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900B1 -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900B1
KR102011900B1 KR1020110125432A KR20110125432A KR102011900B1 KR 102011900 B1 KR102011900 B1 KR 102011900B1 KR 1020110125432 A KR1020110125432 A KR 1020110125432A KR 20110125432 A KR20110125432 A KR 20110125432A KR 102011900 B1 KR102011900 B1 KR 102011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rod
quantum
rod pattern
light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223A (ko
Inventor
김경찬
채기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9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를 이루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퀀텀 로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과;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덮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면 장식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Decoration member applied to the external surface of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나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어 조명 위치에 따라 그 디자인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 가전제품의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에어컨디셔너 또는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의 외면에는 제품을 돋보이게 하고 장식을 위해 특정 형태의 디자인이 도입되고 있다.
즉, 제품을 사용자에게 조금 더 어필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및 외장제에 대한 고급적인 이미지와 디자인이 중시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가전제품 등에 도안되는 디자인은 일률적으로 최초 정해진 색상 및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거하는 집안 또는 실내의 주변 환경에 맞추어 이에 맞는 디자인을 갖는 가전제품을 구입한 후에는 상기 가전제품은 지속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색상을 갖는 디자인을 유지함으로써 일정시간이 흐른 뒤에는 사용자가 디자인에 싫증을 느끼거나 또는 주변 환경이 바뀌어 조화롭지 못한 경우도 제품의 최초 디자인의 형태 및 색상을 변경할 수 없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 위치 또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조명에 의해 그 형태 및 위치와 색상이 변경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는, 베이스를 이루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퀀텀 로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과;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덮는 보호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는 각 하나의 퀀텀 로드 패턴층 내부에서는 그 장축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는 서로 다른 퀀텀 로드 패턴층 간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편광 방향을 달리하는 빛에 반응하여 상기 각 퀀텀 로드 패턴층이 서로 다른 휘도를 가지며 형광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각 퀀텀 로드 패턴층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었다고 하는 것은, 라이트 소스로부터 나온 빛량의 세기를 I, 상기 베이스층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나란한 수평 성분만을 갖는 빛을 Ih, 상기 기준선에 대해 수직 성분만을 갖는 빛을 Iv라 하고, 수평 방향의 편광비 PRh 와 수직 방향의 편광비 PRv를 각각 PRh = Ih/(Ih+Iv), PRv = Iv/(Ih+Iv) 이라 정의할 때, 상기 수평 방향의 평광비 PRh 또는 수직 방향의 편광비 PRv가 0.5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에는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를 포함하여 발광 보조재가 구비되며, 상기 퀀텀 로드와 발광 보조재의 함량비는 100w% : 0w% 내지 50w% : 50w% 인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발광 보조재는 퀀텀 도트(quantum dot),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섞인 물질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퀀텀 로드는 코어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은 단축과 장축을 갖는 형태를 이루며 단축 대 장축의 비가 1:1.1 내지 1:30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퀀텀 로드는 그 형상이 구, 타원구, 다면체, 막대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이루며, 상기 쉘은 상기 단축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원, 타원,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쉘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쉘은 합금(alloy), 옥사이드 계열 또는 불순물이 도핑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코어는 주기율표 상의 Ⅱ-Ⅵ, Ⅲ-V, Ⅲ-Ⅵ, Ⅵ-Ⅳ, Ⅳ 족의 반도체, 합금 또는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퀀텀 로드의 코어는 Ⅱ-Ⅵ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CdSe, CdS, CdTe, ZnO, ZnSe, ZnS, ZnTe, HgSe, HgTe, CdZnS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며, Ⅲ-V 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InP, InN, GaN, InSb, InAsP, InGaAs, GaAs, GaP, GaSb, AlP, AlN, AlAs, AlSb, CdSeTe, ZnCdS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며, Ⅵ-Ⅳ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PbSe, PbTe, PbS, PbSnTe, Tl2SnTe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보호층은 UV코팅 처리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장식부재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편광 방향을 달리하여 조사되는 경우 그 색상과 형태 및 위치가 변경되는 장식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자유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는 편광 방향을 달리하는 빛을 조사함으로써 디자인의 색상과 형태 및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품의 이미지를 더욱 고급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퀀텀 로드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비교예로서 퀀텀 로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확대한 사진.
도 4는 퀀텀 로드가 전술한 다양한 배향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확대한 사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를 구비한 가전제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또는 전자기기의 표면 장식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에 구비되는 퀀텀 로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퀀텀 로드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퀀텀 로드(quantum rod)(156)는 중심을 이루는 코어(core)(157)와 상기 코어(157)를 감싸는 쉘(shell)(158)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퀀텀 로드(156)는 코어(157)와 이를 감싸는 쉘(158)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상기 쉘(158)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퀀텀 로드는 코어(157)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157)는 그 형상이 구, 타원구, 다면체, 막대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일례로 구 형태를 이루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코어(157)만으로 퀀텀 로드(156)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코어(157)는 타원구 또는 막대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퀀텀 로드(156)가 코어(157)와 상기 코어(157)를 감싸는 쉘(158)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어(157)는 구, 타원구, 다면체, 막대 형태 중 어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감싸는 상기 쉘(158)은 장축과 단축을 가는 막대(rod) 형태를 가지며, 상기 퀀텀 로드(156)의 단축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원, 타원,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쉘(158)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로 가질 수 있으며, 합금(alloy), 옥사이드 계열의 물질 또는 불순물이 도핑된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쉘(158)은 그 단축 대 장축의 비율이 1:1.1 내지 1:3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퀀텀 로드(156)의 한 구성요소인 코어(157)는 주기율 표의 Ⅱ-Ⅵ, Ⅲ-V, Ⅲ-Ⅳ-Ⅵ, Ⅳ-Ⅵ, Ⅳ 족의 반도체, 합금 혹은 그것의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퀀텀 로드(156)의 코어(157)가 주기율표의 Ⅱ-Ⅵ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CdSe, CdS, CdTe, ZnO, ZnSe, ZnS, ZnTe, HgSe, HgTe, CdZnSe, CdSeTe, ZnCdSe 중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퀀텀 로드(156)의 코어(157)가 주기율표의 Ⅲ-V 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InP, InN, GaN, InSb, InAsP, InGaAs, GaAs, GaP, GaSb, AlP, AlN, AlAs, AlSb 중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퀀텀 로드(156)의 코어(157)가 주기율표의 Ⅲ-Ⅳ-Ⅵ 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Tl2SnTe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Ⅳ-Ⅵ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PbSe, PbTe, PbS, PbSnTe 중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질과 1:1.1 내지 1:30의 범위의 장축 대 단축 비율을 갖는 퀀텀 로드(156)는 동일한 물질의 코어(157)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코어(157)의 크기에 따라 형광 파장이 달라지는 특징을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상기 코어(157)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짧은 파장의 형광을 내며, 상기 코어의 크기가 커질수록 긴 파장의 형광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퀀텀 로드는 코어(157)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 즉, 다양한 색상의 빛을 거의 다 형광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퀀텀 로드(156)는 자체 양자효율(quantum yield)이 이론상으로 100%가 되므로 매우 센 형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퀀텀 로드를 이용함으로써 조명의 위치를 바꾸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디자인이 구현되거나 또는 디자인의 색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의 사시도이다. 이때, 퀀텀 로드 패턴층은 실질적으로는 식물, 동물, 도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지만 편의를 위해 각각 사각형, 삼각형 및 반타원 형태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200)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필름,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진 베이스를 이루는 베이스층(210)과, 상기 베이스층(210)의 상면에 선택적인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220)과,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230)을 포함하고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층(210)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것이 특징이다. PET 재질의 필름으로 상기 베이스층(210)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베이스층(210)은 내스크래치성과 경도 향상을 위해 UV코팅 처리를 한 것이 바람직하다.
UV 코팅이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단시간에 경화되는 도료를 이용하여 피도물을 코팅하는 방법으로서, 내화학성, 내 부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UV코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층(210)의 내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필름 자체의 경도가 향상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층(210)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은 위치별로 서로 다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장식부재에 있어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은 각 형태별로 각 패턴 내에서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코어(도 1의 157) 크기를 갖는 퀀텀 로드(156)가 구비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코어(도 1의 157) 크기를 달리하는 퀀텀 로드(156)가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아가, 또 다른 특징적인 것으로 상기 각각의 퀀텀 로드 패턴층(220)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퀀텀 로드(156)는 그 장축이 동일한 일 방향으로 배열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서로 다른 퀀텀 로드 패턴층(220) 간에는 상기 퀀텀 로드(156) 장축의 정렬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156)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그 장축이 배열된 퀀텀 로드 패턴층(220)은 동일한 위치 또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이 조사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는 빛량이 동일한 수준이 되어 동일한 수준의 휘도를 가지며 형광됨으로써 동시에 디자인이 구현되며, 이러한 퀀텀 로드 패턴층(220)에 구비된 퀀텀 로드(156)의 배열방향을 달리하는 퀀텀 로드 패턴층(220)은 그 흡수량이 작으므로 형광 휘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디자인 구현이 되지 않거나 미약한 수준이 된다.
한편, 이렇게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 내에 다수의 퀀텀 로드(156)를 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배향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210) 상에 퀀텀 로드를 배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일례로 전압 인가법, 배향막을 이용한 배향법, 자기조립 단분자(self aligned monomer)를 이용한 정렬법, 리액티브 메조겐 물질을 이용한 배향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배향법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다양한 배향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로서 퀀텀 로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확대한 사진이며, 도 4는 퀀텀 로드가 전술한 다양한 배향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3의 경우 퀀텀 로드가 방향성 없이 배치된 것을 알 수 있지만, 배향법 일례로 전압 인가법, 배향막을 이용한 배향법, 자기조립 단분자(self aligned monomer)를 이용한 정렬법, 리액티브 메조겐 물질을 이용한 배향법을 이용하여 배향하는 경우, 도 4에 나타난 바와같이, 퀀텀 로드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잘 배열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퀀텀 로드(156)의 장축이 일방향으로 잘 배열된 정도 즉, 정열도 수준은 편광비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수평 또는 수직 편광된 빛을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이 구비되는 베이스층(210)을 향해 조사한 후 검광판(미도시)을 통과한 상태의 빛량을 측정함으로써 퀀텀 로드 패턴층(220) 내의 퀀텀 로드의 편광 정도를 알 수 있다.
라이트 소스(미도시)로부터 나온 빛량의 세기를 I, 상기 베이스 층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나란한 수평 성분만을 갖는 빛을 Ih, 상기 기준선에 대해 수직 성분만을 갖는 빛을 Iv라 정의 할 때, 통상적으로 퀀텀 로드(156)의 방향성을 부여하지 않았을 경우 즉, 배향법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의 편광비(polarization ratio) PR은,
PR = (Ih - Iv)/(Ih+Iv)로 정의된다.
이때, 퀀텀 로드 패턴층(220)이 배향법 진행에 의해 일방향 즉, 상기 기준선 대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편광비 PRh 및 PRv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Rh = Ih/(Ih+Iv),
PRv = Iv/(Ih+Iv)
따라서,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에 있어서 퀀텀 로드(156)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었다 하는 것은 수평 방향의 편광비 PRh 또는 수평 방향의 편광비 PRv가 0.5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것 즉, 0.5 < PRh 또는 PRv < 1 을 만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때, 상기 장식부재(200)에는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156)만으로 이루어진 퀀텀 로드 패턴층(220)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발광 보조재(미도시)가 더욱 구비되어 퀀텀 로드(156)와 발광 보조재(미도시)로 이루어진 퀀텀 로드 패턴층(2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광 보조재(미도시)는 퀀텀 도트(quantum dot),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섞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에 있어 상기 퀀텀 로드(156) 이외에 발광 보조재(미도시)가 더욱 구비되는 경우, 상기 퀀텀 로드(156)와 발광 보조재(미도시)의 함량비는 100w% : 0w% 내지 50w% : 50w%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광보조재(미도시)가 퀀텀 로드(156)보다 더 큰 함량비를 갖는 경우는, 특히 상기 발광보조재(미도시)가 퀀텀 도트인 경우가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발광 보조재(미도시)의 함량 비율이 상기 퀀텀 로드(210)의 함량 비율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퀀텀 로드(156)의 함량비와 같은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발광보조재(미도시)가 퀀텀 도트인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퀀텀 로드(156)와 발광보조재(미도시)의 함량비는 100w% : 0w% 내지 20w% : 80w% 가 되어 퀀텀 로드(156)의 함량비보다 발광보조재(미도시)의 함량비가 더 큰 경우도 될 수도 있다.
이는 퀀텀 도트 역시 퀀텀 로드(156)와 유사하게 그 코어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갖는 형광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퀀텀 도트는 방향성이 없는 등방성 물질이므로 편광된 빛에 관계없이 조사되는 빛량에 비례하여 형광을 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퀀텀 로드 패턴층(220) 내에 편광된 빛을 조사 시 부분적으로 휘도가 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동일한 휘도를 갖는 부분이 필요로 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휘도값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퀀텀 로드(156)의 함량비보다 큰 함량비를 갖는 퀀텀 도트가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퀀텀 로드 패턴층(220) 상부에는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220)의 보호를 위해 보호층(230)이 구비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보호층(230)은 PVC수지 또는 PET수지가 도포되어 경화된 형태를 이루며, 내 스크래치성 향상으로 위해 UV코팅 처리가 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200)를 가전제품의 외면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재단하여 부착함으로써 수려한 디자인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를 구비한 가전제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가전제품으로서 냉장고를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세탁기, 에어컨디셔너, 식기 세척기 이외에 다른 가전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200)는 퀀텀 로드 패턴층(220) 내에 구비되는 퀀텀 로드(156)의 장축의 방향과 퀀텀 로드 코어(도 1의 157)의 크기 차이로 인해 외부조명(또는 내장 조명)(300)을 통해 편광 방향을 달리하는 빛을 조사하는 경우, 빛의 흡수율을 달리함으로써 형광되는 휘도 차이에 의해 구현되는 디자인 형태 및 색상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외부조명(300)을 편광 방향을 달리하여 즉, 제 1 편광 상태를 갖는 빛 일례로 제 1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을 투과한 빛을 조사하는 경우, 상기 제 1 편광축과 수직하게 장축이 배열된 퀀텀 로드 패턴층(220a)의 흡수도가 가장 크므로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방향의 편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퀀텀 로드의 장축이 배열된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220a)(일례로 꽃 무늬 패턴)이 표시되고, 상기 제 1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과 평행하게 퀀텀 로드(156)의 장축이 배치된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220b)(일례로 한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인 '뽀로로'와 '크롱')은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편광 상태와 수직한 제 2 편광 상태를 갖는 빛 일례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을 투과한 빛을 조사하는 경우, 상기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220a)은 거의 표시되지 않고,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220b)만이 표시된다.
이때, 각 퀀텀 로드 패턴층(220)에 있어서, 퀀텀 로드(156)의 코어(도 1의 157) 크기를 달리하는 경우, 형광되는 파장대가 다르므로 상기 제 1 편광 상태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상기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220a) 내의 꽃잎과 잎사귀의 색깔이 달리 표현될 수 있으며, 제 2 편광 상태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도 각 캐릭터가 풀 컬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도 2의 200)는 퀀텀 로드 패턴층(220)을 하나의 그림으로 나타냈을 경우, 각 그림을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퀀텀 로드(156)의 배열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하게 되면, 외부 조명을 점진적으로 편광 방향이 변하도록 하여 조사하는 경우, 상기 그림이 움직이도록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부재(도 2의 200)가 부착된 가전제품(310)에 대해 외부조명을 조사한 것을 일례로 나타내었지만, 상기 가전제품(310)이 그 테두리를 따라 서로 다른 편광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별도의 내장 조명기구(미도시) 일례로 편광 반향을 다른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 칩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전제품에는 별도의 외부 조명기구 없이 다양하게 변경되는 풀 컬러의 수려한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장식부재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편광 방향을 달리하여 조사되는 경우, 그 색상과 형태 및 위치가 변경되는 장식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자유도를 갖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편광 방향을 달리하는 빛을 조사함으로써 디자인의 색상과 형태 및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품의 이미지를 더욱 고급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56 : 퀀텀 로드
200 : 장식부재
210 : 베이스층
220 : 퀀텀 로드 패턴층
230 : 보호층

Claims (12)

  1. 베이스를 이루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퀀텀 로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과;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 패턴층을 덮는 보호층
    을 포함하며,
    상기 퀀텀 로드 패턴층은 풀컬러의 제 1 형상을 구현하는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과, 상기 제 1 형상과 상이한 풀컬러의 제 2 형상을 구현하는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으로 제 1 편광 상태의 빛이 조사되면 상기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은 제 1 휘도의 상기 제 1 형상을 구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은 상기 제 1 휘도에 비해 낮은 제 2 휘도의 상기 제 2 형상을 구현하게 되며,
    상기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으로 제 2 편광 상태의 빛이 조사되면 상기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은 제 1 휘도의 상기 제 2 형상을 구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퀀텀 로드 패턴층은 상기 제 1 휘도에 비해 낮은 제 2 휘도의 상기 제 1 형상을 구현하게 되는 표면 장식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는 상기 각 제 1 및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 내부에서는 그 장축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에는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편광 방향을 달리하는 빛에 반응하는 다수의 퀀텀 로드가 상기 제 1 및 제 2 형상에 따라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은 서로 다른 휘도를 가지며 형광되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었다고 하는 것은,
    라이트 소스로부터 나온 빛량의 세기를 I, 상기 베이스층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나란한 수평 성분만을 갖는 빛을 Ih, 상기 기준선에 대해 수직 성분만을 갖는 빛을 Iv라 하고, 수평 방향의 편광비 PRh 와 수직 방향의 편광비 PRv를 각각 PRh = Ih/(Ih+Iv), PRv = Iv/(Ih+Iv) 이라 정의할 때, 상기 수평 방향의 평광비 PRh 또는 수직 방향의 편광비 PRv가 0.5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퀀텀 로드 패턴층에는 상기 다수의 퀀텀 로드를 포함하여 발광 보조재가 구비되며, 상기 퀀텀 로드와 상기 발광 보조재의 함량비는 100w% : 0w% 내지 50w% : 50w% 인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보조재는 퀀텀 도트(quantum dot),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섞인 물질인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퀀텀 로드는 코어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은 단축과 장축을 갖는 형태를 이루며 단축 대 장축의 비가 1:1.1 내지 1:30인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퀀텀 로드는 그 형상이 구, 타원구, 다면체, 막대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이루며,
    상기 쉘은 상기 단축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원, 타원,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합금(alloy), 옥사이드 계열 또는 불순물이 도핑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주기율표 상의 Ⅱ-Ⅵ, Ⅲ-V, Ⅲ-Ⅳ-Ⅵ, Ⅳ-Ⅵ, Ⅳ 족의 반도체, 합금 또는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보호층은 UV코팅 처리된 것이 특징인 표면 장식부재.
KR1020110125432A 2011-11-28 2011-11-28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KR102011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32A KR102011900B1 (ko) 2011-11-28 2011-11-28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32A KR102011900B1 (ko) 2011-11-28 2011-11-28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223A KR20130059223A (ko) 2013-06-05
KR102011900B1 true KR102011900B1 (ko) 2019-08-20

Family

ID=4885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432A KR102011900B1 (ko) 2011-11-28 2011-11-28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5066A (ja) * 2001-05-18 2004-11-18 プレジデント・アンド・フェロウズ・オブ・ハーバード・カレッジ ナノスケールワイヤ及び関連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5395B2 (en) * 2004-09-16 2008-04-29 Nanosys, Inc. Artificial dielectrics using nanostructures
KR20070107498A (ko) * 2006-05-03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편광기를 사용하는 자발광형 액정표시장치
GB0720550D0 (en) * 2007-10-19 2007-11-28 Rue De Int Ltd Photonic crystal security device multiple optical eff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5066A (ja) * 2001-05-18 2004-11-18 プレジデント・アンド・フェロウズ・オブ・ハーバード・カレッジ ナノスケールワイヤ及び関連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223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8098A1 (zh) 一种辐射降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761250B2 (en) Photo-luminescent visual elements, systems and methods
KR102098682B1 (ko) 양자 도트 필름들, 조명 디바이스들, 및 조명 방법들
WO2016208683A1 (ja) 白色光源システム
CN101943851B (zh) 屏幕以及投影系统
DE112009003123B4 (de) Organische leuchtdiode und beleuchtungsmittel
US20150023023A1 (en) Lighting systems with heat extracting light emitting elements
US20150236221A1 (en) Gauusian surface lens quantum photon converter and methods of controlling led colour and intensity
CN103370803A (zh) 光照设备
TW200908386A (en) Illumination system
CN107407467A (zh) 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CN105579763A (zh) 自冷却光源
CN110346860B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颜色再现性的改善方法
CN107637174A (zh) 发光膜
CN110100500B (zh) 具有电可调节偏振状态的多模式偏振射灯
KR20240006090A (ko) 나노구조체 기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WO2013132381A1 (en) Light emitting arrangement
KR102011900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CN201933842U (zh) 一种含镀铝层的隔热保温布
KR20140110678A (ko) 색 개선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4681698A (zh) 一种装饰用led封装结构
EP2959218A1 (en) Lighting device
CN207665613U (zh) 用于温室的覆盖构件以及具有该覆盖构件的温室
KR101804072B1 (ko) 가전제품의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파장 변환 필름
KR200321798Y1 (ko) 파장 변환 필름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