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44B1 -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444B1
KR102012444B1 KR1020170144134A KR20170144134A KR102012444B1 KR 102012444 B1 KR102012444 B1 KR 102012444B1 KR 1020170144134 A KR1020170144134 A KR 1020170144134A KR 20170144134 A KR20170144134 A KR 20170144134A KR 102012444 B1 KR102012444 B1 KR 10201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fol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869A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44B1/ko
Priority to CN201811136747.4A priority patent/CN109727535B/zh
Priority to US16/177,151 priority patent/US10727425B2/en
Publication of KR2019004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유연성이 있는 커버 플라스틱을 커버 윈도우로 사용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따른 내부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접히도록 하는 폴딩 부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 중 제 1 접착층의 외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 및 제 1 및 제 2 접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터치 기판을 포함한다. 제 2 접착층은 강성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접착층의 외곽 중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접히는 영역인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FOLDABL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출원은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Display Device)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 여러 가지 종류의 표시 장치가 상용화되어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태블릿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휴대용 표시 기기, 휴대용 정보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접이식(Foldable)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접이식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표시 장치를 벤딩시키거나 구부릴 수 있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역시 벤딩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접이식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내 화소들을 이루는 트랜지스터들 및 배선들과 표시 장치를 이루는 기판 등이 가요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즉, 접이식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폴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품의 재료가 연성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접이식 표시 장치에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 상부 커버로 사용하는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사용할 수 없다. 대신에 유연성이 커서 폴딩이 가능한 연성 플라스틱 계열의 커버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 플라스틱(Cover Plastic)을 커버 윈도우로 사용하게 되면서 내부의 소자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은 유연성이 있는 커버 플라스틱을 커버 윈도우로 사용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따른 내부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접힐 수 있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 중 제 1 접착층의 외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 및 제 1 및 제 2 접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터치 기판을 포함한다. 제 2 접착층은 강성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접착층의 외곽 중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접히는 영역인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본 출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사이 중 외곽 영역에 강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접착층을 갖는다. 제 2 접착층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유동을 방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제 2 접착층이 폴딩 영역에서는 배치되지 않거나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강성 보강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폴딩 영역에서의 벤딩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 제 1 및 제 2 접착층, 터치 기판, 편광 필름, 및 커버 윈도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 제 1 내지 제 3 접착층, 터치 기판, 편광 필름, 및 커버 윈도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가 벤딩되었을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출원의 예들에 따른 폴딩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제 2 접착층(172)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 제 1 접착층, 광 경화 접착 패턴, 터치 기판, 편광 필름, 및 커버 윈도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폴딩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 1 수평 축 방향", "제 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표시 영역(DA), 폴딩 포인트(FDP), 및 중심축(CA)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트랜지스터 회로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모든 종류의 표시 기판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양자점(Quantum Dot) 표시 장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μ-LED) 표시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전면에 마련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소들이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폴딩 포인트(FDP)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이 벤딩되면서 접히는 지점이다. 폴딩 포인트(FDP)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표시 영역(DA)이 접히는 지점에 형성된다. 일 예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중앙부를 벤딩시키는 경우, 폴딩 포인트(FDP)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표시 영역(DA)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CA)은 폴딩 포인트(FDP)를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다. 중심축(CA)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중심축(CA)은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상태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제 1 방향(D1)으로 폴딩 포인트(FDP)를 회전시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을 벤딩시키는 경우 표시 영역(DA)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안쪽 면으로 접힌 상태로 유지하거나, 표시 영역(DA)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제 2 방향(D2)으로 폴딩 포인트(FDP)를 회전시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을 평면으로 펼치는 경우 표시 영역(DA)이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DA), 타이밍 컨트롤러(10),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기능에 따른 블록도를 표현하였으나, 타이밍 컨트롤러(10),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DA) 외부 영역에 실장된 단일한 구동 칩인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스캔 신호들을 공급하는 스캔 라인들(SL1~SLp, p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들(DL1~DLq, q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및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라인들(RL1~RLq)이 마련된다. 데이터 라인들(DL1~DLq) 및 구동 전원 라인들(RL1~RLq)은 스캔 라인들(SL1~SLp)과 교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q)과 구동 전원 라인들(RL1~RLq)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P)들이 마련되는 하부 기판과 봉지(Encapsulation)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스캔 라인들(SL1~SLp) 중 어느 하나, 데이터 라인(DL)들(DL1~DLq) 중 어느 하나 및 구동 전원 라인들(RL1~RLq)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 signal),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게이트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S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0)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스캔 제어 신호(SCS)를 게이트 구동부(30)로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부(20)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DL)들(DL1~DLq)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30)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SCS)를 공급받는다. 게이트 구동부(30)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기초하여 스캔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30)는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L1~SLp)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0),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DA) 외부 영역에 실장된다. 이 때, 타이밍 컨트롤러(10),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는 게이트 드라이브 인 패널(Gate Drive in Panel, GIP) 방식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영역인 비표시 영역(NDA)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를 실장하고 있는 드라이버 IC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PCB)와 연결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보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 중, 전면 가장자리와 배면 가장자리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인쇄회로보드 상에 타이밍 컨트롤러(10)를 실장할 수 있으며, 제어 인쇄회로보드 상에서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스캔 제어 신호(SCS)를 전달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보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가장자리 영역에서 접힌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않고도 연성 인쇄회로보드를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연성 인쇄회로보드 상에 타이밍 컨트롤러(10)를 실장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 내부의 회로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동 집적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화소(P)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화소(P)들 각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화소 구동부(PD)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j(j는 1≤≤j≤≤q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DLj), 제 j 센싱 라인(SLj), 제 k(k는 1≤≤k≤≤p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스캔 라인(Sk), 및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된 화소(P)만을 도시하였다. 제 k 스캔 라인(Sk) 및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은 제 k 게이트 라인(GLk)에 포함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고전위 전압(ELVDD)보다 낮은 저전위 전압(ELVSS)이 공급되는 저전위 전압 라인(ELVSSL)에 접속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화소 구동부(P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제j 센싱 라인(SLj)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화소 구동부(PD)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DT), 스캔 라인(Sk)의 스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트랜지스터(ST1), 센싱 신호 라인(SSk)의 센싱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ST2), 및 커패시터(capacitor)(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구동부(PD)는 표시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스캔 라인(Sk)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화소(P)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한다. 화소 구동부(PD)는 센싱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센싱 신호 라인(SSk)으로부터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화소(P)에 접속된 센싱 라인(SLj)으로 흘린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고전위 전압 라인(ELVDDL)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마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압 차에 따라 고전위 전압 라인(ELVDDL)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전류를 조정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ST1)의 제 1 전극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고전위 전압(ELVDD)이 공급되는 고전위 전압 라인(ELVDDL)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ST1)는 제 k 스캔 라인(Sk)의 제 k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 되어 제 j 데이터 라인(DLj)의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 k 스캔 라인(Sk)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며, 제 2 전극은 제 j 데이터 라인(DLj)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ST1)는 스캔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ST2)는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의 제 k 센싱 신호에 의해 턴-온 되어 제 j 센싱 라인(SLj)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시킨다. 제 2 트랜지스터(ST2)의 게이트 전극은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은 제 j 센싱 라인(SLj)에 접속되며, 제 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ST2)는 센싱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마련된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압과 소스 전압 간의 차전압을 저장한다.
도 2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ST1, ST2)이 N 타입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ST1, ST2)은 P 타입 MOSFET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고 제 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제 1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고 제 2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표시 모드에서, 제 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 j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 j 센싱라인(SE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표시 모드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이때, 데이터 전압(VDATA)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를 보상한 전압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센싱 모드에서, 제 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 j 데이터 라인의 센싱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 j 센싱 라인(SL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또한, 제 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 2 트랜지스터(ST2)가 턴-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제 j 센싱 라인(SLj)으로 흐르도록 한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161, 162, 163),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 터치 기판(180), 편광 필름(190), 및 커버 윈도우(200)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110), 층간 절연막(120), 게이트 절연막(130), 평탄화막(140), 발광 소자층(150), 및 봉지층(160)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110)들 각각은 반도체층(111), 게이트 전극(112), 소스 전극(113) 및 드레인 전극(114)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11) 상에는 층간 절연막(120)이 마련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20) 상에는 게이트 전극(112)이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는 소스 전극(113) 및 드레인 전극(114)이 마련될 수 있다. 소스 전극(113) 및 드레인 전극(114) 각각은 층간 절연막(120)과 게이트 절연막(130)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11)에 접속될 수 있다.
평탄화막(140)은 뱅크(154)들에 의해 구획되는 화소들을 평탄하게 배열하기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110) 상에 마련된다. 화소는 뱅크(154)들에 사이로 노출된 애노드 전극(151)과 그 애노드 전극(151)상에 마련된 발광층(153)과 그 애노드 전극(151)에 드레인 전극(114)이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0)를 포함한다. 평탄화막(140) 상에는 발광 소자층(150)이 마련된다.
발광 소자층(150)은 애노드 전극(151), 발광층(153), 캐소드 전극(152), 및 뱅크(154)를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151)과 발광층(153)은 표시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152), 및 뱅크(154)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NDA)에 마련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1)들 각각은 평탄화막(140)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114)에 접속된다.
표시 영역(DA)에서 뱅크(154)들 사이로 노출된 애노드 전극(151)들 상에는 발광층(153)들이 마련된다. 뱅크(154)들 각각의 높이는 발광층(153)들 각각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발광층(153)들은 뱅크(154)들에 의해 구획된다. 즉, 발광층(153)들 각각은 뱅크(154)들 사이에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152)은 표시 영역에서 발광층(153)들과 뱅크(154)들을 덮도록 발광층(153)들과 뱅크(154)들 상에 마련된다.
캐소드 전극(152) 상에는 봉지층(160)이 형성된다. 봉지층(160)은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봉지층(160)은 제 1 무기막(161), 유기막(162) 및 제 2 무기막(163)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봉지층(160)은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1 무기막(161)은 캐소드 전극(152)을 덮도록 캐소드 전극(152) 상에 마련된다. 유기막(162)은 수분 및 산소가 제 1 무기막(161)을 뚫고 발광층(153)과 캐소드 전극(152)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무기막(161) 상에 마련된다. 제 2 무기막(163)은 유기막(162)을 덮도록 유기막(162) 상에 마련된다. 제 1 무기막, 유기막, 및 제 2 무기막(161, 162, 163)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봉지층(160)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무기막들(161, 163) 각각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무기막들(161, 163) 각각은 SiNx, SiO2, Al2O3, TiO2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171)은 봉지층(16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 1 접착층(171)은 봉지층(160)의 상부면 중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제 1 접착층(171)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을 합착시킨다. 제 1 접착층(171)은 접착력이 있는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2 접착층(172)은 봉지층(16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 2 접착층(172)은 봉지층(160)의 상부면 중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의 외곽에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의 유동을 방지한다. 제 2 접착층(172)은 접착력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2 접착층(172)은 강성 물질을 포함한다.
강성 물질은 강성(Rigidity)이 100 N/m 이상 10000 N/m 이하인 물질을 정의한다. 임의의 물질의 강성은 그 물질이 탄성 변형을 할 때 그 물질이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를 정의하며, 강도(Stiffness)로 정의할 수도 있다. 강성 물질은 고체 물질을 부수려는 힘에 저항하는 강도인 경도(Hardness)가 브리넬 경도를 기준으로 1kg/㎟ 이상 5kg/㎟ 이하이다. 브리넬 경도는 물질의 시험면에 강구로 요철 자국을 내는데 필요한 하중(㎏)을 요철 자국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이에 따라, 강성 물질은 유연성이 적고, 주변의 구성 요소 또는 인접한 층의 이동 또는 유동을 제한시킨다. 이에 따라, 강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접착층(172)은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의 유동을 방지하여, 트랜지스터 기판(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의 외곽 중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폴딩 영역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전면에 마련된 비표시 영역(NDA) 중 폴딩 포인트(FDP)와 인접한 영역이다. 폴딩 영역에 제 2 접착층(172)이 배치되는 경우 제 2 접착층(172)의 강성 물질에 의해서 폴딩 영역의 벤딩 능력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충격에 대한 강화를 위해 제 2 접착층(172)을 배치하지만, 폴딩 영역의 벤딩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폴딩 영역 상에는 제 2 접착층(172)을 배치하지 않는다.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이 배치되지 않는 경계선 상에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외부 경계선까지 빈틈 없이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의 측면은 제 1 접착층(171)의 측면과 맞닿게 된다. 즉,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2 접착층(172)은 제 1 접착층(171)과 부착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이 가장자리 영역에서 이격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터치 기판(180)은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의 상부에 배치된다. 터치 기판(180)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 정보를 표시 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터치 기판(180)은 패시베이션층(181), 제 1 터치 전극(182), 제 1 절연막(183), 제 2 터치 전극(184), 연결 전극(185), 및 제 2 절연막(186)을 포함한다.
패시베이션층(181)은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의 상부에 배치된다. 패시베이션층(181)은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과 터치 기판(18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81)은 전기 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층(181)은 터치 기판(180)이 터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터치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81)은 2.5 이상 3.5 이하의 상대 유전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182)은 패시베이션층(181)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 터치 전극(182)은 제 2 터치 전극(184)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전극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전극 절연막(183)은 패시베이션층(181) 및 제 1 터치 전극(182)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 전극 절연막(183)은 전기 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제 1 전극 절연막(183)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182, 184)의 단락을 방지한다.
제 2 터치 전극(184)은 제 1 전극 절연막(183)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 터치 전극(184)은 복수의 영역 별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영역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제 2 터치 전극(184)은 제 1 터치 전극(182)과 제 1 전극 절연막(183)을 통해 분리되어 있다. 또한, 제 2 터치 전극(184) 상호 간은 분리되어 있다. 제 2 터치 전극(184) 각각은 배치된 위치에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터치 발생 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연결 전극(185)은 제 1 터치 전극(182)의 상부에 배치된다. 연결 전극(185)은 제 1 터치 전극(182)와 제 2 터치 전극(18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2 전극 절연막(186)은 제 2 터치 전극(184)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 전극 절연막(186)은 전기 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제 2 전극 절연막(186)은 제 2 터치 전극(184)과 편광 필름(19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편광 필름(190)은 터치 기판(180)의 상부에 배치된다. 편광 필름(190)은 특정한 편광 각도를 갖는다. 편광 필름(190)은 발광 소자층(150)에서 방출한 광을 편광 각도로 편광시킨다. 편광 필름(190)은 편광 각도로 편광된 광을 외부로 방출한다. 편광 필름(190)은 외부의 광 중 편광 각도로 편광된 광을 제외한 광의 반사를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190)은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형 및 가요성을 위해 편광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200)는 편광 필름(190)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 윈도우(200)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커버 윈도우(200)는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형 및 가요성을 위해 폴딩이 가능한 연성 플라스틱 계열의 커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0)는 커버 플라스틱(Cover Plastic)으로 통칭된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제 1 접착층(171), 및 제 2 접착층(17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제 1 접착층(171)은 표시 영역(DA)과 폴딩 영역(FDA)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제 1 접착층(171)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접착층(171)은 폴딩 영역(FDA)에 배치되므로, 폴딩 영역(FDA)이 벤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성의 물질로 형성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외곽선을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은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기판(180)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합착시킨다. 이에 따라,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또는 터치 기판(180)의 유동을 방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전면에서 가하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접착층(172)은 강성 물질을 포함하여 그 자체로서 격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 2 접착층(172)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측면에서 가하지는 충격 역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접착층(17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외곽 중 폴딩 영역(FDA)을 제외하고 배치된다. 폴딩 영역(FDA)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이 벤딩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NDA) 중 폴딩 포인트(FDP)와 인접한 영역이다. 폴딩 영역(FDA)에 제 2 접착층(172)이 배치되는 경우, 폴딩 영역(FDA)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벤딩이 제한된다. 폴딩 영역(FDA)에서는 외부의 충격 방지보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이 벤딩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므로 제 2 접착층(172)을 배치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161, 162, 163), 제 1 내지 3 접착층(171, 172, 174), 터치 기판(180), 편광 필름(190), 및 커버 윈도우(200)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제 3 접착층(174)를 제외하고는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접착층(174)은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161, 162, 163),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 및 터치 기판(180)의 측면에 배치된다. 즉, 제 3 접착층(174)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측면 및 터치 기판(180)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 3 접착층(174)은 측면 실링(Side Sealing)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외곽부의 고정(Fixing)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에 터치 기판(180)을 합착시킨 후, 측면에 제 3 접착층(174)을 이루는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측면 실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측면 실링 공정을 통해 제 3 접착층(174)을 형성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의 외곽부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접착층(174)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의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에 대한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접착층(174)을 이루는 도포 물질은 제 1 접착층(171)과 동일한 연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의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접착층(174)을 이루는 도포 물질은 제 2 접착층(171)과 동일한 강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제 1 접착층(171), 및 제 2 접착층(172, 176)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제 1 접착층(171)은 표시 영역(DA)과 폴딩 영역(FDA)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제 1 접착층(171)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접착층(171)은 폴딩 영역(FDA)에 배치되므로, 폴딩 영역(FDA)이 벤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성의 물질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제 2 접착층(172, 176)은 제 2 접착층(172, 176)을 제외하고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제 2 접착층(172, 176)은 이중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 2 접착층(172, 176) 중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외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172)은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2 접착층(172)과 동일하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제 2 접착층(172, 176)은 안쪽에 또 하나의 제 2 접착층(176)을 갖는다.
안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176)은 외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172)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안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176)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안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176)이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경우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172, 176)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접착층(172, 176)은 모두 강성 물질을 포함한다. 제 2 접착층(172, 176)은 모두 폴딩 영역(FD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 2 접착층(172, 176)을 이중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는 경우, 제 2 접착층(172, 176)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의 유동 방지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 내부의 구성 요소들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가 벤딩되었을 경우의 측면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폴딩 포인트(FDP)의 중심축에서의 지름(d) 및 폴딩 포인트(FDP)에서의 곡률(R)에 따라 제 2 접착층(172)을 미 도포하는 영역을 변경하여 설정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폴딩 포인트(FDP)가 벤딩된다. 이 때 제 2 접착층(172)이 미 도포된 영역은 반원의 둘레 이상의 마진(Margin)을 가져야 한다. 마진은 곡률, 지름(d) 및 반원의 둘레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일 예로, 곡률, 지름(d) 및 반원의 둘레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곡률 0.5R 1R 1.5R 2R 2.5R
지름(d) 1mm 2mm 3mm 4mm 5mm
반원의 둘레 1.57mm 3.14mm 4.71mm 6.28mm 7.85mm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출원의 예들에 따른 폴딩 영역(FDA)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본 출원의 예들에 따른 폴딩 영역(FDA)은 접착 패턴(177)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예들에 따른 접착 패턴(177)은 폴딩 영역(FDA)에서 점선 형상 또는 패턴 형상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도 10a와 같이 접착 패턴(177)은 폴딩 영역(FDA) 내에서 제 2 접착층(172)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10b와 같이 접착 패턴(177)은 폴딩 영역(FDA)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10c와 같이 접착 패턴(177)은 폴딩 영역(FDA) 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착 패턴(177)은 폴딩 영역(FDA)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을 합착시킨다. 접착 패턴(177)은 제 1 접착층(171)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연성의 점착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외곽부의 강성을 위하여 접착 패턴(177)은 제 2 접착층(172)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강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패턴(177)이 폴딩 영역(FDA)에 배치된 경우 폴딩 영역(FDA)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이 외부의 충격에 견디는 힘이 증가한다. 또한, 접착 패턴(177)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이 분리되는 문제 또한 감소한다. 접착 패턴(177)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접착 패턴(177)이 배치되더라도 폴딩 영역(FDA)에서의 폴딩 기능은 유지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제 2 접착층(172)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제 2 접착층(172)은 유리 섬유(Glass Fiber)(178)를 포함한다.
유리 섬유(178)는 제 2 접착층(172) 내에서 강성 물질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유리 섬유(17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접착층(172)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섬유(178)는 하나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 섬유(178)는 강도가 높은 강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섬유(178)는 제 2 접착층(178)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유리 섬유(178)를 제 2 접착층(172)에 부가하여 강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 2 접착층(172)은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터치 기판(180) 사이의 유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접착층(172)을 이용한 트랜지스터 기판(100) 및 터치 기판(180)의 보호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의 제 1 무기막, 유기막, 제 2 무기막(161, 162, 163), 제 1 접착층(171), 광 경화 접착 패턴(179), 터치 기판(180), 편광 필름(190), 및 커버 윈도우(200)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한 접이식 표시 장치 대비 제 2 접착층(172)이 광 경화 접착 패턴(179)으로 변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 장치는 제 2 접착층(172) 대신 광 경화 접착 패턴(179)를 적용하였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강성 물질을 포함한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에 포함된 강성 물질은 광 경화성 물질이다. 광을 조사한 경우,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의 구조 및 수행하는 기능은 제 2 접착층(172)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이 적용된 영역 중 원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제 2 접착층(17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폴딩 영역(FDA)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경화된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을 이용하는 경우 포토(Photo) 공정을 이용한 강성 구조 형성이 가능하다. 즉 제 1 및 제 2 접착층(171, 172)의 상부에 터치 기판(180)을 합착한 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상부 중 제 1 접착층(171)의 외곽에 광을 조사하여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미 도포 영역을 보상 설계하는 경우, 포토(Photo)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패턴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광 경화 접착 패턴(179)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폴딩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폴딩 영역(FDA)에서는 부분적인 패턴 형상으로 경화된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폴딩 영역(FDA)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은 광을 조사하는 경우 접착 패턴(177)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폴딩 영역(FDA)에서는 제 2 접착층(172) 또는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을 전체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접이식 표시 장치의 벤딩 기능이 저하된다. 폴딩 영역(FDA)에서는 광 경화 접착 패턴(179)을 부분적인 패턴 형상으로 경화시켜, 폴딩 영역(FDA)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접착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벤딩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본 출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사이 중 외곽 영역에 강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접착층을 갖는다. 제 2 접착층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유동을 방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터치 기판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제 2 접착층이 폴딩 영역에서는 배치되지 않거나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강성 보강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폴딩 영역에서의 벤딩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타이밍 컨트롤러 20: 데이터 구동부
30: 게이트 구동부 P: 화소
PD: 화소 구동부 10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10: 박막 트랜지스터 111: 반도체층
112: 게이트 전극 113: 소스 전극
114: 드레인 전극 120: 층간 절연막
130: 게이트 절연막 140: 평탄화막
150: 발광 소자층 151: 애노드 전극
152: 캐소드 전극 153: 발광층
154: 뱅크 160: 봉지층
161: 제 1 무기막 162: 유기막
163: 제 2 무기막 171: 제 1 접착층
172, 176: 제 2 접착층 173: 보호층
174: 제 3 접착층 177: 접착 패턴
178: 유리 섬유 179: 광 경화 접착 패턴
180: 터치 기판 181: 제 1 터치 전극
182: 제 1 전극 절연막 183: 제 2 터치 전극
184: 제 2 전극 절연막 190: 편광 필름
200: 커버 윈도우

Claims (10)

  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상부 중 상기 제 1 접착층의 외곽에 배치된 제 2 접착층;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터치 기판;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접히는 영역인 폴딩 영역에서 점선 형상 또는 패턴 형상으로 배치된 접착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착층은 강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의 외곽 중 상기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패턴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터치 기판을 합착시키는 접이식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인접한 접이식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직접 접하는 접이식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의 외곽 중 상기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 접이식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측면 및 상기 터치 기판의 측면에 배치된 제 3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이중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접이식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패턴은 상기 제 2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인 강성 물질로 형성된 접이식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물질은 유리 섬유인 접이식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물질은 광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폴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경화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는 부분적인 패턴 형상으로 경화된 접이식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접히도록 하는 폴딩 포인트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0170144134A 2017-10-31 2017-10-31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34A KR102012444B1 (ko) 2017-10-31 2017-10-31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811136747.4A CN109727535B (zh) 2017-10-31 2018-09-28 可折叠显示设备
US16/177,151 US10727425B2 (en) 2017-10-31 2018-10-31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n internal elements caused by external imp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34A KR102012444B1 (ko) 2017-10-31 2017-10-31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869A KR20190048869A (ko) 2019-05-09
KR102012444B1 true KR102012444B1 (ko) 2019-08-20

Family

ID=6629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134A KR102012444B1 (ko) 2017-10-31 2017-10-31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7425B2 (ko)
KR (1) KR102012444B1 (ko)
CN (1) CN1097275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0208B2 (en) 2020-08-0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101B (zh) * 2018-05-28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200040057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43096A1 (en) * 2019-07-02 2022-08-04 Lg Electronics Inc. Adhesive tape and mobile terminal
JP6970723B2 (ja) * 2019-10-04 2021-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基材積層体
KR20210085033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8010C (zh) * 2005-05-13 2008-10-22 乐金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器的制造方法
TWI423739B (zh) * 2011-09-23 2014-01-11 Au Optronics Corp 可撓式基板結構之製造方法
KR101910841B1 (ko) * 2012-03-27 2018-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10298A (ko) 2012-07-16 2014-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40013482A (ko)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1958802B1 (ko) *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271485B1 (ko) * 2014-01-13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514847A1 (en) * 2015-04-13 2019-07-24 Royole Corporation Support and detachment of flexible substrates
KR102392671B1 (ko) * 2015-05-11 2022-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422103B1 (ko) * 2015-05-28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374751B1 (ko) * 2015-08-31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170064453A (ko)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72973A (ko) 2015-12-17 2017-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94986B1 (ko) *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94022B1 (ko) 2016-03-17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0208B2 (en) 2020-08-0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27535A (zh) 2019-05-07
KR20190048869A (ko) 2019-05-09
US10727425B2 (en) 2020-07-28
US20190140201A1 (en) 2019-05-09
CN109727535B (zh)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444B1 (ko) 접이식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82740B2 (en)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arcing between boundary surface of mask for covering pad area and pad electrode
US10381427B2 (en) Curved display device
US1097852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77621B2 (en) Display device having black matrix
US10665661B2 (en)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and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visibility
US1040369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member
US103261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09420B2 (en) Display device
GB256903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075252B2 (en) Display device
US11910675B2 (en) Display device
EP3393216A1 (en) Display device
CN110729326A (zh) 具有沟槽部的显示装置
US10424629B2 (en) Display device
KR10259730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18008837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96778B2 (en)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1886643A (zh) 显示装置
US20210126219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23108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241134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71347A (ko) 표시 장치
KR2022008509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