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625B1 -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625B1
KR102191625B1 KR1020200072132A KR20200072132A KR102191625B1 KR 102191625 B1 KR102191625 B1 KR 102191625B1 KR 1020200072132 A KR1020200072132 A KR 1020200072132A KR 20200072132 A KR20200072132 A KR 20200072132A KR 102191625 B1 KR102191625 B1 KR 10219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support rod
guid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용
윤근석
조윤해
채민희
석광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복수개의 개구부가 구비된 저수부 몸체(100); 및 상기 저수부 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부 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격벽(130)에 의해 복수의 저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Water Sampler Having Multiple Reservior}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소 등 수질 분석이 요구되는 시료를 샘플링하기 위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를 하나의 용기에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마셔야 하며, 샤워나 세척 등 각종 용도로 다량의 물이 필요하다. 이렇게 우리가 매일 필요로 하는 물, 특히 수돗물은 강물이나 댐저류수 등으로부터 취수한 후 정수과정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이라고 할 수 있다.
취수원은 음용수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며, 특정 취수원으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시료를 샘플링하여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강우 시에는 의도치 않은 오염물질들이 비에 씻겨 수계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깊은 수질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하천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한 샘플링 도구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05077호(도 1 참조)에는 수직방향으로 임시 고정되는 채수용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말단 실링부; 상기 한 쌍의 말단 실링부의 외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씰 고정용 고리부;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제1 트리거; 상기 제1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보조 케이블; 및 상기 보조 케이블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제1 트리거를 해제하는 제1 메신저; 상기 씰 고정용 고리부를 구속하고 해제하는 제2 트리거; 상기 채수용 실린더 및 제2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메인 케이블; 상기 메인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제2 트리거에 구송된 씰 고정용 고리부들을 해제하는 제2 메신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한 말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직고정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신저에 의해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해제하여,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채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채수기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실링부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메신저로 트리거를 타격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또 빈번한 타격으로 인해 트리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수심이 60㎝ 이하인 경우에는 위치에 관계없이 1개 지점의 시료만 채수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해도 무방하지만, 수심이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심별 3개 지점의 시료를 채수해야 하고, 이에 따라 매번 채수한 시료를 별도의 용기에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696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개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를 하나의 채수기에 담을 수 있어 채수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복수개의 개구부가 구비된 저수부 몸체(100); 및 상기 저수부 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부 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격벽(130)에 의해 복수의 저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캡부(200)는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복수개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개폐하기 위한 제1 유도부(220), 제1 개폐부(230), 제2 유도부(240), 제2 개폐부(250) 및 방향 조절부(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저수부 몸체(100)는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된 제1 저수부(110)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제2 개구부(121)가 형성된 제2 저수부(12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는 가이드판(1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캡부(200)는 물을 유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공(212)과, 상기 방향 조절부(260)를 안내하기 위한 슬릿홈(211)이 상면에 구비된 캡 몸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방향 조절부(260)는 일측은 상기 캡 몸체(210)의 슬릿홈(211) 외측으로돌출하는 한편 타측은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제3 지지봉(261), 상기 제3 지지봉(26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가이드공(262), 및 상기 가이드공(262)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3 연장턱(26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턱(263) 상부에는 제3 지지봉(26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3 스프링(S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제1 유도부(220)는 상기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된 내부가 비어 있는 제1 가이드관(221), 및 상기 제1 가이드관(221) 내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턱(2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230)는 상기 제1 가이드관(221)을 관통하면서 승강가능한 제1 지지봉(231), 상기 제1 지지봉(23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제1 마개(232), 상기 방향 조절부(260)의 가이드공(262)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 걸림턱(233), 및 상기 제1 유도부(220)의 제1 지지턱(222)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연장턱(2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부(240)는 상기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된 내부가 비어 있는 제2 가이드관(241), 및 상기 제2 가이드관(241) 내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턱(24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250)는 상기 제2 가이드관(241)을 관통하면서 승강가능한 제2 지지봉(251), 상기 제2 지지봉(25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제2 개구부(121)를 개폐하는 제2 마개(252), 상기 방향 조절부(260)의 가이드공(262)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2 걸림턱(253), 및 상기 제2 유도부(240)의 제2 지지턱(242)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연장턱(2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턱(234) 상부에는 제1 지지봉(2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 스프링(S1)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연장턱(254) 상부에는 제2 지지봉(25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 스프링(S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캡 몸체(210) 상면에는 상기 슬릿홈(211)을 사이에 두고 제1 홀(213)과 제2 홀(214)이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되, 상기 제1 홀(213)은 상기 제1 지지봉(231)이 관통하고, 상기 제2 홀(214)은 상기 제2 지지봉(251)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가이드공(262)에는 상기 제1 걸림턱(233)과 제2 걸림턱(253)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안착홈(2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서, 상기 가이드판(140)은 상기 제1 지지봉(231) 또는 제2 지지봉(251)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1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 의하면, 하나의 저수부 몸체에 완전히 구획된 2개의 저수부가 구비되어 있고, 따라서 채수한 시료를 매번 옮겨 담지 않아도 되므로 채수에 요구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수기에 의하면, 저수부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가 캡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조작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에서 저수부 몸체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에서 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저수부에 샘플을 저수하는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3 지지봉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저수부에 샘플을 저수하는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절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의 외형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채수기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물, 즉 분석해야 할 시료를 하나의 채수기에 담을 수 있는 채수기로서, 각 지점에서의 시료들이 혼합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제1 저수부(110)와 제2 저수부(120)가 구비된 저수부 몸체(100)와, 저수부 몸체(100) 상단부에 암수나사 또는 강제 압입식 방법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캡부(200) 측면에는 주변의 시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제1 지지봉(231), 제2 지지봉(251) 및 제3 지지봉(261)이 소정 높이 돌출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에서 저수부 몸체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200)와 결합하는 저수부 몸체(100) 상부에는 제1 저수부(110) 및 제2 저수부(120)로 시료가 구분되어 유입할 수 있도록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는 방향 조절부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140)이 위치하고 있는데, 가이드판(140)은 제1 지지봉(231) 또는 제2 지지봉(251)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1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에서 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수기를 구성하는 캡부는 캡 몸체(210), 제1 유도부(220), 제1 개폐부(230), 제2 유도부(240), 제2 개폐부(250) 및 방향 조절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캡 몸체(21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면은 개방된 채 측면과 상면으로 둘러 싸여 있고 내부는 비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는 외부의 시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가운데에는 방향 조절부(26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슬릿홈(211)이 위치하고 있다. 또 슬릿홈(211)을 사이에 두고 제1 홀(213)과 제2 홀(214)이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데, 제1 홀(213)은 제1 개폐부(230) 그리고 제2 홀(214)은 제2 개폐부(250)의 승강을 위한 홀들이다.
캡 몸체(210)의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제1 유도부(220)는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제1 가이드관(221)과, 제1 가이드관(221)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거나 또는 절곡되어 있는 제1 지지턱(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유도부(220)는 제1 개폐부(230)가 수직방향으로만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가이드관(221)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제1 개폐부(230)는 제1 지지봉(231), 제1 마개(232), 제1 걸림턱(233) 및 제1 연장턱(2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봉(231)은 제1 가이드관(221)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제1 마개(232)는 제1 지지봉(23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저수부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1)를 막고 있다. 제1 걸림턱(233)은 일측이 제1 지지봉(231)에 고정된 채, 캡 몸체(210)의 중앙, 즉 방향 조절부(26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이고, 제1 연장턱(234)은 제1 유도부(220)의 제1 지지턱(222)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연장턱(234) 상부에는 제1 지지봉(2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 스프링(S1)이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제1 지지봉(231)에 아무런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마개(232)가 제1 개구부(111)를 막고 있다.
계속해서, 제1 유도부(220)와 구성 및 기능이 유사한 제2 유도부(240)는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제2 가이드관(241)과, 제2 가이드관(241)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거나 또는 절곡되어 있는 제2 지지턱(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유도부(240)는 제2 개폐부(250)가 수직방향으로만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2 가이드관(241)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제2 개폐부(250)는 제2 지지봉(251), 제2 마개(252), 제2 걸림턱(253) 및 제2 연장턱(2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봉(251)은 제2 가이드관(241)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제2 마개(252)는 제2 지지봉(25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저수부 몸체(100)의 제2 개구부(121)를 막고 있다. 제2 걸림턱(253)은 일측이 제2 지지봉(251)에 고정된 채, 캡 몸체(210)의 중앙, 즉 방향 조절부(26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이고, 제2 연장턱(254)은 제2 유도부(240)의 제2 지지턱(242)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연장턱(254) 상부에는 제2 지지봉(25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 스프링(S2)이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제2 지지봉(251)에 아무런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마개(252)가 제2 개구부(121)를 막고 있다.
제1 유도부(220)와 제2 유도부(240)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개구부(111) 또는 제2 개구부(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유도부(220)와 제2 유도부(24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부(260)는 제3 지지봉(261), 가이드공(262), 및 제3 연장턱(2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봉(261)의 일측은 캡 몸체(210)의 슬릿홈(2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편, 타측은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며, 가이드공(262)은 제3 지지봉(26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공(262) 위에는 제3 연장턱(263)이 마련되고 있고, 제3 연장턱(263) 상부에는 제3 지지봉(26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3 스프링(S3)이 장착된다.
여기서, 가이드공(262)은 단면이 대략 역삼각형 모양으로, 제1 개폐부(230)의 제1 걸림턱(233) 저면, 또는 제2 개폐부(250)의 제2 걸림턱(253) 저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저수부에 샘플을 저수하는 모습,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3 지지봉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저수부에 샘플을 저수하는 모습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채수기를 보관하거나 시료 채수가 완료된 시에는 제1 개구부(111)는 제1 마개(232), 제2 개구부(121)는 제2 마개(252)에 의해 닫혀 있으며, 방향 조절부(260)의 가이드공(262)은 대략 제1 마개(232)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시료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도착하여 저수부 몸체(100)의 제1 저수부(110)에 시료를 담고자 할 시에는, 제3 지지봉(261)을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가이드공(262) 수직 상부에는 제1 걸림턱(233)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3 지지봉(261)을 위로 당길시 제1 지지봉(231)이 함께 위로 이동하게 되어 제1 개구부(111)로 시료가 유입된다.
한 지점에서의 채수가 끝나면, 다음 시료 채취를 위해 제2 개구부(121) 인근으로 제3 지지봉(261)을 옮겨 둔다. 이 때 제1 지지봉(231)은 제1 스프링(S1)의 탄성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여 제1 개구부(111)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봉(261)의 가이드공(262)에 제1 걸림턱(233)이 걸린 상태에서 제1 개구부(111)로의 시료 유입이 완료되면, 슬릿홈(211)을 따라 제3 지지봉(261)을 제2 저수부(120) 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판(140)은 하단부만 고정된 상태로서, 실리콘이나 고무 등 다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게다가 상단부 인근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판(140)을 기준으로 볼 때 제3 지지봉(261)이 오른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3 지지봉(261)에 가하던 외력을 해제하면 제3 스프링(S3)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판(140)의 경사면을 따라 제3 지지봉(261)이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가이드공(262)은 제2 걸림턱(253)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제2 지지봉(251)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2 마개(252)를 개방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 마개(251)의 개방방법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지지봉(261)이 수직한 채 슬릿홈(21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관(221)이나 제2 가이드관(241)과 유사한 별도의 가이드관이 추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절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방향 조절부는 제3 지지봉(261), 안착홈(262′)이 형성된 가이드공(262), 및 제3 연장턱(2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지지봉(261)과 제3 연장턱(263)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인 가이드공(262)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공(262) 상면에는 제3 지지봉(26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안착홈(2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262′)에는 제1 걸림턱(233)과 제2 걸림턱(253)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안착된다.
즉, 제3 지지봉(261)을 위로 당길시 제1 걸림턱(233)이나 제2 걸림턱(253)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지지봉(231)과 제2 지지봉(251)의 정확한 승강을 담보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262′)의 외형은 제1 걸림턱(233)과 제2 걸림턱(253)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저수부 몸체
110 : 제1 저수부
111 : 제1 개구부
120 : 제2 저수부
121 : 제2 개구부
130 : 격벽
140 : 가이드판
200 : 캡부
210 : 캡 몸체
211 : 슬릿홈 212 : 통공
213 : 제1 홀 214 : 제2 홀
220 : 제1 유도부
221 : 제1 가이드관 222 : 제1 지지턱
230 : 제1 개폐부
231 : 제1 지지봉 232 : 제1 마개
233 : 제1 걸림턱 234 : 제1 연장턱
240 : 제2 유도부
241 : 제2 가이드관 242 : 제2 지지턱
250 : 제2 개폐부
251 : 제2 지지봉 252 : 제2 마개
253 : 제2 걸림턱 254 : 제2 연장턱
260 : 방향 조절부
261 : 제3 지지봉 262 : 가이드공
262′: 안착홈 263 : 제3 연장턱
S1 : 제1 스프링
S2 : 제2 스프링
S3 : 제3 스프링

Claims (10)

  1.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복수개의 개구부가 구비된 저수부 몸체(100); 및 상기 저수부 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부 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격벽(130)에 의해 복수의 저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캡부(200)는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복수개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개폐하기 위한 제1 유도부(220), 제1 개폐부(230), 제2 유도부(240), 제2 개폐부(250) 및 방향 조절부(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 몸체(100)는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된 제1 저수부(110)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제2 개구부(121)가 형성된 제2 저수부(12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는 가이드판(1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200)는 물을 유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공(212)과, 상기 방향 조절부(260)를 안내하기 위한 슬릿홈(211)이 상면에 구비된 캡 몸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부(260)는 일측은 상기 캡 몸체(210)의 슬릿홈(211) 외측으로돌출하는 한편 타측은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제3 지지봉(261), 상기 제3 지지봉(26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가이드공(262), 및 상기 가이드공(262)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3 연장턱(26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턱(263) 상부에는 제3 지지봉(26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3 스프링(S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220)는 상기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된 내부가 비어 있는 제1 가이드관(221), 및 상기 제1 가이드관(221) 내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턱(2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230)는 상기 제1 가이드관(221)을 관통하면서 승강가능한 제1 지지봉(231), 상기 제1 지지봉(23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제1 마개(232), 상기 방향 조절부(260)의 가이드공(262)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 걸림턱(233), 및 상기 제1 유도부(220)의 제1 지지턱(222)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연장턱(2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부(240)는 상기 캡 몸체(21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캡 몸체(210) 상면에 고정된 채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된 내부가 비어 있는 제2 가이드관(241), 및 상기 제2 가이드관(241) 내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턱(24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250)는 상기 제2 가이드관(241)을 관통하면서 승강가능한 제2 지지봉(251), 상기 제2 지지봉(251)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 몸체(100)의 제2 개구부(121)를 개폐하는 제2 마개(252), 상기 방향 조절부(260)의 가이드공(262)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2 걸림턱(253), 및 상기 제2 유도부(240)의 제2 지지턱(242)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연장턱(2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턱(234) 상부에는 제1 지지봉(2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 스프링(S1)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연장턱(254) 상부에는 제2 지지봉(251)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 스프링(S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210) 상면에는 상기 슬릿홈(211)을 사이에 두고 제1 홀(213)과 제2 홀(214)이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되,
    상기 제1 홀(213)은 상기 제1 지지봉(231)이 관통하고,
    상기 제2 홀(214)은 상기 제2 지지봉(251)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262)에는 상기 제1 걸림턱(233)과 제2 걸림턱(253)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안착홈(2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40)은 상기 제1 지지봉(231) 또는 제2 지지봉(251)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1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KR1020200072132A 2020-06-15 2020-06-15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KR10219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32A KR102191625B1 (ko) 2020-06-15 2020-06-15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32A KR102191625B1 (ko) 2020-06-15 2020-06-15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625B1 true KR102191625B1 (ko) 2020-12-15

Family

ID=7378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32A KR102191625B1 (ko) 2020-06-15 2020-06-15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472B1 (ko) * 2021-12-07 2022-08-26 박상인 채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16Y1 (ko) * 1999-08-20 2000-04-15 엽양승 두개의 방(공간)으로 나눈 외두병과 쌍두병
KR20080049700A (ko) * 2008-05-15 2008-06-0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질시험용 분할형 채수병
KR101321393B1 (ko) * 2012-05-04 2013-10-29 (주)지텍이엔지 순차 채수장치
KR20140069688A (ko) 2012-11-29 2014-06-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KR101492558B1 (ko) * 2013-10-18 2015-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16Y1 (ko) * 1999-08-20 2000-04-15 엽양승 두개의 방(공간)으로 나눈 외두병과 쌍두병
KR20080049700A (ko) * 2008-05-15 2008-06-0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질시험용 분할형 채수병
KR101321393B1 (ko) * 2012-05-04 2013-10-29 (주)지텍이엔지 순차 채수장치
KR20140069688A (ko) 2012-11-29 2014-06-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KR101492558B1 (ko) * 2013-10-18 2015-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472B1 (ko) * 2021-12-07 2022-08-26 박상인 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625B1 (ko)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KR20140108446A (ko) 채수기
CN209296390U (zh) 一种水泥取样器
KR20090124278A (ko)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HU198240B (en) Device for separating liquids e.g. condensate from pressurized gases particularly pressure air
KR101515536B1 (ko) 다중 시료채집기
JP2009518655A (ja) 分析用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シリンジ洗浄ステーション
CN109556917B (zh) 一种废水池内污水分散抽样装置
CN217586506U (zh) 一种环保检测用液体取样器
KR101758352B1 (ko) 현미경 슬라이드 제작을 위한 검사용 세포의 도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도말방법
KR101953551B1 (ko) 휴대가 용이한 소형 채수장치
KR102430945B1 (ko)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CN107703322B (zh) 试剂吸样机构及样本分析仪
JP3840625B2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CN214040800U (zh) 一种污水检测用取样装置
CN218098451U (zh) 煤泥水取样装置
CN217542481U (zh) 一种多环境水体取样装置
CN209927523U (zh) 一种水样采集器
GB2203406A (en) Device for taking a fluid sample near the bottom of a tank
CN221280706U (en) Water quality sampler with stable sampling
JPH03102243A (ja) 分析器具,これを用いた流体流れシステム及び粒子分析法
CN220768282U (zh) 台盆
CN211785117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浊度分析仪
CN210571964U (zh) 生物荧光检测仪的翻盖装置
CN116448493B (zh) 水底沉积物样品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