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00B1 -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00B1
KR102015700B1 KR1020170106439A KR20170106439A KR102015700B1 KR 102015700 B1 KR102015700 B1 KR 102015700B1 KR 1020170106439 A KR1020170106439 A KR 1020170106439A KR 20170106439 A KR20170106439 A KR 20170106439A KR 102015700 B1 KR102015700 B1 KR 10201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ite
user
servers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558A (ko
Inventor
권용민
강경구
이다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00B1/ko
Priority to US16/638,959 priority patent/US11483303B2/en
Priority to EP18847854.9A priority patent/EP3654609A4/en
Priority to PCT/KR2018/009518 priority patent/WO2019039811A1/ko
Priority to CN201880054632.2A priority patent/CN111034149A/zh
Priority to JP2020509448A priority patent/JP6966631B2/ja
Publication of KR2019002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04L67/28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7Modes of operation, e.g. cipher block chaining [CBC], electronic codebook [ECB] or Galois/counter mode [G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39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non-keyed hash functions, e.g. modification detection codes [MDCs], MD5, SHA or RIPE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가 제1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1 ID와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고, 제2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수신하면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2 SP 서버에 반환한다. 이에 의해, 인증 절차를 수행할 별도의 서버 구성이 필요 없고, SP들에 대해서도 인증 수행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lock Chain Based one ID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개인 인증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ID로 다수의 사이트들에 로그인함에 있어 요구되는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사이트들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들을 각각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들 마다 회원 가입 절차를 반복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사이트들 마다 ID들을 발급받고 PW(PassWord)들을 설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며, ID/PW를 기억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는데, 사이트들 마다 ID/PW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더욱 심화된다.
SP(Service Provider)의 입장에서도,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보유/관리하는 것은, 그 어려움과 빈번한 보안 사고 등으로 인해 부담스러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나의 ID로 다수의 사이트들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등장한 바 있으나, 인증을 위한 별도의 서버를 구성하여야 하며, 인증 서버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SP들 중 사용자가 회원 가입된 특정 SP가 다른 모든 SP들에 로그인할 수 있는 ID를 발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ID를 발급한 SP가 다른 SP들에 대한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절차까지 전담하는 블록체인 기반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 중 '제1 SP 서버가 제1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1 ID'와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수신하면,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2 SP 서버에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ID는, 다수의 SP 서버들에서 각각 제공하는 사이트들에 각각 로그인하기 위해 이용하는 ID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제1 사이트의 회원이지만, 제2 SP 서버에서 제공하는 제2 사이트의 회원은 아닐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는, 제1 사이트의 회원이고, 제1 SP 서버는, 보유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1 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SP 서버는, 제1 ID의 생성에 이용된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고객정보에 따라 제1 ID를 변경하고,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로부터 변경된 제1 ID를 수신하여, 기존의 제1 ID를 변경된 제1 ID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SP 서버는, 제1 ID와 제1 사용자가 설정한 PW를 자신의 DB에 등록하고, DB를 참조하여, 제1 ID를 이용한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버는, 제1 ID를 이용한 제2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을 위해,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1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에 리다이렉트시키고, 제1 서버는, 인증절차 수행 이후에,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2 사이트에 리다이렉트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는, 인증 성공시, 보유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제2 사이트에 리다이렉트되는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2 SP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제2 SP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ID를 이용한 로그인 내역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제2 SP 서버가 제2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2 ID'와 '발급 서버인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로부터 제2 ID를 수신하면, 제2 ID에 매핑된 제2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1 SP 서버에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지원 서버는,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과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SP 서버가 제1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1 ID'와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고,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SP 서버에 반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모바일 단말이,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 중 제1 SP 서버로부터 ID를 발급받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발급받은 ID로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D는,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와 매핑되어 인증 지원 서버에 등록되고, 제2 SP 서버는,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부터 전달 받아, 제2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인증 수행을 제1 사이트에 요청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과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SP 서버로부터 ID를 발급받고, 발급받은 ID로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로그인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ID는,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와 매핑되어 인증 지원 서버에 등록되고, 제2 SP 서버는,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제2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인증 수행을 제1 사이트에 요청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SP들 중 사용자가 회원 가입된 특정 SP가 다른 모든 SP들에 로그인할 수 있는 ID를 발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ID를 발급한 SP가 다른 SP들에 대한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절차까지 전담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별도의 서버 구성이 필요 없고, SP들에 대해서도 인증 수행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SP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ID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물론, 개인정보 변경에 연동하여 ID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까지 가능하여, 사용자와 SP 모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one ID를 발급/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
도 3은 사용자 고객정보 DB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one ID를 이용하여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
도 6은 A-쇼핑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S-통신사 사이트의 one ID 로그인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A-쇼핑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로그인 내역이 기록된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MDN 변경에 연동한 one ID 변경 처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의 상세 블럭도,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서버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SP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one ID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시한다. "one ID 서비스"란, 하나의 ID로 다수의 사이트들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one ID 서비스에 이용하는 one ID는 다수의 사이트들 중 어느 하나에서 발급 가능한데, 어느 사이트에서 발급 받을지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이다. 단, one ID를 발급하는 사이트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것은 요구된다.
one ID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one ID 서비스의 제휴사들의 사이트에 one ID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인증 절차는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사의 사이트가 아닌 one ID를 발급한 사이트에서 수행한다. 이에, one ID를 발급받으면, 제휴사의 사이트에 회원 가입하지 않아도 로그인 가능하다.
단, 로그인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one ID를 발급한 사이트인 경우에는, 로그인하고자 하는 사이트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사이트가 동일하다.
one ID를 발급한 사이트는 one ID에 의한 로그인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다. one ID에 의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사이트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0),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및 SP(Service Provider) 서버들(310, 320, 330)을 포함하여 구축된다.
SP 서버들(310, 320, 330)은 one ID 서비스의 제휴사들이 자신의 사이트 제공을 위해 운용하는 서버들이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SP 서버들(310, 320, 33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들에 접속하여 서비스들을 제공받기 위한 APP들(151, 152, 153)이 설치되어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들(210, 220, 230, 240)로 구축되며, SP 서버들(310, 320, 330)과 협업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one ID 서비스를 제공한다.
2. one ID 발급/등록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one ID를 발급/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사용자가 이미 회원 가입한 S-통신사 사이트를 통해 one ID를 발급받는 것을 상정한다.
one ID 등록을 위해, 먼저, 모바일 단말(100)에서 실행된 S-통신사 App(151)이 S-통신사 서버(310)에 접속하여(S405), 로그인을 수행한다(S410). S410단계의 로그인 인증은, 사용자가 S-통신사 사이트에 회원 가입하면서 발급받은 ID와 PW(PassWord)를 S-통신사 App(151)에 입력하고, S-통신사 서버(310)가 이를 인증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 S-통신사 App(15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one ID 발급을 요청한다(S415). S415단계는 로그인 이후에 제공되는 S-통신사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one ID 발급" 버튼을 누르면, S-통신사 App(151)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링크하여 one ID 발급을 요청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S415단계를 통해 one ID 발급을 요청받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S-통신사 App(151)에 one ID를 발급받을 SP를 문의한다(S420). S420단계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one ID 발급이 가능한 SP들의 리스트(S-통신사, A-쇼핑, L-카드)를 함께 제공한다.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S-통신사 App(15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P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MDN(Mobile Device Number)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반환한다(S42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통신사를 통해 one ID를 발급받는 것을 상정하였으므로, S425단계에서 반환되는 응답에는 SP 정보로 “S-통신사”가 수록된다. 응답에 수록되는 MDN은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사용자가 one ID를 발급받길 원하는 S-통신사 서버(310)에 사용자의 MDN을 전달하면서, S-통신사 App(151)의 세션을 S-통신사 서버(310)의 one ID 발급 페이지로 리다이렉트(Redirect) 시킨다(S430).
그러면, S-통신사 서버(310)는 사용자에게 발급할 one ID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435). 구체적으로, S435단계에서는, 사용자의 MDN을 이용하여 one ID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one ID를 생성하기 위해, MDN에 국가 도메인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010-8888-9999인 경우 one ID를 "01088889999@kr"로 생성하는 것이다.
다음, S-통신사 서버(310)는, 생성한 one ID를 S-통신사 App(151)에 전달하면서 one PW 설정을 요청하고(S440), S-통신사 App(151)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one PW를 수신한다(S445).
S-통신사 서버(310)는 S435단계에서 생성한 one ID와 S445단계에서 수신한 one PW를 보유하고 있는 DB에 있는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추가로 등록한다(S450). 도 3에는 사용자 고객정보 DB를 예시하였는데, 기존의 고객정보인 성명, 주소, MDN, 생년월일, MDN에 one ID와 one PW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S-통신사 서버(310)는 one ID와 one PW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등록 요청한다(S455).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요청받은 one ID, one PW 및 이를 발급한 사이트인 S-통신사 사이트를 ID-인증사이트 매핑 DB에 등록한다(S460).
도 4에는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예시하였으며, 도 2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S-통신사에서 발급한 one ID가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ne PW는 ID-인증사이트 매핑 DB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저장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그렇게 하는 것이 보안에 더 유리할 수 있다.
3. one ID 로그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one ID를 이용하여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는 S-통신사 사이트를 통해 발급받은 one ID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한 바 없는 A-쇼핑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것을 상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단말(100)에서 실행된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이 A-쇼핑 서버(320)에 접속하여(S510), one ID를 전송하면서 로그인을 요청한다(S520).
one ID가 모바일 단말(100)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구현한다면, S520단계를 위한 사용자의 one ID 입력은 필요가 없으며, 도 6에 예시된 A-쇼핑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에서 "one ID 로그인" 버튼을 누르기만 해도 one ID가 자동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S520단계를 통해 one ID 로그인을 요청받은 A-쇼핑 서버(320)는 S520단계에서 전달받은 one ID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530).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S530단계에서 수신한 one ID에 매핑되어 있는 인증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ID-인증사이트 매핑 DB로부터 파악하여 A-쇼핑 서버(320)에 반환한다(S540). S540단계에서 반환되는 인증 사이트 정보는 "S-통신사 사이트" 이다.
A-쇼핑 서버(320)는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의 세션을 S540단계에서 반환받은 인증 사이트인 S-통신사 사이트의 one ID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redirect) 시킨다(S550).
이에, S-통신사 서버(310)는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에 one ID 로그인 페이지를 전송하여(S560),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에는 S-통신사 사이트의 one ID 로그인 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7에는 S-통신사 사이트의 one ID 로그인 페이지를 예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one ID는 모바일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자동 입력되어 있고, 사용자는 one PW 만을 입력하면 된다.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은 one ID와 one PW를 S-통신사 서버(310)로 전달하고(S570), S-통신사 서버(310)는 전달받은 one ID와 one PW를 이용하여 개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580).
인증 성공시, S-통신사 서버(310)는 인증 결과와 고객정보(성명, 주소, MDN, 생년월일 등)를 전달하면서,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의 세션을 A-쇼핑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시킨다(S590).
이에,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은 다시 A-쇼핑 서버(320)에 접속되며, 인증 결과와 고객정보가 A-쇼핑 서버(320)로 전달된다. A-쇼핑 서버(320)는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를 로그인 처리하고(S600),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에 A-쇼핑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전달한다(S610).
그 결과, A-쇼핑 애플리케이션(152)에는 A-쇼핑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가 표시되는데, 도 8에는 A-쇼핑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예시하였다.
다음, A-쇼핑 서버(3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로그인 내역을 기록한다(S620). S620단계에서는 로그인 시간과 로그인 사이트가 기록되는데, 이는 전술한 ID-인증사이트 매핑 DB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는 사용자가 one ID로 A-쇼핑 사이트에 로그인 하고, L-카드 사이트에 로그인 하여, 해당 로그인 내역이 기록된 결과를 예시하였다.
4. MDN 기반 one ID 자동 변경
위 실시예에서 one ID는 S-통신사 서버(310)가 사용자의 MDN에 국가 도메인을 부가하여 자동 생성하는 것을 상정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의 MDN이 변경된 경우 그에 연동하여 one ID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는 S-통신사 서버(310)의 고객정보 DB에서 사용자의 MDN이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S-통신사 서버(310)는 변경된 MDN과 'one ID를 구성하는 MDN 부분'이 상이함을 인지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e ID의 MDN 부분을 사용자의 변경된 MDN과 일치하도록 변경한다.
이와는 다르게, 제휴사의 서버로부터의 one ID 로그인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S-통신사 서버(310)가 MDN과 'one ID를 구성하는 MDN 부분'이 상이함을 인지하여 one ID를 변경처리할 수도 있다.
one ID가 변경되면, S-통신사 서버(3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등록 되어 있는 one ID도 변경하여야 한다. 도 12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ID-인증사이트 매핑 DB에서 one ID가 변경된 상황을 도시하였다.
5. 시스템 구성
5.1 모바일 단말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APP들(151, 152, 153)을 실행하여, 도 2와 도 5에 도시된 절차들 중 APP들(151, 152, 153)에 의한 절차들을 수행한다. APP 실행 대신 브라우저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110)은 프로세서(130)에 의한 APP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고, 사용자 입력/명령을 프로세서(130)에 전달하는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
통신부(120)는 SP 서버들(310, 320, 330)과 통신 연결을 위한 수단이고,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3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5.2 블록체인 서버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버들(210, 220, 230, 240)은 동등한 구성을 가지고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14에는 하나만을 대표하여 도시하였다.
SP 서버들(310, 320, 330)에 의한 인증 절차를 지원하는 인증 지원 서버로 기능하는 블록체인 서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1), 프로세서(202), 저장부(203)를 포함한다.
통신부(201)는 모바일 단말(100) 및 SP 서버들(310,320,330)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202)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절차들 중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의한 절차들을 수행한다. 저장부(203)에는 전술한 ID-인증사이트 매핑 DB가 구축된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구축한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다른 블록체인 서버들에 전달하고, 다른 블록체인 서버들로부터 그들의 ID-인증사이트 매핑 DB들을 수신하여 자신의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업데이트 한다. 이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버들은 정보들이 모두 통합된 동일한 ID-인증사이트 매핑 DB를 공유하게 된다.
5.3 SP 서버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SP 서버(310,320,330)의 상세 블럭도이다. SP 서버들(310,320,3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한 주요 구성에 대해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15에는 하나만을 대표하여 도시하였다.
SP 서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01), 프로세서(302), 저장부(303)를 포함한다.
통신부(301)는 모바일 단말(1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수단이다. 저장부(303)에는 전술한 고객정보 DB가 구축된다.
프로세서(302)는 서비스를 위한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도 2와 도 5에 도시된 절차들 중 SP 서버들(310,320,330)에 의한 절차들을 수행한다.
6. 변형예
지금까지,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는, S-통신사 서버(310)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인 사용자의 MDN을 이용하여 one ID를 자동 생성하여 발급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S-통신사가 아닌 다른 SP의 서버가 one ID를 자동 생성/발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L-카드 서버(330)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인 사용자의 카드번호를 이용하여 one ID를 자동 생성하여 발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 인증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인증에도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테면, IoT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151, 152, 153 : APP
2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210, 220, 230, 240 : 블록체인 서버
310, 320, 330 : SP 서버

Claims (14)

  1. 인증 지원 서버가,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 중 하나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ID 발급을 요청 받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ID를 발급할 SP 서버를 제1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사용자의 세션을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1 SP 서버로 연결시키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가 제1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1 ID'와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수신하면,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2 SP 서버에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의 SP 서버들은,
    자신의 사이트에만 로그인할 수 있는 ID 외에, 다수의 SP 서버들 모두에 로그인할 수 있는 제1 ID를 발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사용자는,
    제1 사이트의 회원이지만,
    제2 SP 서버에서 제공하는 제2 사이트의 회원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사용자는,
    제1 사이트의 회원이고,
    제1 SP 서버는,
    보유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1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SP 서버는,
    제1 ID의 생성에 이용된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고객정보에 따라 제1 ID를 변경하고,
    인증 방법은,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로부터 변경된 제1 ID를 수신하여, 기존의 제1 ID를 변경된 제1 ID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SP 서버는,
    제1 ID와 제1 사용자가 설정한 PW를 자신의 DB에 등록하고,
    DB를 참조하여, 제1 ID를 이용한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서버는,
    제1 ID를 이용한 제2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을 위해,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1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에 리다이렉트시키고,
    제1 서버는,
    인증절차 수행 이후에,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2 사이트에 리다이렉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서버는,
    인증 성공시, 보유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제2 사이트에 리다이렉트되는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2 SP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증 지원 서버가, 제2 SP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ID를 이용한 로그인 내역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증 지원 서버가, '제2 SP 서버가 제2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2 ID'와 '발급 서버인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인증 지원 서버가, 제1 SP 서버로부터 제2 ID를 수신하면, 제2 ID에 매핑된 제2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1 SP 서버에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증 지원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12.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과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SP 서버들 중 하나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ID 발급을 요청 받으면,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ID를 발급할 SP 서버를 제1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제1 사용자의 세션을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1 SP 서버로 연결시키며, '제1 SP 서버가 제1 사용자에게 발급한 제1 ID'와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를 매핑하여 등록하고,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SP 서버에 반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다수의 SP 서버들은,
    자신의 사이트에만 로그인할 수 있는 ID 외에, 다수의 SP 서버들 모두에 로그인할 수 있는 제1 ID를 발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13. 모바일 단말이,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 중 하나를 통해 제1 ID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ID를 발급할 SP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선택한 제1 SP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제1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발급받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발급받은 제1 ID로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ID는,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와 매핑되어 인증 지원 서버에 등록되고,
    제2 SP 서버는,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제2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인증 수행을 제1 사이트에 요청하며,
    다수의 SP 서버들은,
    자신의 사이트에만 로그인할 수 있는 ID 외에, 다수의 SP 서버들 모두에 로그인할 수 있는 제1 ID를 발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14. 다수의 SP(Service Provider) 서버들과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SP 서버들 중 하나를 통해 제1 ID 발급을 요청하고,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1 ID를 발급할 SP 서버를 선택하며, 선택한 제1 SP 서버에 연결하여 제1 SP 서버로부터 제1 ID를 발급받고, 발급받은 제1 ID로 다수의 SP 서버들 중 제2 SP 서버의 제2 사이트에 로그인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ID는, 발급 서버인 제1 SP 서버의 제1 사이트와 매핑되어 인증 지원 서버에 등록되고,
    제2 SP 서버는, 제1 ID에 매핑된 제1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부터 전달 받아, 제2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인증 수행을 제1 사이트에 요청하며,
    다수의 SP 서버들은,
    자신의 사이트에만 로그인할 수 있는 ID 외에, 다수의 SP 서버들 모두에 로그인할 수 있는 제1 ID를 발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70106439A 2017-08-23 2017-08-23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39A KR102015700B1 (ko) 2017-08-23 2017-08-23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6/638,959 US11483303B2 (en) 2017-08-23 2018-08-20 Blockchain-based one ID service system and method
EP18847854.9A EP3654609A4 (en) 2017-08-23 2018-08-20 SINGLE ID SERVICE SYSTEM AND PROCESS BASED ON A BLOCKCHAIN
PCT/KR2018/009518 WO2019039811A1 (ko) 2017-08-23 2018-08-20 블록체인 기반 원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201880054632.2A CN111034149A (zh) 2017-08-23 2018-08-20 基于区块链的单一id服务的系统及方法
JP2020509448A JP6966631B2 (ja) 2017-08-23 2018-08-20 ブロックチェーンをベースにしたOne ID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39A KR102015700B1 (ko) 2017-08-23 2017-08-23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58A KR20190021558A (ko) 2019-03-06
KR102015700B1 true KR102015700B1 (ko) 2019-08-28

Family

ID=654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439A KR102015700B1 (ko) 2017-08-23 2017-08-23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3303B2 (ko)
EP (1) EP3654609A4 (ko)
JP (1) JP6966631B2 (ko)
KR (1) KR102015700B1 (ko)
CN (1) CN111034149A (ko)
WO (1) WO2019039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1271B2 (ja) * 2019-03-18 2024-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企業間情報連携システムおよび企業間情報連携方法
KR102162763B1 (ko) * 2019-05-31 2020-10-07 넷마블 주식회사 계정 이동 방법
KR102211698B1 (ko) * 2019-06-26 2021-02-03 넷마블 주식회사 글로벌 인증 계정 시스템
CN110445882A (zh) * 2019-09-19 2019-11-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连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82803A (ko) 2019-12-26 2021-07-06 아인켐텍 주식회사 화상병 소독제
KR102297924B1 (ko) * 2019-12-31 2021-09-06 옥타코 주식회사 PS-LTE용 FIDO 거래인증 기반의 OneID 기록관리 블록체인 시스템
KR102245382B1 (ko) * 2019-12-31 2021-04-2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공통 아이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71B1 (ko) * 2008-12-26 2009-10-13 (주)이바이언 개인식별코드를 이용한 비가입 고객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70149560A1 (en) * 2012-02-02 2017-05-25 Netspective Communications Llc Digital blockchain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4092B2 (en) * 2001-04-04 2008-12-09 Alorica, Inc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ustomer service and support management
JP2004342088A (ja) 2003-04-21 2004-12-02 Sony Corp 端末機器認証システム、端末機器、第1の振り分けサーバ、振り分けシステム、サービスサーバ、第2の振り分けサーバ、端末機器方法、第1の振り分け方法、振り分け方法、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サーバ方法、第1の振り分け方法、第2の振り分け方法、端末機器プログラム、第1の振り分けプログラム、振り分けプログラム、サービスサーバプログラム、第2の振り分け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011989A (ja) * 2004-06-28 2006-01-12 Ntt Docomo Inc 認証方法、端末装置、中継装置及び認証サーバ
US8590027B2 (en) * 2007-02-05 2013-11-19 Red Hat, Inc. Secure authentication in browser redirection authentication schemes
JP4344957B2 (ja) * 2008-02-14 2009-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処理分散システム、認証サーバ、分散サーバ及び処理分散方法
KR101209581B1 (ko) * 2009-02-09 2012-12-10 김양수 프리패스 아이디 통합 관리 방법
KR101409348B1 (ko) * 2013-03-26 2014-06-20 (주)아펙스플랫폼 통합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관리 방법
CN104038503B (zh) * 2014-06-24 2018-01-0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跨网站登录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162779B (zh) * 2015-08-20 2018-08-17 南威软件股份有限公司 多系统使用统一用户认证的方法
CN106453245B (zh) * 2016-08-30 2019-11-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验证身份的方法及装置
CN106790209B (zh) * 2017-01-03 2019-12-24 北京并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登录认证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71B1 (ko) * 2008-12-26 2009-10-13 (주)이바이언 개인식별코드를 이용한 비가입 고객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70149560A1 (en) * 2012-02-02 2017-05-25 Netspective Communications Llc Digital blockchain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6631B2 (ja) 2021-11-17
CN111034149A (zh) 2020-04-17
JP2020531983A (ja) 2020-11-05
KR20190021558A (ko) 2019-03-06
US20200195629A1 (en) 2020-06-18
US11483303B2 (en) 2022-10-25
EP3654609A1 (en) 2020-05-20
WO2019039811A1 (ko) 2019-02-28
EP3654609A4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700B1 (ko) 블록체인 기반 one 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686794B2 (en) System in which redirect URL is set for each access range of resource, method for the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the method
US11153296B2 (en) Privacy-aware ID gateway
EP3203709A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EP3529973B1 (en) Management service migration for managed devices
JPWO2009107219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装した認証プログラム
CN109639421B (zh) 一种私钥找回的方法及服务器
US11012535B2 (en) Management service migration using web applications
CN108734888A (zh) 一种储物柜及其储物方法
US10924557B2 (en) Management service migration using managed devices
US10470041B2 (en) Contro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100997148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인증 및 결제 장치와 그 방법
JP3949384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070490B1 (ko) 고객 컴퓨터 원격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64542B1 (ko) 모바일 통합 서비스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 및 서비스 시스템
CN114338130A (zh) 信息的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898293B1 (ko) 법인 명의 이동 단말 사용자의 부가 서비스 가입을 위한 방법, 서버, 및 기록 매체
JP202000927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提供方法
CN110233854A (zh) 一种绑定电商平台和saas平台的账号管理方法及系统
US201702146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US20220174057A1 (en) Workflow service back end integration
JP546049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基盤装置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810987B1 (ko) 마스터 웹 사이트에서 패스워드를 노출시키지 않고 웹 서버에 로그인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10065826A (ko) 고객 컴퓨터 원격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30444A (ko)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개인화된 통신서비스 접속 정보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