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883B1 -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 Google Patents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883B1
KR102010883B1 KR1020170177219A KR20170177219A KR102010883B1 KR 102010883 B1 KR102010883 B1 KR 102010883B1 KR 1020170177219 A KR1020170177219 A KR 1020170177219A KR 20170177219 A KR20170177219 A KR 20170177219A KR 102010883 B1 KR102010883 B1 KR 102010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rimary
liquefied gas
cargo hold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545A (ko
Inventor
박성우
권승민
강중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8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39Steels
    • F17C2203/0643Stainless st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8Alloys or compositions of metals
    • F17C2203/0651Inv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용접함으로써,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angle piece)가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MEMBRANE TYPE INSULATION SYSTEM FOR CARGO OF LNG CARRIER AND FUEL TANK}
본 발명은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1차 멤브레인 또는/그리고 2차 멤브레인이 주름 부(corrugation)을 갖는 경우, 화물창의 인접한 두 면의 코너 부에서 주름 부가 연결되지 않아도 방벽이 구현 가능한 단열구조를 갖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의 초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그 부피를 대략 1/600 정도로 감소시킨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서, 이로 인해 천연가스의 수송 및 저장에 유리하도록 한다.
LNG가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생산 기지로부터 수요 지의 인수 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하기 위해서 LNG 운반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LNG 운반선은 천연가스의 생산지인 로딩(loading) 항구에서 기체 상태인 천연가스를 초저온 상태로 액화시켜 저장탱크(화물창: cargo tank)에 저장함과 아울러 언 로딩(unloading) 항구에 도착한 후에는 초저온의 LNG를 기화시켜서 천연가스로 변환시킨 후, 이를 배관 등을 통해서 수요지 내지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LNG 등의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 NO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누어지고, 독립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SPB형으로 나누어진다.
종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화물창의 코너 부에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코너 부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박스; 및 코너 부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인바 튜브 구조물을 구비한다.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앵글 피스가 설치되어 멤브레인이 연결되어 밀봉 처리된다.
그러나 종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화물창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앵글 피스를 설치하여 멤브레인을 밀봉 처리해야 하므로 밀봉작업이 매우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505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에서 주름 부(멤브레인의 끝단)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함으로써, 화물창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앵글 피스(angle piece)가 불필요하게 되어, 화물창 제작에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에서,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화물창의 코너 부에 상기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코너 부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1차 멤브레인 연결부를 갖는 인바 튜브 구조물;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1차 멤브레인; 및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코너 부에서 상기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은 평면형(flat type membrane) 또는 주름형(corrugated membr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멤브레인이 평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2차 멤브레인은 주름 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멤브레인이 주름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2차 멤브레인은 평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상기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이 연결되어 밀봉 처리되어, 상기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앵글 피스가 설치되지 않는 방벽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 부는 90° 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는 물론 예각 코너 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화물창의 코너 부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박스; 상기 코너 부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1차 멤브레인 연결부를 갖는 인바 튜브 구조물; 선체 내벽 상측에 설치되는 2차 단열 패널; 상기 2차 단열 패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2차 멤브레인의 상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 패널; 상기 1차 단열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1차 멤브레인; 및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코너 부에서 상기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전에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화물창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멤브레인 끝단)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앵글 피스를 용접하는 구조이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화물창 코너 부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함으로써, 앵글 피스를 용접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함으로써,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를 용접하지 않아도 밀봉작업이 구현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로 대형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주로 적용되고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정형화된 선박의 크기와 단열시스템이 설치되는 벽면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하며, 단열시스템이 설치되는 탱크의 형상이 정형화되지 않았거나 일반적인지 않은 형상의 벽면에 단열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의 코너 부의 복잡성이 증대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멤브레인이 평면형이거나 주름형인 경우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코너 부의 각도에 따라 직각, 둔각, 예각 모두에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주름형 멤브레인의 경우는, 코너 부에서 인접한 두 면의 주름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필요 없이 본 실시 예와 같이 인바 튜브 구조물의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하여 멤브레인의 기밀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전에는 금속 재질의 인바 튜브 구조물로 인해서 열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인바 튜브 구조물의 내부에 구조재 역할을 하는 박스형 또는/그리고 판넬형 단열재를 구비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90° 코너 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90° 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화물창의 둔각 코너 부에서의 인바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화물창의 예각 코너 부에서의 인바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서 화물창의 90° 코너 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단일형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와 멤브레인 연결부 간의 용접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복수형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와 멤브레인 연결부 간의 용접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90°코너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90°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단열시스템의 다양한 형상을 가진 저장용기의 단열시스템 설치 공간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코너 부 멤브레인 주름 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1차 멤브레인(11) 또는/그리고 2차 멤브레인(21)이 서스 재질로서 주름 부(corrugation)를 갖는 경우, 인접한 두 면의 코너 부에, 앵글 피스가 추가로 연결되지 않아도 방벽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단열시스템 설치공간의 모든 코너 부에, 열 수축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인바(Invar) 강으로 인바 튜브 구조물(100)을 설치하며, 인바 튜브 구조물(100)은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과 각각 연결될 수 있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와 2차 멤브레인(120) 연결부를 포함한다. 코너 부(90)는 화물창(1)의 90° 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되나, 설명의 편의상 1차 멤브레인(11)에 주름 부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바 튜브 구조물(100)의 내부에는 단열과 구조물의 건전성을 위해 단열박스 형태 또는 판넬 형태의 구조재 역할을 하는 단열재, 즉 인슐레이션 박스(10)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서 다양한 형상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에 별도의 설계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극저온에서 사용 가능한 금속소재 멤브레인을 1차 및 2차 멤브레인으로 사용하고, 1차 단열층은 플라이우드(plywood), 단열재, 복합재 등으로 조합된 복합체로 구성되어 2차 단열층 두께 대비 20-30% 이내의 두께를 가지고, 2차 단열층은 유리섬유로 강화된 폴리우레탄 폼과 플라이우드(또는 플라이우드 및 복합재료)의 샌드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1차 단열 패널(10)의 두께는 2차 단열 패널(20)의 두께 대비 30% 이내, 바람직하게는 10-20%로 형성될 수 있고, 1차 단열 패널(10)은 복수 개의 플라이우드(Plywood)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단일체 구조, 또는 복수 개의 플라이우드와 단열재, 예를 들어, 글라스 울, 밀도 40 내지 50㎏/㎥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로 구성된 복합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1차 단열 패널의 두께를 2차 단열 패널의 두께 대비 30% 이내로 설정하고, 화물창이 견딜 수 있는 액화가스 하중에 따라 화물창의 내부 설치 위치에 따라, 단일체 구조 또는 복합체 구조의 1차 단열 패널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경량화 및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단열성능 및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물창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화물창의 둔각 코너 부에서의 인바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화물창의 예각 코너 부에서의 인바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서 화물창의 90° 코너 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화물창의 코너 부(90)에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코너 부(90)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박스(2); 및 코너 부(90)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와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를 갖는 인바 튜브 구조물(100)을 포함한다.
화물창의 코너 부 각도(α)는 90°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와 예각 코너 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의 코너 부(90)에 설치되는 인바 튜브 구조물(100)은 미절곡 부재(101)를 기준으로, 4개의 일차 절곡부재(102)와 1개의 삼차 절곡부재(103)가 용접, 예를 들어 봉합 용접(seam welding)하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삼차 절곡부재(103)는 일단부가 미 절곡부재(101)에 용접되고 타단부가 일차 절곡부재(102)에 용접되어 격자형 인바튜브 공간을 형성한다.
선체 내벽(1) 상측에는 2차 단열 패널(20)이 설치되고, 2차 단열 패널(20) 상측에 2차 멤브레인(21)이 설치되며, 2차 멤브레인(21)은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와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액화가스 측, 즉 2차 멤브레인(21)의 상측에는 1차 단열 패널(10)이 설치되며, 1차 단열 패널(10)의 상측에는 1차 멤브레인(11)이 설치되며, 1차 멤브레인(11)은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와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90)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을 포함한다.
종전에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용접되는 구조이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앵글 피스가 용접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이 코너 부(90)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에 직접 용접됨으로써,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은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에 봉합 용접 등을 통해서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에서 일 예로서 화물창의 90° 코너 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90)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을 용접한다.
종전에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용접되는 구조이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앵글 피스가 용접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11)과 2차 멤브레인(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을 코너 부(90)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에 용접함으로써,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단일형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와 인바 재질의 멤브레인 연결부 간의 용접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1차 멤브레인(11) 또는 2차 멤브레인(21)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단일형 구조로 구성된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을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 또는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에 용접 밀봉함으로써, 화물창 코너 부(90)에서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복수형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와 인바 재질의 멤브레인 연결부 간의 용접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1차 멤브레인(11) 또는 2차 멤브레인(21)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형 구조로 구성된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200)을 1차 멤브레인 연결부(110) 또는 2차 멤브레인 연결부(120)에 용접 밀봉함으로써, 화물창 코너 부(90)에서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전에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용접되는 구조이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화물창 코너 부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함으로써, 앵글 피스가 용접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1차 멤브레인과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코너 부에서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직접 용접함으로써, 화물창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주름 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글 피스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주로 대형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주로 적용되고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은, 정형화된 선박의 크기와 단열시스템이 설치되는 벽면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하며, 단열시스템이 설치되는 탱크의 형상이 정형화되지 않았거나 일반적인지 않은 형상의 벽면에 단열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의 코너 부의 복잡성이 증대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멤브레인이 평면형이거나 주름형인 경우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코너 부의 각도에 따라 직각, 둔각, 예각 모두에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주름형 멤브레인의 경우는, 주름 부가 코너 부에서 인접한 두 면의 주름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필요 없이 본 실시 예와 같이 인바 튜브 구조물의 멤브레인 연결부에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직접 용접하여 멤브레인의 기밀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전에는 금속재질의 인바 튜브 구조물로 인해서 열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인바 튜브 구조물의 내부에 구조재 역할을 하는 박스형 또는/그리고 판넬형 단열재를 구비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선체 내벽
10: 1차 단열패널
11: 1차 멤브레인
20: 2차 단열패널
21: 2차 멤브레인
90: 코너 부
100: 인바 튜브 구조물
101: 미절곡 부재
102: 일차 절곡부재
103: 삼차 절곡부재
110: 1차 멤브레인 연결부
120: 2차 멤브레인 연결부

Claims (6)

  1. 코너 부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1차 멤브레인 연결부를 갖는 인바 튜브 구조물;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1차 멤브레인; 및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코너 부에서 상기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용접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 처리되는 해당 멤브레인은 상기 인바튜브 구조물을 통해 상기 선체 내벽까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은 평면형(flat type membrane) 또는 주름형(corrugated membrane)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상기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이 연결되어 밀봉 처리되어, 상기 코너 부의 인접한 벽면에서 앵글 피스가 설치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4. 화물창의 코너 부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박스;
    상기 코너 부에서 화물창의 하중을 선체 내벽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1차 멤브레인 연결부를 갖는 인바 튜브 구조물;
    선체 내벽 상측에 설치되는 2차 단열 패널;
    상기 2차 단열 패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2차 멤브레인의 상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 패널;
    상기 1차 단열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1차 멤브레인; 및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주름 부를 갖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코너 부에서 상기 주름 부를 밀봉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멤브레인 연결부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 연결부에 용접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인바 재질의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 마감용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 처리되는 해당 멤브레인은 상기 인바튜브 구조물을 통해 상기 선체 내벽까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너 부는, 90° 코너 부와 둔각 코너 부와 예각 코너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6. 삭제
KR1020170177219A 2017-12-21 2017-12-21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KR102010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19A KR102010883B1 (ko) 2017-12-21 2017-12-21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19A KR102010883B1 (ko) 2017-12-21 2017-12-21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45A KR20190075545A (ko) 2019-07-01
KR102010883B1 true KR102010883B1 (ko) 2019-08-14

Family

ID=6725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19A KR102010883B1 (ko) 2017-12-21 2017-12-21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37B1 (ko) 2020-11-17 2021-12-22 케이씨엘엔지테크 주식회사 코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3870B (zh) 2019-01-02 2022-06-07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极低温液化气体运输船的货舱及液化气体燃料容器的膜状物型隔热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358B1 (fr) * 1999-09-14 2001-11-02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a structure d'angle simplifiee
KR102150458B1 (ko) 2015-10-30 2020-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37B1 (ko) 2020-11-17 2021-12-22 케이씨엘엔지테크 주식회사 코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45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9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 구조 및 단열 구조의 연결 방법
CN111683870B (zh) 极低温液化气体运输船的货舱及液化气体燃料容器的膜状物型隔热系统
KR102010883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KR102535971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101826684B1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751839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20170043100A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063710B1 (ko) 응력 분산용 보조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020965B1 (ko) 멤브레인 접합구조 및 상기 멤브레인 접합구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20136328A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과 그 제작방법
KR102525949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2021000078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간 연결 브릿지 구조
KR20200092816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186415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2608688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시스템
KR101751840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벽, 그것을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1713852B1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KR102630657B1 (ko) 액화 가스 저장 탱크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제조 방법
KR10263828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220068318A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2599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1007945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25530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30063608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단열시스템의 방벽 간 지지구조
KR2022009780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단열시스템의 코너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