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684A -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684A
KR20220063684A KR1020210012984A KR20210012984A KR20220063684A KR 20220063684 A KR20220063684 A KR 20220063684A KR 1020210012984 A KR1020210012984 A KR 1020210012984A KR 20210012984 A KR20210012984 A KR 20210012984A KR 20220063684 A KR20220063684 A KR 2022006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membrane
insulation
insulating layer
liquefi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지혜련
천병희
장동혁
황윤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17C2203/012Reinforcing means on or in the wall, e.g.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45Fibres
    • F17C2203/035Glass w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39Steels
    • F17C2203/0643Stainless st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저장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 2차 멤브레인, 1차 단열층 및 1차 멤브레인이 순차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있어서, 저장용기의 내벽면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 및 2차 멤브레인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1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 2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2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2차 멤브레인 고정부; 1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1차 멤브레인 고정부; 2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단열패널을 고정시키는 단열층 고정장치; 및 2차 멤브레인 고정부, 1차 멤브레인 고정부, 단열층 고정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에 의하여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Membrane-type Liquefied Gas Insulation System with Double Metal Barrier Structure}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 등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의 내부에 구축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의 상태로 LNG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운반선 등과 같이 LNG를 수송 혹은 저장하기 위한 해상 구조물에는 극저온의 LNG를 상당한 기간 동안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된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도 함)가 설치된다.
LNG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선체 내벽 상에 2차 단열층, 2차 방벽, 1차 단열층 및 1차 방벽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데, 대표적으로는 GTT社의 NO 96 타입과 MARK Ⅲ 타입이 있다.
NO 96 타입 저장탱크는, 1차 및 2차 단열층이 플라이우드 박스 내부에 펄라이트(perlite) 분말 또는 글라스 울(glass wool) 등의 단열재를 채운 형태의 단열박스(insulation box)들로 구성되고, 각 단열층을 이루는 단열박스의 상부에 0.5 내지 0.7㎜ 두께의 인바강(invar steel, 36% 니켈강) 멤브레인을 설치하여 방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NO 96 타입 저장탱크는 1차 방벽과 2차 방벽이 거의 같은 정도의 액밀성 및 강도를 가지고 있어 1차 방벽의 누설시 상당한 기간동안 2차 방벽만으로도 화물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고, 단열박스로 구성되는 단열층이 높은 압축강도와 강성을 갖출 수 있으며, 용접의 자동화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MARK Ⅲ 타입 저장탱크는, 단열층이 폴리우레탄 폼(PUF)의 상면 또는 하면에 목재 합판을 접착시킨 형태의 단열패널(insulation panel)들로 구성되고, 1차 단열층의 상부에는 대략 1.2mm 두께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US) 멤브레인을 설치하여 1차 방벽을 형성하며, 2차 단열층의 상부에는 트리플렉스(triplex)라는 복합재를 사용하여 2차 방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MARK Ⅲ 타입 저장탱크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를 기반으로 한 단열패널의 단열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열패널이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변형이나 선체 변형에 취약한 특성상 NO 96 타입 저장탱크에서와 같이 열수축 계수가 작은 인바강 멤브레인의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MARK Ⅲ 타입 저장탱크에서는 1차 방벽으로서 파형 주름부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 멤브레인을 적용하여 멤브레인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단열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주름 멤브레인은 구조적 특성상 상하에 배치되는 단열층 사이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멤브레인의 주름부와 단열층 간의 간섭 발생에 따른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음), 현재 MARK Ⅲ 타입 저장탱크에서는 금속 멤브레인 대신 트리플렉스를 사용하여 2차 방벽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1차 및 2차 방벽이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시스템과 대비하여 기밀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운반선 등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에 있어서, 1차 및 2차 단열층을 단열성능이 뛰어난 단열패널로 구성하면서 1차 및 2차 방벽으로서 모두 금속 소재의 멤브레인의 적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열성과 기밀성의 측면에서 모두 기존 대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을 단열층의 구분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하여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 관점에서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건조 기간의 단축 및 가격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도록 단열시스템의 구조를 구체화함으로써, 단열성능이나 기밀성의 측면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에서도 현저한 성능을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 2차 멤브레인, 1차 단열층 및 1차 멤브레인이 순차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내벽면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 상기 2차 멤브레인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1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 상기 2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2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1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1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2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1차 단열패널을 고정시키는 단열층 고정장치; 및 상기 2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1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단열층 고정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에 의하여 상기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플라이우드 또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에폭시 또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폴리프로필렌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차 단열패널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사이, 상기 1차 단열패널과 상기 1차 멤브레인 사이, 상기 2차 단열패널과 상기 1차 단열패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차 단열패널 또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의 상단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이웃하는 상기 2차 단열패널 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의 경계부까지 동시에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 2차 멤브레인, 1차 단열층 및 1차 멤브레인이 순차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 단열층 또는 상기 1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2차 멤브레인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의 설치에 의해 혹은 상기 2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1차 단열층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의 설치에 의해 상기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에 플라이우드 또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복합재 소재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및 2차 방벽으로서 모두 금속 소재의 멤브레인을 적용하여 용접으로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액밀(liquid tightness) 뿐만 아니라 완벽한 기밀(gas tghtness)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단열층이 폴리우레탄 폼 계열의 단열재를 기반으로 한 단열패널로 구성됨으로써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단열층과 2차 단열층이 서로 교차 배치되는 구조로서 단열층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thermal bridge)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단열층의 두께 방향에 대한 변형을 분산/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단열층과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크기와 가공 형태를 완전히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작, 설치 및 관리 측면에서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및 2차 단열층의 교차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및 2차 단열층의 교차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A-A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단열층이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단열층의 상부에 2차 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단열층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멤브레인 고정부의 2차 스트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방벽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 고정부의 암레일 스트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 고정부의 암레일 스트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멤브레인 고정부의 1차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방벽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단열층의 상부에 2차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2차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이전의 2차 단열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2차 스페이서의 설치가 완료된 2차 단열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의 상부에 1차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1차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이전의 1차 단열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1차 스페이서의 설치가 완료된 1차 단열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서로 인접하는 2차 단열패널 사이에 단열형 갭 단열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형 갭 단열재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서로 인접하는 1차 단열패널 사이에 지지형 갭 단열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란, 가장 대표적인 LNG를 비롯하여 LPG(Liquefied petroleum gas), LEG(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이 저온으로 액화시켜 저장/수송될 수 있으며, 기화된 상태에서 엔진 등의 연료로서 소모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화가스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차' 및 '2차'라는 용어의 사용은,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저장용기(혹은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밀봉 또는 단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지 2차적으로 밀봉 또는 단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지에 대한 구분 기준으로 구사된 것이다.
또한, 관례상 적용된 용어 '상부' 또는 '위'는 중력에 대한 방향과는 관계없이 저장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용어 '하부' 또는 '아래'는 중력에 대한 방향과는 관계없이 저장용기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 등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연료탱크에 있어서, 1차 및 2차 단열층을 단열성능이 뛰어난 단열패널로 구성하면서 1차 및 2차 방벽으로서 모두 금속 소재의 멤브레인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는 단열시스템의 구조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방벽을 '멤브레인'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단열시스템의 구조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일부 구성이 도시 제외되거나 구성요소들의 크기가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음을 밝힌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는 2차 멤브레인(200) 및 1차 멤브레인(400)의 구성을 도시에서 제외하였고, 도 3 및 도 4에서는 단열층(100, 300) 간의 교차 배치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단열층(100, 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 3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도시 제외하였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저장용기의 내벽면(H)으로부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100), 2차 멤브레인(Secondary membrane, 200), 1차 단열층(300) 및 1차 멤브레인(Primary membrane, 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진다.
단열층(100, 300)은 본 단열시스템에서 주된 단열 기능, 즉 저장용기의 외부로부터의 열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저장용기의 내벽면(H)과 2차 멤브레인(200) 사이에 설치되는 2차 단열층(100)과, 2차 멤브레인(200)과 1차 멤브레인(400) 사이에 설치되는 1차 단열층(300)을 포함하여 이중의 단열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열층(100, 300)은 각각 다수의 단열패널(110, 31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열패널(110, 310)이 저장용기의 내벽면(H)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달아 배열됨으로서 각 단열층(100, 3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단열층(100, 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310)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폼(R-PUF)을 심재(111/311)로 사용하고, 플라이우드 및/또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를 표층부(112/312)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는, 열경화성 소재로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에폭시(epoxy) 또는 열가소성 소재로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예로 들 수 있다.
단열패널(110/310)에서 단열성능 및 단열층(100, 300)의 두께 방향에 대한 하중 지지 기능은 주로 심재(111/311)인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이 기여하게 되는데,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의 벽면에 부가되는 온도 및 하중 조건을 고려하여 단열과 하중지지에 부합되는 재료를 취사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취사 선택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도와 강도/강성/밀도의 기계적 물성으로 구분되는 기준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단열패널(110/310)의 심재(111/311)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상응하는 재료로 취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단열패널(110/310)의 표층부(112/312)로서는 액화가스 저장 기술에서 흔히 사용되는 플라이우드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소재를 취사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단열층(100, 300)의 면내 방향에 대한 굽힘 강성과 단열층 고정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응력 집중에 대응하여 안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은 열교 현상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이 서로 교차 배치된다 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310)의 꼭짓점 위치가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측 중심부에 위치하고, 2차 단열패널(110)의 꼭짓점 위치는 1차 단열패널(310)의 하측 중심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패널(310)과 2차 단열패널(110)은 패널의 길이와 폭 및 두께가 모두 유사한 수준(차이가 최대 25% 이내)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차 단열패널(310)과 2차 단열패널(110)의 길이와 폭 및 두께가 모두 동일하게 제작되어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게끔 단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단열시스템에서 단열패널(110/310)은 동일한 소재의 심재(111/311)와 표층부(112/312)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 및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2차 단열층(100)과 1차 단열층(300)의 구분 없이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저장용기의 각 벽면에 부가되는 온도 및 하중 조건을 고려하여 단열패널(110/310)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나 물성치(밀도 등)가 변경될 수 있음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구역에 설치되는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에는 모두 동일하게 제작된 단열패널(110/310)이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어느 한 벽면과 다른 벽면이 만나는 코너부와 그 인근 평면부와의 경계부에서는 단열패널(110/310)의 형태가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해당 구역에서도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310)로서 모두 공통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는 단열패널(110/310)의 너비와 길이가 1:1 비율로서 단면이 정사각 형태인 것이 실시예로 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열패널(110/310)의 단면이 직사각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그러한 경우에도 단열패널(110/310)의 길이는 너비의 정수배로 형성되는 것이 교차 배치 등의 설치 관점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단열시스템과 같이 상하로 구분된 이중 단열층 형태를 가지는 단열시스템의 경우, 상하 단열패널의 밀도를 다르게 형성하면 밀도가 더 낮은 쪽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이 더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구역에 설치되는 2차 단열패널(110)과 1차 단열패널(310)의 크기 뿐만 아니라 물성도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한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단열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단열층(300, 100)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1차 단열패널(310)과 2차 단열패널(110)의 고정방식 또한 동일(또는 거의 유사한 수준)하게 구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1차 단열패널(310)과 2차 단열패널(110)이 외관적인 형태 뿐만 아니라 고정을 위한 가공 등 세부적인 형태까지 완전하게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소재나 크기 등 외형적인 범주에서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가공 형태까지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 단열패널(110/310)을 제공함으로써, 2차 단열층(100)과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부재를 완전히 통일화시켜 설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단열패널(110/310)은 각각 하부 구조물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단열패널(110/310) 상에는 고정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홀(hole) 가공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2차 단열패널(110)과 1차 단열패널(310)의 고정 구조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각 단열층(100, 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310)에 이루어지는 홀 가공 등 세부적인 가공 형태까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각 단열층(100, 300)의 설치 및 고정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110)은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레진(resin) 또는 매스틱(mastic)과 같은 접착 및 하중지지 소재를 이용하여 저장용기의 내벽면(H)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의 내벽면(H)에 구비되는 스터드 볼트는 2차 단열패널(110)의 네 모퉁이 부분을 고정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2차 단열패널(110)의 네 모퉁이에는 각각 저장용기의 스터드 볼트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14)이 가공될 수 있다.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310)의 경우에는 2차 단열층(100)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200)이 설치된 이후 2차 멤브레인(200)의 상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1차 단열패널(310)의 형태를 2차 단열패널(110)과 완전히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1차 단열패널(310)의 고정 구조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 중앙에는 4개의 스터드(721)를 포함하는 원판 형태의 고정플레이트(720)가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720) 상에 구비된 각각의 스터드(721)에 의해 1차 단열패널(310)의 모퉁이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저장용기의 내벽면(H) 상에 구비되는 스터드 볼트나 고정플레이트(720) 상에 구비되는 스터드(721)는 각각 2차 단열패널(110)과 1차 단열패널(310)의 모퉁이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114, 314)에 삽입되며, 관통홀(114, 314)의 상측으로부터 와셔, 너트 등의 부재를 투입하여 스터드 부재에 체결시킴으로써 단열패널(110, 3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고정플레이트(720)가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 간의 교차 배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플레이트(720)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칼라스터드(710) 상에 고정너트(73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을 포함하는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패널(310)은 모퉁이 부분이 고정플레이트(720) 상에 구비된 스터드(721)에 의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되며, 따라서 1차 단열패널(310)의 모퉁이 부분에도 2차 단열패널(110)에 가공되는 관통홀(114)과 동일한 형태의 관통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단열층(100)과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310)은 크기와 형태가 동일할 뿐만 아니라 고정을 위한 가공 형태까지 완전히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열패널(110/310)의 제작, 설치 및 관리 측면에서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1차 단열패널의 모서리나 모퉁이 부분에 반원 형태 또는 부채꼴 형태의 홈을 통째로 도려내어 가공하고 서로 인접하는 1차 단열패널의 모서리나 모퉁이 부분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정부재와의 체결을 위하여 1차 단열패널의 모서리나 모퉁이 부분에 가공되는 홈이 1차 단열층 전체로서 보았을 때 적지 않은 면적을 차지하여 해당 부분에서 단열층의 하중 지지력이 약해지고, 또 빈 공간에 단열을 위한 추가 마감 시공이 과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단열시스템에서는 1차 단열패널(310)의 모퉁이 부분이 각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퉁이 내측부에 관통홀(314)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1차 단열층(300)의 강도 유지 능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단열시스템에서 멤브레인(200, 400)은 각 단열층(100, 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1차 멤브레인(400)은 극저온 액화가스와 직접 접촉하여 액화가스의 1차적인 밀봉을 수행하고, 2차 멤브레인(200)은 1차 멤브레인(400)에서의 누설 발생시에 대비하여 액화가스의 2차적인 밀봉을 수행하는 것이다. 2차 멤브레인(200)은 1차 멤브레인(400)의 누설시 상당한 기간동안 액화가스의 하중을 지탱하고 액밀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내부에 수용되는 액화가스의 완벽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1차 및 2차 멤브레인(400, 200)으로서 모두 금속 소재의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1차 및 2차 멤브레인(400, 200)은 극저온 액화가스에 의한 응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저온취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이나 인바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저온강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차 및 2차 멤브레인(400, 200)은 극저온까지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인 스테인레스강 소재 또는 인바강 소재의 멤브레인을 주름이 있는 형태 또는 평판 형태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및 2차 멤브레인(400, 200)은 스테인리스강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의 주름을 가짐으로써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의한 열수축 변형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멤브레인(200, 400)에 형성되는 주름은 저장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주름(longitudinal corrugation)과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 주름(transverse corrug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방향 주름과 횡방향 주름은 각각 멤브레인(200, 400) 상에 다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방향 주름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는 주름 교차부(crossing corrugation)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멤브레인(400)에 형성되는 주름은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고, 2차 멤브레인(200)에 형성되는 주름은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어, 두 멤브레인(200, 400)에 형성되는 주름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1차 멤브레인(400)에 형성되는 주름은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로서 1차 단열층(300)과의 간섭 여부를 논할 필요가 없으나, 2차 멤브레인(200)의 경우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2차 단열층(100)과 간섭이 문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 멤브레인(200)에 형성되는 주름 간의 간격을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110)의 폭 또는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2차 멤브레인(200)의 주름을 2차 단열패널(110) 사이의 간격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즉, 본 단열시스템은 2차 멤브레인(200)에 형성되는 주름이 서로 인접하는 2차 단열패널(110) 간의 간격 내에 자연스럽게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2차 멤브레인(200)의 주름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2차 단열층(100) 또는 1차 단열층(300)에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2차 단열층(100)과 1차 단열층(300) 사이에 금속 소재의 2차 멤브레인(200)을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주름의 포함 여부와 상관 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2차 단열층(100)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와, 1차 단열층(300)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단열시스템은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110)과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110)을 모두 공통의 것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열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특장점으로 하고 있는 바, 각 단열패널(110, 310)의 상부면에도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지 않도록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를 단열패널(110, 310)의 상부에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단열시스템에서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는 각 단열층(100, 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 310) 상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스페이서(120, 320)의 배치에 의해 보완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겠지만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의 2차 스트립(510) 및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의 형태나 설치 위치가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의 암레일 스트립(611) 및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와 유사하므로, 이들 대응되는 구성들의 크기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2차 단열패널(110)과 1차 단열패널(310)의 상부면에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의 설치를 위한 동일한 형태의 가공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 및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는, 서로 이웃하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2차 스트립(510)과, 2차 단열패널(11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2차 스트립(51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스트립(510)은 편평한 띠 형태의 금속판으로서, 2차 단열패널(110)의 중앙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2차 단열패널(110)의 중앙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차 스트립(510)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2차 단열패널(110)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2차 멤브레인(200)에 형성되는 하방 주름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V'자 형태의 벤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면에 접착 및/또는 스크류(screw)나 리벳(rivet), 스테이플(staple) 등을 이용한 기계적인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2차 스트립(51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2차 단열패널(110)의 중심 부분이 열수축에 의한 변형이 가장 적은 부분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2차 스트립(510)의 끝단부는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의 측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혹은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와의 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2차 스트립(510)이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2차 스트립(510)의 끝단부 간에 소정의 공차를 부여하여 2차 스트립(510)의 일부 미끌림(슬라이딩)을 허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2차 스트립(510)에 고정되는 2차 멤브레인(200)의 일부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극저온 열수축에 대한 단열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2차 스트립(510)은 끝단부만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에 의해 고정되고,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면에는 별도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2차 스트립(510)이 기계적인 힘을 받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2차 단열패널(110)과 2차 멤브레인(200)이 서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거동이 가능하게끔 단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2차 스트립(510)은 어느 하나의 2차 단열패널(110)을 기준으로 전후·좌우에 위치하는 2차 단열패널(110) 사이마다 설치되어, 2차 단열패널(11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2차 단열층(100) 전체로서 보았을 때에는 격자 형태의 배치 구조를 가지게 된다.
2차 멤브레인(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는 복수의 2차 스트립(510)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 공간 내에 배치되어 가장자리 부위가 2차 스트립(510) 상에 용접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치기 용접되어 2차 멤브레인(200)의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단열시스템에서 2차 스트립(510)은 개별적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2차 멤브레인(200)을 구성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의 크기에 따라 설치가 불필요한 구역에서는 2차 스트립(510)을 제거하여 물량 감축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대비하여 2배의 길이를 가지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이 아닌 부분의 2차 스트립(510)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는, 서로 이웃하는 1차 단열패널(310)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1차 스트립(610)과, 1차 단열패널(31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1차 스트립(61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1차 스트립(610)은 1차 단열패널(310)의 중앙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1차 단열패널(310)의 중앙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는 1차 단열패널(310)의 상부면에 접착 및/또는 기계적인 방식으로 체결되어 1차 스트립(61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1차 스트립(610)의 끝단부는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혹은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와의 용접에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삽입 형태로 고정되는 경우 1차 스트립(610)의 일부 미끌림(슬라이딩)이 허용될 수 있음도 유사하다.
다만,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에 의해 고정되는 1차 멤브레인(400)의 경우에는 액화가스와 직접 접촉하여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극저온에 의한 열수축 변형의 정도가 2차 멤브레인(200)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스트립(610)은 2차 스트립(510)과 같은 평판 형태가 아니라 레일(rail) 형태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1차 스트립(6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에 의해 고정되며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부에 암레일(611R)을 가지는 암레일 스트립(611)과, 암레일 스트립(611) 상에 형성되는 암레일(611R)과 암수 결합되는 수레일(612R)을 가지며 1차 멤브레인(40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수레일 스트립(612)을 포함할 수 있다.
암레일 스트립(611)은 전술한 2차 스트립(610)과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끝단부가 1차 단열패널(31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된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암레일 스트립(6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 라인에는 암레일(611R)이 형성된다.
또한, 암레일 스트립(611)은 끝단부만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에 의해 고정되되, 1차 단열패널(310)의 상부면에는 별도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차 스트립(610)이 기계적인 힘을 받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1차 단열패널(310)과 1차 멤브레인(400)이 서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거동이 가능하게 단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수레일 스트립(612)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의 금속판으로서, 1차 멤브레인(40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한다.
수레일 스트립(612)의 하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수레일(612R)은 암레일 스트립(6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 라인에 형성되는 암레일(611R)과 암수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암수 결합'이란 수레일(612R)이 암레일(611R)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암레일(611R)의 단차 구조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레일 스트립(612)은 상하 방향으로 구속되나 암레일 스트립(6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하나의 암레일 스트립(611)에 결합되는 수레일 스트립(612)은 단수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수레일 스트립(612)이 복수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수레일 스트립(612)은 암레일 스트립(6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레일 스트립(612)이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여 1차 멤브레인(400)의 열수축 변형에 대하여 더욱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슬라이딩 허용 거리는 복수개로 분리 구성되는 수레일 스트립(612) 간에 부여되는 공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수레일 스트립(612)은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간격에 맞춰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로 구성되는 수레일 스트립(612) 간의 경계부가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수레일 스트립(612)이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변형에 상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거동이 가능하여 열하중 및 충격하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간격이 균일한 경우는 물론이고,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간격이 비균일한 경우에도 해당 길이에 맞춰 수레일 스트립(612)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멤브레인(400)을 고정시키는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는 암레일 스트립(611)이 1차 스트립 고정부재(620)에 삽입 형태로 고정되는 경우의 미끌림(슬라이딩)에 더하여 수레일 스트립(612)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극저온에 의한 1차 멤브레인(400)의 열수축 발생시 주름의 변형에 대응하여 보다 유연한 거동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2차 스트립(510)에서와 유사하게 1차 스트립(610)은 전체 1차 단열층(300)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1차 멤브레인(400)을 구성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401)의 가장자리 부위가 1차 스트립(610)의 수레일 스트립(612) 상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401)의 가장자리가 겹치기 용접되어 1차 멤브레인(400)의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스트립(610)도 개별적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4 및 도 15를 비교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1차 멤브레인(400)을 구성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401)의 크기에 따라 설치가 불필요한 구역에서는 1차 스트립(610)을 삭제하여 물량 감축 및 이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1차 멤브레인(400)에 형성되는 주름은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융기된 형태를 가지므로, 1차 스트립(610) 상에는 2차 스트립(510)과 같은 벤딩부(511)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극저온 액화가스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1차 멤브레인(400)의 경우에는 2차 멤브레인(200)과 대비하여 겪어야 하는 열수축 하중의 정도가 더 크므로, 1차 멤브레인(400)에 형성되는 주름의 개수가 2차 멤브레인(200)의 개수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즉,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간 간격이 2차 멤브레인(200)의 주름 간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의 2차 스트립(510) 및 1차 멤브레인 고정부(600)의 1차 스트립(610)은 끝단부가 단열패널(110, 310)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스트립 고정부(520, 620)에 의해 고정될 뿐, 단열패널(110, 310)의 상부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기존에 알려진 종래기술에서는 단열패널 상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앵커 스트립(anchir strip) 상에 멤브레인이 용접됨으로써 멤브레인과 단열패널의 열수축 거동이 종속되었다. 따라서 단열패널 상에 열수축에 의한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슬릿(slit)을 가공하고 있으며, 이때 슬릿의 위치를 멤브레인의 주름 위치와 대응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단열시스템에서는 각 단열층(100, 300)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200, 400)의 거동이 서로 종속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유연한 거동이 가능하므로, 단열패널(110, 310) 상에 슬릿 가공을 삭제할 수 있으며, 슬릿을 가공하는 경우에도 슬릿의 위치를 멤브레인의 주름 위치와 대응시킬 필요가 없어, 단열시스템의 유연한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층(300)의 고정을 위해 2차 단열층(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단열층 고정장치(700)는, 2차 단열패널(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칼라스터드(710)와, 칼라스터드(7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720)와, 고정플레이트(720)를 칼라스터드(710)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스터드(710)는 전술한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의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칼라스터드(710)의 하단부를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 상에 형성된 체결홈과 나사 결합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2차 멤브레인(200)을 구성하는 단위 멤브레인 시트(201)의 일부(꼭짓점 부위)가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 상에 위치할 수 있는데, 칼라스터드(710)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부가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 상에 위치하는 2차 멤브레인(200)을 덮도록 배치되어 2차 멤브레인(200)의 상면과 용접됨으로써, 2차 멤브레인(200)의 불연속 구간에서도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720)는 칼라스터드(710)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에 끼워진 후 고정너트(730)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720)는 중심부에 칼라스터드(710)의 돌출부가 관통 삽입되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720)는 상방으로 돌출된 4개의 스터드(7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720) 상에 형성된 4개의 스터드(721)에 의해 1차 단열패널(310)의 각 모퉁이가 각각 고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칼라스터드(710)와 고정플레이트(720)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나, 칼라스터드(710)와 고정플레이트(720)가 일체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일체의 부재가 2차 멤브레인(200)의 상면과 용접되어 밀봉이 이루어져야 함은 마찬가지이나 고정너트(730)는 생략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칼라스터드(710)와 고정플레이트(720) 그리고 2차 스트립 고정부재(520)까지 모두 일체의 부재로 마련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액화가스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저장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의한 변형, 그리고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적용에 의해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층 고정장치(700) 및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 등의 배치에 따라 단열시스템 내부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단열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단열시스템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채움과 동시에 구조적인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공간 내에 스페이서(120, 320)를 배치하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스페이서(120, 320)로는 유리섬유로 보강된 복합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플라이우드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유리섬유로 보강된 복합재'란 전술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 소재로서 유리섬유로 보강된 에폭시 또는 열가소성 소재로서 유리섬유로 보강된 폴리프로필렌 등의 복합소재를 예로 들수 있다. 즉, 스페이서(120, 320)의 소재로는 단열패널(110/310)의 표층부(112/312)를 구성하는 소재와 등가 이상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단열시스템에서 스페이서(120, 320)는 바람직하게는 1차 단열층(300)과 2차 단열층(10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열층 고정장치(700) 및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의 배치에 따라 단열층(100, 300) 간에 또는 단열층(100, 300)과 멤브레인(200, 400) 간에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단열시스템은 단열패널(110/310)의 상부면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그 상측에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 및 단열층 고정장치(700)를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러한 배치에 따라 단열시스템 내에 발생하는 공간에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20/320)는 적층 구조의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20/320)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울(wool) 형태의 탄성도가 높은 소재를 탄성표층(121/321)으로서 부착함으로써, 설치시에는 탄성표층(121/321)을 포함하는 스페이서(120/320)가 압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차후 단열시스템 내 변형 발생시 단열층(100, 300) 간에 혹은 단열층(100, 300)과 멤브레인(200, 4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미소 공간을 탄성표층(121/321)의 팽창 작용에 의해 채워지도록 구성하여, 단열시스템의 성능 손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18과 도 19에는 각각 2차 단열층(100)의 상부에 2차 스페이서(120)가 설치되는 구조와, 1차 단열층(300)의 상부에 1차 스페이서(320)가 설치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2차 단열층(100)에서는 2차 단열패널(110) 간의 경계부에 2차 멤브레인(200)의 하방 주름이 수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2차 단열패널(110)의 경계부를 제외한 영역에 2차 스페이서(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2차 단열층(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2차 스페이서(120)는 2차 단열패널(110) 상에서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 및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설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2차 스페이서(120)의 두께가 2차 멤브레인 고정부(500)의 2차 스트립(510)과 동일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설치에 의해 2차 스트립(510)과 1차 단열패널(310)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이 더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간을 모두 채울 수 있도록 2차 스페이서(120)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1차 단열층(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1차 멤브레인(400)은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을 향한 주름을 가지므로,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경계부를 남겨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1차 단열층(300) 상에 설치되는 1차 스페이서(320)는 인접하는 1차 단열패널(310)들을 동시에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스페이서(120, 320)의 설치 구조가 각각 2차 단열층(100)과 1차 단열층(30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단열층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필요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스페이서(120)의 설치 구조가 1차 단열층(300) 측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도 19에 도시된 스페이서(320)의 설치 구조가 2차 단열층(100) 측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열패널(110/310)의 표층부(112/312)와 등가 이상의 소재로 구성되는 스페이서(120/320)를 적층 형태의 단열시스템 상에 발생하는 공간에 배치하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단열시스템이 경험하는 각종 하중 조건에 대한 지지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단열시스템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스페이서(120/320)를 배치하여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패널(110/310) 상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더라도 멤브레인 고정부(500, 600) 및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설치가 용이하며, 따라서 단열패널(110/310)에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과 단열층(100, 300)의 구분 없이 완벽하게 동일한 형태의 단열패널(110/31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열시스템의 제작, 설치 및 관리 측면에서의 이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단열시스템에서 각 단열층(100, 300)을 구성하는 단열패널(110, 310)들의 사이에는 단열층 고정장치(700)의 설치 공간, 2차 멤브레인(400)의 주름 수용 공간, 설치공차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갭(gap)을 두고 배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갭은 대류로 인한 열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기에, 서로 인접하는 단열패널(110, 310) 사이 공간에는 통상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갭 단열재(gap insulation)가 배치된다. 즉, 전술한 스페이서(120/320)가 적층 구조의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에 채워지는 것이라면, 갭 단열재는 단열시스템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에 채워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패널(110, 310) 간에 발생하는 공간에 대하여 하중 지지 기능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형태의 갭 단열재(800, 900)를 제공한다.
먼저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2차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110) 사이의 경계부는 그 상측 구조물인 2차 멤브레인(200)의 주름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2차 멤브레인(200)에 대한 하중 지지 기능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
즉, 2차 단열패널(110) 사이의 갭에서는 하중 지지 기능보다는 단열 기능이 최우선의 목적이 되므로,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2차 단열패널(110) 사이에 단열형 갭 단열재(800)를 배치하도록 단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단열형 갭 단열재(800)는 폼 형태의 심재(810)와 탄성도가 높은 탄성소재(820)를 조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탄성소재(820) 단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된 상태로 인접하는 2차 단열패널(1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소재(820)에는 소재 자체의 통기(通氣)를 제한하거나 통기를 방해하는 막(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폼 형태의 심재(810)와 탄성소재(8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탄성소재(820)가 심재(8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820)가 심재(810)의 상하면 및 네 측면을 모두 둘러싼 형태,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820)가 심재(810)의 네 측면만 둘러싸 심재(810)의 상하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820)가 심재(810)의 상면 및 네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 또는 도 2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820)가 심재(810)의 하면 및 네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2차 단열패널(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 2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멤브레인(200)의 하방 주름을 수용하기 위하여 심재(810)의 높이가 축소되고 탄성소재(820)의 상단부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2차 단열패널(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열형 갭 단열재(800)의 바람직한 배치 위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일 뿐, 단열형 갭 단열재(800)의 배치 위치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시스템 내에 발생하는 갭 공간이 하중 지지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저장용기의 측면이나 상부면에 구축되는 경우에는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공간에도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배치 적용될 수 있다.
단열형 갭 단열재(800)는 비교적 탄성이 높은 소재들을 조합하여 단열층 사이의 공간에 압축·삽입하는 방식으로서, 열수축 등 각종 하중에 의한 패널의 변형 발생으로 단열층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탄성소재(820)의 팽창 작용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해당 공간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1차 단열층(300)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경계부에서는 그 상측 구조물인 1차 멤브레인(400)의 편평한 부분이 위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1차 멤브레인(400)에 대한 하중 지지 기능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갭 상부에 1차 멤브레인(400)의 편평한 부분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단열 기능은 물론 하중 지지 기능을 갖출 것이 구조적으로 유리하므로,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1차 단열패널(310) 사이에 지지형 갭 단열재(900)를 배치하도록 단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지지형 갭 단열재(900)는 기계적 물성이 단열패널(110/310)의 심재(111/311)인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과 등가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 심재(910)를 중앙부에 배치하고 그 측면부에 압축이 가능한 탄성도가 높은 탄성소재(920)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된 상태로 인접하는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소재(920)에는 소재 자체의 통기(通氣)를 제한하거나 통기를 방해하는 막(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지지형 갭 단열재(900)가 1차 단열패널(3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지지형 갭 단열재(900)의 바람직한 배치 위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일 뿐, 지지형 갭 단열재(00)의 배치 위치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단열시스템에서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공간 뿐만 아니라 하중 지지 기능을 필요로 하는 구역이라면 어디에라도 지지형 갭 단열재(900)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2차 멤브레인(200)이 주름이 없는 평판형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차 단열패널(110) 사이에도 지지형 갭 단열재(900)를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중 지지 기능이 필요 없는 구역(예컨대, 저장용기의 측면이나 상부면)에서의 1차 단열패널(310) 사이에는 전술한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배치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으며, 1차 단열패널(310) 사이의 갭 상부에 1차 멤브레인(400)의 주름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단열형 갭 단열재(80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단열시스템에서 단열형 갭 단열재(800) 및 지지형 갭 단열재(900)의 배치 위치는 1차 단열층(300)인지 또는 2차 단열층(100)인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중 지지 기능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지형 갭 단열재(900)는 비교적 기계적 물성(강도 등)이 높은 심재(910)와 탄성이 높은 탄성소재(920)를 조합하여 단열층 사이의 공간에 압축·삽입하는 방식으로서, 구조부재로서 기능하는 심재(910)에 의해 단열층 사이의 공간에서 상측 구조물에 대한 하중 지지 기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수축 등 각종 하중에 의한 패널의 변형 발생으로 단열층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탄성소재(920)의 팽창 작용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해당 공간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및 2차 방벽으로서 모두 금속 소재의 멤브레인을 적용하여 용접으로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액밀(liquid tightness) 뿐만 아니라 완벽한 기밀(gas tghtness)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단열층이 폴리우레탄 폼 계열의 단열재를 기반으로 한 단열패널로 구성됨으로써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단열층과 2차 단열층이 서로 교차 배치되는 구조로서 단열층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thermal bridge)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단열층의 두께 방향에 대한 변형을 분산/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1차 단열층과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크기와 가공 형태를 완전히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작, 설치 및 관리 측면에서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은, 화물창 또는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2차 단열층
110: 2차 단열패널
111: 심재
112: 표층부
120: 2차 스페이서
200: 2차 방벽
300: 1차 단열층
310: 1차 단열패널
311: 심재
312: 표층부
320: 1차 스페이서
400: 1차 방벽
500: 2차 멤브레인 고정부
510: 2차 스트립
511: 벤딩부
520: 2차 스트립 고정부재
600: 1차 멤브레인 고정부
610: 2차 스트립
611: 암레일 스트립
612: 수레일 스트립
620: 2차 스트립 고정부재
700: 단열층 고정장치
710: 칼라스터드
720: 고정플레이트
721: 스터드
730: 고정너트
800: 단열형 갭 단열재
810: 심재
820: 탄성소재
900: 지지형 갭 단열재
910: 심재
920: 탄성소재

Claims (6)

  1. 저장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 2차 멤브레인, 1차 단열층 및 1차 멤브레인이 순차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내벽면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2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2차 단열패널;
    상기 2차 멤브레인 상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1차 단열층을 구성하는 1차 단열패널;
    상기 2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2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1차 단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멤브레인을 고정시키는 1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2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1차 단열패널을 고정시키는 단열층 고정장치; 및
    상기 2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1차 멤브레인 고정부, 상기 단열층 고정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에 의하여 상기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플라이우드 또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에폭시 또는 유리섬유가 보강된 폴리프로필렌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차 단열패널과 상기 2차 멤브레인 사이, 상기 1차 단열패널과 상기 1차 멤브레인 사이, 상기 2차 단열패널과 상기 1차 단열패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차 단열패널 또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의 상단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이웃하는 상기 2차 단열패널 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의 경계부까지 동시에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6. 저장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2차 단열층, 2차 멤브레인, 1차 단열층 및 1차 멤브레인이 순차 적층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 단열층 또는 상기 1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2차 멤브레인 또는 상기 1차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의 설치에 의해 혹은 상기 2차 단열층의 상부에 상기 1차 단열층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의 설치에 의해 상기 단열시스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간에 플라이우드 또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복합재 소재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4A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20220063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9386 2020-11-10
KR1020200149386 2020-11-10
KR1020200149385 2020-11-10
KR20200149385 2020-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84A true KR20220063684A (ko) 2022-05-17

Family

ID=81799719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88A KR20220063688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6A KR20220063686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3A KR20220063683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90A KR20220063690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7A KR20220063687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5A KR20220063685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4A KR20220063684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91A KR20220063691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9A KR20220063689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7705A KR20220063693A (ko) 2020-11-10 2021-02-08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88A KR20220063688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6A KR20220063686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3A KR20220063683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90A KR20220063690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7A KR20220063687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5A KR20220063685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91A KR20220063691A (ko) 2020-11-10 2021-01-29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2989A KR20220063689A (ko) 2020-11-10 2021-01-29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1020210017705A KR20220063693A (ko) 2020-11-10 2021-02-08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2022006368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86A (ko) 2022-05-17
KR20220063689A (ko) 2022-05-17
KR20220063688A (ko) 2022-05-17
KR20220063687A (ko) 2022-05-17
KR20220063685A (ko) 2022-05-17
KR20220063690A (ko) 2022-05-17
KR20220063693A (ko) 2022-05-17
KR20220063691A (ko) 2022-05-17
KR20220063683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476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14525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34992A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57770B1 (ko) 상하부 단열벽이 교차 배치되는 lng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63684A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2022009780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단열시스템의 코너부 구조
KR10266494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614527B1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2021010185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26182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고정장치
KR2021008191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1000078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간 연결 브릿지 구조
KR20200092816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260869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6378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구조
KR10266582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5147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간 연결 브릿지 구조
KR10236151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3828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22002599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25530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1007945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9780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단열시스템의 코너부 구조
KR2022009610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20220021740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