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97B1 -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97B1
KR102011297B1 KR1020170133151A KR20170133151A KR102011297B1 KR 102011297 B1 KR102011297 B1 KR 102011297B1 KR 1020170133151 A KR1020170133151 A KR 1020170133151A KR 20170133151 A KR20170133151 A KR 20170133151A KR 102011297 B1 KR102011297 B1 KR 10201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metal sheet
strap
upright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57A (ko
Inventor
김광재
Original Assignee
(주)글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록스 filed Critical (주)글록스
Priority to KR102017013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립부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인 스트랩 몸체 ;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호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직립부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키는 호형 금속 박판 ;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직립시킨 상태로 상기 제1고리부재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거나,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REACH EXTENDABLE STRAP}
본 발명은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부를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직접 매달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사물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로프(rope)나 스트랩(strap) 등이 널리 사용된다. 로프는 섬유 또는 강선을 여러 가닥 꼬아 만든 튼튼한 줄이며, 스트랩은 가죽 또는 직물 소재의 납작한 끈이다.
이 중 스트랩은 주로 승용차의 지붕이나 화물차의 적재함에 놓인 사물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스트랩은 질긴 가죽이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나일론으로 제작되며, 스트랩의 대표적인 예로서 나일론을 납작하게 짠 웨빙 스트랩(webbing strap)을 들 수 있다.
웨빙 스트랩은 넓은 폭을 갖는 형태이며, 동일한 단면적의 로프보다 인장강도가 훨씬 우수하다. 그리고 당기는 힘이 가해져도 길이가 늘어나지 않는 정적인 특성을 갖는다.
웨빙 스트랩은 인장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쉽게 늘어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시트벨트(seat belt)나 화물차의 화물 고정용 장치에 널리 적용된다. 아울러 가방의 어깨끈이나 텐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스트랩은 매우 유연하므로 스트랩의 단부를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매달기 위해서는 스트랩의 단부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붙잡고 있어야 한다.
만약, 스트랩을 매달고자 하는 대상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스트랩을 붙잡을 수 있도록 하는 막대 등의 도구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서, 승용차의 지붕에 자전거나 서핑보드와 같은 레저 장비를 거치하고 스트랩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승용차의 지붕에 거치된 자전거에는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차문을 열고 차체를 밟고 올라서는 등 위험한 방법으로 스트랩의 단부를 자전거에 매달아야 한다. 또한, 스트랩을 해체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은 위험한 방법을 피하기 위해서는 막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도구를 이용하게 되면 도구를 항상 소지해야 하므로 이 또한 불편함이 가중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719호 "텐셔너 일체형 스트랩핑 장치" (2014. 6. 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트랩의 단부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기 위하여 도구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대상에 직접 접근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트랩의 사용시 스트랩을 직립시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시켜 스트랩의 단부를 손쉽게 매달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 스트랩을 나선형으로 말아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과 보관의 용이함을 모두 만족하는 스트랩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립부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인 스트랩 몸체 ;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호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직립부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키는 호형 금속 박판 ;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물 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직물 띠는 적어도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에 위치된 제1접힘부와 상기 제1접힘부와 상기 직물 띠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2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립부는 상기 직물 띠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1접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후 상기 직물 띠가 겹쳐진 부위이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직물 띠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1접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후 상기 직물 띠가 겹쳐지지 않은 부위이며, 상기 직립부에는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금속 박판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접힘부 외측에 위치된 상기 직물 띠의 일단부는 상기 직물 띠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접힌 후 상기 금속 박판 삽입구에 위치되는 이탈 방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직립부의 접힌 단부가 폭방향으로 봉제되어 상기 제1고리부재가 결합되는 고리부재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직립시킨 상태로 상기 제1고리부재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거나,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립부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인 스트랩 몸체 ;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호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직립부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키는 호형 금속 박판 ;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내부에 상기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형태의 직물 슬리브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직립부는 상기 호형 금속 박판을 상기 직물 슬리브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직물 슬리브의 일단부와 중앙부를 봉제하여 제작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직물 슬리브의 타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상기 제1고리부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슬리브의 일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접힌 부위를 폭방향으로 봉제한 고리부재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직립시킨 상태로 상기 제1고리부재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거나,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몸체의 유동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고리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스트랩을 직립시켜 스트랩 몸체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를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대상에 손쉽게 매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매우 높다.
아울러 종래의 스트랩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도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호형 금속 박판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보관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호형 금속 박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스트랩 몸체(100), 호형 금속 박판(200), 제1,2고리부재(300,400), 길이 조절부재(500), 스트랩 정리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스트랩 몸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트랩 몸체(100)는 직물 소재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직립부(E)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F)이다. 스트랩 몸체(100)는 종래의 웨빙 스트랩(webbing strap)과 마찬가지로 나일론으로 제작된다.
스트랩 몸체(100)의 직립부(E)에 형성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에는 호형 금속 박판(200)이 삽입된다. 호형 금속 박판(200)은 호(arc)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으로서, 호 형태의 단면으로 인하여 길이방향으로 펼쳐지는 탄력을 가진다.
호형 금속 박판(200)은 금속 박판임에도 불구하고 탄력에 의하여 직선 형태가 유지되며, 사용자가 양 단부를 잡고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굴곡된다. 그리고 외력을 제거하면 호형 금속 박판(200)은 탄력에 의하여 형태가 복원된다.
호형 금속 박판(200)은 스트랩 몸체(100)의 직립부(E)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에 삽입되어 직립부(E)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킨다. 호형 금속 박판(200)은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직립부(E)와 함께 굴곡되므로, 사용자가 직립부(E)를 나선형으로 말아서 수납 가능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물론 외력이 제거되면 스트랩 몸체(100)의 직립부(E)는 다시 탄력적으로 펼쳐지며 형태가 복원된다.
스트랩 몸체(100)의 직립부(E)에는 제1고리부재(300)가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립부(E)의 단부에 제1고리부재(300)가 결합된다. 제1고리부재(300)는 직립부(E)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 몸체(310)와 체결하고자 하는 대상에 매달기 위한 제1갈고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갈고리 형태의 제1고리부재(300)는 일례일 뿐이며, 실시례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고리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1고리부재(300)는 스트랩 몸체(100)의 고리부재 결합부(120)에 결합된다. 스트랩 몸체(100)의 고리부재 결합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스트랩 몸체(100)의 제작 방법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는 형태가 자유롭게 유동되는 부위이며 유동부(F)를 직접 체결 대상에 묶어서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유동부(F)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고리부재(400)가 더 마련된다.
제2고리부재(400)는 제1고리부재(300)와 동일한 형태로서,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가 삽입되는 제2고리 몸체(410)와 체결하고자 하는 대상에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제2갈고리(420)로 이루어진다.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를 제2고리부재(400)의 제2고리 몸체(410)에 통과시킨 후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접어서 길이 조절부재(500)를 이용하여 겹쳐진 부위를 고정한다.
이후 스트랩 몸체(100)에 마련되는 스트랩 정리부재(600)를 이용하여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를 풀어지지 않도록 정리한다.
길이 조절부재(500)와 스트랩 정리부재(600)는 가방의 어깨끈에 마련되어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하고 단부를 갈무리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 및 사용 형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랩 몸체(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스트랩 몸체(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직물 띠(100a)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도 4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직물 띠(100a)를 마련한다. 직물 띠(100a)는 적어도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에 위치하는 제1접힘부(L1)와, 제1접힘부(L1)와 직물 띠(100a)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힘부(L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2접힘부(L1,L2)는 도 4에 보조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직물 띠(100a)를 제1고리부재(300)의 제1고리 몸체(310)에 삽입한 상태로 직물 띠(100a)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제1접힘부(L1)를 길이방향으로 접는다. 직물 띠(100a)의 제1접힘부(L1)는 고리부재 결합부(120)를 형성하게 되며, 고리부재 결합부(120)가 제1고리 몸체(310)를 감싸도록 접힌 단부를 폭방향으로 봉제한다. 고리부재 결합부(120)의 봉제된 부위는 도 4에 도면부호 a1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봉제된 위치 및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띠(100a)를 제1접힘부(L1)를 기준으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접으면, 일부는 두 겹으로 겹쳐진 상태가 되고 다른 일부는 홑겹인 상태가 된다. 직물 띠(100a)의 두 겹으로 겹쳐진 부위는 직립부(E)가 되며, 겹쳐지지 않고 홑겹인 부위는 유동부(F)가 된다.
제2접힘부(L2)의 외측에 위치한 직물 띠(100a)의 일단부를 직물 띠(100a)의 길이방향 내측(제1접힘부(L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은 후 폭방향으로 봉제하여 이탈 방지부(130)를 형성한다. 이탈 방지부(130)는 금속제 수용공간(110)에 삽입될 호형 금속 박판(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 띠(100a)의 일단부가 금속제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형태가 된다. 이탈 방지부(130)의 봉제된 부위는 도 4의 도면부호 a2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봉제된 위치 및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례에 따라서 이탈 방지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봉제(a2)는 고리부재 결합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봉제(a1)보다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두 겹으로 겹쳐져 직립부(E)를 형성하는 직물 띠(100a)의 폭방향 양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11'자 형태로 봉제한다. 이와 같이 봉제하면 직립부(E)의 내부에는 유동부(F)를 향하는 금속 박판 삽입구(111)를 갖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11'자 형태의 봉제 부위는 도 4에 도면부호 a3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봉제된 위치 및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금속 박판 삽입구(111)를 통하여 직립부(E)의 금속제 수용공간(110)에 호형 금속 박판(200)을 삽입한다. 금속 박판 삽입구(111)에는 이탈 방지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와 같이 호형 금속 박판(200)을 삽입하면, 도 2와 같이 삽입된 호형 금속 박판(200)이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에 제2고리부재(400), 길이 조절부재(500), 스트랩 정리부재(600)를 결합하여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을 완성한다.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호형 금속 박판(200)에 의하여 스트랩 몸체(100)의 직립부(E)가 직선형태로 펼쳐진 상태가 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도 제1고리부재(300)를 손쉽게 매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을 이용하면 승용차의 지붕에 거치된 손이 직접 닿지 않는 레저장비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화물차의 적재함에 실린 화물도 사용자가 적재함에 직접 올라타지 않고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차량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가정에서 높은 선반에 올려진 물건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 텐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보관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나선형으로 말아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스트랩 몸체(100)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에 삽입되어 있는 호형 금속 박판(200)은 탄력을 가진 얇은 금속 박판으로서 양단부를 힘을 가하여 길이방향으로 구부리면 손쉽게 나선형으로 감을 수 있다. 도 5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은 본 실시례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종래의 스트랩과 마찬가지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스트랩 몸체(100')를 제작하는 방법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제1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과 기능 및 특징이 동일하므로, 스트랩 몸체(100')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 의한 스트랩 몸체(100')는 슬리브 형태의 직물 슬리브(100b)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우선 직물 슬리브(100b)를 마련한다. 직물 슬리브(100b)는 명칭 그대로 슬리브(sleeve) 형태로서, 내부에 금속 박판 수용공간(110')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
직물 슬리브(100b)의 일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접힌 부위를 폭방향으로 봉제하여 접힌 단부에 제1고리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한 고리부재 결합부(120')를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고리부재(300)의 제1고리 몸체(310)에 직물 슬리브(100b)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제1고리부재(300)가 고리부재 결합부(120')에 결합되도록 한다. 고리부재 결합부(120')의 봉제된 부위는 도 8에 도면부호 b1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봉제된 위치 및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직물 슬리브(100b)의 타단부로 호형 금속 박판(200)을 삽입하여 호형 금속 박판(200)을 직물 슬리브(100b)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호형 금속 박판(200)의 단부가 끝나는 직물 슬리브(100b)의 중앙부를 폭방향으로 봉제하여 호형 금속 박판(200)이 직물 슬리브(100b)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직물 슬리브(100b) 중앙부의 봉제된 부위는 도 8에 도면부호 b2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봉제된 위치 및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례에 따라서 직물 슬리브(100b)의 중앙부 봉제(b2)는 고리부재 결합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봉제(b1)보다 먼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호형 금속 박판(200)은 직물 슬리브(100b)의 일단부로 삽입된다.
호형 금속 박판(200)이 삽입된 직물 슬리브(100b)의 길이방향 일측은 직립 가능한 직립부(E)가 되며, 호형 금속 박판(200)이 삽입되지 않은 직물 슬리브(100b)의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F)가 된다.
이후 제1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에 제2고리부재(400), 길이 조절부재(500), 스트랩 정리부재(600)를 결합하여 본 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을 완성한다.
제2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은, 스트랩 몸체(100')의 유동부(F)가 홑겹이 아니라 두 겹으로 이루지며, 직물 슬리브(100b)의 일단부와 중앙부가 각각 봉제(b1,b2)되어 호형 금속 박판(200)을 스트랩 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제1실시례에 의한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사용 방법 및 보관 방법을 포함한 다른 특징들은 제1실시례와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E : 직립부 F : 유동부
100a : 직물 띠 100b : 직물 슬리브
100, 100' : 스트랩 본체
110, 110' : 금속 박판 수용공간 111 : 금속 박판 삽입구
120, 120' : 고리부재 결합부
130 : 이탈 방지부
200 : 호형 금속 박판
300 : 제1고리부재
310 : 제1고리 몸체 320 : 제1갈고리
400 : 제2고리부재
410 : 제2고리 몸체 420 : 제2갈고리
500 : 길이 조절부재
600 : 스트랩 정리부재

Claims (4)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립부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인 스트랩 몸체 ;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호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직립부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키는 호형 금속 박판 ;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물 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직물 띠는 적어도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에 위치된 제1접힘부와 상기 제1접힘부와 상기 직물 띠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2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립부는 상기 직물 띠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1접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후 상기 직물 띠가 겹쳐진 부위이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직물 띠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1접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후 상기 직물 띠가 겹쳐지지 않은 부위이며,
    상기 직립부에는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금속 박판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접힘부 외측에 위치된 상기 직물 띠의 일단부는 상기 직물 띠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접힌 후 상기 금속 박판 삽입구에 위치되는 이탈 방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직립부의 접힌 단부가 폭방향으로 봉제되어 상기 제1고리부재가 결합되는 고리부재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직립시킨 상태로 상기 제1고리부재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거나,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립부이며, 길이방향 타측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부인 스트랩 몸체 ;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호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금속 박판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직립부를 탄력적으로 직립시키는 호형 금속 박판 ;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고리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내부에 상기 금속 박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형태의 직물 슬리브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직립부는 상기 호형 금속 박판을 상기 직물 슬리브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직물 슬리브의 일단부와 중앙부를 봉제하여 제작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직물 슬리브의 타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스트랩 몸체는 상기 제1고리부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슬리브의 일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접힌 부위를 폭방향으로 봉제한 고리부재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직립시킨 상태로 상기 제1고리부재를 손이 닿지 않는 대상에 매달거나, 상기 스트랩 몸체의 직립부를 상기 호형 금속 박판과 함께 나선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몸체의 유동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고리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KR1020170133151A 2017-10-13 2017-10-13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KR10201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51A KR102011297B1 (ko) 2017-10-13 2017-10-13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51A KR102011297B1 (ko) 2017-10-13 2017-10-13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57A KR20190041657A (ko) 2019-04-23
KR102011297B1 true KR102011297B1 (ko) 2019-08-14

Family

ID=6628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51A KR102011297B1 (ko) 2017-10-13 2017-10-13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58A (ja) * 2001-08-01 2005-08-25 スティーブン ジェイムス ショー, 固定ストラップ構成体およびそのためのテンショナ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16U (ko) * 2009-07-08 2011-01-14 최재구 어린이용 탄성 밴드
KR101415719B1 (ko) 2013-04-30 2014-08-06 (주)시스펙 텐셔너 일체형 스트랩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58A (ja) * 2001-08-01 2005-08-25 スティーブン ジェイムス ショー, 固定ストラップ構成体およびそのためのテンショ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57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323B2 (en) Cargo strap
US9622566B1 (en) Multiple-loop support strap and method for hanging a hammock
US9339086B2 (en) Adjustable loop load tie-down strap
US6334562B1 (en) Stowage device, especially for a removable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US6318612B1 (en) Device for securing items to a vehicle
US6244486B1 (en) Article carrier
US7849568B2 (en) Cord organizer
US6280128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cargo
US20080012401A1 (en) Energy absorbing tether for child safety seat
US20110012394A1 (en) Baby seat sling for suspending a baby seat from a structure
US7243825B2 (en) Bag holder
US20070196193A1 (en) Tie-down wrap device for securing articles for shipment
US6070775A (en) Collapsible storage compartment with universal attachment system for trucks of all sizes
US6349865B1 (en) Collapsible storage compartment with universal attachment system for trucks of all sizes
US6892912B1 (en) Roof top carrier with strap attachment loops
US9555823B2 (en) Infant seat support
KR102011297B1 (ko) 손이 닿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매달기용 스트랩
US20090025185A1 (en) Ratchet strap holder
US20070006482A1 (en) Collapsible dryer rack
US20050284902A1 (en) Clothes hanger carrier
JP2016055923A (ja) 荷崩れ防止ベルト
US8992146B2 (en) Cargo securing device
JP6914466B1 (ja) 荷物保持装置
US200801058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a recreational vehicle attachment
EP1329361A1 (en) Vehicle roof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