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284B1 -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284B1
KR102013284B1 KR1020180050605A KR20180050605A KR102013284B1 KR 102013284 B1 KR102013284 B1 KR 102013284B1 KR 1020180050605 A KR1020180050605 A KR 1020180050605A KR 20180050605 A KR20180050605 A KR 20180050605A KR 102013284 B1 KR102013284 B1 KR 102013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temperature
pipe
solution
dilute solu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구
서종원
김종성
최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to KR102018005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03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or composition of the re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5Re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02B30/625Absorption based systems combined with heat or power generation [CHP], e.g. tri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열교환기에서 예열된 묽은용액과 드레인쿨러에서 가열된 묽은용액을 고온재생기의 본체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공급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된 제 1 묽은용액의 토출압력이 제 2 공급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의 토출압력보다 높도록 구성되므로, 혼합박스 내부의 제 1 묽은용액이 이동관으로 이동될 때, 제 2 묽은용액은 혼합박스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제 1 묽은용액을 따라 이동관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Generator of absorption chiller}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묽은용액이 고온재생기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동기는 폐열을 이용하여 냉방을 하는 기기로 국내외에서는 중대형 건물의 냉방에 주요 기기로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설비의 간단성, 저렴한 운전 유지비, 안전성 등으로 인하여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 응축기, 흡수기, 재생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인 증류수는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 응축기를 순환하고 흡수재인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은 흡수기, 재생기를 순환한다. 기본적인 흡수 사이클에서 증발기와 흡수기는 저온, 저압에서 작동하고, 재생기와 응축기는 고온, 고압 하에서 작동한다. 즉,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수기로 이동된 후 흡수기에서 흡수제를 사용하여 흡수 제거시켜,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10), 흡수기(20), 저온열교환기(30), 고온열교환기(40), 고온재생기(50), 저온재생기(60), 배열재생기(70), 응축기(80) 및 드레인쿨러(90)를 포함한다. 증발기(10)는 냉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증발시키고, 흡수기(20)는 증발기(10)에서 발생된 냉매증기를 흡수제로 흡수하며 이 과정에서 냉매증기가 흡수제 즉, 리튬브로마이드가 포함된 농축용액에 흡수되면서 묽은용액으로 묽어지게 된다. 저온열교환기(30) 및 고온열교환기(40)는 흡수기(20)에서 발생된 묽은용액을 예열한다. 고온재생기(50)는 고온열교환기(4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을 가열하여 농축용액과 고온 냉매증기를 발생시킨다.
고온재생기(50)에서 발생된 고온 냉매증기는 저온재생기(60)의 전열관(60a) 내측으로 이동되어, 저온재생기(60)의 전열관(60a) 외측의 묽은용액을 가열한다. 이 묽은용액은 저온열교환기(30)에서 이송되어 배열재생기(70)에서 온수에 의해 1차 가열 농축되고 저온재생기(60)로 자유 낙하하여 2차 가열 농축되어 냉배증기를 발생시킨다. 배열재생기(70) 및 저온재생기(60)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는 응축기(80)에서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어 증발기로(10)로 분사되어 냉수와 열교환되어 반복 순환한다.
그리고 고온재생기(50)에서 발생된 농축용액은 고온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저온열교환기(30)에서 올라오는 묽은용액을 가열시키면서 냉각된 후, 흡수기(20)로 보내진다. 저온재생기(60)는 배열재생기(7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을 고온재생기(50)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냉매증기에 의해 재가열하고, 이때 발생한 증기를 응축기(80)로 보내며, 또한 농축용액을 저온 열교환기로 보낸다. 고온재생기(50)에서 발생된 농축용액과 저온재생기(60)에서 발생된 농축용액은 합류되어 저온열교환기로(30)로 보내지며 농축용액은 흡수기(20)에서 이송된 묽은용액을 가열하면서 고온재생기(50) 열효율을 높이고, 다시 흡수기(20)로 뿌려진다. 흡수기(20)에서는 증발기(10)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를 흡수하여 농도가 묽어지며 반복 순환된다.
한편, 저온열교환기(30)를 통과한 묽은용액의 일부는 드레인쿨러(90)로 보내져 열교환된다. 즉, 드레인쿨러(90)는 고온재생기(50)에서 응축되어 버려지는 증기를 회수하고 묽은용액을 가열하여 냉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드레인쿨러(90)에서 가열된 묽은용액은 고온열교환기(4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과 합류되어 혼합액을 형성한 후 고온재생기(50)로 이동된다.
이때, 드레인쿨러(90)에서 가열된 묽은용액과 고온열교환기(4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이 용이하게 혼합되지 아니하고, 드레인쿨러(90)에서 가열된 묽은용액과 고온열교환기(4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의 혼합 과정에서 종종 와류가 발생되어 고온재생기(50)로 용이하게 이동되지 않으며, 고온열교환기(40)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드레인쿨러(90)의 묽은용액이 고온재생기(50)로 이동되지 않는 순환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086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쿨러에서 가열된 묽은용액과 고온열교환기에서 예열된 묽은용액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이렇게 혼합된 혼합액이 고온재생기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열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은 제 1 묽은용액 및 드레인쿨러로부터 전달받은 제 2 묽은용액을 가열시켜서 농축용액으로 발생시키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토출되는 용액을 가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열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이격되는 혼합박스; 상기 혼합박스의 일측과 상기 고온열교환기를 연결시키는 제 1 공급관; 상기 혼합박스의 타측과 상기 본체를 연결시키는 이동관; 상기 혼합박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하측과 상기 드레인쿨러를 연결시키는 제 2 공급관; 및 상기 혼합박스의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 2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제 1 묽은용액의 압력은 상기 연장관을 지나 상기 혼합박스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드레인쿨러의 제 2 묽은용액의 압력 보다 높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관의 직경은 상기 연장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는 상기 이동관을 향하도록 사선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제 1 공급관의 상측에서 상기 이동관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가상선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단부가 상기 이동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은 라운드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열관은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상기 전열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전열관과 연결되는 열원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외부의 스팀은 상기 열원유입구와 상기 전열관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은 상기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농축용액 및 고온증기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는 증기박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기박스의 내부에는 엘리미네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이 상기 전열관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농축용액 및 고온증기로 발생되면, 상기 농축용액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용액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고온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상기 고온증기는 상기 엘리미네이터를 지나면서 상기 고온증기에 동반된 농축용액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공급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된 제 1 묽은용액의 토출압력이 제 2 공급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의 토출압력보다 높도록 구성되므로, 혼합박스 내부의 제 1 묽은용액이 이동관으로 이동될 때, 제 2 묽은용액은 혼합박스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제 1 묽은용액을 따라 이동관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공급관의 직경은 연장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므로, 연장관을 지나가는 제 1 묽은용액이 연장관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와류가 적게 발생되어, 제 1 묽은용액은 연장관을 수월하게 지나 이동관으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관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제 2 묽은용액이 경사부를 통하여 이동관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연장관의 경사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은 제 1 묽은용액과 함께 곧바로 이동관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묽은용액은 절곡 형성된 연장관을 따라 이동관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연장관에서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은 제 1 묽은용액과 함께 곧바로 이동관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혼합박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혼합박스에 구비되는 연장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100)는 흡수식 냉동기에 구비되는데, 흡수식 냉동기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10), 흡수기(20), 저온열교환기(30), 고온열교환기(40), 저온재생기(60), 배열재생기(70), 응축기(80) 및 드레인쿨러(9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 제시된 고온재생기(50) 대신에 도 2에 제시된 고온재생기(100)가 적용된다. 그리고 흡수기(20)에서 발생된 묽은용액이 저온 열교환기 및 고온 열교환기를 지나 고온재생기(100)로 공급되면, 고온재생기(100)는 고온열교환기(40)로부터 전달받은 묽은용액을 가열하여 농축용액과 고온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고온재생기(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열관(120), 본체(110)의 외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혼합박스(130), 혼합박스(130)의 일측과 고온열교환기(40)를 연결시키는 제 1 공급관(132), 상기 혼합박스(130)의 타측과 상기 본체(110)를 연결시키는 이동관(138), 상기 혼합박스(1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하측과 드레인쿨러(90)를 연결시키는 제 2 공급관(134) 및 상기 혼합박스(130)의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 2 공급관(134)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공급관(132)과 상기 이동관(138)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연장관(135)을 포함한다.
제 1 공급관(132)은 고온열교환기(40)로부터 묽은용액 즉, 제 1 묽은용액을 전달받아 혼합박스(130)로 토출시킨다. 제 2 공급관(134)은 드레인쿨러(90)로부터 묽은 용액 즉, 제 2 묽은용액을 전달받아 혼합박스(130)로 토출시킨다. 그러면 혼합박스(130) 내부에서 제 1 묽은용액과 제 2 묽은용액이 혼합된 후 이동관(138)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혼합박스(130) 내부에는 제 1 묽은용액과 제 2 묽은용액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관(135)을 더 구비하며, 이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열관(120)은 본체(110) 내부에 복수 개가 병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 내부에는 상기 전열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차단판(122)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전열관(120)이 본체(110) 내부에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므로, 본체(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설치공간과 원가 절감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열관(120)은 본체(110) 내부에 내식성이 강한 백동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 내식성 확보와 고온에서 열팽창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전열관(120)과 연결되는 열원유입구(112)가 형성된다. 열원유입구(112)는 외부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전열관(1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스팀은 열원유입구(112)와 전열관(120)을 차례로 지나 본체(110) 내부로 공급된 후 열원배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본체(110) 내부에는 이동관(138)으로부터 이동된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이 유입되어 있으므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이 전열관(120)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농축용액 및 고온증기로 발생된다.
한편, 본체(110)에는 이동관(138)과 연결되는 용액주입구(116)와, 본체(110) 내부의 농축용액을 배출시키는 용액배출구(118)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용액주입구(116)는 용액배출구(11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전열관(120)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제 1, 2 묽은용액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열원유입구(112)를 통하여 전열관(120)으로 스팀이 유입되면, 제 1, 2 묽은용액의 농도가 짙어지면서 농축용액의 상태로 되고, 이 농축용액이 용액배출구(118)를 통하여 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용액배출구(118)를 통하여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농축용액은 배출용 박스(150)로 공급된다. 배출용 박스(150)에는 기계식 플로트 밸브(152)가 설치되어, 배출용 박스(150) 내부로 공급되는 농축용액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플로트 밸브(152)의 플로트 볼이 상승하여 플로트 밸브(152)가 닫히게 되므로 입구배관(158)으로 유입되는 묽은용액의 양이 감소하여 고온재생기(100)로 유입되는 묽은용액의 양을 제한한다. 즉, 고온재생기(100)에서 발생된 농축용액은 배출용 박스(150)를 지나 배출관(156)을 통하여 고온열교환기(40)로 전달되며, 이때, 플로트 밸브(152)가 고온열교환기(40)로 전달되는 농축용액의 양을 조절한다. 또한, 용액주입구(116)가 용액배출구(11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용액주입구(116)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수위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오버플로어 배관(154)을 설치하여 배출용 박스(150)로 농축용액이 유입되게 하면, 플로트 밸브(152)의 플로트 볼이 상승하여 플로트 밸브(152)가 닫히게 되므로 고온재생기(100)로 유입되는 묽은용액의 양을 제한한다.
여기서, 배출용 박스(150) 내부에는 차단막(151)이 더 구비된다. 차단막(151)은 오버플로어 배관(154)에서 유출되는 농축용액이 플로트 밸브(152)에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형으로 형성되며 배출용 박스(150)의 플로트 밸브(152)와 오버플로어 배관(154) 사이에 세워진다. 이러한 차단막(151)의 폭은 배출용 박스(150)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차단막(151)의 일측과 배출용 박스(150) 사이에 빈 공간부(15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오버플로어 배관(154)에서 유출되는 농축용액은 차단막(151)에 부딪히게 되어 플로트 밸브(152)로 직접 방출되지 아니하고, 공간부(151a)로 방향 전환한 후, 배출관(156)으로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온열교환기(30)에서 고온열교환기(40)로 이송되는 묽은용액은 고온재생기(100)의 배출용 박스(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입구배관(158)을 통하여 플로트 밸브(152)를 통과하여 이송되므로 배출용 박스(150)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 밸브(152)의 개도가 조정될 경우 저온열교환기(30)에서 고온열교환기(40)로 이송되는 묽은용액의 양이 제한된다.
또한, 고온재생기(100)는 본체(1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가 본체(110) 내부와 연통되는 증기박스(140)를 더 포함한다. 증기박스(140) 내부에는 통상의 엘리미네이터(142)가 설치되어, 고온재생기(50)에서 발생되는 고온증기는 엘리미네이터(142)를 지나면서 상기 고온증기에 동반된 농축용액이 분리된 상태로 냉매증기로 발생되고, 상기 냉매증기는 증기배출관(144)을 통하여 저온재생기(60)로 배출된다. 증기배출관(144)을 통하여 저온재생기(60)로 배출되는 냉매증기는 저온재생기(60)의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혼합박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혼합박스(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 1 공급관(132)과 이동관(138)이 연결되고, 혼합박스(1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하측에 제 2 공급관(134)이 연결된다. 그리고 혼합박스(130)의 내부에는 연장관(135)이 위치되되 연장관(135)의 일측은 제 2 공급관(134)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공급관(132)과 상기 이동관(138)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1 공급관(132)은 고온열교환기(40)로부터 제 1 묽은용액을 전달받아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시킨다. 제 2 공급관(134)은 드레인쿨러(90)로부터 제 2 묽은용액을 전달받아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시킨다. 이때, 제 1 공급관(132)에서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되는 고온열교환기(40)의 제 1 묽은용액의 압력은 상기 연장관(135)을 지나 혼합박스(130) 내부로 공급되는 드레인쿨러(90)의 제 2 묽은용액의 압력 보다 높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된 제 1 묽은용액이 이동관(138)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된 제 2 묽은용액이 혼합박스(130)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제 1 묽은용액을 따라 이동관(138)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공급관(132)의 직경은 연장관(135)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므로, 연장관(135)을 지나가는 제 1 묽은용액이 연장관(135)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와류가 적게 발생되어, 제 1 묽은용액은 연장관(135)을 수월하게 지나 이동관(138)으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공급관(132)과 이동관(138) 사이에 위치되는 연장관(135)의 상단부에는 이동관(138) 방향을 향하도록 사선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35a)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사부(135a)의 상단은 제 1 공급관(132)의 상측에서 이동관(138)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가상선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연장관(135)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제 2 묽은용액이 경사부(135a)를 통하여 이동관(138)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연장관(135)의 경사부(135a)에서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은 제 1 묽은용액과 함께 곧바로 이동관(138)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의 혼합박스에 구비되는 연장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장관(136)은 그 상단부가 이동관(138)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이때 연장관(136)은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절곡된다. 이에 따라 연장관(136)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제 2 묽은용액이 이동관(138)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연장관(136)에서 혼합박스(130) 내부로 토출되는 제 2 묽은용액은 제 1 묽은용액과 함께 곧바로 이동관(138)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고온재생기 110: 본체
112: 열원유입구 114: 열원배출구
116: 용액주입구 118: 용액배출구
120: 전열관 122: 차단판
130: 혼합박스 132: 제 1 공급관
134: 제 2 공급관 135: 연장관
135a: 경사부 136: 연장관
138: 이동관 140: 증기박스
142: 엘리미네이터 144: 증기배출관

Claims (9)

  1. 고온열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은 제 1 묽은용액 및 드레인쿨러로부터 전달받은 제 2 묽은용액을 가열시켜서 농축용액으로 발생시키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토출되는 용액을 가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열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이격되는 혼합박스;
    상기 혼합박스의 일측과 상기 고온열교환기를 연결시키는 제 1 공급관;
    상기 혼합박스의 타측과 상기 본체를 연결시키는 이동관;
    상기 혼합박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하측과 상기 드레인쿨러를 연결시키는 제 2 공급관; 및
    상기 혼합박스의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 2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혼합박스 내부로 토출되는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제 1 묽은용액의 압력은 상기 연장관을 지나 상기 혼합박스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드레인쿨러의 제 2 묽은용액의 압력 보다 높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급관의 직경은 상기 연장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이동관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는 상기 이동관을 향하도록 사선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제 1 공급관의 상측에서 상기 이동관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가상선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단부가 상기 이동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라운드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은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상기 전열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전열관과 연결되는 열원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외부의 스팀은 상기 열원유입구와 상기 전열관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은 상기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농축용액 및 고온증기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는 증기박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기박스의 내부에는 엘리미네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제 1 묽은용액 및 제 2 묽은용액이 상기 전열관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농축용액 및 고온증기로 발생되면, 상기 농축용액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용액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고온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상기 고온증기는 상기 엘리미네이터를 지나면서 상기 고온증기에 동반된 농축용액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KR1020180050605A 2018-05-02 2018-05-02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KR102013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5A KR102013284B1 (ko) 2018-05-02 2018-05-02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5A KR102013284B1 (ko) 2018-05-02 2018-05-02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284B1 true KR102013284B1 (ko) 2019-08-22

Family

ID=677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05A KR102013284B1 (ko) 2018-05-02 2018-05-02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2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333B1 (ko) * 1991-04-23 1995-11-02 산요덴끼주식회사 재생기
KR100388050B1 (ko) * 1995-11-30 2003-10-11 삼중테크 주식회사 이젝트를이용한흡수식용액사이클
JP2004286409A (ja) * 2003-03-25 2004-10-14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蒸気式吸収冷凍機の高温再生器
KR20160030864A (ko) 2014-09-11 2016-03-2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흡수식 냉동기용 작동 매체 및 이것을 사용한 흡수식 냉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333B1 (ko) * 1991-04-23 1995-11-02 산요덴끼주식회사 재생기
KR100388050B1 (ko) * 1995-11-30 2003-10-11 삼중테크 주식회사 이젝트를이용한흡수식용액사이클
JP2004286409A (ja) * 2003-03-25 2004-10-14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蒸気式吸収冷凍機の高温再生器
KR20160030864A (ko) 2014-09-11 2016-03-2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흡수식 냉동기용 작동 매체 및 이것을 사용한 흡수식 냉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12272A (ja) 冷暖房方法および装置
JPS5913670B2 (ja) 二重効用吸収冷凍装置
KR100418993B1 (ko) 흡수식냉동장치
JP2723454B2 (ja) 吸収式冷暖房機
KR101702952B1 (ko) 3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CN105890084A (zh) 热水供给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013284B1 (ko)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CN103256750A (zh) 吸收式热泵机组
KR890004393B1 (ko) 공냉형 흡수식 냉수기
KR101690303B1 (ko) 3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KR101363492B1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온수기
KR20000064967A (ko) 발생기-흡수기-열교환열전달장치및방법과이를이용한열펌프
KR102206209B1 (ko) 흡수식 냉동기
CN106472780B (zh) 基于吸收式热泵的溶糖系统
KR100213780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급탕시스템.
JP2014129944A (ja) 冷凍装置
KR102076679B1 (ko) 열교환기 및 자연 냉매 순환식 공기 조화기
CN114893933B (zh) 一种换热器及三相吸收式蓄能系统
KR101835716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흡수식 냉온수기
JP3484142B2 (ja) 2段2重効用吸収冷凍機
KR19990029907A (ko) 흡수식냉동기
KR100812712B1 (ko) 흡수식 냉동기용 고온재생기
KR0161033B1 (ko) 흡수식 냉난방기
KR100608410B1 (ko)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CN117628951A (zh) 一种冷凝段微通道换热的热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