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62B1 -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62B1
KR102016962B1 KR1020140027087A KR20140027087A KR102016962B1 KR 102016962 B1 KR102016962 B1 KR 102016962B1 KR 1020140027087 A KR1020140027087 A KR 1020140027087A KR 20140027087 A KR20140027087 A KR 20140027087A KR 102016962 B1 KR102016962 B1 KR 10201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igerant
swash plate
compresso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995A (ko
Inventor
배상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블럭에 오일분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유입 및 저장되는 다수의 분지관로와, 분지관로에 연결된 오일저장부가 형성됨으로써 압축기가 고속 작동되어도 압축기 내부의 잔류 오일량이 증가하여 오일 부족으로 인한 내구 수명 감소 문제가 해소된다.

Description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oil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많은 양의 오일을 압축기 내에 잔존시킬 수 있도록 된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부분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상기 사판식 압축기에는 고정 용량형 타입과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이들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벨트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데, 상기 고정용량형 타입에는 전자 클러치가 구비되어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클러치가 구비된 고정 용량형 타입의 경우, 압축기의 구동시 또는 정지시 차량의 RPM이 유동하여 안정적인 차량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클러치가 구비되지 않고, 차량의 엔진 구동과 함께 항상 구동되며,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냉매 토출량의 조절을 위하여 사판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가 사용된다.
도 1은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오일 분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종래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실린더 보어(111)가 형성된 실린더 블럭(110)의 전,후방에 전방헤드(120)와 후방헤드(130)가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형성하고, 실린더 블럭(110)의 중앙부에는 센터 보어(112)가 형성된다.
전방헤드(120)의 내측에는 크랭크실(121)이 형성되고, 후방헤드(130)의 내측에는 흡입실(131)과 토출실(132)이 형성된다.
회전축(200)은 크랭크실(121)을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축(200)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헤드(120)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벨트 구동을 위한 풀리(140)가 장착되고, 후단부는 실린더 블럭(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센터 보어(112)에 삽입되며, 센터 보어(112)에 삽입된 단부에는 오일 분리기(220)가 설치된다.
회전축(200)에는 사판(300)이 설치되어 회전축(200)과 일체로 회전하고,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200)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된다.
사판(3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피스톤(400)이 슈(310)를 매개로 연결되고, 사판(300)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피스톤(400)의 실린더 보어(111)의 내주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여 냉매가 압축된다.
실린더 블럭(110)과 후방헤드(130) 사이에는 냉매 이동 경로를 개폐하는 밸브유니트(500)가 설치되고, 이 밸브유니트(500)에는 실린더 보어(111)와 동수의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변 사판식 압축기가 공개특허 10-2013-0121330(2013.11.0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센터 보어(112) 후단에는 수용실(113)이 형성되고, 수용실(113) 내부에 오일분리기(220)가 위치된다. 오일분리기(220)는 회전축(200)의 후단에 장착되어 회전축(20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오일분리기(220)의 원주 벽에는 냉매로부터 원심 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공(221)이 형성된다. 오일분리기(220)의 단부 벽에는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가 배출되는 냉매배출공(222)이 형성된다.
냉매배출공(222)과 마주 보는 밸브어셈블리(500)에는 흡입실(131)과 연통되는 관통홀(510)이 형성된다.
회전축(200)에는 내부 중앙에 축방향으로 냉매통로(210)가 형성된다. 냉매통로(210)의 일단은 로터(320) 내부에 형성된 냉매통로(미도시)를 통해 크랭크실(121)과 연통되고, 타단은 오일분리기(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실린더 블럭(110)에는 후방헤드(130)의 토출실(132)과 전방헤드(120)의 크랭크실(121)을 연결하는 급기통로(114)가 형성되고, 수용실(113)과 급기통로(114)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1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축(200)의 냉매통로(210)로 유입된 냉매는 오일분리기(220)로 배출되고, 이때 회전축(200)과 오일분리기(220)가 모두 회전되고 있으므로 냉매와 오일의 중량 차이에 의해 오일이 오일분리기(220)의 내주면쪽으로 이동하여 누적되며, 누적량이 증가하면 오일분리기(220)의 원주 벽체에 형성된 오일배출공(221)을 통해 수용실(113)로 배출된다.
수용실(113)로 배출된 양이 증가하면 오일은 연결통로(115)를 통해 급기통로(114)로 흐르게 되며, 급기통로(114)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다시 전방헤드(120)의 크랭크실(121)로 공급된 후, 윤활이 필요한 부분으로 재공급된다.
오일분리기(220)에서 오일과 분리된 냉매는 냉매배출공(222)으로 배출된 후, 관통홀(510)을 통해 흡입실(131)로 배출되어, 흡입실(131)에 공급된 냉매에 혼합되어 실린더 보어(111)로 흡입된다.
한편, 압축기에는 작동시 마찰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열이 발생하므로 윤활과 냉각을 위해 압축기 내부에 항상 일정량 이상의 오일이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에어컨을 강하게 작동시켜 압축기가 높은 회전수로 작동하면, 압축기내 냉매 흐름 속도가 증가되고, 이 때문에 대부분의 오일이 냉매와 함께 압축기 밖으로 빠져나가서 압축기 내부에 오일이 고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압축기내 오일이 고갈되면 작동부에 정상적인 윤활과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압축기의 내구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기에서 빠져나간 오일이 냉매에 혼합된 상태로 에어컨 시스템을 순환하게 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에어컨 시스템은 순수 냉매가 순환할 때 효율이 더 좋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축기가 고속으로 작동하여도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이 압축기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이 남아 있을 수 있게 됨으로써 압축기의 정상적인 윤활과 냉각이 이루어져 압축기의 내구 수명이 증가하고, 에어컨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에 혼합되는 오일량이 감소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블럭의 센터보어에 삽입된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된 냉매통로와, 상기 회전축의 후단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오일분리기와, 상기 오일분리기에서 냉매와 분리 배출된 오일이 유입되는 다수의 분지관로와, 상기 분지관로에 연결된 오일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블럭의 센터보어 후방에 오일분리기가 설치되는 수용실이 형성되고, 수용실의 원주면으로부터 실린더블럭의 내측으로 상기 분지관로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일저장부는 수용실의 주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저장부는 서로 인접한 두 실린더보어 사이에서 실린더블럭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저장부는 분지관로로부터 절곡되어 수용실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저장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후방헤드 내측의 토출실과 전방헤드 내측의 크랭크실을 연결하는 급기통로에 연결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저장부들 중 급기통로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오일저장부들은 연결통로를 통해 전방헤드 내측의 크랭크실에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분리기의 원주면상에 오일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지관로는 수용실의 내주면에서 오일배출공과 동일선상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기의 일측 벽에 냉매배출공이 형성되고,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냉매배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수용실이 후방헤드 내부의 흡입실과 연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블럭에 오일분리기가 설치된 수용실에 연결되는 다수의 분지관로가 형성되고, 각 분지관로에 오일저장부가 형성됨으로써 오일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이 다수의 오일저장부에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오일저장부는 압축기 내부의 냉매 유동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압축기가 고속으로 작동할 때도 오일저장부의 오일이 냉매에 혼입되어 압축기 밖으로 배출되는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 내부의 잔존 오일량이 증가함으로써 구동부의 윤활 및 냉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오일 부족으로 인한 압축기의 내구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냉매에 혼입되어 압축기 밖으로 배출되는 오일량이 감소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순도가 향상되고, 이에 에어컨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 내부의 오일 분포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오일 분리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가 각각적용된 압축기 작동시,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된 오일량을 압축기 회전축 회전속도에 따라 표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실린더 블럭(30)에는 중앙에 센터 보어(31)가 형성되고, 센터 보어(31)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실린더 보어(32)가 형성된다.
센터 보어(31)로 삽입된 회전축(10)은 니들베어링(15)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축(10)의 내부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냉매통로(11)가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30)에는 센터 보어(31)의 후방에 원통형의 공간인 수용실(40)이 형성된다. 회전축(10)의 후단이 수용실(40)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원통형의 오일분리기(20)가 설치된다. 오일분리기(20)는 회전축(10) 회전시 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된다.
회전축(10)의 냉매통로(11)는 일단이 실린더 블럭(30)과 전방헤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크랭크실로 연통되고, 타단은 오일분리기(20)의 내부로 개방된다.
오일분리기(20)의 원주 벽체에는 오일배출공(21)이 형성되고, 회전축(10) 후단에 대향되는 단부 벽체에는 냉매배출공(22)이 형성된다.
실리더 블럭(30)과 후방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어셈블리(60)에는 오일분리기(20)의 냉매배출공(22)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수용실(40)과 후방헤드 내측의 흡입실이 연통된다.
실린더 블럭(30)에는 후방헤드 내측의 토출실과 전방헤드 내측의 크랭크실을 연결하는 급기통로(70)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급기통로(70)는 후방헤드에 설치되는 컨트롤밸브를 경유하며, 컨트롤밸브에 의해 크랭크실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블럭(30)에는 다수의 오일저장부(51)가 형성된다.
오일저장부(51)는 수용실(4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즉,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회전축(10) 및 수용실(4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수용실(40) 주변의 전둘레에 걸쳐서 동일 간격으로 오일저장부(51)가 형성될 수도 있고, 수용실(40) 둘레 부분 중 임의의 부분에는 오일저장부(51)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도 4 참조)
오일저장부(51)는 지름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32)와 실린더 보어(32) 사이, 반경 방향 내측의 여유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실(40)의 내측 원주면에는 오일분리기(20)의 오일배출공(21)과 동일선상에 상기 오일저장부(51)와 연결되는 분지관로(50)가 형성된다. 즉, 수용실(40)의 원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다수의 분지관로(50)가 형성되고, 각 분지관로(50)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방향으로 오일저장부(51)가 형성된 것이다.
오일저장부(51)의 단부(분지관로(5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는 연결홀(52)을 통해 상기 급기통로(70)에 연결된다. 따라서, 오일저장부(51)는 연결홀(52)과 급기통로(70)를 통해 전방헤드의 크랭크실에 연결된다.
구조적으로 급기통로(70)와 연결되는 연결홀(52)을 형성하기 어려운 부분에는 분지관로(50)의 단부에서 크랭크실과 직접 연결되는 연결통로(5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압축기 작동시, 회전축(10)의 냉매통로(11)로 유입된 냉매는 오일분리기(20)로 배출되고, 이때 회전축(10)과 오일분리기(20)가 모두 회전하므로 냉매와 오일의 중량 차이에 의해 오일이 오일분리기(20)의 내주면쪽으로 이동하여 그 표면에 누적되며, 누적량이 증가하면 오일분리기(20)의 원주 벽체에 형성된 오일배출공(21)을 통해 수용실(40)로 배출된다.
수용실(40)로 배출된 양이 증가하면 오일은 분지관로(50)로 유입되고, 분지관로(50)에서 오일저장부(51)로 유입되어 보관된다. 오일저장부(51)에는 항상 소정량 이상의 오일이 존재하게 된다.
오일분리기(20)의 오일배출공(21)과 분지관로(50)가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오일분리기(20)와 수용실(40) 내주면 사이의 간극이 좁아서 오일배출공(21)에서 배출된 오일은 분지관로(50)로 직접 유입될 수도 있다.
오일저장부(51)의 오일은 연결홀(52)을 통해 급기통로(70)로 흐르게 되며, 후방헤드의 토출실로부터 공급되어 급기통로(70)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에 의해 전방헤드의 크랭크실로 이동한 후, 윤활이 필요한 부분으로 재공급된다.
오일저장부(51)의 오일은 크랭크실과 직접 연결된 연결통로(53)를 통해 크랭크실로 배출될 수 있다.
오일분리기(20)에서 오일과 분리된 냉매는 냉매배출공(22)으로 배출된 후, 밸브어셈블리(60)의 관통홀(61)을 통해 후방헤드의 흡입실로 배출되고, 흡입실에 공급된 냉매에 혼합되어 다시 실린더 보어(32)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 혼합 상태의 냉매는 오일분리기(20)에서 냉매와 오일로 원심 분리되고,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다수의 분지관로(50)로 유입된 후, 분지관로(50)에 연결된 오일저장부(51)로 흘러들어 저장된다.
오일저장부(51)는 오일 이동 경로 중에 공간이 확장된 부분으로서 오일이 오일저장부(51)의 내면에 붙어 저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오일저장부(51) 내의 오일량이 증가하면 연결홀(52)과 급기통로(70)를 통하거나 연결통로(53)를 통해 전방헤드의 크랭크실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오일 이동 경로 중에 다수의 분지관로(50)와, 오일저장부(51)가 존재하므로 압축기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량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오일저장부(51)가 급기통로(70)를 흐르는 냉매 유동에 영향받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오일저장부(51) 내 오일이 급기통로(70)를 흐르는 냉매유동에 혼입되는 정도가 감소됨으로써 압축기가 고속으로 작동되어도 냉매에 포함되어 압축기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즉, 종래의 연결통로(115)를 통해 냉매 유동에 혼입되는 오일의 양보다 상기 연결홀(52)을 통해 냉매 유동에 혼입되는 오일의 양이 적다.
특히, 크랭크실에 직접 연결되는 연결통로(53)가 형성된 오일저장부(51)의 경우에는 급기통로(70)를 흐르는 냉매유동에 전혀 영향받지 않으므로 압축기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량은 더욱 감소된다.(종래의 경우에는 수용실(113)과 연결된 연결통로(115)를 통해 냉매와 분리된 오일이 바로 급기통로(114)로 유입됨으로써 오일이 급기통로(114)를 흐르는 냉매 유동에 보다 용이하게 혼입되었다. 오일이 냉매에 혼입되는 양이 증가하면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오일량도 당연히 증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의 오일 이동 경로 상에서 오일이 분포하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 붉은 색에 가까울수록 다량의 오일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오일저장부(51)에 황색 및 적색 부분이 넓게 표시된 것으로 보아 오일저장부(51)에 타 부위에 비해 많은 양의 오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각 경우에, 압축기 회전축(10) 회전속도에 따른 압축기에서 배출된 오일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①번 선이 종래 오일 분리 장치가 적용된 압축기의 오일 배출량을 나타내고, ②번 선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가 적용된 압축기의 오일 배출량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과 본 발명 모두 저속 운전 영역, 중속 운전 영역에서는 오일 배출량이 유사하지만, 문제가 되는 고속 운전 영역에서는 종래기술의 오일 배출량(A점)에 비해 본 발명의 오일 배출량(B점)이 현저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A에서 B로 감소됨)
오일 배출량이 감소되었다는 것은 그 만큼의 오일이 고속 운전시에도 압축기 내부에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압축기 내 잔존 오일에 의해 마찰부의 윤활 및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가 고속 작동중에 거의 모든 오일이 압축기 외부로 배출되어 윤활 및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해소되고, 이에 압축기의 내구 수명이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량이 증가하여,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혼입된 오일량이 감소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순도가 증가하며, 이에 에어컨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회전축 11 : 냉매통로
15 : 베어링 20 : 오일분리기
21 : 오일배출공 22 : 냉매배출공
30 : 실린더블럭 31 : 센터보어
32 : 실린더보어 40 : 수용실
50 : 분지관로 51 : 오일저장부
52 : 연결홀 53 : 연결통로
60 : 밸브어셈블리 61 : 관통홀
70 : 급기통로

Claims (9)

  1. 실린더블럭(30)의 센터보어(31)에 삽입된 회전축(10)의 내부에 형성된 냉매통로(11)와;
    상기 회전축(10)의 후단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오일분리기(20)와;
    상기 오일분리기(20)에서 냉매와 분리 배출된 오일이 유입되는 다수의 분지관로(50)와;
    상기 분지관로(50)에 연결된 오일저장부(51);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블럭(30)의 센터보어(31) 후방에 오일분리기(20)가 설치되는 수용실(40)이 형성되고, 수용실(40)의 원주면으로부터 실린더블럭(30)의 내측으로 상기 분지관로(50)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0) 회전시, 상기 회전축(10)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오일분리기(20)가 회전되며, 냉매에서 오일이 원심 분리되어 상기 다수의 분지관로(50)로 유입되고 상기 오일저장부(51)에 저장되어 크랭크실로 회수되고,
    상기 오일저장부(51)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후방헤드 내측의 토출실과 전방헤드 내측의 크랭크실을 연결하는 급기통로(70)에 연결홀(52)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오일저장부(51)들 중 상기 급기통로(7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오일저장부(51)들은 상기 급기통로(70)를 흐르는 냉매 유동에 영향받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연결통로(53)를 통해 전방헤드 내측의 크랭크실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51)는 수용실(40)의 주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51)는 서로 인접한 두 실린더보어(32) 사이에서 실린더블럭(30)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51)는 분지관로(50)로부터 절곡되어 수용실(40)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20)의 원주면상에 오일배출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분지관로(50)는 수용실(40)의 내주면에서 오일배출공(21)과 동일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20)의 일측 벽에 냉매배출공(22)이 형성되고, 밸브어셈블리(60)에서 상기 냉매배출공(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수용실(40)이 후방헤드 내부의 흡입실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KR1020140027087A 2014-03-07 2014-03-07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KR10201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87A KR102016962B1 (ko) 2014-03-07 2014-03-07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87A KR102016962B1 (ko) 2014-03-07 2014-03-07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95A KR20150104995A (ko) 2015-09-16
KR102016962B1 true KR102016962B1 (ko) 2019-09-02

Family

ID=5424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87A KR102016962B1 (ko) 2014-03-07 2014-03-07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7001B1 (ko) * 2019-01-25 2024-10-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972A (ja) * 2003-10-20 2005-05-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往復式可変容量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2431A (ja) * 1997-12-24 1999-07-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KR101843756B1 (ko) * 2012-04-27 2018-03-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972A (ja) * 2003-10-20 2005-05-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往復式可変容量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95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719A1 (en) Expander-integrated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ing the same
JP2006307700A (ja) 圧縮機
CN104514697A (zh) 斜盘式变排量压缩机
EP2055892A1 (en) Expander-integrated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with the same
US20080145239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7182773A (ja) 圧縮機
US11680568B2 (en) Compressor oil management system
US20040265144A1 (en) Hybrid compressor
KR102016962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 장치
CN107893758B (zh) 涡旋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US9163620B2 (en) Oil management system for a compressor
CN210135087U (zh) 具有油配给构件的压缩机
KR102308681B1 (ko) 압축기의 오일 순환구조
KR101769420B1 (ko) 오일분리기를 구비하는 사판식 압축기
WO2018207724A1 (ja) 圧縮機
JP201010120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11125233B2 (en) Compressor having oil allocation member
KR20150082767A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압축기
KR20200009554A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JP4045882B2 (ja) 圧縮機
JP7164724B2 (ja) 圧縮機
CN111749899B (zh) 具有油配给构件的压缩机
KR20050022239A (ko) 압축기
JP2009108750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KR2014000770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