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009B1 -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 Google Patents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009B1
KR102016009B1 KR1020180011654A KR20180011654A KR102016009B1 KR 102016009 B1 KR102016009 B1 KR 102016009B1 KR 1020180011654 A KR1020180011654 A KR 1020180011654A KR 20180011654 A KR20180011654 A KR 20180011654A KR 102016009 B1 KR102016009 B1 KR 10201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neck
auxiliary part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181A (ko
Inventor
변혜람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3Rigid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4Head or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과 머리를 지지하여 앉아있는 자세를 보조하기 위해, 벽 또는 침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목을 지지하는 부분과 목 지지를 보조하는 부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방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중앙부의 오목한 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와 보조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Neck support to maintain posture}
본 발명은 환자 또는 노약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을 가누기 어려운 환자나 노인이 앉아있는 자세에서 벽에 고정된 목 받침대를 이용하여 목과 머리를 고정함으로써 자세 유지를 보조하기 위한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2014년 국민보건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앉아 있는 시간은 7시간 30분이라고 한다. 즉, 하루의 3분의 1 정도를 앉아서 생활한다는 것인데, 앉는 자세는 눕거나 선 자세보다 척추에 무리가 가는 자세인바, 바른 자세로 앉는 것은 다른 질병을 예방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고령이 진행될수록 앉아 있는 시간은 증가하여 하루의 3분의 1 이상을 앉아서 생활하게 되며,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기능이 퇴화되는 만큼 바른 자세를 잡아주어 건강 악화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목을 보조하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휠체어나 의자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좌식 생활이 보편적이며, 노인이나 병상의 환자는 앉는 자세에 어려움이 있어서 벽에 기대어 앉는데, 이러한 경우에 목을 지지하기 위한 도구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벽 또는 리클라이닝 침대 등에 기대어 앉는 경우, 목과 머리를 지지하여 노인이나 환자의 앉는 자세를 보조하는 도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특히 고령화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 기능을 보조하는 도구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과 머리를 지지하여 앉아있는 자세를 보조하기 위해, 벽 또는 침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 또는 침대에 목 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설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도록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를 탈부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이를 보조하는 보조부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자세 유지를 돕도록 마련하며,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선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를 구비하는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는,
전방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중앙부의 오목한 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와 보조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여 지지부가 목을 지지하며, 지지부에서 목이 이탈되는 경우 보조부가 목 지지를 보조하고,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 간격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는 하방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는 벽에 부착성이 좋으며, 또한 외력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탈부착식으로 마련된다.
더불어 여기서 하방은 지면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목을 지지할 때 인체 형상에 따라 둥근 형태의 머리가 위치하는 상면 및 등 상부에 접하는 하면의 형태가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목 지지시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고 자극이 되지 않으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래칫 형태의 톱니가 형성된 가이드로드; 상기 보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힌지 결합하는 회전로드;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측에 상부홈과 타측에 하부홈을 포함하는 단턱 형상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홈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로드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작용로드; 및 일단이 상기 작용로드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 또는 회전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작용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로드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작용로드의 걸림돌기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 홈 및 상기 가이드로드의 톱니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로드 및 회전로드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는 몸을 잘 가누지 못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좌식 생활을 하였던 노인 또는 환자의 목과 머리를 벽 또는 리클라이닝 침대에 지지하는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의 불편을 해소하고 환자 보조에 대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식으로 구성되는바, 목 받침대를 벽 또는 침대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설치 후 회수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또한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뒷 목의 형상으로 지지부에 홈이 형성되어 지지부가 목을 지지하며, 지지부로부터 목이 이탈되는 경우에는 보조부가 목을 지지하게 되어 이중으로 목을 지지하여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를 포함한 목 받침대는 하측으로 둥근 유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에 간격조절부가 마련되는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선호에 따라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보조부를 지지부 쪽으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성 및 휴대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선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래칫톱니를 이용한 제1간격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어톱니와 스프링을 이용한 제2간격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나사를 이용한 제3간격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1)의 전체적인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유선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 목이 지지되는 부분을 전방, 벽에 접하는 부분을 후방으로 하며, 이에 따라 지면 방향은 하방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U자와 같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만곡된 형상의 지지부(100)와, 지지부(100) 양단에 지지부(100)와 힌지 결합되되 지지부(100)와 유선형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보조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 및 보조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부드러운 소재의 섬유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솜 또는 폼체가 삽입되어 부피감 있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의 후방에는 벽 또는 침대에 탈착될 수 있는 탈착부(400)가 마련될 수 있고, 지지부(100)와 보조부(200)의 사이에는 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00)가 설치된다.
지지부(100)의 전방에는 목의 폭과 대응되는 너비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목이 안착되는 안착홈(110)이라 하며, 본 발명에서 일차적으로 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목이 안착홈(110)에서 이탈된 경우에는 지지부(100)의 양단 및 보조부(200)에 의하여 목이 이차적으로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해 앉은 자세를 보조받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의 중앙부는 하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목을 지지할 때 인체 형상에 따라 둥근 형태의 머리가 위치하는 상면(120) 및 등 상부의 오목한 부분에 접하는 하면(130)의 형태가 하방으로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목 지지시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고 자극이 되지 않으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탈착부(400)는 본 발명 목 받침대(1)를 벽 또는 침대 등 어디든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탈착부(400)는 마찰력이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부착력이 좋은 미끄럼 방지 패드이거나, 공기 흡착판, 또는 밸크로가 될 수 있다. 밸크로를 사용하는 경우 벽 또는 침대에도 본 발명의 탈착부(400)와 부착되는 밸크로가 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 또는 높이를 쉽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탈착부(400)의 부착력이 떨어지면 탈착부(400)만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1)의 간격조절부(300)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래칫톱니(319)를 이용한 제1간격조절부(310)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기어톱니(323a)와 스프링을 이용한 제2간격조절부(320)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나사를 이용한 제3간격조절부(330)를 도시한 것이다.
간격조절부(300)는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100)와 보조부(200)의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 간격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격조절부(310)는, 지지부(100)에 연결되며 래칫 형태의 톱니가 형성된 가이드로드(311), 보조부(200)에 연결되며 가이드로드(311)의 단부에 힌지 결합하는 회전로드(312), 가이드로드(311)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측에 상부홈(314b)과 타측에 하부홈(314a)을 포함하는 단턱 형상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314), 일단에 걸림돌기(318)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314)의 홈에 삽입되며 타단은 회전로드(312)의 일측에 힌지 결합(317)하는 작용로드(313), 및 일단이 작용로드(313)에 결합되며 타단이 가이드로드(311) 또는 회전로드(312)에 결합되어, 작용로드(313)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16)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16)의 일 실시예로 스프링을 들 수 있다.
도 4 (c)는 도 4 (a)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가이드로드(311), 슬라이딩부재(314) 및 작용로드(313)의 연결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로드(311)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 형태의 로드이며, 내부에는 중공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슬라이딩부재(314)가 삽입된다. 즉, 가이드로드(311) 및 슬라이딩부재(314)는 대략 'ㄷ'자의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에 작용로드(313)가 삽입된다.
도 4 (d)는 슬라이딩부재(314)를 도시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홈(314a) 및 상부홈(314b)을 포함하는 단턱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홈(314a)은 가이드로드(311)와 회전로드(312)가 힌지 결합된 측에 형성되고, 상부홈(314b)은 가이드로드(311)의 반대편 단부측에 형성된다. 또한 도면상 하부홈(314a)의 저면은 래칫톱니(319)의 골보다 같거나 낮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홈(314b)의 저면은 래칫톱니(319)의 산보다 같거나 높은 부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4 (a)를 참조하여 제1간격조절부(310)의 각도를 늘리는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회전로드(31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용로드(313)의 걸림돌기(318)가 래칫톱니(319)를 따라 이동한다. 이후 이동된 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314)의 하부 홈 및 상기 가이드로드(311)의 래칫톱니(319) 사이에 고정되어 가이드로드(311) 및 회전로드(3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316)는 신장되어 그 반작용으로 작용로드(313)를 래칫톱니(319) 사이로 당기게 되므로 조절된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여 제1간격조절부(310)의 각도를 줄이는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가이드로드(311) 및 회전로드(312) 사이의 각도를 더욱 크게 하면, 탄성부재(316)가 압축되어 그 반작용으로 작용로드(313)를 톱니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작용로드(313)의 걸림돌기(318)는 슬라이딩부재(314)의 상부홈(314b)에 안착하게 되어 래칫톱니(319)에 걸리지 않고 가이드로드(311) 및 회전로드(312) 사이의 각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2간격조절부(320)를 설명한다. 제2간격조절부(320)는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지지부결합체(321), 보조부(200)에 결합되는 보조부결합체(322)를 포함한다.
보조부결합체(322)에는 기어(323)가 고정되어 있고, 기어(323)에는 단부가 라운드진 기어톱니(323a)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323)는 회전축(324)을 기준으로 보조부(200)와 함께 회전한다.
지지부결합체(321)에는 기어톱니(323a)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의 고정체(325), 고정체(325)를 지지부결합체(321)에 연결하는 연결로드(326), 연결로드(326)에 결합되어 지지부결합체(321)에 지지되는 지지체(3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로드(326)의 외주에는 고정체(325) 및 지지부결합체(321)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탄성체(328)가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328)의 일 예로 스프링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보조부(200)를 회전시키면 기어(323)가 회전하고, 라운드진 기어톱니(323a)가 고정체(325)를 밀며 넘어가게 된다. 기어(323)가 회전하며 고정체(325)를 밀 때 탄성체(328)에 의해 고정체(325)는 지지부결합체(32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기어(323)가 회전된 위치에서 탄성체(328) 및 고정체(325)에 의해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3간격조절부(330)를 설명한다. 제3간격조절부(330)는 지지부(100)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31), 보조부(200)를 관통하여 고정부(331)에 삽입되는 조절나사(332)를 포함한다. 조절나사(332) 단부에는 나사산(332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331)에는 상기 나사산(332a)이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와 보조부(200)가 전체적으로 U자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절나사(332)를 조여서 보조부(200) 단부를 지지부(100) 방향으로 압축하면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어 사이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나사를 풀러 보조부(200)를 이완시키면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의 각도 및 사이 간격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1)는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지지부(100) 및 보조부(200)로 목을 이중으로 지지하며, 지지부(100)와 보조부(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벽 등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목 받침대 100 : 지지부
110 : 안착홈 120 : 상면
130 : 하면 200 : 보조부
300 : 간격조절부 310 : 제1간격조절부
311 : 가이드로드 312 : 회전로드
313 : 작용로드 314 : 슬라이딩부재
314a : 하부홈 314b : 상부홈
315 : 중심힌지 316 : 탄성부재
317 : 힌지 결합 318 : 걸림돌기
319 : 래칫톱니 320 : 제2간격조절부
321 : 지지부결합체 322 : 보조부결합체
323 : 기어 323a : 기어톱니
324 : 회전축 325 : 고정체
326 : 연결로드 327 : 지지체
328 : 탄성체 330 : 제3간격조절부
331 : 고정부 332 : 조절나사
332a : 나사산 400 : 탈착부

Claims (3)

  1. 전방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중앙부의 오목한 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와 보조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와 보조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래칫 형태의 래칫톱니가 형성된 가이드로드;
    상기 보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힌지 결합하는 회전로드;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측에 상부홈과 타측에 하부홈을 포함하는 단턱 형상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홈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로드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작용로드;
    일단이 상기 작용로드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 또는 회전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작용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로드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작용로드의 걸림돌기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 홈 및 상기 가이드로드의 래칫톱니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로드 및 회전로드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는 하방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3. 삭제
KR1020180011654A 2018-01-30 2018-01-30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KR10201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54A KR102016009B1 (ko) 2018-01-30 2018-01-30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54A KR102016009B1 (ko) 2018-01-30 2018-01-30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81A KR20190092181A (ko) 2019-08-07
KR102016009B1 true KR102016009B1 (ko) 2019-08-30

Family

ID=6762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654A KR102016009B1 (ko) 2018-01-30 2018-01-30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0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87B1 (ko) * 2014-10-20 2016-04-27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833A (ko) * 1994-12-06 1996-07-18 전성원 좌우 지지대가 있는 자동차용 머리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87B1 (ko) * 2014-10-20 2016-04-27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81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4902B2 (ja) 可撓性張り材を有する背もたれを備えた椅子用の背支持調整装置
JP4665901B2 (ja) 頚椎牽引装置
US9706848B2 (en) Waist supporting device equipped electric apparatus for lying and/or sitting
US4793652A (en) Orthopaedic seating device
US7658448B2 (en) Adjustable chair construction
US5445433A (en) Kit for a reclining chair-back thoracic-lumbar-sacral corrective orthosis wheelchair
AU2004205199B2 (en) Patient chair
US9433298B2 (en) Ergonomic seat assembly
KR102016009B1 (ko) 자세 유지용 목 받침대
DK174580B1 (da) Stol, fortrinsvis kørestol, med svingbart ryglæn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3223462U (ja) 着座補助器具
KR20130042727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CN213373482U (zh) 一种用于五官科的诊查椅
KR100400428B1 (ko) 이미용 의자의 시트 지지대 및 그 시트 지지대 부착 세발기
KR200275786Y1 (ko) 의자용 머리받침
CN213157227U (zh) 一种老年妇女头部护理装置
JP2003052486A (ja) 椅 子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CN216797036U (zh) 一种便于老人使用的躺椅
CN220512509U (zh) 一种人体工程学折叠椅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CN209529525U (zh) 一种轮椅靠背调节结构
CN210581753U (zh) 一种可调节的人体工学椅
CN217447150U (zh) 一种带腰靠的坐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