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314B1 -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 Google Patents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314B1
KR102012314B1 KR1020190045198A KR20190045198A KR102012314B1 KR 102012314 B1 KR102012314 B1 KR 102012314B1 KR 1020190045198 A KR1020190045198 A KR 1020190045198A KR 20190045198 A KR20190045198 A KR 20190045198A KR 102012314 B1 KR102012314 B1 KR 102012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r
sample
water collecto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철
신경용
박민지
김상훈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4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Abstract

본 발명은 수계의 시료를 샘플링하기 위한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의 샘플링이 요구되는 수계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 수심 측정수단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채수기 이동바; 및 채수기 이동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채수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Water Sampler Having Means Water Lever}
본 발명은 수계의 물을 샘플링하기 위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 함께 구비되고 지정된 깊이에 위치하는 시료만을 선택적으로 채수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마셔야 하며, 샤워나 세척 등 각종 용도로 다량의 물이 필요하다. 이렇게 우리가 매일 필요로 하는 물, 특히 수돗물은 강물이나 댐저류수 등으로부터 취수한 후 정수과정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이라고 할 수 있다.
취수원은 음용수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며, 특정 취수원으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시료를 샘플링하여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강우 시에는 의도치 않은 오염물질들이 비에 씻겨 수계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깊은 수질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하천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한 샘플링 도구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05077호(도 1 참조)에는 수직방향으로 임시 고정되는 채수용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말단 실링부; 상기 한 쌍의 말단 실링부의 외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씰 고정용 고리부;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제1 트리거; 상기 제1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보조 케이블; 및 상기 보조 케이블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제1 트리거를 해제하는 제1 메신저; 상기 씰 고정용 고리부를 구속하고 해제하는 제2 트리거; 상기 채수용 실린더 및 제2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메인 케이블; 상기 메인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제2 트리거에 구송된 씰 고정용 고리부들을 해제하는 제2 메신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한 말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직고정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신저에 의해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해제하여,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채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채수기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실링부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메신저로 트리거를 타격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빈번한 타격으로 인해 트리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 게다가 하천의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050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샘플링 지점의 수심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게다가 지정된 깊이에 위치하는 시료만을 선택적으로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료의 신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는, 시료의 샘플링이 요구되는 수계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채수기 이동바(200); 및 상기 채수기 이동바(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채수병(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서,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은, 일측이 수계 바닥면에 지지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 지지바(110);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체결부(120);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하부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고정 지지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체결부(130); 및 상기 제1 체결부(120) 상부에 위치하는 제3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서,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은, 외표면에는 제1 눈금(111)이 새겨져 있고 일측이 수계 바닥면에 지지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 지지바(110); 외표면에는 제2 눈금(121)이 새겨져 있고, 일측에는 채수기 이동바(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거나 밀기 위한 푸쉬부(122′), 일측은 제1 체결부(12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푸쉬부(122′)와 연결된 91~100°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제1 연결부(122″), 및 일측은 채수기 이동바(2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채수기 이동바(200)의 외경보다 큰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푸쉬부(122′)에 고정되어 있는 소정의 폭을 갖는 평판형의 제2 연결부(122′″)로 이루어진 이동바 고정수단(122)이 장착된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20); 상기 고정 지지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하부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채수병(300)을 연결시키기 위한 채수병 고정수단(131)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체결부(130); 및 상기 제1 체결부(120) 상부에 위치하며 후크(141)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기 이동바(200)는, 외표면 요홈부에 제3 눈금(201)이 새겨져 있는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제2 체결부(130)에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제3 체결부(14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 지지바(110)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채수병(300)은,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갖는 시료 수용부(310); 상기 시료 수용부(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표면에는 1개의 이상의 통공(321)이 형성된 캡부(320); 및 일측은 상기 캡부(320)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캡부(320) 외부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이동축(331), 캡부(320)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축(331)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판막(332), 상기 이동축(3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판막(332)과 캡부(3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판막(332)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탄성체(333), 상기 캡부(320) 외부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이동축(331)의 타측에 형성된 로프 연결공(331′), 및 일측은 상기 로프 연결공(3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141)를 관통한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된 로프(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서, 상기 채수병(300)은,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갖는 시료 수용부(310); 및 상기 시료 수용부(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표면에는 1개의 이상의 통공(321)이 형성된 캡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의하면, 시료의 샘플링이 필요한 수계의 수심을 쉽게 측정할 수 있어 샘플링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장착되는 채수병은 개방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의 시료만을 채수할 수 있고 따라서 시료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채수기에 구비되는 이동바 고정 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채수기에 구비되는 채수병 캡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수하는 일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채수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수하는 또 다른 예시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는, 시료의 샘플링이 요구되는 수계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100), 수심 측정수단(10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채수기 이동바(200), 및 채수기 이동바(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채수병(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수계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1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은 고정 지지바(110), 제1 체결부(120), 제2 체결부(130) 그리고 제3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지지바(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긴 봉형상으로, 외측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제1 눈금(111)이 새겨져 있고 일측은 수계 바닥면에 접함으로써 본 발명의 채수기를 지지한다.
고정 지지바(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체결부(120)는 외측 표면에는 제2 눈금(121)이 소정 간격으로 새겨져 있고, 일측에는 채수기 이동바(20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수단(1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동바 고정 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바 고정수단(122)은 손으로 잡거나 밀기 위한 푸쉬부(122′), 일측은 제1 체결부(12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푸쉬부(122′)와 연결되며 대략 91~100° 정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제1 연결부(122″), 그리고 일측은 채수기 이동바(2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채수기 이동바(200)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큰 구멍(미도시)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푸쉬부(122′)에 고정되어 있는 소정의 폭을 갖는 평판형의 제2 연결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122′″)의 길이는 푸쉬부(122′)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연결부(122″)의 외측면과 제2 연결부(122′″)의 구멍 내측면이 확실히 밀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소에는 제2 연결부(122′″)가 채수기 이동바(200)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채수기 이동바(2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지만, 푸쉬부(122′)에 외력을 가하면 제2 연결부(122′″)와 채수기 이동바(200)와의 밀착력이 해제되어 채수기 이동바(200)가 상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제2 체결부(130)는 고정 지지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물속 원하는 위치로 채수병(3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정 지지바(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체결부(130) 일측은 고정 지지바(110)가 관통한 상태이고 타측은 채수병(30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채수병 고정수단(13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채수병(300)은 제2 체결부(13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수병 고정수단(131)은 샘플링 시에는 채수병(300)을 고정하고 샘플링한 시료를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을 시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일예로 클램프 타입일 수 있다.
제3 체결부(140)는 제1 체결부(120) 상부에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후술할 캡부(320)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335)가 관통할 수 있도록 후크(141)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즉, 후크(141)는 로프(335)가 물속으로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캡부(320)의 판막(322)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채수기 이동바(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채수기 이동바(2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긴 봉형상으로, 외측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제3 눈금(201)이 새겨져 있고, 상기 제2 연결부(122′″)에 의해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패인 요홈부에 제3 눈금(201)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측은 제2 체결부(13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손잡이(210)가 구비되며, 수면을 향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120)와 제3 체결부(140)를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 지지바(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즉, 채수기 이동바(200)의 손잡이(210)를 잡고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내려 채수병(300)이 원하는 수심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채수기에 구비되는 채수병 캡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채수병(3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채수병(300)은, 원하는 위치에서 샘플링한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부피를 갖는 시료 수용부(310), 시료 수용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320), 및 캡부(320) 안에 위치하여 시료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통공 개폐수단(33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시료 수용부(310)는 수질분석 항목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시료를 샘플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입구(미도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밀폐되어 있는 용기로서, 입구 외주연부에는 캡부(32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수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시료 수용부(310) 입구에 착탈되는 캡부(320)는 내측 소정 위치에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고 표면에는 시료가 유입되어 시료 수용부(3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1개의 이상의 통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 개폐수단(330)은 이동축(331), 판막(332), 탄성체(333) 및 로프(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축(331) 일측은 캡부(320) 공간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캡부(320) 외부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며, 돌출된 이동축(331)에는 로프(334)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 연결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판막(332)은 캡부(320)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이동축(331)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체(333)는 이동축(331)을 감싸는 형상으로 판막(332)과 캡부(3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판막(332)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고, 로프(3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이동축(331)의 로프 연결공(3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손으로 잡기 쉽도록 상부로 연장된 후 후크(141)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채수병(300)에서 캡부(320)의 통공 개폐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원하는 수심에 채수병(300)이 도달하면 판막(332)이 통공(321) 위에 위치하도록 로프(334)를 위로 잡아당긴다(도 4의 왼편 참조). 그러면 시료는 통공(331)을 통과하여 시료 수용부(310)로 이동하게 되고, 시료 수용부(310)에 시료가 충분히 모여지면 잡아당기고 있던 로프(334)를 놓고, 이때 탄성체(333)에 탄성작용에 의해 판막(332)은 통공(331)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더 이상 시료가 유입되지 않는다(도 4의 오른편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샘플링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수하는 일 예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채수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수하는 또 다른 예시이다.
도 5의 일 예시는 수계의 수심이 1m 정도로 얕은 곳으로, 이 경우 표층에서부터 1/3 지점에 위치하는 시료를 채수한다. 고정 지지바(110)의 일측단부가 바닥에 접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바닥에서부터 수면까지의 거리를 확인한다. 그리고 수면에서 1/3 지점에 해당되는 위치에 캡부(320)의 통공(321)이 위치하도록 채수기 이동바(200)를 이동시킨 후, 로프(334)를 위로 잡아 당겨 시료 수용부(310)로 시료를 유입시킨다.
여기서, 수면으로부터 1/3 지점에 해당되는 위치는 고정 지지바(110)의 제1 눈금(111), 채수기 이동바(200)의 제3 눈금(201) 및 제1 체결부(120)의 제2 눈금(121)들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일예로서, 고정 지지바(110)의 제1 눈금(111)을 10cm로 간격으로 표기해 두고, 채수기 이동바(200)의 제3 눈금(201)은 10cm의 2/3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표기한다. 그러면 수심이 30cm인 지점에서 채수기 이동바(200)의 눈금을 위로 3칸만 이동시키면 30cm의 1/3 지점에 해당되는 수면으로부터 10cm인 위치에 채수병(30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체결부(120)의 제2 눈금(121)은 제3 눈금(201) 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읽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눈금(121)은 제3 눈금(201)을 5등분이나 10등분 등으로 표시한 눈금으로, 수심이 58cm이고 제2 눈금(121)이 10개로 나뉘어져 있다고 가정할 경우 제3 눈금(201) 5칸 그리고 제2 눈금(121)의 8개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채수기 이동바(200)를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수심 58cm의 1/3 지점에 채수병(300)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제1 눈금(111), 제2 눈금(121) 및 제3 눈금(201)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소정 시간 경과 후 당기고 있던 로프(334)를 놓아 통공(321)을 닫고, 이후 채수기 이동바(200)를 위로 이동시켜 채수병 고정수단(131)으로부터 시료 수용부(310)를 분시시킨 후 캡부(320)를 열어 별도의 용기에 시료를 담는다.
도 6의 또 다른 예시는 수계의 수심이 약 2m 정도로 비교적 깊은 곳으로, 이 경우 표층에서부터 1/3 지점과 2/3 지점에 위치하는 시료를 채수하고, 구체적인 작동방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수심 측정수단
110 : 고정 지지바 111 : 제1 눈금
120 : 제1 체결부
121 : 제2 눈금 122 : 이동바 고정수단
122′ : 푸쉬부 122″ : 제1 연결부
122′″ : 제2 연결부
130 : 제2 체결부 131 : 채수병 고정수단
140 : 제3 체결부 141 : 후크
200 : 채수기 이동바
201 : 제3 눈금
210 : 손잡이
300 : 채수병
310 : 시료 수용부
320 : 캡부 321 : 통공
330 : 통공 개폐수단
331 : 이동축 331′ : 로프 연결공
332 : 판막
333 : 탄성체 334 : 로프

Claims (4)

  1. 시료의 샘플링이 요구되는 수계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 측정수단(100);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채수기 이동바(200); 및
    상기 채수기 이동바(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채수병(3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심 측정수단(100)은, 외표면에는 제1 눈금(111)이 새겨져 있고 일측이 수계 바닥면에 지지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 지지바(110); 외표면에는 제2 눈금(121)이 새겨져 있고, 일측에는 채수기 이동바(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거나 밀기 위한 푸쉬부(122′), 일측은 제1 체결부(12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푸쉬부(122′)와 연결된 91~100°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제1 연결부(122″), 및 일측은 채수기 이동바(2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채수기 이동바(200)의 외경보다 큰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푸쉬부(122′)에 고정되어 있는 소정의 폭을 갖는 평판형의 제2 연결부(122′″)로 이루어진 이동바 고정수단(122)이 장착된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20); 상기 고정 지지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 지지바(110)의 하부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채수병(300)을 연결시키기 위한 채수병 고정수단(131)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체결부(130); 및 상기 제1 체결부(120) 상부에 위치하며 후크(141)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기 이동바(200)는, 외표면 요홈부에 제3 눈금(201)이 새겨져 있는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제2 체결부(130)에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제3 체결부(14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 지지바(110)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채수병(300)은,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갖는 시료 수용부(310); 상기 시료 수용부(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표면에는 1개의 이상의 통공(321)이 형성된 캡부(320); 및 일측은 상기 캡부(320)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캡부(320) 외부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이동축(331), 캡부(320)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축(331)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판막(332), 상기 이동축(3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판막(332)과 캡부(3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판막(332)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탄성체(333), 상기 캡부(320) 외부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이동축(331)의 타측에 형성된 로프 연결공(331′), 및 일측은 상기 로프 연결공(3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141)를 관통한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된 로프(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45198A 2019-04-18 2019-04-18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KR10201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98A KR102012314B1 (ko) 2019-04-18 2019-04-18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98A KR102012314B1 (ko) 2019-04-18 2019-04-18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314B1 true KR102012314B1 (ko) 2019-08-27

Family

ID=6780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98A KR102012314B1 (ko) 2019-04-18 2019-04-18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033A (zh) * 2021-12-20 2022-02-18 张洪亮 一种水利水质检测用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793764A (zh) * 2023-03-02 2023-09-22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一种用于水生生物环境损害调查的eDNA样品采集系统
CN116793764B (zh) * 2023-03-02 2024-05-17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一种用于水生生物环境损害调查的eDNA样品采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42Y1 (ko) * 2002-02-08 2002-05-17 한국지하수테크 주식회사 채수병을 이용한 채수장치
KR20050025938A (ko) * 2004-10-20 2005-03-14 이진필 자동 채수기
KR20170022068A (ko) * 2015-08-19 2017-03-02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채수 장치
KR101797998B1 (ko) * 2017-05-08 2017-11-16 대한민국 수심 측정용 스타프가 구비된 유속계
KR101805077B1 (ko)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수평 채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42Y1 (ko) * 2002-02-08 2002-05-17 한국지하수테크 주식회사 채수병을 이용한 채수장치
KR20050025938A (ko) * 2004-10-20 2005-03-14 이진필 자동 채수기
KR20170022068A (ko) * 2015-08-19 2017-03-02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채수 장치
KR101797998B1 (ko) * 2017-05-08 2017-11-16 대한민국 수심 측정용 스타프가 구비된 유속계
KR101805077B1 (ko)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수평 채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033A (zh) * 2021-12-20 2022-02-18 张洪亮 一种水利水质检测用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793764A (zh) * 2023-03-02 2023-09-22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一种用于水生生物环境损害调查的eDNA样品采集系统
CN116793764B (zh) * 2023-03-02 2024-05-17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一种用于水生生物环境损害调查的eDNA样品采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07B1 (ko)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KR101805077B1 (ko) 수평 채수기
KR101960672B1 (ko) 채수기
KR20090124278A (ko)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KR102012314B1 (ko)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CN209327048U (zh) 一种水样取样器
KR20200082429A (ko)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CN208206579U (zh) 一种多区域水质采样检测设备
CN201289441Y (zh) 定点液体采样器
JP5165666B2 (ja) 柱状試料採取方法及び採取装置
CN107560889B (zh) 一种大通量底泥柱状采样装置及采样方法
JP2005249556A (ja) 自動降水採取装置
CN212391271U (zh) 一种便于水资源采样的环保检测装置
JP5229814B2 (ja) 採水器
CN218806548U (zh) 一种搭载水质检测取样器的无人机
CN209783984U (zh) 一种水质分析仪的便携式取样装置
CN203881788U (zh) 化学发光免疫分析仪试管架
CN207300350U (zh) 一种排水法测量气体体积装置
KR101433035B1 (ko) 표층수 채집 장치
KR102191625B1 (ko)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CN113218715A (zh) 一种海洋微塑料水样采集装置
CN211527907U (zh) 一种区域水环境水体取样装置
KR101953551B1 (ko) 휴대가 용이한 소형 채수장치
CN208443610U (zh) 一种海底泥分样装置
CN209992218U (zh) 一种环境检测用液体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