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829B1 - 족욕 장치 - Google Patents

족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829B1
KR102012829B1 KR1020190072843A KR20190072843A KR102012829B1 KR 102012829 B1 KR102012829 B1 KR 102012829B1 KR 1020190072843 A KR1020190072843 A KR 1020190072843A KR 20190072843 A KR20190072843 A KR 20190072843A KR 102012829 B1 KR102012829 B1 KR 10201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ath
water supply
water
chai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경
Original Assignee
(주)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틱스 filed Critical (주)스틱스
Priority to KR102019007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95Arrangement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상기 의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족욕하기 위한 족욕조; 상기 족욕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 및 상기 족욕조를 상기 의자 전방의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기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족욕 장치{Foot B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족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족욕조의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족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평상시 사무실에 앉아서 근무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운동량의 부족으로 신체의 혈액순환이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피로 회복이 더디고, 또한 각종 성인병에 노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 등을 통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있다. 특히, 족욕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게 되면, 심장의 불필요한 노동을 줄여 고혈압이나 심장질환 등 위험한 질병의 발병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릎 이하의 다리 부분은 수많은 경혈이 몰려 있어서 족욕을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면 수면불량에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족욕 방식에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 물에 발을 담가 효능을 얻는 습식 족욕기와, 전열선과 같은 히터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한 건식 족욕기가 있다.
일례로, 특허문헌 1에는, 다기능 족욕장치가 제공되는데, 특허문헌 1의 다기능 족욕장치는, 욕조본체와, 상기 욕조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욕조본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받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의 전력이 상기 가열부에 인가되는 동안 작동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발생부와, 상기 가열부와 광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종래의 족욕기는,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직접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족욕조에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온수가 채워진 족욕조를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사용위치까지 직접 이동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족욕기는, 물의 처리 및 인력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0-0030996(2010. 3. 19)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 및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족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족욕 장치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족욕하기 위한 족욕조; 상기 족욕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 및 상기 족욕조를 상기 의자 전방의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기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족욕조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일단은 상기 급수기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족욕조가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족욕조에 공급하는 물을 가열하는 순간온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급수위치에서 상기 족욕조를 파지하는 클램핑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급수기구에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족욕조의 개방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족욕조의 개방된 상단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스프레이밸브는 상기 커버에 상기 족욕조와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의자는, 기능성 방사 유닛이 설치되는 온열의자이고, 상기 기능성 방사 유닛은, 상기 의자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볼공이 형성되는 하부판과, 상기 볼공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능성 방사체와, 상기 기능성 방사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대칭되는 형상의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족욕 장치는, 살균기와, 상기 살균기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살균기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족욕조 내에 위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기포 및 열을 제공하는 기포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살균기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족욕조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족욕장치는, 순간온수기에 의해 온수가 공급되어 즉시 족욕이 가능하며, 사용 후에는 자동으로 물이 버려지고, 족욕조 내부가 깨끗이 청소되므로, 다음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족욕장치는, 족욕조가 사용위치 및 급수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급수 및 배수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기에, 몸이 불편한 환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족욕장치는, 기능성 방사 유닛이 설치되는 온열의자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완화시키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족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족욕 장치의 커버의 상부를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족욕조가 급수위치에 배치되는 족욕 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벨브에 의해 족욕조 내부가 세척되도록 족욕조가 들어올려진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벨브에 의해 족욕조 내부에서의 물의 분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a는 커버에 의해 족욕조 상단부가 덮여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물이 족욕조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a는 커버에 의해 족욕조 상단부가 덮여지고, 기포발생기가 살균기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b는 커버가 상부로 회전되고, 물이 채워진 족욕조가 사용위치로 이동되고, 살균기 내부의 기포발생기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반대편의 족욕조가 급수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족욕이 수행된 후에, 족욕조가 급수 위치로 이동되어 커버가 족욕조의 상부를 덮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배수와 세척을 가능하게 하도록 족욕조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배수 및 세척 후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a는 의자의 착석부의 하부면에 기능성 방사 유닛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기능성 방사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족욕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족욕 장치(100)의 커버(33a)의 상부를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족욕조(20)가 급수위치에 배치되는 족욕 장치(100)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벨브(38)에 의해 족욕조(20) 내부가 세척되도록 족욕조(20)가 들어올려진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벨브(38)에 의해 족욕조(20) 내부에서의 물의 분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5a는 커버(33a)에 의해 족욕조(20) 상단부가 덮여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물이 족욕조(20)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족욕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10), 사용자의 발을 족욕하는 족욕조(20), 족욕조(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30) 및 족욕조(2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0)를 구비한다.
의자(10)는 지지부(11) 및 지지부(11)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13)를 구비한다. 지지부(11)의 하단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발 거치부(11a)가 설치된다.
또한, 의자(10)는 지지부(11)의 전방에 받침대 수용부(11b)를 구비할 수 있는데, 받침대 수용부(11b)는 족욕조(20)를 사용위치에 배치시키도록 후술하는 받침대(41)를 수용한다. 또한, 의자(10)에는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족욕 장치(100)는, 살균기(19a)와, 살균기(19a)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포발생기(19b)를 더 포함한다.
기포발생기(19b)는 살균기(19a)에 수납된 상태에서, 살균기(19a)에 의해 살균되고, 살균기(19a)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족욕조(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족욕조(20) 내부에 기포 및 열을 제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의자(10)의 착석부(13), 지지부(11) 및 발 거치부(11a)의 사이에, 살균기(19a) 및 기포발생기(19b)가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일례로, 도 6a, 도 6b 및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포발생기(19b)는, 살균기(19a)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살균기(19a)에 의해 살균되고, 살균 후에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향 및 하향으로 회동하여 사용위치에 배치된 족욕조(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살균기(19a)는 일 측이 개방된 육면체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살균기(19a)는 내부에 기포발생기(19b)가 수납된 상태에서, 기포발생기(19b)에 자외선, 열 및 오존 등을 제공함으로써 기포발생기(19b)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기포발생기(19b)는 일 측이 살균기(19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착석부(13)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3a)가 눌러지면, 상향으로 회전되고 족욕조(20)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족욕조(2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족욕조(20)의 내부에서 열 및 기포를 제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의자(10)는, 발열 작용을 하여 착석부(13)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사하는 기능성 방사 유닛을 구비하는 온열 의자이다.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으면, 피로감이 완화되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
기능성 방사 유닛(50)과 관련된 의자(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족욕조(20)는 의자(10)의 전방에 위치하고, 의자(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족욕 가능하게 한다. 족욕조(20)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21)를 구비하여, 급수기구(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족욕조(20)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는데 반드시 육각형의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욕조(2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받침대(41) 위에서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돌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족욕조(20)의 저면의 꼭지점 부근에 돌출부가 6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 및 족욕조(20)는, 급수기구(30)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좌측의 족욕조(20)는 우측의 족욕조(20)와 급수기구의 본체(30a)를 사이에 두고 대칭 위치에 있으며, 좌측의 족욕조(20)에 연결되는 구성들은 우측의 족욕조(20)에 연결되는 구성들과 동일하다. 의자(10) 및 족욕조(20)의 좌우 배치의 설명에 있어, 도 1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우측의 의자(10) 및 족욕조(20)에 대해서 서술하기로 하고, 좌측의 의자(10) 및 족욕조(20)에 대한 설명은, 우측의 족욕조(2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급수기구(30)는 외부의 물을 제공받아서 족욕조(20)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기구(30)는 물을 가열하여 족욕조(20)에 공급하는 순간온수기(31)를 구비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외부의 물을 공급받아서 가열하며, 가열된 온수를 족욕조(20)로 공급하는 순간온수기(31)가 도시되어 있다. 순간온수기(31)는 일례로,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급수기구(30)는 클램핑 부재(33)와, 회동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33)는 족욕조(20)가 급수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족욕조(20)를 파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급수위치"는 급수기구(30)로부터 족욕조(20)에 물이 공급 가능하도록 족욕조(20)가 배치되는 위치이고, "사용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족욕 가능하도록 의자(10)의 전방에서 족욕조(20)가 배치되는 위치이다. 도 3a에는 족욕조(20)가 급수위치에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며, 도 1a에는 족욕조(20)가 사용위치에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33)는, 족욕조(20)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는 커버(33a)와 클램프(33b)를 구비한다.
커버(33a)는 족욕조(2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데, 급수기구의 본체(30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램프(33b)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33a)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족욕조(20)의 상단부를 파지한다.
도 3a에는 족욕조(20)가 급수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4개의 클램프(33b)에 의해 파지되어 족욕조(20)의 상부에 커버(33a)가 덮여있는 예가 도시된다.
커버(33a)는 족욕조(20)의 개방된 상단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
한편, 커버(33a)는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배수부(33c)를 구비할 수 있어서, 도 4a에서와 같이, 족욕조(20)가 후술하는 회동부재(35)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배수부(33c)를 통해 사용자의 족욕에 사용된 물은 버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부재(35)는 클램핑 부재(33)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도 3a 및 4a를 참조하면, 회동부재(35)가 족욕조(20)의 상부에 파지된 클램핑 부재(33) 및 이에 파지된 족욕조(20)를 급수위치에서 상향으로 90°회동시키는 예가 도시된다.
도 2 및 3a를 참조하면, 회동부재(35)는, 지지봉(35d)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암(35a)과, 회동암(35a)에 설치되고 커버(33a)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판(35b)과, 지지판(35b)을 커버(33a)의 상면에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재(35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재(35c)는 커버(33a)의 상면에 클램프(33b)를 결합시킨다. 또한, 회동암(35a)의 단부에는 지지봉(35d)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전연결부(35e)가 설치된다.
도 2 및 3a에 도시된 회동부재(35)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33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급수밸브(36), 수위감지센서(37) 및 스프레이밸브(38)와 연결되는 배관이나, 급수밸브(36), 수위감지센서(37) 및 스프레이밸브(38) 각각과 배관에 연결되는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급수기구(30)는 급수밸브(36)와 수위감지센서(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36)는 족욕조(20) 내에 물을 공급하도록 클램핑 부재(33)에 설치된다.
급수밸브(36)는,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족욕조(20)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일 단부가 족욕조(20)의 내부를 향하도록 커버(33a)에 설치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급수밸브(36)에는 배관(미도시)이 연결되어서 순간온수기(31)를 통해서 가열된 온수가 배관을 통해서 급수밸브(36)를 통해 족욕기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배관은 도 5b에서 명백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급수밸브(36) 및 순간온수기(31) 사이에 연결되도록 급수기구의 본체(30a)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7)는 족욕조(2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클램핑 부재(33)에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37)는 도 1a 및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족욕조(2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커버(33a)에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37)에 의해, 족욕조(20) 내에 기 결정된 높이 만큼 물이 차오르게 되면,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급수밸브(36)를 차단되게 되어 물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급수기구(30)는 스프레이밸브(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밸브(38)는 족욕조(20)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클램핑 부재(33)에 설치된다. 스프레이밸브(38)는, 족욕조(20) 내부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족욕조(20) 내부를 세척하고, 세척된 물이 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족욕조(20)가 회동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밸브(36)와, 수위감지센서(37)와, 스프레이밸브(38)는 족욕조(20)와 대향하도록 커버(33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커버(33a)의 일 면에 스프레이밸브(38), 급수밸브(36) 및 수위감지센서(37)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33a)가 회동부재(35)의 회동에 의해 족욕조(20)의 상단에 결합되면, 스프레이밸브(38), 급수밸브(36) 및 수위감지센서(37)는 족욕조(20)와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이동기구(40)는 족욕조(20)를 상기 의자(10) 전방의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기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동기구(40)는, 받침대(41)와, 링크부재(43)와, 구동실린더(45)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41)는 족욕조(20)를 지지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육각형의 통 구조의 족욕조(20)를 하단에서 지지하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대(41)의 예가 도시되는데, 받침대(41)에는 족욕조(20) 하단의 돌출부(23)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수용홀(41a)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링크부재(43)는, 일단이 급수기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받침대(4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동실린더(45)는 링크부재(43)를 가압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족욕조(20)가 사용위치와 급수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도 1b 및 3b에는 육각형의 족욕조(20)의 하단에서 족욕조(20)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받침대(41)와, 일단이 급수기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받침대(41)의 일측에 고정되는 링크부재(43)와, 링크부재(43)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실린더(45)가 도시된다.
도 6a는 커버(33a)에 의해 족욕조(20) 상단부가 덮여지고, 기포발생기(19b)가 살균기(19a)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커버(33a)가 상부로 회전되고, 물이 채워진 족욕조(20)가 사용위치로 이동되고, 살균기(19a) 내부의 기포발생기(19b)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반대편의 족욕조(20)가 급수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족욕이 수행된 후에, 족욕조(2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되어 커버(33a)가 족욕조(20)의 상부를 덮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배수와 세척을 가능하게 하도록 족욕조(20)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배수 및 세척 후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족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족욕 장치(100)에 전체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며, 커버(33a)는 회동부재(35)에 의해 커버(33a)의 하면이 전방에서 보여지도록 회동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급수기구의 본체(30a)의 양 측에, 의자(10) 및 족욕조(2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족욕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아서 착석부(13)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3a)를 누르면,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족욕조(20)는 이동기구(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급수위치로 이동하고, 커버(33a)는 회동부재(3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클램프(33b)에 의해 파지되어 족욕조(20)의 상부를 덮는다.
족욕조(20)가 이동기구(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때,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실린더(45)는 내부의 유압에 의해 선형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동작하여 링크부재(43)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받침대(41)와 함께 족욕조(20)를 급수 위치에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회동부재(35)에 의해 커버(33a) 및 이에 파지된 족욕조(20)가 회동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배관을 통해 스프레이밸브(38)에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되고, 스프레이밸브(38)를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족욕조(20)의 내부가 세척되는 동작이 도시된다. 족욕조(20)의 내부에서 세척에 사용된 물은 커버(33a)의 배수부(33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회동부재(35)의 회동에 의해 커버(33a) 및 족욕조(20)가 함께 회동하여 급수위치로 이동하고, 물이 공급되게 된다. 외부의 물은 순간온수기(31)에 공급되어 가열된 후에 배관을 통해서 도 5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급수밸브(36)를 통하여 족욕조(20)에 공급된다. 기 결정된 수위 만큼 물이 채워지면, 수위감지센서(37)에 의해 감지되어 급수밸브(36)는 차단되어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족욕조(20)가 회동하여 급수위치로부터 사용위치에 위치될 때, 기포발생기(19b)는, 살균기(19a)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인출되고, 그 후 상향으로 회동하며, 족욕조(20)가 사용위치로 배치된 후에는 기포발생기(19b)는 족욕조(20) 내에 위치되어 기포 및 열을 발생시킨다.
특히, 도 6a에는, 족욕조(20)가 급수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위치로 회동되기 전 상태에서, 기포발생기(19b)가 살균기(19a)의 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예가 도시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클램프(33b)의 파지가 해제되고, 커버(33a)가 회동부재(35)에 의해 상향으로 회동하고, 구동실린더(45)가 원래의 길이 만큼으로 동작하여 링크부재(43)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받침대(41)와 함께 족욕조(20)를 사용위치에 배치시키며, 살균기(19a)의 전방으로 인출된 기포발생기(19b)가 상향으로 회동된 예가 도시된다. 도 7에는, 기포발생기(19b)가 하향 회전하여 족욕조(20) 내에 위치된 예가 도시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우측의 족욕조(20)가 사용위치에 배치되는 동안에, 좌측의 족욕조(20)가 급수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족욕조(20)에 연결되는 구성들은 우측의 족욕조(20)에 연결되는 구성들과 동일하기에, 좌측의 족욕조(20)의 동작에 대해서는 우측의 족욕조(20)의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우측의 족욕조(20)에서 족욕을 한 후에, 기포발생기(19b)는 족욕조(20) 내에서 상향으로 회동하고, 족욕조(20)는 급수위치로 회동하며, 그 후 다시 기포발생기(19b)는 하향으로 회동하고, 기 결정된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하여 살균기 내부에 수납된다. 사용자가 족욕을 한 후의 기포발생기(19b)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6b, 도 6a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기포발생기(19b)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족욕조(20)에 커버(33a)가 결합된 채로 회동부재(35)에 의해 회동되어 스프레이밸브(38)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회동부재(35)에 의해 커버(33a)가 결합된 족욕조(20)는 회동되어 급수위치에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1a는 의자(10)의 착석부(13)의 하부면에 기능성 방사 유닛(50)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기능성 방사 유닛(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온열 의자로서 기능을 가지는 의자(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의자(10)는 착석부(13)의 하부면에는 열을 발생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사하는 기능성 방사 유닛(50)이 설치된다.
기능성 방사 유닛(50)은, 메인 플레이트(51), 발열부(52), 하부판(54), 기능성 방사체(55) 및 상부판(5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51)는 착석부(13)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일례로, 메인 플레이트(51)는 내측에 발열부(52)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U'자형의 판형부재일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51) 상단의 양측에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고정플랜지(51a)가 구비되어 착석부(13)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착석부(13)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51)의 바닥면에는 데워진 공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기 유통공(5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소켓설치홈(51c)이 요입 형성된다. 메인 플레이트(51)는 폭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발열부(52)는 메인 플레이트(51)의 내측에 설치된다. 발열부(52)는 발열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가열 공기의 유동을 심화시켜 방사체의 방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51)의 바닥면의 경사진 것에 맞추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52)의 상부에는 하부판(54)이 구비되는데, 하부판(54)은 메인 플레이트(51) 상에 볼트나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판(54)에는 다수의 볼공(54a)이 형성될 수 있다.
소켓설치홈(51c)에는 소켓(53)이 고정되고, 상기 소켓(53)은 상기 발열부(52)와 접속되어 발열부(52)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볼공(54a)은 다수가 일정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통상의 금속 메쉬로 이루어진 격자 구조 및 허니컴(honeycomb)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볼공(54a)은 예시와 같이,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오각 등의 각형으로 될수도 있다.
볼공(54a)에는 기능성 방사체(55)가 안착되는데, 기능성 방사체(55)는 구형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기능성 방사체(55)는 세라믹볼, 게르마늄볼 및 황토볼의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방사체와, 제독 기능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방사체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판(54)의 상부에는 상부판(56)이 구비되는데, 상부판(56)은 하부판(54)과 대칭되는 것으로 기능성 방사체(55)가 이탈되지 않게 잡아준다. 하부판(54)과 상부판(56)은 그 사이에 놓이는 기능성 방사체(55)가 어느 한 편으로 쏠리지 않도록 잡아주며, 복수의 기능성 방사체(55)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기능성 방사 유닛(50)은, 메인 플레이트(51)의 폭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양측을 밀폐하는 사이드 커버(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52)가 발열되면서 주변 공기를 가열하면,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고, 상승된 공기는 상기 하부판(54)-기능성 방사체(55)-상부판(56)을 순차 통과하면서 기능성 방사체(55)의 방사를 촉진하여 방사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그러면, 방사되는 열 또는 음이온 등의 방사물질은 착석부(13)에 형성된 방사홀(13b)을 통해 착석부(13)의 상부로 상승하고, 이때 착석부(13)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인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기능성 방사체(55)가 가진 효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족욕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족욕 장치
10:의자 11:지지부 13:착석부
13a:스위치 11a:발 거치부 11b:받침대수용부
20:족욕조 23:돌출부 21:수용부
30:급수기구 31:순간온수기 33:클램핑 부재
33a:커버 33c:배수부 33b:클램프
35:회동부재 35d:지지봉 35a:회동암 35b:지지판
35c:결합부재 36:급수밸브 37:수위감지센서
38:스프레이밸브 19a:살균기
19b:기포발생기30a:급수기구의 본체
40:이동기구 41:받침대 41a:수용홀
43:링크부재 45:구동실린더
50:기능성 방사 유닛
51:메인 플레이트 52:발열부
54:하부판 54a:볼공
55:기능성 방사체 56:상부판
57:사이드 커버 51a:고정플랜지
51b:공기 유통공 53:소켓

Claims (13)

  1. 의자;
    상기 의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족욕하기 위한 족욕조;
    상기 족욕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 및
    상기 족욕조를 상기 의자 전방의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기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족욕조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일단은 상기 급수기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족욕조가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급수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족욕조에 공급하는 물을 가열하는 순간온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급수위치에서 상기 족욕조를 파지하는 클램핑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급수기구에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족욕조의 개방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족욕조의 개방된 상단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족욕조의 개방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스프레이밸브는 상기 커버에 상기 족욕조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기능성 방사 유닛이 설치되는 온열의자이고,
    상기 기능성 방사 유닛은,
    상기 의자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볼공이 형성되는 하부판과,
    상기 볼공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능성 방사체와,
    상기 기능성 방사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대칭되는 형상의 상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살균기와,
    상기 살균기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살균기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족욕조 내에 위치되어 상기 족욕조 내부에 기포 및 열을 제공하는 기포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살균기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족욕조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KR1020190072843A 2019-06-19 2019-06-19 족욕 장치 KR10201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43A KR102012829B1 (ko) 2019-06-19 2019-06-19 족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43A KR102012829B1 (ko) 2019-06-19 2019-06-19 족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829B1 true KR102012829B1 (ko) 2019-08-22

Family

ID=6776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43A KR102012829B1 (ko) 2019-06-19 2019-06-19 족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3461A (zh) * 2022-08-01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排液部件以及足浴设备
CN116158960A (zh) * 2023-04-21 2023-05-26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糖尿病足用清创装置
KR20230104307A (ko) 2021-12-30 2023-07-10 (주)스틱스 족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464Y2 (ko) * 1985-02-14 1989-07-19
KR200396928Y1 (ko) * 2005-06-29 2005-09-28 전진주 수족온탕장치
US20060101572A1 (en) * 2004-11-18 2006-05-18 Masatoshi Masuda Mixing apparatus for warm bath apparatus
JP2006255298A (ja) * 2005-03-18 2006-09-28 Ohiro Seisakusho:Kk フットバス用椅子
KR200434533Y1 (ko) * 2006-08-09 2006-12-22 김영삼 수족 온욕기
KR20100030996A (ko) 2008-09-11 2010-03-19 우인철 다기능 족욕장치
KR100997414B1 (ko) * 2010-03-24 2010-11-30 호 근 김 좌욕 겸용 각탕기
KR20130007706A (ko) * 2011-07-11 2013-01-21 김진영 족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464Y2 (ko) * 1985-02-14 1989-07-19
US20060101572A1 (en) * 2004-11-18 2006-05-18 Masatoshi Masuda Mixing apparatus for warm bath apparatus
JP2006255298A (ja) * 2005-03-18 2006-09-28 Ohiro Seisakusho:Kk フットバス用椅子
KR200396928Y1 (ko) * 2005-06-29 2005-09-28 전진주 수족온탕장치
KR200434533Y1 (ko) * 2006-08-09 2006-12-22 김영삼 수족 온욕기
KR20100030996A (ko) 2008-09-11 2010-03-19 우인철 다기능 족욕장치
KR100997414B1 (ko) * 2010-03-24 2010-11-30 호 근 김 좌욕 겸용 각탕기
KR20130007706A (ko) * 2011-07-11 2013-01-21 김진영 족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07A (ko) 2021-12-30 2023-07-10 (주)스틱스 족욕장치
KR20230136887A (ko) 2021-12-30 2023-09-27 (주)스틱스 족욕장치
KR102634283B1 (ko) 2021-12-30 2024-02-08 (주)스틱스 족욕장치
KR102634282B1 (ko) * 2021-12-30 2024-02-08 (주)스틱스 족욕장치
CN115363461A (zh) * 2022-08-01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排液部件以及足浴设备
CN116158960A (zh) * 2023-04-21 2023-05-26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糖尿病足用清创装置
CN116158960B (zh) * 2023-04-21 2023-06-30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糖尿病足用清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829B1 (ko) 족욕 장치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JP2009529932A (ja) スチームバスキャビネット
KR101190652B1 (ko) 황토와 머드를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반신욕장치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101084099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온열치료기
CN110974644A (zh) 按摩泡脚椅
KR200215775Y1 (ko) 좌욕기
KR200370232Y1 (ko) 건식용 반신욕기기
KR200384533Y1 (ko) 황토판넬을 이용한 반신욕기기
KR200439710Y1 (ko) 이동형 전신훈증기
KR102089597B1 (ko) Led를 이용한 광 좌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KR100574421B1 (ko) 훈증용 온열장치
KR100336315B1 (ko) 의자를 이용한 쑥찜장치
KR102634283B1 (ko) 족욕장치
JP3138879U (ja) 椅子
KR200358759Y1 (ko) 좌훈욕 및 얼굴스팀기
KR100505766B1 (ko) 가정용 좌훈욕기
KR100735847B1 (ko) 다기능 복합족욕기
JP2772782B2 (ja) 介護用風呂兼サウナ装置
CN219813947U (zh) 一种足浴盆
CN216454724U (zh) 一种方便搓脚擦脚的足浴桶
KR102381919B1 (ko) 마사지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