10201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eparator
fuel cell
mea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148A (ko
Inventor
타카유키 호리모토
쇼타로 코가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3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having meandering or serpentine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4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저비용화를 실현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6(7))와 MEA(5)의 사이에 개재되는 GDL(3(4))의 외주에 고무상 탄성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세퍼레이터(6(7))와 밀착접촉되는 연료전지용 개스킷(1(2))으로서, 이 개스킷(1(2))의 세퍼레이터(6(7))와의 대향면에, 이 개스킷(1(2))에 천공된 매니폴드 구멍(1a(2a))과 MEA(5)에 의한 가스 반응 영역(10A)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장되는 가스 도입홈(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도입홈(1b)은 고무상 탄성재료에 의한 개스킷(1(2))의 성형과 동시에 형성가능하며, 세퍼레이터(6(7)) 측에 가스 도입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개스킷{GASKET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발전(發電) 요소를 구성하는 연료전지 셀에 이용되며, GDL(Gas Diffusion Layer:가스 확산층)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전지는, 전해질막 및 그 양면에 설치된 미도시의 촉매전극층으로 이루어지는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막-전극복합체)(101)를,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GDL(102, 103)을 통해서 세퍼레이터(104, 105)로 끼워 유지함으로써, 발전의 최소단위인 연료전지 셀(100)이 구성되어 있다. GDL(102, 103)의 외주측에는, 각각 고무상(rubber-like) 탄성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106, 107)이, GDL(102, 103)의 가장자리부에 고무상 탄성재료의 일부가 함침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04, 105) 및 개스킷(106, 107)에는 각각 복수의 매니폴드 구멍 (manifold holes, 104a, 105a, 106a, 107a)이 천공되어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04, 105)에 있어서의 GDL(102, 103)과의 대향면(도 13에 나타내는 MEA(101)에 의한 가스 반응 영역(100A))에는 연료 가스 반응용 홈(fuel gas reaction grooves, 104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oxidant gas reaction grooves, 105b)이 형성되고, 더욱이 세퍼레이터(104, 105)에 있어서의 개스킷(106, 107)과의 대향면에는 매니폴드 구멍(104a, 105a)과 가스 반응 영역(100A)(연료 가스 반응용 홈(104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105b))의 사이를 연통하는 가스 도입홈(104c) 및 가스 도입홈(10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적층상태에서는, 세퍼레이터(104, 105)의 매니폴드 구멍(104a, 105a)과 개스킷(106, 107)의 매니폴드 구멍(106a, 107a)이 서로 중합(重合)(연통)됨으로써 연료 가스, 산화제 가스나 냉매의 공급 통로 및 배출 통로(매니폴드 구멍)가 형성된다.
즉 이러한 종류의 연료전지는, 각 연료전지 셀(100)에 있어서, 매니폴드 구멍을 유통하는 연료 가스(수소)가, 가스 도입홈(104c), 연료 가스 반응용 홈(104b) 및 일방의 GDL(102)을 통해서 MEA(101)의 일방의 촉매전극층(catalyst electrode layer)(애노드(anode))측에 공급되고, 다른 매니폴드 구멍을 유통하는 산화제 가스(공기)가, 가스 도입홈(105c),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105b) 및 타방의 GDL(103)을 통해서 MEA(101)의 타방의 촉매전극층(캐소드(cathode))측에 공급되며,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 즉 수소와 산소로 물을 생성하는 반응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연료전지 셀(100)에 의한 기전력(起電力)은 낮은 것이지만, 다수의 연료전지 셀(100)을 적층해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한 스택(stack)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기전력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개 2004-335453호 공보 일본 특개 2007-026847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연료전지는, 스택에 대하여 점점 소형화·저비용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GDL(102, 103)에 개스킷(106, 107)이 일체화된 구성으로 한 것은, 스택 조립 등에서의 작업성이 향상하여, 비용 저감에 유효하다. 그렇지만, 매니폴드 구멍과 가스 반응 영역(100A)(연료 가스 반응용 홈(104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105b)) 사이의 가스 도입홈(104c) 및 가스 도입홈(105c)은, 세퍼레이터(104, 105)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가공 비용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개량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의 저비용화를 한층 더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은, 세퍼레이터와 MEA의 사이에 개재되는 GDL의 외주에 고무상(rubber-like) 탄성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세퍼레이터와 밀착접촉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의 상기 세퍼레이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개스킷에 천공된 매니폴드 구멍과 상기 MEA에 의한 가스 반응 영역을 서로 연통(連通)하도록 연장되는 가스 도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보강판이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가스 도입홈이 보강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에 의하면, 개스킷에 형성된 가스 도입홈에 의해, 매니폴드 구멍과 가스 반응 영역의 사이에 반응 가스(연료 가스 및 산화제 가스)를 유통시키는 유로(流路)가 형성되며, 이 가스 도입홈은 고무상 탄성재료에 의한 개스킷의 성형과 동시에 형성가능하여, 세퍼레이터 측에 가스 도입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개스킷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판에 의해, 가스 도입홈에 의한 개스킷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방지되어, 연료전지 스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도입홈이 개스킷에 일체로 매설된 보강판에 형성됨으로써, 개스킷의 압축에 의한 가스 도입홈의 변형이 방지되고, 게다가 가스 도입홈의 형성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보상되므로, 연료전지 스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1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1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1의 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1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1의 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적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연료전지 셀에 있어서의 발전의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2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2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5의 V-V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2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5의 V-V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3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3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8의 VIII-VI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3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8의 VIII-VI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적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일예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일예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11의 XI-XI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일예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11의 XI-X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적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1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적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의 참조 부호 1, 2는 본 발명에 관한 개스킷이며, 고무상 탄성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실리콘 고무(VMQ), 불소 고무(FKM), 퍼플루오로 고무(perfluoro rubber, FFKM) 등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판형상 또는 시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GDL(Gas Diffusion Layer:가스 확산층)(3, 4)은, 금속제의 다공체나 카본 섬유 등, 가스의 유통을 허용하는 무수한 미세 관통틈새를 가지는 다공질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같은 형상 같은 크기의 판형상 또는 시트형상의 것이며, 개스킷(1, 2)은, 그 고무상 탄성재료의 일부가 GDL(3, 4)의 단부 가장자리부에 침투해서 경화함으로써, GDL(3, 4)의 외주를 포위하도록, 이 GDL(3, 4)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참조 부호 5는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막-전극복합체)이며, 전해질막 및 그 양면에 설치한 미도시된 촉매전극층으로 이루어지고, 참조 부호 6, 7은, 카본(carbon) 혹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이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적층상태에서는, MEA(5)를, 그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GDL(3, 4)을 통해서 세퍼레이터(6, 7)로 끼워유지함으로써, 발전의 최소단위인 연료전지 셀(10)이 구성된다. 이때, MEA(5)의 외주부는, 그 양측의 개스킷(1, 2)에 의해 밀착접촉하여 끼워 유지되며, 이 개스킷(1, 2)에 있어서의 MEA(5)와 반대측의 면은, 세퍼레이터(6, 7)에 밀착접촉된다.
개스킷(1, 2)에는, 각각 복수 쌍의 매니폴드 구멍(1a, 2a)이 천공되어 있으며, 세퍼레이터(6, 7)에도 개스킷(1, 2)의 매니폴드 구멍(1a, 2a)과 대응하는 위치에 매니폴드 구멍(6a, 7a)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적층상태에서는, 매니폴드 구멍(1a, 2a와 6a, 7a)이 서로 중합(重合)(연통, 連通)됨으로써 연료 가스, 산화제 가스나 냉매의 공급 통로 및 배출 통로(매니폴드 구멍)가 형성된다.
일방의 세퍼레이터(6)에 있어서의 GDL(3)과의 대향면에는 복수의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방의 세퍼레이터(7)에 있어서의 GDL(4)과의 대향면에는 복수의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이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적층상태에서는, MEA(5)와, GDL(3, 4)과,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이 서로 중합된 영역이 가스 반응 영역(10A), 즉 발전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이 가스 반응 영역(10A)의 주위가 개스킷(1, 2)에 의해 밀봉된다.
개스킷(1)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6)와의 대향면에는, 매니폴드 구멍(1a)과 가스 반응 영역(10A)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장되는 가스 도입홈(1b)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개스킷(2)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7)와의 대향면에는, 매니폴드 구멍(2a)과 가스 반응 영역(10A)에 있어서의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장되는 가스 도입홈(2b)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3에는 가스 도입홈(2b)은 미도시됨). 한편, 개스킷(1)의 가스 도입홈(1b)은, 도 2에 부호 3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GDL(3)의 단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개스킷(2)의 가스 도입홈(2b)도 마찬가지로, GDL(4)의 단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료전지 셀(1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소(H2)를 포함하는 연료 가스가 연료 가스 유로(가스 도입홈(1b) 및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 및 일방의 GDL(3)을 통해서 MEA(5)에 있어서의 일방의 촉매전극층 (애노드(anode))(52)에 공급되고, 산소(O2)를 포함하는 산화제 가스(공기)가 산화제 가스 유로(가스 도입홈(2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 및 타방의 GDL(4)을 통해서 MEA(5)에 있어서의 타방의 촉매전극층(캐소드(cathode))(53)에 공급되어, 수소(H2)과 산소(O2)로부터 물(H2O)을 생성하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즉, MEA(5)에 있어서의 애노드(52)에 공급된 연료 가스 중의 수소(H2)는, 이 애노드(52)의 촉매작용에 의해 전자(e-)와 수소 이온(H+)으로 분해되어, 전자(e-)는, 전류로서 외부부하(R)를 통해서 MEA(5)에 있어서의 캐소드(53)를 향해 흐른다. 그리고 수소(H2)로부터 전자(e-)가 분리됨으로써 발생한 수소 이온(H+)은, 캐소드(53)의 전자(e-)에 끌어 당겨지므로, MEA(5)에 있어서의 전해질막(51)을 통해서 캐소드(53)로 이동한다.
한편, MEA(5)에 있어서의 캐소드(53)에 공급된 산화제 가스 중의 산소(O2)는, 이 캐소드(53)의 촉매작용에 의해 전자(e-)를 받아, 산소 이온(O-)으로 된다. 그리고 이 산소 이온(O-)이, 애노드(52)로부터 전해질막(51)을 통해서 이동해온 수소 이온(H+)과 결합함으로써 물(H2O)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구멍(1a, 2a와 6a, 7a)이 서로 중합(연통)됨으로써 형성된 유로와, 가스 반응 영역(10A)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이나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과의 사이에서의 연료 가스나 산화제 가스 등의 유통은, 가스 도입홈(1b 또는 2b)을 통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가스 도입홈(1b, 2b)은, GDL(3, 4)의 단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가스 반응용 홈(6b) 및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7b)과의 사이에서의 유통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 도입홈(1b, 2b)은 개스킷(1, 2)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금속 또는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6, 7) 측에 가스 도입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이 가스 도입홈(1b, 2b)은, GDL(3, 4)에 고무상 탄성재료로 개스킷(1, 2)을 일체로 성형할 때에, 성형용 금형 내에서 동시에 형성되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가스 도입홈(1b, 2b)의 설계변경 시에는, 세퍼레이터(6, 7)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개스킷(1, 2)의 설계변경으로 대응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설계변경 시의 비용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2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V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2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도 5의 V-V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은, 개스킷(1, 2)이, 고무상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 본체(11, 21)와, 이 개스킷 본체(11, 21)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고무상 탄성재료보다도 강성(剛性)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12, 22)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보강판(12, 22)의 평면 투영 형상은, 개스킷 본체(11, 21)의 평면 투영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되어 있다. 기타의 부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중 도 6에 나타내는 예는, 보강판(12, 22)의 재질이, 연료 가스나 산화제 가스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에, 보강판(12, 22)을 개스킷 본체(11, 21)에 매설상태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보강판(12, 22)이 연료 가스나 산화제 가스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예는, 보강판(12, 22)의 재질이, 연료 가스나 산화제 가스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 보강판 (12, 22)을 반(半)매설상태, 즉 개스킷 본체(11, 21)로부터 일부 노출한 매설 상태로 일체 성형한 것이다. 한편, MEA(5)의 외주부는, 개스킷 본체(11, 21)의 밀착접촉에 의해 밀봉되게 되어 있다.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개스킷 본체(11, 21)의 전역(全域)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판(12, 22)에 의해 개스킷(1, 2)의 기계적 강도가 보상되어, 즉 가스 도입홈(1b, 2b)의 형성에 의한 개스킷(1, 2)의 강도저하가 방지되므로, 셀(스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전지용 개스킷의 제3의 실시 형태를, MEA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적층방향에서 본 분리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VIII-VI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VIII-VIII선 위치에서 절단해서 나타내는 적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제3의 실시 형태는, 개스킷(1, 2)이, 고무상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 본체(11, 21)와, 이 개스킷 본체(11, 21)에 있어서의 매니폴드 구멍(1a, 2a)과 GDL(3, 4)의 사이, 즉 가스 도입홈(1b, 2b)의 형성 영역에 위치해서 일체로 설치된 보강판(13, 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보강판(13, 23)은 상기 고무상 탄성재료보다도 강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연료 가스나 산화제 가스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며, 개스킷(1, 2)의 가스 도입홈(1b, 2b)이, 보강판(13, 23)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한편, MEA(5)의 외주부는, 개스킷 본체(11, 21)의 밀착접촉에 의해 밀봉되게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의 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3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개스킷(1, 2)에 있어서의 가스 도입홈(1b, 2b)의 형성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보상되므로, 셀(스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적층상태에서의 개스킷 본체(11, 21)의 압축에 의한 가스 도입홈(1b, 2b)의 유로 단면의 축소가 방지된다.
또한 개스킷(1, 2)은, 가스 도입홈(1b, 2b)이 미리 보강판(13, 23)에 형성되어, 이 보강판(13, 23)에 개스킷 본체(11, 21)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가스 도입홈(1b, 2b)의 설계변경 시, 이 보강판(13, 23)만의 설계변경으로 대응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설계변경 시의 비용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1, 2 개스킷
11, 21 개스킷 본체
12, 13, 22, 23 보강판
1a, 2a, 6a, 7a 매니폴드 구멍
1b, 2b 가스 도입홈
3, 4 GDL
5 MEA
6, 7 세퍼레이터
6b 연료 가스 반응용 홈
7b 산화제 가스 반응용 홈
10A 가스 반응 영역

Claims (3)

  1. 세퍼레이터와 MEA의 사이에 개재되는 GDL의 외주에 고무상(rubber-like) 탄성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세퍼레이터와 밀착접촉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판의 상기 세퍼레이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개스킷에 천공된 매니폴드 구멍과 상기 MEA에 의한 가스 반응 영역을 서로 연통(連通)하는 가스 도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 도입홈이 상기 GDL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개스킷.
  2. 삭제
  3. 삭제
KR1020137034361A 2011-07-19 2012-07-19 연료전지용 개스킷 KR102017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7730A JP5835554B2 (ja) 2011-07-19 2011-07-19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JPJP-P-2011-157730 2011-07-19
PCT/JP2012/068285 WO2013012026A1 (ja) 2011-07-19 2012-07-19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148A KR20140048148A (ko) 2014-04-23
KR102017312B1 true KR102017312B1 (ko) 2019-09-02

Family

ID=4755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361A KR102017312B1 (ko) 2011-07-19 2012-07-19 연료전지용 개스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36108B1 (ko)
JP (1) JP5835554B2 (ko)
KR (1) KR102017312B1 (ko)
CN (1) CN103688398B (ko)
WO (1) WO2013012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517A (ko)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101714295B1 (ko) * 2016-01-06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KR102602415B1 (ko) 2018-09-04 202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극막접합체
DE102021114842A1 (de) 2021-06-09 2022-12-15 MTU Aero Engines AG Brennstoffzellen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053A (ja) * 1998-06-25 2000-01-14 Aisin Seiki Co Ltd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8053105A (ja) * 2006-08-25 2008-03-0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5061B2 (en) * 2000-02-08 2007-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4514027B2 (ja) 2003-04-14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JP5062389B2 (ja) 2005-07-15 2012-10-31 Nok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64348B2 (ja) * 2006-08-03 2013-03-21 日本ゴア株式会社 膜電極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053A (ja) * 1998-06-25 2000-01-14 Aisin Seiki Co Ltd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8053105A (ja) * 2006-08-25 2008-03-0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5928A (ja) 2013-02-04
EP2736108A4 (en) 2015-01-07
KR20140048148A (ko) 2014-04-23
JP5835554B2 (ja) 2015-12-24
CN103688398A (zh) 2014-03-26
EP2736108B1 (en) 2017-04-19
CN103688398B (zh) 2017-02-15
EP2736108A1 (en) 2014-05-28
WO2013012026A1 (ja)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4101B2 (ja) 電解質膜・電極構造体及び燃料電池
US7531265B2 (en) Fuel cell
US8404401B2 (en) Fuel cell having improved contact between separators and gas diffusion layers
US9490497B2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type fuel cell, and electrolyte membrane-electrode-frame assembly
US20070031719A1 (en) Separator and cell using the same for use i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20060110651A1 (en) Fuel cell
KR102017312B1 (ko) 연료전지용 개스킷
JP6098948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EP3392952B1 (en) Fuel cell
US9065091B2 (en) Fuel cell
JP6125903B2 (ja) 燃料電池
US9178236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KR101819797B1 (ko) 연료 전지 셀
US9350034B2 (en)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integrated gasket
CN110993984A (zh) 燃料电池
JP6403099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6290603B2 (ja)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JP2018125259A (ja) 燃料電池
JP2017174564A (ja) 燃料電池
JP2010182690A (ja) 燃料電池
KR20070092013A (ko)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용 스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