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948B1 -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948B1
KR102014948B1 KR1020170080413A KR20170080413A KR102014948B1 KR 102014948 B1 KR102014948 B1 KR 102014948B1 KR 1020170080413 A KR1020170080413 A KR 1020170080413A KR 20170080413 A KR20170080413 A KR 20170080413A KR 102014948 B1 KR102014948 B1 KR 10201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test
sample
motor pum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53A (ko
Inventor
김환석
변관구
윤광순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비텍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01N33/48792Data management, e.g. communication with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inorganic compounds or p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소변 시료를 담는 수집 용기와; 소변 시료가 유동하는 순환 경로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소변 특성을 측정하는 시료 측정기;를 구비한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측정기는,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모터 펌프와, 모터 펌프의 작동시 시료 공급 호스를 통하여 수집 용기로부터 흡입된 소변 시료가 잠시 머무르는 체류 공간을 형성한 검사 용기와, 검사 용기에 채워진 소변 시료의 특성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과, 검사 용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모터 펌프에 타측이 결합되어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호스와, 모터 펌프에 일측이 결합되고 시료 측정기 외부로 타측이 인출되어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 호스와, 모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 모듈의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얻은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정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Liquid Sample Circulation Type Urine Analyzer Using Motor Pump}
본 발명은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동하는 소변 시료의 순환 경로에 배치한 센서를 이용하여 소변 특성을 검사하는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 검사는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 병변을 알아내는 진단법으로,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을 비롯하여 그 통로인 요관, 방광, 요도에 병변이 있으면 혼탁뇨나 혈뇨 등의 이상이 나타나고, 또한 소변 속에는 전신의 대사산물(代謝産物)이 배설되고 있으므로 비뇨기 이외의 전신적인 질환의 진단에도 널리 시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변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질병으로는 대표적으로 당, 케톤체, 잠혈, 백혈구, 유로빌리노겐, 빌리루빈, 단백질, 아질산염, 산도와 비중 등이 있다.
일반인이 집에서도 간편하게 소변 검사를 하는 소변 검사 스틱이 개발되었으나, 종이컵 등에 직접 소변을 채집하여야 하고 종이컵을 들고 옮기는 과정에서 소변을 흘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배출하면서 소변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변 검사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0972622호 (2010.7.21 등록)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변기의 림에 설치하는 소변 검사장치가 소변과 반응하는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모듈, 스트립 가이드부재와 스트립 검사모듈 및 스트립 세척모듈 등의 많은 구성 부품들을 구비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작업이나 고장 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2622호 (2010.7.21 등록)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펌프의 작동으로 소변 시료를 순환시키는 동안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간단한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시료 채취와 검사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뛰어난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소변 시료를 담는 수집 용기와; 상기 소변 시료가 유동하는 순환 경로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소변 특성을 측정하는 시료 측정기;를 구비한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측정기는, 상기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모터 펌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시 시료 공급 호스를 통하여 상기 수집 용기로부터 흡입된 소변 시료가 잠시 머무르는 체류 공간을 형성한 검사 용기와, 상기 검사 용기에 채워진 소변 시료의 특성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과, 상기 검사 용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모터 펌프에 타측이 결합되어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호스와, 상기 모터 펌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시료 측정기 외부로 타측이 인출되어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 호스와,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얻은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정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시 상기 흡입 유로에 연통하는 상기 검사 용기의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집 용기의 소변 시료가 상기 검사 용기로 유입되어 체류 공간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탐침봉을 이용하여 소변 시료의 pH를 검출하는 pH 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일체 결합된 상기 탐침봉은 상기 검사 용기에서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검사 용기의 외측에 설치된 글루코스 검출센서와, 상기 검사 용기의 소변 시료를 상기 글루코스 검출센서로 운반하기 위한 연결 호스와, 상기 글루코스 검출센서에서 상기 흡입 호스로 소변 시료를 운반하기 위한 이송 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호스의 일측은 상기 검사 용기의 체류 공간을 경유하고 일측 단부는 상기 흡입 호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 용기를 변기에 설치하여 소변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상기 검사 대상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시료 측정기의 동작 명령을 출력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스위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변 검사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집 용기에 투입된 세척수가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사용자 정보 및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센터와, 상기 관리 센터의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콘솔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 및 콘솔부는 상기 검사 대상자를 인증하는 발급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읽는 RF 리더기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시료 채취용 수집 용기에 담은 소변 시료를 순환시키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소변 특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 크기의 시료 측정기를 개별 단품으로 제작할 수 있어 변기 외측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변 시료의 순환 경로를 따라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 기능을 구비하므로 측정 편차를 줄여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별도의 세척 장치를 동원하지 않고도 소변 검사 장치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신속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은 관리 센터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므로 검사 대상자는 간단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소변 검사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측정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용기에 설치한 센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검사 장치를 변기에 적용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검사 장치의 측정부, 관리 센터, 콘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측정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측정기를 구비한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100)는 시료 측정기(101), RF 리더기(102), 수집 용기(103), 작동 스위치(104)를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 측정기(101)는 모터 펌프(50)를 포함한 여러 구성 부품을 수용하고 개별 단품으로 설치가능한 박스 형상의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에는 체류 공간(24)을 형성하기 위한 통 형상의 검사 용기(20)를 고정 설치한다. 시료 공급 호스(11) 일측은 수집 용기(103) 내부에 연장되고, 타측은 하우징(10)에 고정된 검사 용기(20)의 상단 결합구(21)에 결합되어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과 연통된다.
모터 펌프(50)의 작동시 수집 용기(103)의 소변 시료가 시료 공급 호스(11)를 통하여 검사 용기(20) 내부로 운반된다. 시료 공급 호스(11)는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고무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에 채워진 소변 시료가 잠시 머무르다 유출되므로, 소변 시료의 소변 특성을 검출하는 pH 검출센서(30) 및 글루코스 검출센서(40)를 구비한 센서 모듈(80)을 검사 용기(20)에 설치한다. 여기서 글루코스 검출센서(40)는 내부 통로에 글루코스와 반응하는 효소 막을 형성하여 효소 반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바이오 센서의 일종이다.
수집 용기(103)는 일정량의 소변 시료를 담을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그릇 형태로 형성한다. 이러한 수집 용기(103)는 검사 대상자로부터 소변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변기(105)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데, 변기(105)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하거나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이구(108)를 이용하여 변기(105) 상부에 거치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착탈 방식으로 적용시 변기(105)에서 수집 용기(103)를 분리하면 일반적인 기능으로서 변기(105)를 통해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고,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시 수집 용기(103)를 변기(105)에 부착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04)는 변기(105) 상부 테두리에 설치할 수 있다. 변기 시트(107)가 하강하여 변기(105) 상면의 작동 스위치(104)에 접촉하게 되는데, 사용자 착석시 그 작동 스위치(104)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작동 스위치(104)는 누름 압력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작동 스위치(15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동작 명령을 시료 측정기(101)의 측정 제어모듈(90)에 인가한다.
RF 리더기(102)는 검사 대상자에게 발급된 카드가 근접될 때 사용자 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내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변기 커버(106)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으나, 리더기의 설치 위치가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변기(105) 주변 벽면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pH 검출센서(30)는 탐침봉(32)을 이용하여 소변 시료의 pH를 검출한다. 탐침봉(32)은 뚜껑(31)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체류 공간(24)의 바닥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변 시료와 접촉한다. 뚜껑(31)은 검사 용기(20)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통공을 개폐하며, 이 뚜껑(31)을 분리하여 pH 검출센서(30)를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글로코스 검출센서(40)는 검사 용기(20) 외측에 설치되며, 체류 공간(24)에 채워진 소변 시료를 글로코스 검출센서(40)로 운반하기 위한 연결 호스(42)와 이송 호스(44)를 구비한다.
글로코스 검출센서(40)의 통로 입구에 연결 호스(42)가 결합되고 통로 출구에 이송 호스(44)가 결합된다. 연결 호스(42) 일측이 검사 용기(20) 측면에 돌출된 측면 고정구(41)에 고정된다. 이송 호스(44) 일측이 검사 용기(20)의 경사진 바닥면(23)에 돌출된 저면 고정구(43)를 관통한 후 체류 공간(24)에 연통하는 하단 결합구(22)에 고정 설치된 끼움구(45)를 관통한다. 이러한 이송 호스(44)의 단부(46)는 흡입 호스(51) 내부로 연장된다. 이송 호스(44)가 삽입된 끼움구(45) 내부에 틈새(48)가 형성되고, 이 틈새(48)를 통하여 체류 공간(24)의 소변 시료가 흡입 호스(51)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호스(44)의 단부(46)가 흡입 호스(51)까지 연장하는 이유는 모터 펌프(50) 작동시 흡입 호스(51)를 통하여 소변 시료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이송 호스(44)의 단부(46)가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 펌프(50)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이 약하면 연결 호스(42)를 통하여 글루코스 검출센서(40)로 소변 시료가 유입되지 않거나 소변 시료의 유입량이 부족하여 신뢰성 있는 당도 검출이 곤란할 수 있다. 즉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에 유입된 대부분의 소변 시료는 끼움구(45)의 틈새(48)를 통하여 흡입 호스(51)로 직접 유입될 수 있으나 연결 호스(42) 및 이송 호스(44)로 우회하는 소변 시료의 유입량은 매우 적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80)이 소변 시료의 pH와 당도를 각각 검출하는 pH 검출센서(30)와 글루코스 검출센서(4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센서 모듈(80)에 적용하는 센서의 종류, 개수, 및 설치 위치가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시하지 않은 센서라고 해도 순환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소변 시료에 반응하여 소변 특성을 검출하는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모터 펌프(50)에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호스(51)와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 호스(52)를 각각 연결한다. 흡입 호스(51) 일측은 검사 용기(20)의 하단 결합구(22)에 결합되어 체류 공간에 연통되고 타측은 모터 펌프(50) 입구측에 결합된다. 배출 호스(52) 일측은 변기(105) 내부에 연장되고 타측은 모터 펌프(50) 출구측에 결합된다.
모터 펌프(50)는 측정 제어모듈(90)의 제어 보드(60)의 제어에 따라 작동 제어된다. 모터 펌프(50)를 작동하는 경우, 흡입 유로에 연통된 검사 용기(20) 내부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수집 용기(103)에 채집된 소변 시료는 시료 공급 호스(11)를 통하여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으로 유입된다. 이후 체류 공간(24)에 채워진 소변 시료는 탐침봉(32)에 접촉하여 pH 검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체류 공간(24)의 소변 시료가 연결 호스(42)를 통하여 글루코스 검출센서(40)에 유입되고, 유입된 소변 시료가 글루코스 검출센서(40)의 내부 통로를 경유하는 동안 당도 검출이 이루어진다. 당도 검출이 완료된 소변 시료는 이송 호스(44)를 통하여 흡입 호스(51)로 보내진다.
도 4를 참고하여 pH 검출센서(30) 및 글루코스 검출센서(40)를 경유하여 흡입 호스(51)에 유입된 소변 시료는 배출 호스(52)를 경유하여 변기(105)로 배출된다.
측정 제어모듈(90)은 pH 검출센서(30)의 검출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 보드(60)에 인가하는 신호 변환기(35)와, 글루코스 검출센서(40)의 검출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 보드(60)에 인가하는 신호 변환기(47)를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35)(47)는 A/D 컨버터로 각각 구현할 수 있다. 제어 보드(60)는 전원 어댑터(70)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신호처리모듈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제어 보드(60)는 pH 검출센서(30)와 글루코스 검출센서(40)에서 검출한 신호에 따라 pH 수치와 당도 수치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측정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선(DL)을 통하여 외부 관리 센터(200)의 서버(201)로 전송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201)는 전송받은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 콘솔부(300)는 관리 센터(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301)과, 검사 대상자에게 발급된 카드의 정보를 읽는 RF 리더기(302)를 구비한다.
소변 검사를 마친 사용자가 자신의 측정 데이터를 콘솔부(300)에서 검색할 수 있는데, 발급받은 카드를 RF 리더기(302)에 접근시켜 사용자 정보를 읽어낸 사용자 단말(301)이 서버(201)에 인증 요청하여 성공하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인증된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받아와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소변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변 검사 장치(1)는 세척 기능을 구비한다. 세척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 구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수집 용기(103)에 세척수 투입만으로 세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집 용기(103)에 세척수를 담은 상태에서 모터 펌프(50)를 설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며, 이에 따라 수집 용기(103)에 저장된 세척수는 시료 공급 호스(11)를 통해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에 유입되고, 유입된 세척수 일부는 연결 호스(42)와 이송 호스(44)를 경유하여 단부(46)로 보내져 흡입 호스(51)에 유입되며, 동시에 체류 공간(24)의 세척수는 끼움구(45)의 틈새(48)를 통하여 흡입 호스(51)에 유입된다. 흡입 호스(51)에 유입된 세척수는 배출 호스(52)를 통하여 변기(105)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세척 기능을 위하여 시료 측정기(101)에 미도시한 세척 버튼을 마련하고, 세척 버튼을 조작시 제어 보드(60)가 모터 펌프(50)를 설정 시간 동안 구동시켜 세척수가 순환 경로를 따라 유동함으로써 추후 소변 검사시 측정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검사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소변 검사를 받기 위한 검사 대상자는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발급받는다. 변기(105)에 수집 용기(103)가 고정 설치되지 않은 경우, 걸이구(108)를 이용하여 수집 용기(103)를 변기(105)에 부착하는데, 이때 수집 용기(103)에 잔류 소변이 있거나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하고, 수집 용기(103)에 세척수를 투입한 상태에서 세척 버튼을 조작하여 세척 기능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검사 대상자는 변기 시트에 착석한다. 수집 용기(103)에 일정량의 소변 시료가 채취되면, 발급받은 카드를 RF 리더기(102)에 접근시켜 인증받는다. 이때 RF 리더기(102)에서 읽은 검사 대상자의 사용자 정보는 제어 보드(60)를 통해 서버(201)에 전달되고, 서버(201)에서 인증되면 제어 보드(6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인증 성공하면 제어 보드(60)는 소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사전 절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 펌프(50)를 작동시킨다.
모터 펌프(50)의 작동으로 흡입 호스(51)에 연결된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의 압력이 급격히 하강하고, 이에 따라 수집 용기(103)에 채취된 일정량의 소변 시료는 시료 공급 호스(11)를 통하여 검사 용기(20)의 체류 공간(24)으로 유입되고, 일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소변 시료의 유입이 지속된다. 이때 탐침봉(32)은 소변 시료에 접촉하여 pH 검출하고, 검출 신호가 신호 변환기(35)를 거쳐 제어 보드(60)에 인가된다. 체류 공간(24)의 일부 소변 시료는 연결 호스(42)를 통하여 글루코스 검출센서(40)의 내부 통로에 유입되어 이송 호스(44)를 거쳐 흡입 호스(51)로 유동함에 따라 소변 시료의 당도를 검출하며, 이 검출 신호는 신호 변환기(47)를 거쳐 제어 보드(60)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소변 시료의 pH 검출 동작과 병행하여 당도 검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변 시료는 흡입 호스(51)와 배출 호스(52)를 순차적으로 거쳐 변기(105)로 배출된다.
제어 보드(60)는 신호 변환기(35)(47)로부터 인가받은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자의 pH 수치와 당도 수치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관리 센터(200)의 서버(201)에 전송하고, 서버(201)는 데이터베이스(202)에 검사 대상자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02)는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검사 시기와 횟수 및 검사 결과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소변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자는 발급 카드를 RF 리더기(302)에 접근시켜 인증을 받고 나서 사용자 단말(301)에서 측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1)은 개인용 컴퓨터 등 서버(201)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정보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소변 검사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 : 소변 검사 장치 100 : 측정부
101 : 시료 측정기 102 : RF 리더기
103 : 수집 용기 104 : 작동 스위치
105 : 변기

Claims (7)

  1. 검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소변 시료를 담는 수집 용기와; 상기 소변 시료가 유동하는 순환 경로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소변 특성을 측정하는 시료 측정기;를 구비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 측정기는,
    상기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모터 펌프와, 상기 수집 용기로부터 소변 시료를 흡입하는 시료 공급 호스와, 흡입된 소변 시료가 잠시 머무르는 체류 공간을 형성한 검사 용기와, 상기 검사 용기에 채워진 소변 시료의 특성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과, 상기 검사 용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모터 펌프에 타측이 결합되어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호스와, 상기 모터 펌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시료 측정기 외부로 타측이 인출되어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 호스와,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얻은 검사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정기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펌프는 작동 시 상기 흡입 유로에 연통하는 상기 검사 용기의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집 용기의 소변 시료가 상기 검사 용기로 유입되어 상기 체류 공간에 채워지고,
    상기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검사 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검사 용기에서 착탈할 수 있는 탐침봉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검사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용기의 소변 시료를 상기 센서로 운반하기 위한 이송 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호스는 상기 검사 용기의 체류 공간을 경유하고, 상기 체류 공간에 연통하는 틈새가 형성된 끼움구를 관통하며, 상기 이송 호스의 단부는 상기 흡입 호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용기를 변기에 설치하여 소변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상기 검사 대상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시료 측정기의 동작 명령을 출력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스위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사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모터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집 용기에 투입된 세척수가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사용자 정보 및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센터와, 상기 관리 센터의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콘솔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 및 콘솔부는 상기 검사 대상자를 인증하는 발급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읽는 RF 리더기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KR1020170080413A 2017-06-26 2017-06-26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KR10201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13A KR102014948B1 (ko) 2017-06-26 2017-06-26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13A KR102014948B1 (ko) 2017-06-26 2017-06-26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53A KR20190001053A (ko) 2019-01-04
KR102014948B1 true KR102014948B1 (ko) 2019-08-27

Family

ID=6501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413A KR102014948B1 (ko) 2017-06-26 2017-06-26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3322A (zh) * 2019-01-24 2019-04-19 广东雅仕格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进行免试纸尿检的智能马桶
KR102543229B1 (ko) * 2020-12-02 2023-06-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뇨 감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137A (ja) * 1998-10-22 2000-05-09 Toto Ltd 健康管理装置
JP2004085576A (ja) * 2003-09-11 2004-03-18 Inax Corp 採尿装置を有する便器
JP2016142585A (ja) * 2015-01-30 2016-08-08 Toto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22B1 (ko) 2008-06-30 2010-07-28 주식회사 메카시스 소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137A (ja) * 1998-10-22 2000-05-09 Toto Ltd 健康管理装置
JP2004085576A (ja) * 2003-09-11 2004-03-18 Inax Corp 採尿装置を有する便器
JP2016142585A (ja) * 2015-01-30 2016-08-08 Toto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53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29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rinalysis in real time
KR101080828B1 (ko) 변좌 장착식 소변 분석 시스템용 소변 채취 장치
KR100949114B1 (ko) 바이오 드라이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KR102014948B1 (ko) 모터 펌프를 이용한 액상 시료 순환식 소변 검사 장치
KR101548302B1 (ko) 요화학 분석 장치
US107581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urine samples
JP2001526394A (ja) 自動検査システムにおける、吸引液量を検証する方法
WO2014121699A1 (zh) 全自动尿液检测仪
CN105796132A (zh) 一种具有验孕功能的智能坐便器及其控制方法
US20180059129A1 (en) Automated urinalysis
CN102918398B (zh) 分析装置及分析方法
US20230102589A1 (en) Excreta sampling toilet and inline specimen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210121161A1 (en) Saliva collection and testing system for predictive medicine
WO2009027935A2 (en) Biochemical sensor cartridge
CN212622235U (zh) 一种智能全自动无人操控拉曼光谱分析设备
CN111965162A (zh) 一种智能全自动无人操控多探头拉曼光谱分析设备
CN112116975B (zh) 一种用户分析报告的生成方法及系统
US11119100B2 (en) Reagent strips reader for analytes measurement in body fluids connected to a smartphone with emergency function
JP2011196820A (ja) 採血管
CN216434130U (zh) 一种血气-免疫联合检测装置
KR102269423B1 (ko) 건강 진단용 스마트 시스템
KR20230032543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장치
US20230204571A1 (en) Devices and methods of urinalysis for real-time monitoring of organ health
US20240032900A1 (en) Casing for capturing and analysing animal urine, device and method implementing same
JPH1019886A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