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406B1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406B1
KR102013406B1 KR1020170123961A KR20170123961A KR102013406B1 KR 102013406 B1 KR102013406 B1 KR 102013406B1 KR 1020170123961 A KR1020170123961 A KR 1020170123961A KR 20170123961 A KR20170123961 A KR 20170123961A KR 102013406 B1 KR102013406 B1 KR 10201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hair loss
hair
compositio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998A (ko
Inventor
박현숙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박현숙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숙, 박용재 filed Critical 박현숙
Priority to KR102017012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4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어 추출액 및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어 추출액 및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로부터 모발이 빠져나가는 탈모(脫毛)의 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호르몬 불균형 등 내분비계의 이상, 자율신경계, 혈액 순환 장애 등 순환계의 이상에 의한 과도한 피지 생성,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 감염 및 유전적 요인, 노화 등이 주원인으로 추정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복잡한 환경에서 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 대기 오염, 음식물 등 환경적 요인에 대한 원인설도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의 증상은 과거에는 중, 장년층에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무스, 퍼머, 염색, 드라이 열에 의한 모발과 두피손상이 커다란 탈모 원인이 되어 20~30 대 젊은 층에서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성형 탈모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비만형 탈모 또한 점차 확산 되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여성 호르몬제, 혈행 촉진제, 비타민 E, 비타민 B2 조성물, 카로틴 용해제, 살균제 등의 약물요법과 모발 이식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통상적 발모제는 발모에 충분한 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며 부적당한 농도의 호르몬제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고 발모제에 배합된 알코올의 자극으로 인하여 오히려 탈모가 더욱 심해지는 등 생체 안정성 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탈모 부위에만 바르는 기존의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몇 년에 걸쳐서 꾸준히 발라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단기간의 사용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고, 별도로 발모제 바르는 것에 대한 번거로움으로 발모제 사용에 따른 효과를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55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어 추출액 및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문어 추출액 및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문어와 낙지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문어와 낙지를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가열하는 S2단계와; 상기 문어와 낙지를 건져낸 추출액을 마련하는 S3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S2단계에서는 상기 문어, 낙지 및 물의 중량비가 1 : 0.8~1.2 : 0.2~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문어 추출액 및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낙지와 문어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낙지와, 문어를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가열하는 S2단계와, 상기 낙지와 문어를 건져낸 추출액을 마련하는 S3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S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추출액과 낙지 추출액에는 타우린(taur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타우린은 세포의 안정화를 도와 몸의 세포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고, 신체 면역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하고, 담즙의 담즙산 분비를 촉진하고, 간의 기능을 개선하고 지방간을 예방하며, 혈액 중 중성 지질과 콜레스케롤의 증가를 억제해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신경 조절 작용을 하여 혈압을 낮추고 뇌졸증 예방에 도움이 되며, 심장근육의 수축운동을 강화하고 심장 세포막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포의 염증 부위에 발생하는 독성 물질을 제거해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문어와 낙지에는 HDL(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는데, HDL(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몸에 지방성으로 축적되는 것에 비해 문어 등에 함유된 HDL(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이물질을 소화기를 통해 몸에서 방출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문어와 낙지에는 비타민 E와, 나이아신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유효성분은 노화를 억제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나이아신은 전체 물질대사에 필요한 영양소로 신경전달 물질을 생산하고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데 관여하는 영양소 입니다. 비타민은 섭취한 음식물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데 도움을줍니다. 이중 나이아신은 지방과 탄수화물의 신진대사에 관여합니다. 닥터 웨일은 나이아신은 나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의 양을 증가시켜 심장질환의 리스크를 감소시켜 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문어의 먹물은 속엔 멜라닌 색소와 함께 항종양 활성이 강한 일렉신 등의 뮤코다당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방부작용 및 위액분비 촉진작용을 촉진하고 치질치료, 여성의 생리불순 해소에도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S1단계 및 S2단계에서는 문어와 낙지를 마련하는 단계인데, 문어와 낙지의 내장이나 먹물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식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장이나 먹물 등을 제거한 다음 물에 삶거나 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문어와 낙지를 통째로 삶기 때문에 수세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손질이 필요없으며, 내장이나 먹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성능이 저하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S2단계는 문어와 낙지를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가열하는 것으로서, 문어, 낙지 및 물의 중량비가 1 : 0.8~1.2 : 0.2~0.4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S2단계에서 가열 시간은 5~1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7시간 동안 삶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3단계 및 S4단계는 삶은 문어와 낙지를 건져내어 추출액을 마련한 다음, 여과하여 불필요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발라줄 수도 있고, 샴푸나 린스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천연 향 성분을 첨가하여 기호성을 높이고, 천연 방부제 성분을 혼합하여 장기간 변질하지 않고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천연 향 성분은 자극이 적고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로마 오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천연 방부제 성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2936호에 개시된 천연 방부제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음료에 첨가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음료 총중량 대비 0.1~5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내장 등을 제거하지 않은 문어 10kg과, 낙지 10kg을 마련한다.
(2) 밀폐 가능한 가열장치에 문어 10kg과, 낙지 10kg과, 물 3kg을 넣고 7시간 동안 가열한다.
(3) 가열이 완료되면 문어와 낙지를 가열장치에서 꺼낸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제조를 완료한다.
[비교예 1]
위 실시예 1에서 문어의 내장과 먹물을 제거하고 낙지의 내장을 제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음료의 효과를 시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1]
전술한 [실시예 1]의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전국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하루 200개 이상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중증 탈모증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매일 적어도 1회 두피에 바르도록 하였다.
[시험예 2]
전술한 [비교예 1]의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전국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하루 200개 이상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중증 탈모증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매일 적어도 1회 두피에 바르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시작일로부터 10, 20, 30일 후 발모 상태를 관찰하고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의 정도는 우수한 효과(시험 전 모발의 밀도와 대비하여 증가율이 40% 이상인 경우)는 '++', 보통의 효과(시험 전 모발의 밀도와 대비하여 증가율이 20~40%인 경우)는 '+' ,약한 효과(시험 전 모발의 밀도와 대비하여 증가율이 5~20%인 경우)는 '±', 미미한 효과(시험 전 모발의 밀도와 대비하여 증가율이 0~5%인 경우)는 '-'로 표현하여 시험예 1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고, 시험예 2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모발의 밀도는 탈모된 부분의 사방 정사각형 형태의 1㎠ 안에 생성된 모발의 개수를 관찰하여 모발의 증감을 조사하였다. 다만, 정상 모발만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솜털 수는 제외하였다.
피시험자 나이 증상 탈모진행
기간(년)
결과
10일 20일 30일
1 43 남성형 탈모 11 ± + ++
2 58 남성형 탈모 18 - ± +
3 52 비만형 탈모 19 ± + ++
4 49 비만형 탈모 9 ± + +
5 48 비만형 탈모 8 - ± +
6 56 원형 탈모 4 ± + ++
7 56 원형 탈모 5 ± ± +
8 47 원형 탈모 11 ± ± +
9 59 비만형 탈모 15 - ± ++
10 36 비만형 탈모 2 ± ± +
11 53 비만형 탈모 8 ± ± +
12 61 원형 탈모 4 - ± ±
13 38 원형 탈모 3 ± + ++
14 42 남성형 탈모 12 ± + +
15 49 남성형 탈모 19 - ± +
위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일 동안 바른 경우에도 15명 중 10명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가지게 되고 30일이 경과하면 대부분 피시험자들이 '보통의 효과'인 '+'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시험자 나이 증상 탈모진행
기간(년)
결과
10일 20일 30일
1 59 남성형 탈모 13 - - ±
2 52 남성형 탈모 21 - ± ±
3 51 남성형 탈모 18 - - -
4 43 비만형 탈모 5 ± ± ±
5 51 원형 탈모 13 - - ±
6 55 원형 탈모 11 - - 중단
7 46 원형 탈모 8 ± ± ±
8 57 비만형 탈모 9 - - -
9 56 비만형 탈모 13 - ± +
10 43 비만형 탈모 14 - - 중단
11 53 남성형 탈모 15 - 중단 중단
12 59 원형 탈모 12 - 중단 중단
13 48 원형 탈모 5 - - 중단
14 47 남성형 탈모 16 - - ±
15 49 원형 탈모 15 ± ± ±
위 표 2의 결과를 보면 표 1과 대비할 때, 15명 중 5명은 별다른 효과가 없다고 판단하여 시험을 중단하였고, 30일 동안 매일 바른 피시험자의 경우에도 한 명만 제외하고 '약한 효과'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표 1 및 표 2를 대비하여 보면, 문어와 낙지를 함께 열수추출하더라도 내장과 먹물이 함유된 실시예 1에서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현저히 저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장과 먹물을 제거하지 않은 문어에서 추출한 문어 추출액과 내장을 제거하지 않은 낙지에서 추출한 낙지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 내장과 먹물을 제거하지 않은 문어와 내장을 제거하지 않은 낙지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문어와 낙지를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가열하는 S2단계와;
    상기 문어와 낙지를 건져낸 추출액을 마련하는 S3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S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에서는 상기 낙지, 문어 및 물의 중량비가 1 : 0.8~1.2 : 0.2~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70123961A 2017-09-26 2017-09-2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1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61A KR102013406B1 (ko) 2017-09-26 2017-09-2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61A KR102013406B1 (ko) 2017-09-26 2017-09-2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98A KR20190035998A (ko) 2019-04-04
KR102013406B1 true KR102013406B1 (ko) 2019-08-23

Family

ID=6610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61A KR102013406B1 (ko) 2017-09-26 2017-09-2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4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59B1 (ko) 2011-07-04 2012-02-29 신환섭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음료
KR20130115566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98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736B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299B1 (ko)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Yampolsky et al. Sea buckthorn (lat. Hippophaë)
KR101711134B1 (ko) 발모촉진제 제조방법
KR101374277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CN108379173A (zh) 一种硅烷醇祛眼袋组合物及应用
KR10201340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90010814A (ko) 발모제 조성물
CA2392316A1 (fr) Composition de soins comprenant entre autres l'amidon de riz, de l'huile de coco et du beurre de karite
KR101438392B1 (ko) 발모촉진/탈모방지용 샴프 제조방법
US7195781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KR20110056156A (ko)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41340A (zh) 一种消肿止痛止痒滋养皮肤的手足皴裂膏及其制备方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RU2314791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бальзам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шеи
KR100441722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4009108A1 (en) Antipyrot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79663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를 위한 천연 한방에센스의 제조방법
KR102540818B1 (ko)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JPS591406A (ja) 化粧水の製造方法
KR1011105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음료
RU26392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