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279B1 -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279B1
KR102012279B1 KR1020190017033A KR20190017033A KR102012279B1 KR 102012279 B1 KR102012279 B1 KR 102012279B1 KR 1020190017033 A KR1020190017033 A KR 1020190017033A KR 20190017033 A KR20190017033 A KR 20190017033A KR 102012279 B1 KR102012279 B1 KR 10201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uxiliary drum
waste
vortex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Original Assignee
(주)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다원산업
Priority to KR102019001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79B1/ko
Priority to PCT/KR2020/001191 priority patent/WO2020166847A1/ko
Priority to US17/418,708 priority patent/US11478824B2/en
Priority to JP2020021570A priority patent/JP678088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이 와류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회전하는 드럼과 날개의 타격에 의해 협잡물이 털리며 제거되면 고비중물과 저비중물 및 협잡물로 각각 선별되도록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는 방사형의 날개가 구비되는 메인드럼, 상부 보조드럼, 하부 보조드럼을 구비하되, 메인드럼은 투입구의 일측에, 상부 보조드럼은 투입구의 타측에, 하부 보조드럼은 상부 보조드럼의 하부에 구비하고, 메인드럼과 하부 보조드럼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부 보조드럼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드럼, 상부 보조드럼, 하부 보조드럼 사이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며, 투입구의 하부에 망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이 와류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회전하는 드럼과 날개의 타격에 의해 폐기물에 달라붙은 협잡물이 털리며 분리된 상태로 중량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Machine for sorting waste}
본 발명은 비중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폐기물이 와류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회전하는 드럼과 날개의 타격에 의해 협잡물이 털리며 제거되면 고비중물(페트병, 유리병, 캔, 금속류 등) 저비중물(비닐, 종이 등) 및 협잡물(모래, 흙, 먼지, 유리가루 등)로 선별되도록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선별기는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것은 재처리 과정을 통해 재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선별기가 이용된다.
종래의 선별기는 등록특허 제10-1931687호와 같이 상부 전방에는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부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부에는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부 후방부에는 저비중물 배출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다수로 배열된 이물질 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스크린; 상기 케이스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승강시키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의 하부 전방에는 투입 가이드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투입 가이드의 양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각도 조절판을 볼트 체결로 연결하며, 상기 투입 가이드의 전방 양측에는 각도 조절판의 구멍들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볼트 체결로 연결되는 고정판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분리 가이드 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공은 미세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분리 가이드 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공은 굵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며,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중앙부에 분리 가이드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선별기는 중량에 따라 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폐기물에 달라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지 못하여 별도의 제거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 수가 늘어나며 이로 인한 장치의 거대화 및 고가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가지는 스크린 컨베이어의 경우 떨림에 의한 장치의 마모 및 소음이 발생하며 스크린의 길이가 길어야지만 선별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제10-1931687호(2018.12.17) KR 등록특허 제10-0747655호(2007.08.02) KR 등록특허 제10-0506029호(2005.07.27) KR 등록특허 제10-1459345호(2014.11.03)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에서 다수의 드럼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폐기물이 와류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회전하는 드럼과 날개의 타격에 의해 협잡물이 털리며 제거되고 낙하한 폐기물은 고비중물과 저비중물 및 협잡물로 각각 선별되도록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을 통해 이송하는 저비중물이 펄스 형태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저비중물에 묻은 협잡물이 한 번 더 분리되도록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끈이나 이물질 등이 드럼에 말리려 할 경우 절단되도록 하여 드럼에 끈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는,
방사형의 날개가 구비되는 메인드럼, 상부 보조드럼, 하부 보조드럼을 구비하되,
메인드럼은 투입구의 일측에, 상부 보조드럼은 투입구의 타측에, 하부 보조드럼은 상부 보조드럼의 하부에 구비하고,
메인드럼과 하부 보조드럼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부 보조드럼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기 다른 회전 속도로 와류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메인드럼, 상부 보조드럼, 하부 보조드럼 사이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며,
투입구의 하부에 망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조드럼은 메인드럼 방향으로 수평 왕복 이송하도록 하여 와류 구역이 일정한 구간 내에서 계속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일정 시간 주기적인 순각적으로 분사되는 펄스 형태의 에어가 상부로 배출되어 스크린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하는 저비중물이 뒤집어지면서 이동함으로써 협잡물이 한 번 더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조드럼의 날개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내벽에는 고정 커터를 설치하고, 메인드럼의 날개에는 고정 커터와 긴밀하게 근접하는 회전 커터가 설치되어 메인드럼에 끈이 말리려 하면 절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드럼, 상부 보조드럼, 하부 보조드럼은 측 방향으로 다수의 구획판을 형성하고, 각 구획판은 둘레에 사다리꼴 모양의 돌부를 다수 형성하며, 돌부의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되, 말단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날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는 투입되는 폐기물이 와류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회전하는 드럼과 날개의 타격에 의해 폐기물에 달라붙은 협잡물이 털리며 분리된 상태로 중량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저비중물이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순간 분사되는 펄스 형태의 에어에 뒤집어지면서 이송되므로 저비중물에 묻은 협잡물이 한 번 더 분리함으로써 협작물의 제거가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끈이나 이물질 등이 드럼에 말리려 할 경우 고정 커터 및 회전 커터에 의해 절단되기 때문에 드럼에 끈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커터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커터 및 회전 커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4b, 4c는 각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는 고정 커터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고정 커터 및 회전 커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100)는 와류를 형성하는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 경사진 스크린 컨베이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둘레에 방사형의 날개(11)(21)(31)가 구비되고, 측 방향으로 다수의 구획판(12)(22)(32)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럼(10)은 투입구(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보조드럼(20)은 투입구(1)의 타측에 메인드럼(10)과 마주보게 배열하되 메인드럼(10)보다 약간 높게 배치되며, 하부 보조드럼(30)은 상부 보조드럼(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메인드럼(10)은 상부 보조드럼(20)과 하부 보조드럼(30)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부 보조드럼(20)과 하부 보조드럼(30)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드럼(10)의 날개(11)는 상부 보조드럼(20)과 하부 보조드럼(30)의 날개(21)(31)보다 많이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은 회전 시 주변으로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드럼(10)과 하부 보조드럼(30)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부 보조드럼(2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 사이에는 각 날개(11)(21)(31)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는 와류 구역(90)이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드럼(10)과 상부 보조드럼(20)은 마주보는 방향 즉,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은 메인드럼(10)과 상부 보조드럼(20) 사이로 공급되고 각 드럼(10)(20)(30)의 회전에 의해 와류 구역(90)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각 드럼(10)(20)(30)의 날개(11)(21)(31) 및 구획판(12)(22)(32)에 의해 폐기물은 충돌하여 뒤집히며 달라붙은 협잡물이 분리되어 낙하된다.
상기 메인드럼(10)은 상부 보조드럼(20)보다 느리게 회전하고, 하부 보조드럼(30)은 상부 보조드럼(20)보다 빠르게 회전하여 와류를 극대화 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드럼(10)은 투입되는 폐기물을 받쳐주는 기능과 함께 하부로 끌어내리는 기능을 겸한다. 반면, 상부 보조드럼(20)은 메인드럼(10)에 의해 받쳐진 폐기물을 타격하여 폐기물에 달라붙어 고착화된 흙이나 먼지 등의 협잡물을 털어내어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봉지나 마대 등은 뒤집어지며 파봉되어 감추어진 협잡물이 외부로 노출되며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하부 보조드럼(30)은 메인드럼(10) 방향으로 수평 왕복 이송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투입구(1)의 측면에 수평 방향의 장공을 형성하고, 하부 보조드럼(30)의 회전축이 장공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하부 보조드럼(30)의 위치에 따라 와류 구역(90)이 계속 변동하면서 와류가 불규칙하게 발생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여러 방향으로 뒤집게 된다. 이러한 하부 보조드럼(30)은 와류를 형성하는 기능과 더불어 폐기물을 타격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겸한다. 또한, 하부 보조드럼(30)의 날개(31)는 다수의 구멍(34)이 관통 형성되어 폐기물 타격 시 협잡물이 구멍(34)을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각 드럼(10)(20)(30)의 구획판(12)(22)(32)은 가장자리에 사다리꼴 모양의 돌부(13)(23)(33)를 다수 돌출 형성한다. 돌부(13)(23)(33)의 모서리는 라운드(R) 처리되어 끈과 같은 폐기물이 구획판에 끌려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말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구획판(12)(22)(32)의 말단은 뾰족하게 날(N)을 형성하여 투입되는 폐기물을 타격하며 절단하는 기능을 겸한다.
한편, 상기 투입구(1)의 내벽에는 고정 커터(4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메인드럼(10)의 날개(11)에는 고정 커터(40)와 긴밀하게 근접하는 회전 커터(5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커터(41)는 사각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면에 돌기(4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의 내벽에는 고정 커터(40)가 밀착 설치되는 베이스(43)를 구비하되 고정 커터(40)의 돌기(41)가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드 홈(44)을 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다수 형성한다.
상기 고정 커터(40)는 중앙과 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장공(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장공(42)은 돌기(4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43)는 고정 커터(40)의 장공(42)과 대응되는 볼트공(45)을 형성하여 볼트(B)에 의해 고정 커터(40)가 베이스(4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 커터(40)는 돌기(41)가 베이스(43)의 슬라이드 홈(44)에 안착 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 커터(10)에 발생하는 충격은 고정 커터(40)를 고정하는 볼트(B)로 전달되지 않고 돌기(41) 및 슬라이드 홈(44)에 전달됨에 따라 볼트(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43)에는 고정 커터(10)의 후면을 가압하여 고정 커터(40)를 전진시키는 조임 볼트(4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 커터(40)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마모될 경우 조임 볼트(46)를 회전시켜 전진시킴으로써 고정 커터(40)를 전진시킬 수 있어 고정 커터(40)와 회전 커터(5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커터(40)는 마모로 인해 그 기능이 저하될 경우 좌우 또는 상하로 뒤집어 재 고정함으로써 네 모서리를 돌려가며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 커터(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 커터(50)는 사각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드럼(10)의 날개(11)에 설치되는데, 날개(11)의 말단으로 살짝 돌출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날개(11)는 다수의 수용홈(13)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13)에 회전 커터(50)가 일부 삽입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 커터(50)는 수용홈(13)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일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폐기물과의 충격 시 볼트에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볼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전 커터(50) 또한 마모로 인해 그 기능이 저하될 경우 좌우로 뒤집어 재 고정함으로써 두 모서리를 돌려가며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회전 커터(50)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질긴 끈이나 비닐과 같은 띠 형태의 이물질이 메인드럼(10)에 말리려 할 경우 고정 커터(40) 및 회전 커터(50)에 의해 절단되어 메인드럼(10)을 감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 컨베이어(60)는 투입구(1)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크린(61)은 작은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수많은 눈이 형성된 망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투입구(1)에서 분리된 흙이나 먼지 및 모래 등의 협잡물은 스크린(61)을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져 별도로 수집된다.
반면, 페트병이나 유리병 및 캔 등으로 이루어진 고비중물은 스크린(61)의 경사면을 따라 낮은 쪽으로 굴러 떨어져 한데 모여 수집되고, 비닐이나 종이류 등의 저비중물은 스크린을 따라 이동한 후 말단에서 낙하하여 한데 모여진다.
상기 스크린 컨베이어(60)의 하부에는 스크린(61)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70)이 다수 형성된다. 에어 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순간 분사하는 펄스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스크린(61)을 따라 이송하는 저비중물은 에어가 분사될 때마다 뒤집어지며 저비중물에 얹혀진 협잡물을 분리한다. 이때, 분리되는 협잡물은 스크린(61)을 관통하여 하부로 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폐기물이 공급되는 이송 컨베이어를 투입구의 상부에 설치하고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폐기물이 투입구(1)로 공급되도록 한다. 투입구(1)로 공급되는 폐기물은 페트병, 유리병, 캔, 금속류, 비닐, 종이, 모래, 흙, 먼지, 유리가루 등 각종 물질이 공급된다.
투입구(1)로 공급된 폐기물은 회전하는 메인드럼(10)과 상부 보조드럼(20)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면서 하부로 내려간다. 여기서, 메인드럼(10)은 저 RPM으로 회전하고, 상부 보조드럼(20)은 중 RPM으로 회전하며, 하부 보조드럼(30)은 고 RPM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각 드럼(10)(20)(30)에 구비된 날개(11)(21)(31)에 의해 주변으로 바람이 발생하고, 메인드럼(10)과 상부 보조드럼(20) 및 하부 보조드럼(30) 사이의 공간에 와류가 극대화되며 발생하는 와류 구간(90)이 형성된다.
이 와류 구간(90)에 위치한 폐기물은 와류에 의해 소정 시간 정체현상이 발생하면서 메인드럼(10)과 상부 보조드럼(20) 및 하부 보조드럼(30)의 타격에 의해 폐기물에 달라붙은 협잡물이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드럼(10)은 저 RPM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날개(11)에 접촉되는 폐기물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고, 중 RPM으로 회전하는 상부 보조드럼(20)의 날개(21)는 폐기물을 강제 찍어 누르며 타격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폐기물을 타격한다. 이 과정에서 마대나 봉지 등은 완전히 뒤집혀 파봉되고 외부는 물론 내부에 달라붙은 협잡물까지 모두 털리면서 분리된다. 그리고 구획판(12)(22)(32)의 둘레로 돌출된 돌부(13)(23)(33)는 날(N)이 형성되어 파봉된 마대나 봉지 등의 폐기물을 한번 더 절단한다.
상기 하부 보조드럼(30)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와류 구간(90)이 반복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은 골고루 뒤집히게 되며 달라붙은 협잡물은 효과적으로 털리며 분리된다.
특히, 끈 형태의 폐기물은 메인드럼(10)에 감기려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메인드럼(10)의 날개에 밀착된 상태로 딸려가며, 날개(11)에 구비된 회전 커터(50)와 투입구(1)의 내벽에 설치된 고정 커터(40)에 의해 절단된다. 즉, 회전 커터(50)가 고정 커터(40)와 근접하는 순간 회전 커터(50)에 감겨 있던 끈 형태의 폐기물은 절단되어 메인드럼(10)에 감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협잡물이 분리된 폐기물은 메인드럼(10)이 끌어 내림으로서 투입구(1)의 하부로 낙하되고, 이와 함께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협잡물 또한 투입구(1)의 하부로 낙하한다.
낙하한 폐기물은 투입구(1)의 하부에 구비된 스크린 컨베이어(60)로 떨어지는데, 스크린 컨베이어(60)가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페트병, 유리병, 캔, 금속류 등의 고비중물 및 중비중물은 자체 하중에 의해 스크린 컨베이어(60)의 낮은 쪽으로 굴러 떨어져 한데 모이게 되고, 비닐이나 종이 등의 저비중물은 스크린(61)에 얹혀져 스크린을 따라 이송한다. 한편, 입자가 작은 모래, 흙, 먼지, 유리가루 등의 협작물은 스크린(61)의 눈을 관통하여 스크린 컨베이어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61)을 따라 이송하는 비닐이나 종이 등의 저비중물은 스크린(61)의 하부에 설치된 분사 노즐(70)에서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순간 분사하는 펄스 형태의 에어에 의해 부상하여 뒤집히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저비중물 위로 얹혀졌던 협잡물은 반복되는 뒤집힘에 의해 한 번 더 분리되어 스크린(61)의 눈을 관통하고 하부로 낙하한다. 따라서 저비중물은 먼지 없이 깨끗한 상태로 수거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3종류의 형태인 고비중물, 저비중물, 협잡물로 선별되며, 협잡물이 효과적으로 제거 및 분리된 상태로 선별되는 효과가 있다.
1 : 투입구 10 : 메인드럼 11, 21, 31 : 날개
12, 22, 32 : 구획판 13, 23, 33 : 돌부 20 : 상부 보조드럼
30 : 하부 보조드럼 34 : 구멍 40 : 고정 커터
41 : 돌기 42 : 장공 43 : 베이스
44 : 슬라이드 홈 45 : 볼트공 46 : 조임 볼트
50 : 회전 커터 60 : 스크린 컨베이어 61 : 스크린
70 : 에어 노즐 B : 볼트 N : 날
R : 라운드 100 : 선별기

Claims (6)

  1. 축 방향과 나란한 방사형의 날개(11)(21)(31)가 구비되어 바람을 일으키는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을 구비하되,
    메인드럼(10)은 투입구(1)의 일측에, 상부 보조드럼(20)은 투입구(1)의 타측에, 하부 보조드럼(30)은 상부 보조드럼(20)의 하부에 구비하고,
    메인드럼(10)과 하부 보조드럼(30)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부 보조드럼(2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 사이에 와류가 극대화되도록 형성하며,
    투입구(1)의 하부에 망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컨베이어(60)가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조드럼(30)은 메인드럼(10) 방향으로 수평 왕복 이송하도록 하여 와류 구역이 일정한 구간 내에서 계속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컨베이어(60)의 하부 에어 노즐(70)을 다수 구비하여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순간 분사하는 펄스 형태의 에어가 상부로 배출되어 스크린을 타고 이송하는 저비중물이 계속 뒤집어지면서 이동함으로써 협잡물이 한 번 더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조드럼(30)의 날개(31)는 다수의 구멍(34)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의 내벽에는 고정 커터(40)를 설치하고, 메인드럼(10)의 날개(11)에는 고정 커터(40)와 긴밀하게 근접하는 회전 커터(50)가 설치되어 메인드럼(10)에 끈이 말리려 하면 절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10), 상부 보조드럼(20), 하부 보조드럼(30)은 측 방향으로 다수의 구획판(12)(22)(32)을 형성하고, 각 구획판(12)(22)(32)은 둘레에 사다리꼴 모양의 돌부(13)(23)(33)를 다수 형성하며, 돌부(13)(23)(33)의 모서리를 라운드(R) 처리하되, 말단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날(N)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KR1020190017033A 2019-02-14 2019-02-14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KR10201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3A KR102012279B1 (ko) 2019-02-14 2019-02-14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PCT/KR2020/001191 WO2020166847A1 (ko) 2019-02-14 2020-01-23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US17/418,708 US11478824B2 (en) 2019-02-14 2020-01-23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JP2020021570A JP6780885B2 (ja) 2019-02-14 2020-02-12 渦流による夾雑物分離機能を有する比重別廃棄物選別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3A KR102012279B1 (ko) 2019-02-14 2019-02-14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279B1 true KR102012279B1 (ko) 2019-08-21

Family

ID=6780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33A KR102012279B1 (ko) 2019-02-14 2019-02-14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8824B2 (ko)
JP (1) JP6780885B2 (ko)
KR (1) KR102012279B1 (ko)
WO (1) WO20201668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47A1 (ko) * 2019-02-14 2020-08-20 (주)다원산업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KR102596916B1 (ko) * 2023-07-24 2023-11-01 (주)다원산업 에어펄스와 타격을 이용하여 폐기물에 붙은 협잡물을 분리 및 제거하는 선별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3263B (zh) * 2023-05-04 2023-07-14 泸州聚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氯化钡制粉用的筛分提纯装置
CN117696439B (zh) * 2024-02-03 2024-04-05 烟台腾润新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锡粉中混合物的专门处理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926A (ja) * 1993-06-07 1994-12-20 Satoshi Hirano 分離装置
KR100506029B1 (ko) 2005-01-21 2005-08-03 주식회사 오성개발 정역회전이 가능한 이물질선별용 원심분리기
KR100747655B1 (ko) 2006-04-25 2007-08-08 서흥인테크(주)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JP2010207697A (ja) * 2009-03-09 2010-09-24 Metawater Co Ltd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10130557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방수시일 공급장치
KR101459345B1 (ko) 2013-07-25 2014-11-07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비중 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습식 선별장치
KR101878387B1 (ko) * 2018-03-13 2018-07-13 전종호 선별력이 우수한 굼벵이 선별기
KR101883621B1 (ko) * 2018-04-06 2018-07-30 범현철 파봉기
KR101931687B1 (ko) 2018-01-31 2018-12-21 주식회사 에스제이코리아산업 폐기물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4335A (en) * 1988-11-30 1991-06-18 Lundell Vernon J Automatic sorter
JP3623717B2 (ja) 2000-05-23 2005-02-23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選別機
US20060180522A1 (en) * 2004-12-28 2006-08-17 Legtenberg Hermannus J M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lastic and paper waste
US8720698B2 (en) * 2012-07-18 2014-05-13 Roger J. Petitpas Seafood grading apparatus
CN108554806A (zh) * 2018-01-17 2018-09-21 深圳润丰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农业用间歇下料式谷物除杂干燥装置
KR102012279B1 (ko) 2019-02-14 2019-08-21 (주)다원산업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926A (ja) * 1993-06-07 1994-12-20 Satoshi Hirano 分離装置
KR100506029B1 (ko) 2005-01-21 2005-08-03 주식회사 오성개발 정역회전이 가능한 이물질선별용 원심분리기
KR100747655B1 (ko) 2006-04-25 2007-08-08 서흥인테크(주)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JP2010207697A (ja) * 2009-03-09 2010-09-24 Metawater Co Ltd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10130557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방수시일 공급장치
KR101459345B1 (ko) 2013-07-25 2014-11-07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비중 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습식 선별장치
KR101931687B1 (ko) 2018-01-31 2018-12-21 주식회사 에스제이코리아산업 폐기물 선별기
KR101878387B1 (ko) * 2018-03-13 2018-07-13 전종호 선별력이 우수한 굼벵이 선별기
KR101883621B1 (ko) * 2018-04-06 2018-07-30 범현철 파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47A1 (ko) * 2019-02-14 2020-08-20 (주)다원산업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US11478824B2 (en) 2019-02-14 2022-10-25 Dawon Industry Co., Ltd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KR102596916B1 (ko) * 2023-07-24 2023-11-01 (주)다원산업 에어펄스와 타격을 이용하여 폐기물에 붙은 협잡물을 분리 및 제거하는 선별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8824B2 (en) 2022-10-25
JP6780885B2 (ja) 2020-11-04
WO2020166847A1 (ko) 2020-08-20
JP2020131190A (ja) 2020-08-31
US20220080463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279B1 (ko) 와류에 의한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가지는 비중별 폐기물 선별기
US5638959A (en) Rotary materials separator
US5480034A (en) Screening machine
US59609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ed material
JP4272617B2 (ja)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KR102168757B1 (ko)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RU21623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US4509697A (en) Rotary drum screen for waste material and its method of operation
JPH11500058A (ja) 廃棄物、特に混合建設廃棄物を仕分け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2007098298A (ja) 廃棄物の粗選別装置
JP3611406B2 (ja) 振動風力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283263A (zh) 一种拉链原材料筛分机
KR100756341B1 (ko) 트롬멜장치
KR20060091851A (ko) 연마분리장치
JP3541204B2 (ja) 浚渫土砂処理方法
KR102672667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409732Y1 (ko) 트롬멜장치
KR20230042819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KR100461699B1 (ko) 소결광 입도선별용 스크린망 청소장치
JP2580488B2 (ja) 選別機
CN115999908A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矿石皮带输送机
TWI242474B (en) Device for puncturing garbage bags and sifting garbage
CN113385518B (zh) 一种废旧玻璃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