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71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71B1
KR102011771B1 KR1020130000702A KR20130000702A KR102011771B1 KR 102011771 B1 KR102011771 B1 KR 102011771B1 KR 1020130000702 A KR1020130000702 A KR 1020130000702A KR 20130000702 A KR20130000702 A KR 20130000702A KR 102011771 B1 KR102011771 B1 KR 10201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ode
indicat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772A (ko
Inventor
이호영
김규철
박홍식
정유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태블릿 등)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전자 기기의 각종 동작 상태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확인하면서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핸드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개인용 네비게이션 기기,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는 그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상하좌우 이동을 조작받기 위한 사방향 버튼 등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즉,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널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효과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동작 상태를 알리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를 구비하여, 효과음을 대신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명 '햅틱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입력 등에 대응한 피드백으로서, 진동 효과를 발생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햅틱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2009-131263호(명칭: 휴대 단말의 진동 발생 방법 및 장치, 발명자: 이은화 외1명, 출원일: 2009년12월24일) 또는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2010-114478호(명칭: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발명자: 임기홍 외2명, 출원일: 2010년11월17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진동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 방식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주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상황이나 사용자 기호에 따른, 진동 발생 강도나 패턴, 진동 발생 조건 등을 세분화하는 것에 초점을 가지고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주도록 하기 위한, 진동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기능과 관련하여 시각적으로도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은 사용자의 동작 설정 환경에서, 오디오 출력 대신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드로 전환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은 사용자의 동작 설정 환경에서, 진동 패턴 선택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기능과 관련된 동작은 진동 발생 동작 자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각적 표현물은 화면상의 미리 설정된 항목이나 아이콘 또는 화면 전체가 흔들리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각적 표현물은 통화 상태나 오디오/비디오 매체 재생시 오디오 출력의 볼륨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볼륨 표시 스케일에 위치된 지시자가 흔들리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각적 표현물은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키 항목이 흔들리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은 진동 기능과 관련하여 시각적으로도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특히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의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동작 수행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서, 진동 효과에 대한 시각적 표현물의 예시도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명칭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어부(10), 표시부(11), 조작부(12), 저장부(13), 이동통신부(14), 음성입출력부(15), 진동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1)는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해당 휴대 단말기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각종 동작 상태나, 메뉴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스크린 구조와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2)는 상기 표시부(11)와 연계된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터치 또는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통해 터치, 드래그, 플릭, 멀티 터치 등 각종 터치스크린 조작을 입력받으며, 또한 키패드나 해당 장치의 외관 하우징 등에 기구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동작 조작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조작부(12)에 기구적으로 구비되는 동작 조작을 위한 버튼의 예로써,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조절키(122)가 도시되고 있다.
이동통신부(14)는 이동 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데, 안테나와,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음성입출력부(15)는 스피커, 마이크 및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코덱(codec), 등을 구비하여, 이동 통신 기능에 따른 전화 통화 수행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가청음을 출력하며, 또한 각종 동작에 대응되는 처리음이나, 각종 디지털 오디오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진동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기계적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진동 모터는 해당 장치의 여러 부위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13)는 다양한 컨텐츠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 컨텐츠와, 동작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저장부(13)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진동 동작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프로그램이 추가로 더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조작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는 진동 동작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에 진동 효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들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에는 충전용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부나, GPS부, 해당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모션센서 등과 같이 통상적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능부들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거나,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위 '벨 모드'와 같이 오디오 출력을 발생하는 대신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드'로 전환시나, 또는 실제로 진동 발생을 통해 착신을 알릴 경우나, 또는 햅틱 기능과 같이 터치 입력시에 진동 발생시와 같은 경우에, 진동 발생과 더불어 (또는 진동을 발생하지 않고서도), 예를 들어, 화면상 특정 아이콘 또는 특정 항목, 또는 전체 화면 자체가 마치 떨림 동작을 하는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으로서,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 발생시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도 2b에서는 진동 기능과 관련한 동작으로서,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 발생시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202단계에서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면, 이후 204단계로 진행한다. 이러한 202단계에서,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는 별도의 메뉴 환경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진동 모드로 메뉴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는 해당 장치의 하우징 외부에 마련되는 볼륨 조절키(122)의 미리 설정된 조작에 의해 발행할 수도 있다. 볼륨 조절키(122)는 볼륨 업/다운을 조작하기 위한 상향 버튼 및 하향 버튼의 조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a에서 A부분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륨 조절키(122)의 입력에 따라, 각종 동작 환경의 볼륨 레벨을 업/다운 조절하면서, 현재 볼륨 레벨을 막대 형태의 볼륨 표시 스케일에 적절한 형태(도 3a에서는 원형)의 지시자(122)의 위치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 장치의 진동 모드 전환 조작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조절키(122)를 통해 통화 상태나 각종 오디오/비디오 매체 재생시 오디오 출력 등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일명'Media' 항목의 볼륨을 최저 볼륨(즉, 0 레벨의 무음)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최저 볼륨 상태에서 추가적인 하향 버튼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02단계에서는 진동 모드 전환 조작에 따라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후, 204단계에서는 진동 모드 진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이러한 표현물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진동도 발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이러한 진동 효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현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이러한 표현물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륨 표시 스케일에 위치된 지시자(122)가 볼륨 표시 스케일에서 0 레벨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수 회 되튐(bounce) 형태를 보이다가 정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지시자(122)의 되튐 정도는 도 4a의 (a), (b), (c), (d), (e)에서 순차적으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점차 줄어들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a에서 화살표의 궤적 및 방향은 지시자(122)가 볼륨 표시 스케일에서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내며, 각각의 화살표에서 굵기는 해당 위치에서의 지시자(122) 속력에 해당한다. 즉, 지시자(122)는 0 레벨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울수록 빠른 속력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마치 0 레벨 위치를 향하여 자유낙하와 유사한 속력 및 궤적을 보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04단계에서는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표현물은 이외에도 도 4b에 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지시자(112)를 상하, 죄우 방향 등으로 다수 회 빠르게 움직이도록 하여 마치 진동하는 듯한 형태를 보이도록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04단계에서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표현물을 디스플레이 한 이후, 206단계에서는 진동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동작을 살펴보면, 진동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진동자(112)를 다수 회 되팀시키거나, 또는 떨리는(또는, 흔들리는) 형태와 같이 시각적으로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시에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게 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2a에 도시된 동작을 통해 진동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미리 설정된 다수의 진동 패턴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212단계에서는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면, 이후 214단계로 진행한다. 이러한 212단계에서, 진동 모드 패턴 선택 이벤트는 별도의 메뉴 환경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진동 패턴 선택 메뉴 항목을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과정을 거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는 볼륨 조절키(122)를 조작하여, 진동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볼륨 조절키(122)의 하향 버튼을 더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진동 패턴 선택 조작은 진동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볼륨 조절키(122)의 하향 버튼을 비교적 길게(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누르거나, 짧게 연속으로 세번 누르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이에 따른 진동 패턴은 진동이 비교적 길게 발생하거나, 짧게 연속적으로 세번 진동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204단계에서는 발생된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에 따라 진동 패턴을 변경하여, 추후 진동 발생시에 해당 변경된 진동 패턴으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214단계에서는, 진동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각적 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더불어 선택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진동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각적 표현물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유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지시자(112)가 비교적 긴 시간 떨리는 형태를 나타내거나, 비교적 짧은 시간 세 번 떨리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들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방식으로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진동 효과를 시각적인 표시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과 같은 문자 입력 환경에서, 문자 입력 화면(110)의 터치스크린 화면상 다수의 숫자 또는 문자에 대응되는 다수의 터치 입력키 항목 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키 항목(114)(예를 들어, 도 5a의 A부분에 나타낸'#' 터치 입력키 항목)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길게 입력되는 것에 의해 조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키 항목을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해 소위 '무음 모드(또는 에티켓 모드)'로 진행할 수 있으며, 현재 무음 모드를 해제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화면(110) 전체를 상하, 좌우 방향 등으로 다수 회 빠르게 움직이도록 하여 마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전체가 진동하는 듯한 형태를 보이도록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화면 전체가 진동하는 듯한 형태를 보이는 표시물 외에도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 터치 입력키 항목을 상하, 좌우 방향 등으로 다수 회 빠르게 움직이도록 하여 마치 진동하는 듯한 형태를 보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진동 기능과 관련한 이벤트로서, 진동 모드 전환 이벤트나, 진동 패턴 선택 이벤트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진동을 발생시키는 어떠한 동작에서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착신 알림을 진동 발생으로 알리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착신 확인이 될 경우에, 진동 발생과 더불어, 전체 화면을 떨리는 것처럼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아이콘이나, 캐릭터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를 떨리는 것처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로서, 화면 전체나, 볼륨 표시 스케일에 위치하는 지시자, 또는 특정한 터치 입력키 항목 등을 떨리게 표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별도의 아이콘이나 별도의 항목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를 움직이거나, 떨리게 표현하는 것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진동 효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을 디스플레이할 경우에, 이와 더불어, 기계적인 진동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기계적인 진동을 병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시각적 표현물만을 단독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칩, 장치 또는 집적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3D TV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10)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중 제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1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자는 제1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지시자에 대한 시각적인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로 이동되어 표시되고,
    상기 시각적인 진동 효과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제공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동작 설정 환경에서, 오디오 출력 대신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동작 설정 환경에서, 상기 진동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진동하는 패턴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자에 대한 상기 시각적인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동작 모드가 전환될 때, 상기 제2 아이콘 또는 상기 제1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자에 대한 상기 시각적인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지시자를,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운드가 0 레벨임을 지시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복수 회 되튐(bounce) 형태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삭제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10. 제9항의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00702A 2013-01-03 2013-01-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02A KR102011771B1 (ko) 2013-01-03 2013-01-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02A KR102011771B1 (ko) 2013-01-03 2013-01-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2A KR20140088772A (ko) 2014-07-11
KR102011771B1 true KR102011771B1 (ko) 2019-10-21

Family

ID=5173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02A KR102011771B1 (ko) 2013-01-03 2013-01-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3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97A (ko) * 2005-05-04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자정보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3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2A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KR101550520B1 (ko)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커스텀 진동 패턴의 생성
JP60653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9074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US84621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ifting haptic feedback function between passive and active modes
US20080214160A1 (en) Motion-controlled audio output
EP25889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ple display mode
JPWO2013186847A1 (ja) 駆動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制御プログラム
EP27438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screen of display device
WO2015199229A1 (ja) 携帯通信端末、記録媒体および着呼制御方法
CN103631375A (zh) 根据电子设备中的情形感知控制振动强度的方法和设备
KR20110076283A (ko) 사용자 입력 패턴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JP5950546B2 (ja) 携帯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68207A (ja) 携帯端末
KR10201177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6041580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141491B2 (ja) 携帯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3433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