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598B1 -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 Google Patents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598B1
KR102016598B1 KR1020170041825A KR20170041825A KR102016598B1 KR 102016598 B1 KR102016598 B1 KR 102016598B1 KR 1020170041825 A KR1020170041825 A KR 1020170041825A KR 20170041825 A KR20170041825 A KR 20170041825A KR 102016598 B1 KR102016598 B1 KR 10201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wtooth
mavan
choleste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213A (ko
Inventor
김형락
권미성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5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Y10S514/89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간조직에서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상지질혈증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Improvement effect of serum lipid and cholesterol comprising the extract of Sargassum serratifolium}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이란 고지혈증 등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이 증가되거나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감소로 유발되는 혈관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 동맥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돼 동맥의 내면이 좁아짐에 따라 여러 장기와 사지말단에 혈액공급이 원활치 않은 혈액순환장애 등의 증상을 의미한다.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내 지질 농도 변화에 따른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키기도 하는데, 특히, 동맥경화의 발생은 동맥내벽세포의 이상적인 분화에 의한 것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Casteli, W. P. et al., JAMA., 256, 2835-2845(1986)]. 동맥경화는 동맥이 비후되고 경화되어 탄력을 잃고 약해진 것으로서, 노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주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동맥경화는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서 일어나기 쉬운데, 뇌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두통, 현기증, 정신장애를 나타내고 뇌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관상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심장부에 동통과 부정맥을 일으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고혈압, 심장병, 뇌일혈 등이 유발되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질병이 현대 사회에 있어, 특히 50~60대의 남성들에게 가장 큰 사망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혈중의 지단백질은 저밀도 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이며, 이것은 간에 있는 초저밀도 지단백질(very low density lipoprotein; TG-rich VLDL)이 MTP(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에 의해 혈중으로 분비되어 혈중의 지단백 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에 의해 분해, 생성된 것이다(Shelness et al., 1999; Rustaeus et al., 1999; Gordon and Jamil, 2000). MTP의 활성 촉진에 의해서 간으로부터 혈중으로 분비된 TG-rich VLDL중의 TG(triglyceride; 중성지방)만 지단백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LDL로 변한다. MTP의 활성이 촉진된다는 것은 혈중 LDL농도가 증가되어 동맥경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Teng et al., 1986; Venkatesan et al., 1993). 궁극적으로 동맥경화의 발생 위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간으로부터 TG-rich VLDL를 혈중으로 분비시키는 MTP의 활성을 억제시켜야 한다(Davis et al., 1990; Bonnardel and Davis, 1995; McLeod et al., 1996; Taghibiglou et al., 2000; Cho et al., 2006; Shelness et al., 1999; Rustaeus et al., 1999; Gordon and Jamil, 2000).
한국등록특허 제10-11219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양은 0.1 내지 150 mg/kg 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mg/kg, 50 내지 130 mg/kg 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mg/kg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간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의 양은 0.1 내지 50 mg/k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mg/kg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중성지방혈증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양은 10 내지 150 mg/kg 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 mg/kg 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mg/kg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알콜성 지방간 질환,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영양성 지방간 질환,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만성 지방간 질환,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또는 지방간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간조직에서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상지질혈증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8주 동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부고환 지방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3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4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비장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5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혈중 AL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6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혈중 AS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7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혈중 TG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8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혈중 HDL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9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대비 HDL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10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조직 중의 TG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 < 0.05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 HFD(고지방식이) 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
도 11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조직 중의 PPARγ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조직 중의 FAS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조직 중의 SREBP2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간 조직 중의 HMGCR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톱니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톱니모자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톱니모자반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톱니모자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톱니모자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독성이 없으며,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비만 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
Male C57BL6J 마우스 (8 주령) 사용하여, 1주일간 순화 및 사육을 하였으며, 일주일 뒤에 C57BL6J 마우스를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0.05%(30mg/체중 kg), 0.1%(60mg/체중 kg), 0.2%(120mg/체중 kg)로 60% High Fat 사료에 첨가하여 동물실험을 하였다. 8주 동안 물과 식이는 자유급식하였다. 2015년 10월29일부터 12월 24일까지 8주 동안 실시한 결과, 식이의 0.05%(30 mg/kg), 0.1%(60 mg/kg) 및 0.2%(120 mg/kg)의 실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체중이 감소하였다(도 1).
저지방식이의 대조군(10% High Fat 사료), 비만유도 동물군(60% High Fat 사료), 비만 실험동물에 0.05%, 0.1% 및 0.2%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군으로 총 다섯 그룹 대상으로 8주까지 매주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0.1% 및 0.2% 군에서는 3주째에서부터 유의적으로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지방의 감소 효과
본 발명자들은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톱니모자반 추출물이 부고환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고환지방은 내장지방의 일종으로 체중 증가 시 상대적으로 지방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체중 당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에 의한 부고환지방의 농도의존적인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생성된 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고지방식이에서 8주 동안 사육한 후에 간 무게가 측정되었고, 그 결과 60 mg/kg과 120 mg/kg의 실험구간에서는 간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3).
본 발명자들은 실험동물의 비장 무게도 측정하였으나, 비장에서는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4).
실시예 3.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는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세포가 파괴되거나 사멸하면 혈액 속으로 분비되어 혈장에서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성, 지방간, 알콜성 지방손상, 고지방섭취로 인한 대사질환 등의 원인으로 간 손상이 일어나면 ALT, AST가 혈액으로 분비되므로, 혈장에서의 ALT와 AST의 활성측정으로 간독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실험 종료 후 12시간 절식시키고 배대 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2,5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에서 AST와 ALT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군에 비하여 ALT 및 AST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및 6).
따라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간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대사 이상으로 인한 간 손상의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혈중 중성지방(TG, triglyceride ) 억제 효과
이상지질혈증은 중성지방의 증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지방은 포도당과 더불어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이고, 간은 식간기에 중성지방을 합성하여 장기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축적된 내장지방에서 유리된 과다한 지방산이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유입되면 간내 당생성이 증가하고 혈액 내 VLDL-TG(very low density lipoprotein-triglyceride) 분비가 증가하여 병리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이 혈장의 중성지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에서 혈장을 채취하여 TG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0.1% 및 0.2%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중성지방(TG)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7).
따라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혈액 내 중성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이상지질혈증은 중성지방의 증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혈청 중 HDL의 함량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1%(60 mg/kg) 및 0.2%(120 mg/kg)의 추출물 급이군에서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혈청 중 HDL의 함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8). 또한,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 비율을 분석한 결과,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급이군에서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HDL 비율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 9).
따라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혈액 내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간의 중성지방 축적 감소 효과
간에서의 중성지방의 축척은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간경변증과 같은 여러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간에서의 중성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종료 후, 장기 적출을 통해 간에서의 중성지방(TG)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2%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급이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간에서의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10 위쪽 패널). 또한, 간조직을 이용하여 Oil Red O 염색을 수행한 결과, 간에서의 지방 축적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10 아래쪽 패널).
실시예 7.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간의 지방합성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에 대한 간지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 조직 내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지방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량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방합성 관련 인자로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FAS(fatty acid synthase), SREBP2(sterol responsible element-binding protein 2) 및 HMGCR(HMG-CoA reductase) 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0.1%(60 mg/kg) 및 0.2%(120 mg/kg)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에서는 상기 PPARγ, FAS, SREBP2 및 HMGCR의 발현량이 모두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1 내지 14).

Claims (10)

  1.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삭제
KR1020170041825A 2017-03-31 2017-03-31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KR10201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25A KR102016598B1 (ko) 2017-03-31 2017-03-31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25A KR102016598B1 (ko) 2017-03-31 2017-03-31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13A KR20180111213A (ko) 2018-10-11
KR102016598B1 true KR102016598B1 (ko) 2019-08-30

Family

ID=638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25A KR102016598B1 (ko) 2017-03-31 2017-03-31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5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77B1 (ko) 2009-03-18 2012-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8-메톡시메틸-3-아이소부틸-1-메틸잔틴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 2014-12-17 2017-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13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33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7261993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5616A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7173A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513150A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または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精製抽出物から構成される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20130035530A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20210052377A (ko) 캠퍼롤 및 에티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8018854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JP2008273935A (ja) 脂肪蓄積阻害剤および脂肪蓄積抑制方法
KR10201659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JP4675781B2 (ja) 脂肪細胞分化抑制剤
KR20140031568A (ko) 아실 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 트란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137976A (ja) 脂肪蓄積抑制剤
WO2018066956A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070044198A (ko) 푸마르산 및 푸마르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대사증후군 치료제
KR100778373B1 (ko) 상표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또는 바이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1516764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0872A (ko)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2909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