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394B1 -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94B1
KR102009394B1 KR1020180007921A KR20180007921A KR102009394B1 KR 102009394 B1 KR102009394 B1 KR 102009394B1 KR 1020180007921 A KR1020180007921 A KR 1020180007921A KR 20180007921 A KR20180007921 A KR 20180007921A KR 102009394 B1 KR102009394 B1 KR 10200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te
garbage
freez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36A (ko
Inventor
김경화
Original Assignee
김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화 filed Critical 김경화
Priority to KR102018000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 압착부에 의하여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냉동하는 냉동부; 냉동부에 의하여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소정 크기의 쓰레기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 파쇄부에 의하여 파쇄된 쓰레기 조각을 탄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탄화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쓰레기 처리 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각종 쓰레기를 탄화 처리하여 활성탄 등으로 재생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생활 쓰레기나 건설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자재 등의 쓰레기는 일반적으로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소각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10-0287411호에서와 같이 폐기물을 급동결시켜 냉동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든 다음 소각하는 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 처리 방법은 분말을 소각하는 것이므로 재가 남게 되고, 이로 인한 토양이나 공기의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소각 방법은 쓰레기를 없애는 것일 뿐 재생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없으며, 매립하는 방법 역시 환경 오염의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쓰레기를 공기나 토양의 오염 없이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쓰레기를 활성탄으로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에서와 같이 악취가 발생하는 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악취 발생을 크게 줄이면서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쓰레기를 재생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는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 투입구에 연결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 압착부에 연결되어,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냉동하는 냉동부; 냉동부에 연결되어,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소정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및 파쇄부에 연결되어, 파쇄된 쓰레기를 탄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탄화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압착부는 유압 실린더와 압착판으로 이루어지고, 압착판은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여 쓰레기를 압착한다. 이때, 압착판에 구멍형성용 압착핀을 부착하거나 이중 유압 실린더 또는 기타 장치로 동작하게 하여, 쓰레기 뭉치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쓰레기 처리 장치는 압착부와 연결되어, 쓰레기가 압착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배수시키는 오염수 배출부; 및 오염수 배출부를 통해 배수되는 오염수를 정화하는 수질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쇄부는 냉동부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파쇄 기어를 포함하여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파쇄한다.
탄화부는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파쇄된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크루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가열부는 바람직하게 플라즈마 히터일 수 있다.
또한, 탄화부에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증기를 소멸시키는 증기 소멸기와, 상단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쓰레기 처리 방법은 쓰레기를 투입하는 단계;
투입된 쓰레기를 쓰레기 뭉치로 압착하는 압착 단계;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냉동하는 냉동 단계;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소정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 단계; 파쇄된 쓰레기를 탄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탄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쓰레기 처리 방법은 압착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배출하여 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탄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증기를 제거하고 및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동 단계는 -30℃~ -120℃ 범위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고, 파쇄 단계는 냉동 온도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탄화 단계는 1800℃~ 2800℃ 범위의 온도로 탄화시킨다.
탄화 단계에서는 탄화 시 발생하는 증기를 제거하고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각종 쓰레기를 공기나 토양의 오염 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에 의한 환경 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각종 쓰레기를 처리하여 활성탄, 번개탄 또는 비료 등으로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은 대량의 쓰레기를 압착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적용할 경우, 급속 냉동 후 탄화시키기 때문에 악취 발생을 크게 줄이면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쓰레기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한 생활 쓰레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압착부의 다른 예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부 내의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리기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설명된 예시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의 전체 배치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쓰레기의 처리가 진행되는 순서대로 전체 구성을 나열하면,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200),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냉동하는 냉동부(300),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파쇄하는 파쇄부(400), 파쇄된 쓰레기 조각을 탄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탄화부(5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는 오염수가 배출되는 쓰레기,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오염수가 배출되지 않는 건조 쓰레기, 예를 들어 일반 생활 쓰레기난 폐자재 등의 처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압착부(200)는 상부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10)가 형성된 몸체(220)와, 몸체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압착하는 프레스부(230)와, 압착된 쓰레기를 냉동부(300)로 밀어내는 푸시 바(240)와, 냉동부(300)와의 연결 부(270)을 개폐하는 개폐부(250)와, 오염수 배출부(260)로 이루어진다.
프레스부(230)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압착판으로 구성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는 프레스부(230)로서 유압 실린더(232)의 로드(233)에 연결된 압착판(23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250) 역시 유압 실린더(252)로 상하로 동작하는 개폐판(251)을 냉동부(300)와의 연결부(270) 앞단에 설치하여 연결부(270)를 개폐한다. 푸시 바(240)는 바람직하게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로 동작하여 압착된 쓰레기를 연결부(270)를 통하여 냉동부(300)로 밀어내는 동작을 한다.
오염수 배출부(260)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수분이 많은 쓰레기가 프레스부(230)에 의하여 압착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부 몸체(220)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오염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수 배출부(260)는 도 1에서와 같이 수질 정화 장치(600)에 연결되고, 배출된 오염수는 수질 정화 장치(600)에서 정화되어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200)의 쓰레기 압착 동작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서, 쓰레기(G)가 압착부(200)에 투입되기 전에는 프레스부(230)의 압착판(231)은 상승 위치이고, 개폐 부(250)의 개폐판(251)은 연결부(270)를 폐쇄한 상태이며, 푸시 바(240)은 후퇴 위치에 있게 된다.
쓰레기(G)가 압착부(200)의 투입구(210)를 통하여 몸체(220)로 투입되면, 도 2b에서와 같이 프레스부(230)의 유압 실린더(232)의 로드(233)가 동작하여 압착판(231)이 하강하게 되고, 압착판(231)이 쓰레기를 압착하여 쓰레기 뭉치로 만들게 된다. 쓰레기를 압착하면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오염수 배출부(260)로 배출된다.
쓰레기(G)의 압착이 완료되면, 도 2c와 같이 프레스부(230)의 유압 실린더(232)의 로드(233)가 동작하여 압착판(231)은 상승하게 되고 상승 위치로 복귀한다. 개폐부(250) 역시 유압 실린더(252)의 로드가 동작하여 개폐판(251)을 상승시켜 연결부(270)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푸시 바(240)가 전진하여 쓰레기 뭉치(G)를 냉동기(300) 쪽으로 밀게 되어 쓰레기 뭉치(G)는 냉동기(300)로 이송된다.
도 3은 프레스부(230)의 다른 예시로서, 압착판(231)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 형성용 압착핀(234)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즉, 압착판(231)에 구멍 형성용 압착핀(234)이 부착되어 압착된 쓰레기 뭉치(G)에 압착핀(234)에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다. 구멍 형성용 압착핀(234)을 가진 압착판(231)로 쓰레기를 압착하는 경우, 압착된 쓰레기 뭉치(G)에 압착핀(234)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은 쓰레기 뭉치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추후 냉동부(300)에 냉동이 빨리 되고, 냉동 후 파쇄될 때도 파쇄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압착핀(234)의 개수나 형상, 배치는 압착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프레스부(230)의 또 다른 예시로서, 압착판(231')과 구멍 형성용 압착핀(234')이 이중 유압 실린더(232')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즉, 압착핀(234')은 제1 로드(235)에 연결되고, 압착판(231')은 제2 로드(236)에 연결되어, 압착핀(234')가 먼저 하강하고 압착판(231')이 후에 하강할 수 있다.
도 4의 프레스부(230)는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하여 압착판(231)이 하강하기 전에 먼저 압착핀(234')이 하강하여 압착될 쓰레기에 구멍을 만든 후, 압착판(231')이 하강하여 쓰레기를 압착하게 된다. 이렇게 압착판(231')과 압착핀(234')을 분리하여 동작시키는 경우, 쓰레기 뭉치의 하단부까지 구멍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할 수 있어서 추후의 냉동부의 냉동 공정이나 파쇄부의 파쇄 공정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투입된 쓰레기는 압착부(200)에서 압착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수분이 함유된 경우에는 수분이 빠지게 되어, 대량의 쓰레기를 처리하기에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냉동부(300)는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30℃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120℃의 온도로 급속 냉동시키는 냉동기 모듈(310)과, 압착된 쓰레기가 이송되는 컨베이어(320)로 이루어진다. 압착부(200)에서 압착되어 컨베이어(320)로 떨어진 압착된 쓰레기 뭉치(G)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도중에 냉동기 모듈(310)에 의하여 급속 냉동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쓰레기의 경우는 급속 냉동시킴으로써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파쇄부(400)는 컨베이어(320)의 끝단에 설치되어,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조각으로 잘게 파쇄한다. 파쇄된 조각은 한 변의 길이 또는 직경이 수 mm~ 수 cm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화시키기에 적합한 크기이면 무방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쇄부(4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파쇄부(400)는 냉동부(300)의 컨베이어(320)와 연결된 컨베이어(430)와, 2개의 파쇄 기어(410, 4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동된 쓰레기 뭉치(G)는 컨베이어(430)에 의하여 파쇄 기어(410, 420)로 진입하게 되고 파쇄 기어(410, 420)에 의하여 쓰레기 조각(G')으로 파쇄된다. 조각은 대략 한 변의 길이 또는 직경이 1cm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화시키기에 적합한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컨베이어(420)는 벨트 컨베이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롤러 컨베이어나 기타 적합한 형태의 컨베이어가 가능하며, 파쇄 기어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쓰레기 뭉치(420)가 파쇄 기어(410, 420)에 의하여 파쇄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쇄 기어(410, 420) 역시 2개의 파쇄 기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서 그 개수 및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개폐구(440)는 파쇄부(400)와 탄화부(500) 사이를 개폐하는 덮개로서, 파쇄된 쓰레기 조각(G')은 개폐구(440)의 개방에 의하여 탄화부(500)로 진입하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파쇄부(400)가 냉동부(300) 내부에 위치하여 개폐구가 냉동부(300)과 탄화부(500) 사이를 개폐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쇄부(400)는 냉동부(300) 외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냉동부(300)와 탄화부(500) 사이에 별도의 단열부를 설치한 후 이러한 단열부에 파쇄부(400)를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냉동부(300)과 탄화부(500) 사이가 단열되도록 하면서 쓰레기 뭉치를 파쇄한 후, 파쇄된 쓰레기 조각을 탄화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탄화부(500)는 수평으로 배열된 1개 이상의 스크루 컨베이어(510)와, 스크루 컨베이어(510) 하부에 배치된 가열부(520)와, 탄화된 조각이 배출되는 배출구(550)로 이루어진다.
스크루 컨베이어(510)는 개폐구(430)를 통하여 진입한 냉동 파쇄된 쓰레기 조각을 배출구(550) 쪽으로 이송시키며, 이송되는 도중에 가열부(520)가 쓰레기 조각을 탄화시킨다. 가열부(520)는 냉동 파쇄된 쓰레기 조각(G')을 180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800℃~2800℃ 온도 범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520)는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히터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플라즈마 히터는 단열재로 세라믹 보드(521) 위에 열선(522)을 배치하고 열선 상부에 방열판(523)으로 밀폐하여 공간부(524)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히터는 열효율이 좋고 승온 속도가 빠르면 균일한 온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520)가 플라즈마 히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적절한 히터를 채용할 수 있다.
탄화부(500)의 상부에는 냉동 파쇄된 쓰레기 조각이 탄화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소멸하는 증기 소멸기(530)와, 공기 정화 장치(540)를 배치한다. 증기 소멸기(530)는 냉동 파쇄된 쓰레기 조각이 탄화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가스 중의 수분을 하우징의 상부에 응결시키고, 응결된 수분 방울들이 낙하하여 배출됨으로써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540)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다시 플라즈마 히터 등의 가열부를 포함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인 다이옥신 등의 환경 호르몬을 1300℃로 다시 한번 소각함으로써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증기 소멸기(530)와 공기 정화 장치(540)는 종래의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탄화부(500)에서, 냉동 파쇄된 쓰레기 조각은 이송 스크루(510)로 이송되면서 가열부(520)에 의하여 가열되어 탄화되고, 탄화가 완료되면 배출구(550)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는 이러한 처리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생활 쓰레기 또는 폐자재 등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투입구(210)로 투입한다. (단계 S10) 쓰레기 투입 시, 압착부(200)의 압착판(231)은 몸체(220)에 쓰레기 투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승한 상태이고, 푸시 바(240)는 뒤쪽으로 후퇴한 상태이며, 개폐판(251)은 폐쇄된 상태이다.
쓰레기가 투입된 후, 압착판(231)이 하강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착한다. (단계 S20) 이때, 도 3 또는 도 4의 압착핀에 의하여 압착되는 쓰레기 뭉치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쓰레기 압착 과정은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는 동시에,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압착되면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몸체(220)의 일측에 형성된 오염수 배출부(260)를 통하여 배출되고, 오염수 배출부(260)에 연결된 수질 정화 장치(600)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투입된 쓰레기의 압착이 완료되면, 개폐판(250)이 개방되고, 푸시 바(240)가 전진하여 압착된 쓰레기 뭉치를 냉동부(300) 쪽으로 밀어 넣는다. 냉동부 내의 컨베이어(320)에 떨어진 압착된 쓰레기 뭉치는 컨베이어(32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냉동기 모듈(310)에 의하여 -30℃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120℃의 온도로 급속 냉동된다. (단계 S30) 이때, 쓰레기 뭉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쓰레기 뭉치 내부까지 냉기가 전달되기 때문에 더욱 빨리 냉동될 수 있다.
급속 냉동된 쓰레기 뭉치는 파쇄부(400)에 의하여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다. (단계 S40) 파쇄된 조각은 한 변의 길이 또는 직경이 대략 수 mm~수 cm 정도의 조각으로서, 대략 1c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냉동된 쓰레기 뭉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쓰레기 뭉치를 조각으로 파쇄할 때 파쇄가 용이해진다.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쓰레기는 개폐구(350)를 통과하여 탄화부(500)로 들어가 탄화된다. (단계 S50) 구체적으로, 쓰레기 조각은 탄화부의 이송 스크루(510)로 이송되면서 가열부(520)에 의하여 탄화되고, 탄화가 완료되면 탄화된 쓰레기 조각은 배출구(550)로 배출된다. 가열부(520)는 탄화부(500) 내부의 온도를 1800℃ 이상, 바람직하게 1800℃~2800℃ 범위의 온도로 유지하여 이송되는 쓰레기 조각을 탄화시킨다. 이때, 냉동된 쓰레기조각이 탄화하면서 발생하는 증기는 증기 소멸부(530)에서 제거되고, 각종 그을음, 재 및 유해 가스는 공기 정화 장치(540)에서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550)에서 배출되는 탄화물은 활성탄으로 사용 가능하며, 이를 바로 포장하면 활성탄 제품이 된다. 또한, 이러한 활성탄을 번개탄이나 비료 등의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화물을 이용하여 별도의 포장 공정이나 제조 공정을 거쳐 활성탄, 번개탄 또는 비료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각종 쓰레기를 처리하여 활성탄, 번개탄 또는 비료 등으로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대량의 쓰레기를 압착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적용할 경우, 급속 냉동 후 탄화시키기 때문에 악취 발생을 크게 줄이면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쓰레기를 단순히 소각이나 매립시키는 것이 아니라 재생하여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나 토양의 오염 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에 의한 환경 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00: 압착부
210: 투입구 220: 몸체
230: 프레스부 231, 231': 압착판
232: 유압 실린더 232': 이중 유압 실린더
233: 로드 234, 234': 구멍형성용 압착핀
240: 푸시 바 250: 개폐부
251: 개폐판 252: 유압 실린더
260: 오염수 배출부 270: 연결부
300: 냉동부
310: 냉동기 모듈 320: 컨베이어
400: 파쇄부 410, 420: 파쇄 기어
430: 컨베이어 440: 개폐구
500: 탄화부
510: 스크루 컨베이어 520: 가열부
530: 증기 소멸기 540: 공기 정화 장치
550: 배출구
600: 수질 정화 장치

Claims (15)

  1.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를 압착하되, 압착되는 쓰레기 뭉치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압착하는 프레스부와, 압착된 쓰레기를 밀어내는 푸시 바를 포함하는 압착부로서, 상기 프레스부는 유압 실린더에 연결된 압착판과, 압착되는 쓰레기 뭉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압착핀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핀은 상기 유압 실린더 또는 상기 압착판에 연결되는 압착부;
    상기 푸시 바에 의하여 밀린 압착된 쓰레기 뭉치가 떨어져 이송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쓰레기 뭉치를 -30℃~-120℃의 온도로 급속 냉동시키는 냉동기 모듈을 포함하는 냉동부;
    상기 냉동부의 컨베이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냉동된 쓰레기 뭉치를 소정 크기의 쓰레기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기어를 포함하는 파쇄부; 및
    수평으로 배열된 1개 이상의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 하부에 배치되어 쓰레기 조각을 1800℃~2800℃ 가열하여 탄화시키는 가열부와, 탄화된 쓰레기 조각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쇄된 쓰레기 조각이 탄화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소멸시키는 증기 소멸기를 포함하는 탄화부로서, 상기 파쇄부에 의하여 파쇄된 쓰레기 조각이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되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탄화되어 활성탄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탄화부
    를 포함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은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어, 쓰레기가 압착될 때 발생하는 오염수을 배수시키는 오염수 배출부; 및
    상기 오염수 배출부를 통해 배수되는 오염수를 정화하는 수질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기어는 냉동부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쓰레기 처리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플라즈마 히터인 쓰레기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부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히터는 단열재 위에 열선을 배치하고, 열선 상부에 방열판으로 밀폐한 공간부를 형성한 쓰레기 처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07921A 2018-01-22 2018-01-22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0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1A KR102009394B1 (ko) 2018-01-22 2018-01-22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1A KR102009394B1 (ko) 2018-01-22 2018-01-22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36A KR20190089436A (ko) 2019-07-31
KR102009394B1 true KR102009394B1 (ko) 2019-10-23

Family

ID=6747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21A KR102009394B1 (ko) 2018-01-22 2018-01-22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55B1 (ko) * 2020-09-10 2021-03-09 안진우 축산분뇨 건조장치
CN116060416A (zh) * 2022-12-30 2023-05-05 山东中再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工程用垃圾压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664A (ja) * 2004-07-30 2006-02-16 Sendai Enterprise Kk 生ごみの処理方法および得られる乾燥生ごみ
JP2011005505A (ja) * 2009-06-23 2011-01-13 Symphony Japan:Kk 脱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136B1 (ko) * 2004-11-03 2006-05-16 고일환 음식물쓰레기의 탄화 처리방법
KR101346361B1 (ko) * 2012-02-23 2013-12-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용융로 분위기 조절을 위한 가스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664A (ja) * 2004-07-30 2006-02-16 Sendai Enterprise Kk 生ごみの処理方法および得られる乾燥生ごみ
JP2011005505A (ja) * 2009-06-23 2011-01-13 Symphony Japan:Kk 脱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36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80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on a Continuous Basis
KR20170116086A (ko) 미분류된 도시 고형 폐기물을 지오폴리머 펠릿/브리켓 및 지오폴리머 벽돌/보도블록으로 전환하는 신규한 방법 및 장치
KR102009394B1 (ko) 쓰레기 처리 장치
US5400726A (en) Method of treating rubbish or waste and improved press for implementing it
KR101504869B1 (ko) 연속순환 열풍 가열방식용 슬러지 건조 장치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2740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ragmented material by pyrolysis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KR101481773B1 (ko) 하수 오니 건조 장치 및 하수 오니 고형연료화 방법
JP2004137373A (ja) 可燃性廃棄物の固形燃料化方法
CN212532902U (zh) 乡镇垃圾再生固体燃料生产系统
KR100909941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KR100486389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식 처리장치
KR101618250B1 (ko) 슬러지의 탈수 및 배출장치
KR100228535B1 (ko) 다목적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23357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작장치 및 방법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FR2762613A1 (fr)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par thermolyse et pour la valorisation energetique des dechets
JP2001116229A (ja)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及び焼却処理設備
KR102043246B1 (ko) 밀도 향상을 위한 폐수 슬러지의 고형화 장치
CN109340757A (zh) 一种垃圾处理设备
CN104964287B (zh) 垃圾压干焚烧装置
EP1841589B1 (en) System for processing waste on a continuous basis
WO2004020119A1 (en) Waste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KR20010110384A (ko) 탄화연료용 폐기물 재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