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77B1 -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477B1
KR102012477B1 KR1020180140600A KR20180140600A KR102012477B1 KR 102012477 B1 KR102012477 B1 KR 102012477B1 KR 1020180140600 A KR1020180140600 A KR 1020180140600A KR 20180140600 A KR20180140600 A KR 20180140600A KR 102012477 B1 KR102012477 B1 KR 10201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m
discharge pipe
discharge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찬
Original Assignee
(주)미래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클 filed Critical (주)미래클
Priority to KR102018014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쇄부의 배출구가 농작물의 줄기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분쇄부의 타격판에 부착된 농작물의 줄기 또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켜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보다 용이하게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적재함내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고르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Crop stem crushing and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분쇄부의 배출구가 농작물의 줄기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분쇄부의 타격판에 부착된 농작물의 줄기 또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켜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보다 용이하게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적재함내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고르게 적재할 수 있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수확을 위한 다양한 수확용 농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손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동력농기계를 이용한 농기구의 개발 및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양파,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다양한 땅속작물을 트랙터 또는 경운기를 이용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땅속작물 수확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고구마와 같은 다량의 줄기를 가지는 농작물 또는 오이, 수박, 참외, 메론 등과 같은 넝쿨과 같은 농작물의 경우 줄기와 넝쿨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함으로써 일손의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농작물의 줄기 또는 넝쿨의 절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절단능력이 향상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552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5529호의 경우, 절단날의 절단력을 통해 농작물을 절단하면서 배출하는 방식으로서, 농작물의 수분이 포함된 줄기가 상기 절단날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절단날로부터 농작물의 줄기가 분리 및 배출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552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분쇄부의 배출구가 농작물의 줄기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분쇄부의 타격판에 부착된 농작물의 줄기 또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켜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보다 용이하게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적재함내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고르게 적재할 수 있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를 권취하는 수거포 권취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이송받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상측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쇄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로 이송시키는 줄기 이송부와; 상기 분쇄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상기 줄기 이송부가 이송시키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크기로 분쇄된 줄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에 상기 배출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판과; 복수의 상기 타격판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타격판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타격판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보조고압공기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하부에 상기 수거포가 권취되는 수거포 권취롤러가 회전가능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일측에 상기 수거포 권취부로 상기 수거포를 안내하고, 중간부에서 양측부로 갈수로 외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수거포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줄기 이송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중간부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 방향으로 타격하여 상기 분쇄부로 이송시키는 타격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양측부에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타격블레이드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스크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배출관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상기 배출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회전부는 상기 돌출판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후측이 상기 케이싱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회전부는 상기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와;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관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로 인해 상기 배출구가 농작물의 줄기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분쇄부의 복수의 타격판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보조고압공기공급부로 인해 복수의 상기 타격판에 부착된 농작물의 줄기 또한 복수의 상기 타격판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켜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를 통해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보다 용이하게 분쇄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배출관을 회전시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적재함내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고르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4는 고압공기공급부가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5는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가 줄기 이송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7은 줄기 이송부에 의해 분쇄부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8은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수거포 권취부의 하부로부터 수거포 권취롤러가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배출관 회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배출관 회전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4는 고압공기공급부가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거포 권취부(10), 분쇄부(20), 줄기 이송부(30), 배출관(40) 및 고압공기공급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거포 권취부(10), 상기 분쇄부(20), 상기 줄기 이송부(30) 및 상기 배출관(40)은 이동대차(9)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9)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는 상기 이동대차(9)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궤도 등의 이동부재(9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거포 권취부(10)는 파프리카, 토마토, 오이, 딸기 등의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를 권취하게 된다.
상기 수거포는 온실 등의 건축물 내측의 지면에 구비될 수 있는 대차레일이 상부에 장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수거포의 상부에는 부피가 커서 폐기하기가 어려운 농작물의 줄기가 작업자에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수거포 권취부(10)는 크게, 전측고정판(110), 후측고정판(120), 가이드롤러(130) 및 수거포 권취롤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판(110)과 상기 후측고정판(120)이 상기 이동대차(9)의 일측면에 상기 이동대차(9)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는 상기 이동대차(9)의 일측면에 각각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30)는 타측가이드롤러(131)와 일측가이드롤러(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롤러(131)가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도록 상기 타측가이드롤러(131)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롤러(132)가 상기 타측가이드롤러(131)의 일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도록 상기 일측가이드롤러(13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가 상기 가이드롤러(130)의 하부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하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외면에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의 전측이 접착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가 상기 타측가이드롤러(131)와 상기 일측가이드롤러(132)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는 상기 이동대차(9)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엔진(1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거포가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부(20)는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이송받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상측의 배출구(820)로 배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줄기 이송부(30)는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20)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분쇄부(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상기 배출관(4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공기공급부(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공기공급라인(510)과 고압공기공급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510)의 전측은 후술할 케이싱(80)의 후측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80)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80)의 후측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8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510)의 전측은 상기 배출구(820) 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압공기공급부재는 컴프레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엔진(15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대차(9)의 상부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510)의 후측이 상기 고압공기공급부재에 기밀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공기공급부재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510)내로 지속적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510)내로 공급된 고압공기는 상기 배출구(82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배출구(820)가 농작물의 줄기에 의해 막힐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부(20)의 후술할 타격판(220)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보조고압공기공급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부(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고압공기공급라인(610)과 보조고압공기공급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라인(610)과 상기 케이싱(80)이 연통되도록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라인(610)의 전측은 상기 케이싱(80)의 전측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부재는 컴프레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압공기공급부재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대차(9)의 상부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라인(610)의 후측이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부재에 기밀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부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라인(610)내로 지속적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의 복수의 타격판(220)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보조고압공기공급부재(60)로 인해 복수의 상기 타격판(220)에 부착된 농작물의 수분이 포함된 줄기를 보다 용이하게 건조 및 분리시켜 상기 배출구(820)방향으로 배출시킬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20)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싱(80)이 상기 이동대차(9)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8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줄기 이송부(30)가 이송시키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가 유입되는 유입구(8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80)의 상부에는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일정크기로 분쇄된 줄기(3)가 배출되는 배출구(8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에 상기 배출관(4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부(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반(210), 타격판(220) 및 분쇄날(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반(210)이 상기 케이싱(80)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회전반(210)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80)의 내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반(210)은 엔진(1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격판(220)이 상기 회전반(210)의 일측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타격판(220)의 타측은 상기 회전반(210)의 일측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격판(220)은 상기 회전반(21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820)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3)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날(230)은 복수의 상기 타격판(220)의 일측에 각각 일체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타격판(22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5)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면서 분쇄할 수 있다.
도 5는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가 줄기 이송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거포(5)가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외주면에 권취되면서 상기 수거포(3)의 상부에 올려진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상기 줄기 이송부(3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은 줄기 이송부에 의해 분쇄부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8은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상기 줄기 이송부(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20)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를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분쇄부(20)의 분쇄날(230)에 의해 일정크기로 분쇄된 농작물의 줄기(3)는 상기 분쇄부(20)의 회전반(2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일정크기로 분쇄된 농작물의 줄기(3)를 타격하는 타격판(220)의 타격력 및 상기 타격판(220)이 상기 회전반(210)을 따라 회전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와 상기 배출관(40)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배출관(40)의 외부에 위치한 차량의 적재함(2)내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전측고정판(110)의 하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하부 사이에 상기 수거포(5)가 권취되는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가 회전가능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하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하부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하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6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전측과 후측에는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가이드슬릿(160)과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가이드슬릿(160)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16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장축(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L1)는 상기 전측고정판(110)과 상기 후측고정판(120) 사이의 전후이격거리(D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수거포 권취부의 하부로부터 수거포 권취롤러가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축(141)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L2)는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전측 외면과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외면 사이의 전후이격거리(D2) 및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후측 외면과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외면 사이의 전후이격거리 보다 크게 형성되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를 상기 전측고정판(110)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시키거나 상기 후측고정판(120)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전측에 형성된 연장축(141)이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가이드슬릿(16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후측에 형성된 연장축(141)이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가이드슬릿(16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좌우길이(L2)면 족하다.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가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전측고정판(110)의 하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하부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외측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노출된 상기 연장축(141)부위에 이탈방지부재(17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70)는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외측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노출된 상기 연장축(141)부위를 수직관통하는 이탈방지축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70)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축(141)이 상기 가이드슬릿(160)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전측고정판(110)의 하부와 후측고정판(120)의 하부 사이로부터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수거포 권취부(10)로 상기 수거포(5)를 안내하는 수거포 안내롤러(7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수거포 권취부(10)의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일측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전측연장바(181) 및 후측연장바(182)로 구성되는 연장바(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장바(181)와 상기 후측연장바(182) 사이에 상기 수거포 안내롤러(7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 안내롤러(70)는 고정축(710)과 롤러몸체(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71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전측연장바(181)의 일측과 상기 후측연장바(182)의 일측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고정부재(711)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1)는 상기 고정축(7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전측연장바(181)의 일측과 상기 후측연장바(182)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몸체(720)의 중심부를 상기 고정축(710)이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롤러몸체(720)는 상기 고정축(7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몸체(720)의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축(710) 부위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롤러몸체(720)가 상기 고정축(7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전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방지부재(7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몸체(720)의 외주면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거포(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5)가 상기 수거포 권취롤러(14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거포(5)의 상부에 올려진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가 상기 수거포(5)의 중심부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상기 수거포(5)가 상기 수거포(5)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2명의 작업자가 상기 수거포(5)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수거포(5)가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상기 수거포(5)를 잡아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거포(5)의 상부에 올려진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가 상기 수거포(5)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거포(5)가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2명의 작업자가 상기 수거포(5)를 잡아줄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거포(5)가 안착되는 상기 수거포 안내롤러(70)의 롤러몸체(720)의 외경크기는 상기 롤러몸체(720)의 중간부에서 상기 롤러몸체(720)의 양측부, 즉, 전측부와 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포 안내롤러(70)의 높낮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측연장바(181)의 타측과 상기 후측연장바(182)의 타측은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와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일측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일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190)이 상기 전측고정판(110)의 상하방향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90)과 마주보는 상기 전측연장바(181)의 부위와 상기 후측연장바(182)의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슬릿(190)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19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19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축(1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 안내롤러(70)를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71)는 상기 가이드축(183)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전측고정판(110) 및 상기 후측고정판(120)이 밀착고정되는 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줄기 이송부(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310), 타격블레이드(320) 및 안내스크류날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9)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80)의 유입구(810)와 연통되는 몸체(30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이 상기 몸체(3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축(31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몸체(30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은 엔진(1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격브레이드(320)는 상기 회전축(3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전후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면 중간부에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격블레이드(320)는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5)상에 안착된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를 상기 분쇄부(20) 방향으로 타격하여 상기 분쇄부(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스크류날개(330)는 상기 회전축(310)의 양측부, 즉,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회전하여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3)를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면 중간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타격블레이드(30)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은 배출관 회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관(40)을 회전시키는 배출관 회전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배출관(40)의 하단부는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4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관(4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돌출판(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는 상기 돌출판(410)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케이싱(8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배출관(4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배출관 회전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배출관(4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배출관(420)과 상부배출관(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관(420)이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배출관(420)의 하단부는 상기 케이싱(80)의 상부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배출관(430)이 상기 하부배출관(4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하부배출관(420)의 상부가 상기 상부배출관(430)의 하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관(420)의 상부와 상기 상부배출관(430)의 하부가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수용프레임(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관(420)의 상부는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하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하부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배출관(430)은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치(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는 기어(910)와 구동부재(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910)는 상기 기어치(431)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니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20)는 상기 기어(91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결합되어 상기 기어(9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각도 검출부(200)와 제어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는 상기 배출관(40)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가 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를 이룰 수 있는 근접센서는 제 1, 2근접센서(201, 2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2근접센서(201, 202)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40)의 하부 주변의 상기 케이싱(8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2근접센서(201, 202) 사이에 상기 돌출판(4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점차 늘어나 상기 배출관(4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제 1근접센서(201)가 상기 돌출판(410)을 검출할 경우, 상기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점차 줄어들면서 상기 배출관(4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점차 줄어들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가 상기 배출고나(4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2근접센서(202)가 상기 돌출판(410)을 검출할 경우, 상기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점차 늘어나면서 상기 배출관(4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회전부(90)가 상기 기어(910)와 상기 구동부재(920)로 구성될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하부 주변의 상기 수용프레임(100)의 상부에 상기 제 1, 2근접센서(201, 2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2근접센서(201, 20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부재(43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른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제 1근접센서(201)가 상기 돌출부재(432)를 검출할 경우,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른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2근접센서(201)가 상기 돌출부재(432)를 검출할 경우,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배출관(430)의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의 후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는 다른예로, 엔코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를 이룰 수 있는 엔코더는 상기 배출관 회전부(90)의 구동부재(920)를 이룰 수 있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기준회전수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역방향을 회전하는 과정 중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부재(920)의 구동축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재(920)의 구동축은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20)에 의해 상기 기어(9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 중에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부재(920)의 구동추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재(920)의 구동축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는 또 다른예로,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를 이루는 실린더의 길이가 늘어날 시간과 줄어들 시간을 각각 설정 및 상기 구동부재(920)의 구동축의 정방향회전시간과 역방향회전시간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늘어난 후 다시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줄어들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200)의 구동부재(920)의 구동축이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으로 회전된 후 다시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배출관(40)을 회전시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3)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적재함(2)내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3)를 고르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일정크기로 분쇄된 줄기(3)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일정크기로 분쇄된 상기 줄기(3)가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 주변의 상기 케이싱(80)의 내면 및 상기 배출관(40)의 하부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 주변의 상기 케이싱(80)의 내면 및 상기 배출관(40)의 하부 내면에 부착된 일정크기로 분쇄된 상기 줄기(3)가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 주변의 상기 케이싱(80)의 내면 및 상기 배출관(40)의 하부 내면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기 배출관(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80) 특히, 상기 케이싱(80)의 배출구(820) 주변의 상기 케이싱(8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발생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10; 수거포 권취부, 20; 분쇄부,
30; 줄기 이송부, 40; 배출관,
50; 고압공기공급부.

Claims (12)

  1.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를 권취하는 수거포 권취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이송받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상측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쇄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로 이송시키는 줄기 이송부와;
    상기 분쇄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배출관 회전부와;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와;
    상기 배출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와;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관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2.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를 권취하는 수거포 권취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로 상기 수거포를 안내하고, 중간부에서 양측부로 갈수로 외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수거포 안내롤러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이송받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상측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쇄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로 이송시키는 줄기 이송부와;
    상기 분쇄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3. 농작물의 줄기가 안착되는 수거포를 권취하는 수거포 권취부와;
    상기 수거포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이송받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상측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쇄부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중간부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상에 안착되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분쇄부 방향으로 타격하여 상기 분쇄부로 이송시키는 타격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양측부에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타격블레이드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스크류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줄기 이송부와;
    상기 분쇄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상기 줄기 이송부가 이송시키는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분쇄부에 의해 일정크기로 분쇄된 줄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에 상기 배출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줄기를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판과;
    복수의 상기 타격판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타격판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수거포로부터 이송받은 폐기된 농작물의 줄기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타격판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보조고압공기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포 권취부의 하부에 상기 수거포가 권취되는 수거포 권취롤러가 회전가능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상기 배출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회전부는 상기 돌출판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후측이 상기 케이싱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회전부는 상기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40600A 2018-11-15 2018-11-15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KR10201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00A KR102012477B1 (ko) 2018-11-15 2018-11-15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00A KR102012477B1 (ko) 2018-11-15 2018-11-15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77B1 true KR102012477B1 (ko) 2019-08-20

Family

ID=6780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00A KR102012477B1 (ko) 2018-11-15 2018-11-15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888B1 (ko) * 2019-12-10 2020-09-03 김성호 시설원예용 식물분쇄 작업기
CN114226416A (zh) * 2021-12-17 2022-03-25 泉州市百川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卧式高效有机固废处理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80A (ja) * 1997-07-14 1999-02-02 Hosokawa Micron Corp 粉砕機
KR200292671Y1 (ko) * 2002-07-10 2002-10-25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재활용 부순 모래의 배출이 용이한 임팩트 크러셔
KR20150086411A (ko) * 2014-01-17 2015-07-28 이권재 알뿌리 농작물 수확기
KR20170047437A (ko) * 2015-10-22 2017-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줄기 파쇄기
KR101741538B1 (ko) * 2016-12-12 2017-05-30 김명순 구근 농산물용 줄기 제거장치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80A (ja) * 1997-07-14 1999-02-02 Hosokawa Micron Corp 粉砕機
KR200292671Y1 (ko) * 2002-07-10 2002-10-25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재활용 부순 모래의 배출이 용이한 임팩트 크러셔
KR20150086411A (ko) * 2014-01-17 2015-07-28 이권재 알뿌리 농작물 수확기
KR20170047437A (ko) * 2015-10-22 2017-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줄기 파쇄기
KR101741538B1 (ko) * 2016-12-12 2017-05-30 김명순 구근 농산물용 줄기 제거장치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888B1 (ko) * 2019-12-10 2020-09-03 김성호 시설원예용 식물분쇄 작업기
CN114226416A (zh) * 2021-12-17 2022-03-25 泉州市百川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卧式高效有机固废处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21B1 (ko)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RU2130246C1 (ru) Косилочная машина
EP23463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 cutting and baling wood chips formed during land clearing activities
KR102012477B1 (ko)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CN106561150B (zh) 非行敏感性谷物脱粒收割台
HU192133B (en) Method and device for harvesting maize or other corns
US4350207A (en) Agricultural implement for the extraction and shredding of stalks and roots
US2720070A (en) Forage crop cutting and conveying device
CN109964560A (zh) 秸秆粉碎收膜卷膜联合作业机
JP2017046641A (ja) コンバイン
KR102012474B1 (ko) 농작물 줄기 분쇄배출장치
CN113039946B (zh) 一种切碎揉搓组合清选型方草捆打捆机
US4524573A (en) Vacuum finger harvester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WO2017045010A1 (en) Crop harvester
US20070022725A1 (en) Cutting device for taking care of lawns and the countryside comprising a device for receiving and comminuting cut items
CN105432223B (zh) 一种秸秆清理车
US6827151B1 (en) Sprig harvester
US2424171A (en) Stone ejector for field hay choppers
KR200213525Y1 (ko) 줄기파쇄장치 부착형 땅속작물수확기
US20020008170A1 (en) Shredder
US10285330B1 (en) Agricultural implement for recovery of plastic mulch and processing of the same
CN221043748U (zh) 一种便于自动放料的施肥设备
EP3315020A1 (en) Machine for collecting pruning residues
GB2479059A (en) Method and machine for lifting a material layer from above a crop
KR102300530B1 (ko) 정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