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12B1 - 기능성 콘센트 커버 - Google Patents

기능성 콘센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012B1
KR102011012B1 KR1020190064536A KR20190064536A KR102011012B1 KR 102011012 B1 KR102011012 B1 KR 102011012B1 KR 1020190064536 A KR1020190064536 A KR 1020190064536A KR 20190064536 A KR20190064536 A KR 20190064536A KR 102011012 B1 KR102011012 B1 KR 10201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opening
shielding plate
cov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식
Original Assignee
이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식 filed Critical 이인식
Priority to KR102019006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결합하되 상기 콘센트의 단자홀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를 형성하는 제1 차폐판; 상기 제1 차폐판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겹쳐 배치되되 상기 제1 차폐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차폐판;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덧살 커버부; 상기 덧살 커버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커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슬롯을 통해 상기 커버 바디 내로 인입되는 로킹 블록과, 상기 로킹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킹 손잡이를 구비하는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 및 상기 커버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의 로킹 블록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콘센트 커버{Function outlet cover}
본 발명은, 기능성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콘센트의 단자홀을 개폐하는 방식이라서 종래와 달리 분실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며, 무엇보다도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socket, outlet, power point, receptacle)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콘센트는 전압, 주파수, 모양, 사이즈, 그리고 커넥터 타입에 따라 다르다.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타입은 A형부터 M형까지 그리고 IEC60906-1 등의 다양한 종류가 국가 기준에 따라 사용된다.
콘센트의 디자인은 각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디자인을 하고 있어 호환되는 플러그만 꼽을 수 있으며, 플러그 핀의 위치나 각도 역시 서로 달라 호환되는 콘센트에만 결합한다. 서로 다른 규격들은 어댑터를 이용하여 콘센트와의 기계적인 호환이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은 C형 또는 F형 플러그 규격을 이용하며, 제품에 따라 접지형 플러그를 이용하기도 한다. 대게 가정용 콘센트에는 16A 250V로 표기되어 있다.
한편, 통상의 콘센트는 특히,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콘센트는 단자홀이 그대로 노출된 형태라서 안전에 취약하다.
특히, 어린아이가 젓가락 같은 뾰족한 물건을 콘센트의 단자홀로 삽입하면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콘센트 커버를 더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콘센트 커버는 콘센트 단자에 끼워두는 형태라서 분실 가능성이 상당히 크며, 또한, 플러그 규격에 따라 구조물 자체의 형상 또한 달라져야 한다는 점에서 호환성이 낮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콘센트 커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4-002618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67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999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6-00030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콘센트의 단자홀을 개폐하는 방식이라서 종래와 달리 분실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며, 무엇보다도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콘센트에 결합하되 상기 콘센트의 단자홀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를 형성하는 제1 차폐판; 상기 제1 차폐판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겹쳐 배치되되 상기 제1 차폐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차폐판;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덧살 커버부; 상기 덧살 커버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커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슬롯을 통해 상기 커버 바디 내로 인입되는 로킹 블록과, 상기 로킹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킹 손잡이를 구비하는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 및 상기 커버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의 로킹 블록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는 탄성 몸체부; 상기 탄성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벽체에 지지되는 직선형 탄성암; 및 상기 탄성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되 단부가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2 차폐판의 아크형 장공과 상기 제1 차폐판의 원형 통공에 삽입되는 절곡형 탄성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로킹 블록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자리 배치를 위해 상기 커버 바디의 다른 영역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아크형 자리 배치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폐판은 일측이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접합 단부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차폐판에는 상기 로킹 블록에 지지되는 블록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콘센트의 단자홀을 개폐하는 방식이라서 종래와 달리 분실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며, 무엇보다도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안전 콘센트 커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의 정면 사시도로서 모든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하나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절취 확대도이다.
도 8은 제1 및 제2 차폐판의 경사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및 제2 차폐판에 의해 하나의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의 동작도로서 도 9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의 정면 사시도로서 모든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하나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 절취 확대도, 도 8은 제1 및 제2 차폐판의 경사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1 및 제2 차폐판에 의해 하나의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의 동작도로서 도 9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100)는 콘센트, 특히 벽체에 설치된 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콘센트의 단자홀을 개폐하는 방식이라서 종래와 달리 분실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며, 무엇보다도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 제1 차폐판(120), 제2 차폐판(130), 제1 탄성부재(140),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 및 제2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100)의 외관 구조물이다. 제1 차폐판(120), 제2 차폐판(130), 제1 탄성부재(140),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 및 제2 탄성부재(160) 등의 구성들이 커버 바디(110) 상에 위치별로 탑재된다.
커버 바디(110)는 콘센트, 특히 벽체에 설치된 콘센트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100)가 설치되고 나면 마치 도 3 및 도 4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커버 바디(110)에는 콘센트의 단자홀에 연통하는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 바디(110)에 2개의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이는 콘센트가 2구짜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구부(111)의 개수는 1개 혹은 3개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2개의 개구부(111)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동작 구조에 의해 개구부(111)가 개폐되는 구조는 2개의 개구부(111)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편의한 어느 한쪽 개구부(111)와 그를 개폐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커버 바디(110)의 개구부(111) 주변에는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자리 배치를 위해 커버 바디(110)의 다른 영역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아크형 자리 배치턱(116)이 형성된다. 도 10에서 도 9처럼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회전되어 개구부(111)를 차폐할 때,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사이드가 아크형 자리 배치턱(116)에 배치됨으로써 정확하게 개구부(111)를 차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커버 바디(110)의 일측에는 덧살 커버부(112)가 형성된다. 덧살 커버부(112)는 커버 바디(110)와 일체로 사출되는 부분이다.
덧살 커버부(112)에는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회전축심(121,131)을 형성하는 회전축(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113)에 제1 탄성부재(140)가 연결되어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1 차폐판(120)은 커버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제2 차폐판(130)은 제1 차폐판(12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겹쳐 배치되되 제1 차폐판(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구조물이다.
제1 차폐판(120)과 제2 차폐판(130)은 역할은 유사하나 형상이 다르다. 이는 제2 차폐판(130)이 제1 차폐판(120) 상에 겹쳐 배치되기 때문이다.
제1 차폐판(120)이 평평한 판상체로 형성되는 반면, 제2 차폐판(130)은 일측이 단차진 형상을 갖는다. 제2 차폐판(130)에는 후술할 로킹 블록(151)에 지지되는 블록 지지벽(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접합 단부면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진 경사면(120a,130a)을 형성한다. 따라서, 앞에서 볼 때,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접합 라인이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차폐판(120)에는 커버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슬롯(1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122)가 형성된다. 도 10처럼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122)를 화살표 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화살표 ② 방향의 회전동작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 9처럼 개구부(11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는 화살표 ③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된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을 지지한다.
제1 탄성부재(140)는 덧살 커버부(112)의 회전축(113)과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개구부(111)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140)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으로 적용된다. 즉 제1 탄성부재(140)는 회전축(113)에 배치되는 탄성 몸체부(141)와, 탄성 몸체부(14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단부가 커버 바디(110)의 벽체에 지지되는 직선형 탄성암(142)과, 탄성 몸체부(141)의 타측에서 연장되되 단부가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제2 차폐판(130)의 아크형 장공(134)과 제1 차폐판(120)의 원형 통공(124)에 삽입되는 절곡형 탄성암(143)을 포함한다. 이에, 도 10처럼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122)를 화살표 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화살표 ② 방향의 회전동작을 끌어낼 수 있는데, 이때 절곡형 탄성암(143)이 아크형 장공(134) 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처럼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회전동작에 의해 개구부(111)가 개방된 경우, 이 상태가 유지되어야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임의로 역회전되어 개구부(111)를 차폐하면 곤란하다. 이를 위해,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가 적용된다.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는 커버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슬롯(115)을 통해 커버 바디(110) 내로 인입되는 로킹 블록(151)과, 로킹 블록(151)과 연결되고 커버 바디(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킹 손잡이(152)를 구비한다.
이러한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의 로킹 작용을 위해 제2 탄성부재(160)가 마련된다. 제2 탄성부재(160)는 커버 바디(110) 내에 마련되며,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의 로킹 블록(151)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개구부(111)를 개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재(160)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된다. 제2 탄성부재(160)의 적용을 위해 커버 바디(110)와 로킹 블록(151)에는 제2 탄성부재(160)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돌기(117,153)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삽입돌기(117,153)로 인해 제2 탄성부재(160)는 자리 이탈 없이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에 압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센트 커버(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처럼 개구부(111)가 닫힌 상태에서 도 10처럼 개구부(111)를 개방하기 위해 우선,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122)를 도 10의 화살표 ①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력에 의해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도 10의 화살표 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개구부(111)가 개방된다. 이처럼 개구부(111)가 개방될 때, 제1 탄성부재(140)의 절곡형 탄성암(143)이 아크형 장공(134) 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회전동작에 의해 개구부(111)가 개방될 때, 제2 차폐판(130)의 블록 지지벽(135)이 도 9에서 도 10처럼 회전되면서 로킹 블록(151)에 지지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의 임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때, 블록 지지벽(135)이 회전한 공간만큼 제2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 블록(151)이 밀려 이동된다.
다시, 도 9처럼 개구부(111)를 닫으려면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150)의 로킹 손잡이(152)를 도 10의 화살표 ③ 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제2 탄성부재(160)가 압축되면서 로킹 블록(151)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이와 동시에 로킹 블록(151)에 지지됨에 따라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을 지지하던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차폐판(120,130)이 역회전되면서 도 9처럼 개구부(111)를 차폐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콘센트의 단자홀을 개폐하는 방식이라서 종래와 달리 분실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며, 무엇보다도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콘센트 커버 110 : 커버 바디
111 : 개구부 112 : 덧살 커버부
113 : 회전축 114 : 제1 슬롯
115 : 제2 슬롯 116 : 아크형 자리 배치턱
117 : 제1 삽입돌기 120 : 제1 차폐판
120a : 경사면 121 : 제1 회전축심
122 : 개폐 손잡이 124 : 원형 통공
130 : 제2 차폐판 130a : 경사면
131 : 제2 회전축심 134 : 아크형 장공
135 : 블록 지지벽 140 : 제1 탄성부재
141 : 탄성 몸체부 142 : 직선형 탄성암
143 : 절곡형 탄성암 150 :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
151 : 로킹 블록 152 : 로킹 손잡이
153 : 제2 삽입돌기 160 : 제2 탄성부재

Claims (5)

  1. 콘센트에 결합하되 상기 콘센트의 단자홀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 손잡이를 형성하는 제1 차폐판;
    상기 제1 차폐판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겹쳐 배치되되 상기 제1 차폐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차폐판;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덧살 커버부;
    상기 덧살 커버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커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슬롯을 통해 상기 커버 바디 내로 인입되는 로킹 블록과, 상기 로킹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킹 손잡이를 구비하는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 및
    상기 커버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개구 개방용 로킹부재의 로킹 블록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는 탄성 몸체부;
    상기 탄성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벽체에 지지되는 직선형 탄성암; 및
    상기 탄성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되 단부가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2 차폐판의 아크형 장공과 상기 제1 차폐판의 원형 통공에 삽입되는 절곡형 탄성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로킹 블록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자리 배치를 위해 상기 커버 바디의 다른 영역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아크형 자리 배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판은 일측이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차폐판의 접합 단부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차폐판에는 상기 로킹 블록에 지지되는 블록 지지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센트 커버.
KR1020190064536A 2019-05-31 2019-05-31 기능성 콘센트 커버 KR10201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536A KR102011012B1 (ko) 2019-05-31 2019-05-31 기능성 콘센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536A KR102011012B1 (ko) 2019-05-31 2019-05-31 기능성 콘센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012B1 true KR102011012B1 (ko) 2019-08-14

Family

ID=6762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536A KR102011012B1 (ko) 2019-05-31 2019-05-31 기능성 콘센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184U (ko) 1993-05-04 1994-12-08 청소기용 모터의 임펠러와 모터축의 결합구조
KR20050095703A (ko) * 2004-03-27 2005-09-30 임태식 안전 콘센트
KR200459130Y1 (ko) * 2010-04-13 2012-03-19 배지홍 콘센트 구멍 개폐 안전장치
KR20160003018U (ko) 2015-02-24 2016-09-02 (주)웨신코리아 집게 형상의 머리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184U (ko) 1993-05-04 1994-12-08 청소기용 모터의 임펠러와 모터축의 결합구조
KR20050095703A (ko) * 2004-03-27 2005-09-30 임태식 안전 콘센트
KR200459130Y1 (ko) * 2010-04-13 2012-03-19 배지홍 콘센트 구멍 개폐 안전장치
KR20160003018U (ko) 2015-02-24 2016-09-02 (주)웨신코리아 집게 형상의 머리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092B1 (ko) 범용 파워 소켓
US6767228B2 (en) Internal safety cover and method to prevent electrical shock
US9799997B2 (en) Push wire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release member
KR20020084149A (ko) 콘센트
JP6786351B2 (ja) 回動機構及びその回動機構を備えるアダプタ
JP2842143B2 (ja) コネクタ
CN106129741A (zh) 电源插座
KR100904219B1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0939189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2011012B1 (ko) 기능성 콘센트 커버
WO2008058476A1 (en) International socket
CN115939891A (zh) 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组件
EP2133961A1 (en) A universal power socket
TWM458002U (zh) 安全插座
GB2384371A (en) A rotary type socket
US3219962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KR101256762B1 (ko) 측면 접속 전기 아웃렛
JP3228696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GB2390491A (en) Sealed Shuttered socket outlet
GB2381669A (en) Folding plug
KR200218582Y1 (ko)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CN215379476U (zh) 输入面板组件及充电面板组件
CN114465064A (zh) 电源适配器
CN210468198U (zh) 一种锁紧释放机构及电接线端子
WO2011092494A1 (en) An electrical socket with a shutter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